KR19990020403U - 빗물받이용 침적물 수거통 - Google Patents

빗물받이용 침적물 수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403U
KR19990020403U KR2019970033860U KR19970033860U KR19990020403U KR 19990020403 U KR19990020403 U KR 19990020403U KR 2019970033860 U KR2019970033860 U KR 2019970033860U KR 19970033860 U KR19970033860 U KR 19970033860U KR 19990020403 U KR19990020403 U KR 199900204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ain
rain gutter
diameter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8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흥섭
Original Assignee
권흥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흥섭 filed Critical 권흥섭
Priority to KR20199700338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403U/ko
Publication of KR199900204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403U/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빗물받이에 쌓이는 토사나 오물 등을 용이하게 수거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받이용 침적물 수거통에 관한 것으로, 하측에는 하수관과 연결되는 연결지관이 마련되어 있고, 상측에는 그레이팅이 안치되는 빗물받이(10)에 있어서, 상기 빗물받이(10) 내부의 둘레보다 좁은 둘레를 가지며 삽탈이 용이하고 상단 양쪽에는 손잡이(2)가 있고 하부 일측에는 큰직경의 배출구(4)를 형성한 수거통(1)과; 상기 수거통(1)의 사방에는 빗물은 배출시키고 토사나 오물은 포집할 수 있도록 작은 구멍으로 된 다수의 통수공(5)과; 상기 수거통(1)의 상주연부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하부(7)와 빗물받이(10) 내벽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큰직경을 갖는 탄력플랜지(8)가 상향을 향해 경사져 있는 집수호퍼부재(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빗물받이용 침적물 수거통
본 고안은 빗물받이에 쌓이는 토사나 오물 등을 용이하게 수거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받이용 침적물 수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도로의 가장자리에는 도로에 흐르는 빗물을 받아서 하수관으로 배출시키는 빗물받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빗물받이는 주로 콘크리트나 벽돌 등을 이용하여 사각형의 웅덩이로 구성되며, 빗물받이의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는 하수관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지관이 설치되고, 상측에는 격자상으로 된 그레이팅을 안치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빗물받이는 우천시 도로에 흐르는 빗물을 흡입하여 배출구를 통해 하수관으로 배출시키므로서 빗물이 도로에 흐르는 것을 방지하거나 고이는 것을 방지하는 포장도로에는 반드시 필요로 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빗물받이는 우천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토사 등이 연결지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지 못하게 되므로서 하수관에 토사 등이 다량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비우천시에는 도로에 쌓이게 되는 흙먼지나 토사 또는 각종 오물 등이 유입되어 빗물받이 바닥에 침적되므로서 배출구가 막히게 되고, 배출구가 막히게 될 경우에는 빗물받이가 제기능을 상실하여 우천시 도로를 흐르는 빗물을 하수관으로 배출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빗물받이에 침적된 토사 등의 침적물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이같은 준설작업은 통상 작업자 스스로의 인력으로 퍼내야하기 때문에 많은 힘이 들고 또한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침적물처리에 많은 경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빗물받이 내부에 별도로 제작된 수거통을 삽탈가능하게 내설하고 그 위에는 빗물받이 내벽면에 밀착되는 탄성플랜지가 있는 집수호퍼부재를 내설하는 구성으로서 우천시 빗물받이로 유입되는 빗물이 수거통에 유입된 후 하수관측으로 배출되게 하여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토사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또한 수거통은 빗물받이 내부에 용이하게 삽탈될 수 있게 작은 규격으로 제작하는 반면 집수호퍼부재의 하부는 상기한 수거통 보다 작게 형성되고 탄성플랜지는 빗물받이 내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큰 규격으로 제작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측에는 하수관과 연결되는 연결지관이 마련되어 있고, 상측에는 그레이팅이 안치되는 빗물받이에 있어서,
상기 빗물받이 내부의 둘레보다 좁은 둘레를 가지며 삽탈이 용이하고 상단 양쪽에는 손잡이가 있고 하부 일측에는 큰직경의 배출구를 형성한 수거통과; 상기 수거통의 사방에는 빗물은 배출시키고 토사나 오물은 포집할 수 있도록 작은 구멍으로 된 다수의 통수공과; 상기 수거통의 상주연부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하부와 빗물받이 내벽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큰직경을 갖는 탄력플랜지가 상향을 향해 경사져 있는 집수호퍼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거통2 : 손잡이
3 : 보강리브4 : 배출구
5 : 통수공6 : 집수호퍼부재
7 : 하부8 : 탄력플랜지
10 : 빗물받이11 : 연결지관
12 : 그레이팅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수거통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수거통(1)의 외경 둘레는 빗물받이(10) 내부의 둘레보다 좁은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하므로서 빗물받이(10)가 설정된 규격보다 좁은 규격으로 구축되었을 경우에도 삽입 및 탈리가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수거통(1)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FRP로 제작한다.
상기 수거통(1)의 상단 양측에는 손잡이(2)가 마련되고, 사방에는 다수의 보강리브(3)를 형성하므로서 수거통(1) 자체의 강도를 보강한다.
그리고 상기 수거통(1)의 하부 일측에는 빗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4)와 사방둘레에 작은 통수공(5)들을 다수 뚫어 주는데, 상기 통수공(5)은 빗물을 배출시키면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토사 등은 걸러내는 작용을 한다.
상기 수거통(1)의 상방에는 집수호퍼부재(6)가 안착되는데, 상기 집수호퍼부재(6)의 하부(7)는 수거통(1)의 상주연부의 내경 보다 작은 둘레를 갖도록 구성하며, 상기 하부(7)의 상부에서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는 탄력플랜지(8)를 형성한다.
상기 탄력플랜지(8)는 빗물받이(10)의 설정된 내부 둘레보다 훨씬 큰 규격을 가지며 탄력적이며 유연하게 수거통(1) 내벽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로에 설치되는 빗물받이(10)는 정해진 성형틀이 없이 현장에서 형틀이 제작되는 관계로 그 내부 둘레가 설계에 알맞게 구축되지 못하고 편차가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본 고안의 그와같은 편차를 감안하여 수거통(1)의 둘레는 빗물받이(10)의 내부둘레 규격 보다 작게 제작하므로서 수거통(1)의 삽탈이 용이하게 함과 동시 높이에 있어서도 수거통(1)이 작게 하므로서 집수호퍼부재(6)의 설치가 용이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수거통(1)은 도 3과 같이 설치되는데, 먼저 수거통(1)을 삽입한 다음 집수호퍼부재(6)를 수거통(1) 위에 집어 넣는데, 이때 집수호퍼부재(6)의 탄력플랜지(8)의 둘레가 빗물받이(10) 내부둘레 보다 훨씬 크므로 상기 탄력플랜지(8)는 빗물받이(10) 내벽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삽입, 안치되는 것이며, 또 하부(7)는 수거통(1) 안쪽으로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도로에 흐르는 빗물이 빗물받이(10)로 유입될 때 집수호퍼부재(6)가 빗물을 집수하여 수거통(1)으로 유입되게 함은 물론 빗물받이의 벽면을 타고 흐르는 빗물까지도 탄력플랜지(8)에 의해 수거통(1)으로 유입되게 되어 빗물에 섞여 유입되는 흙먼지 등의 토사는 모두 수거통(1)에 유입되는 것이며, 수거통(1)에 유입된 빗물은 큰직경의 배출구(4)와 다수의 통수공(5)으로 배출되어 연결지관(11)을 통해 하수관으로 보내지는 것인데, 상기한 배출구(4)는 수거통(1)의 바닥보다 조금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과 함께 유입된 토사 등은 배출구(4)로 배출되지 못하게 되며, 또 수거통(1)에 형성된 통수공(5)들은 빗물을 배출시킬 때 토사를 걸러내게 되어 빗물과 함께 유입된 토사의 대부분은 수거통(1)에 여과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후 빗물의 유입되지 않은 상태가 되면 상기한 통수공(5)은 수거통(1)에 여과, 수거된 토사에 함유되어 있는 빗물을 배출시키는 작용을 하여 결국 수거통에는 토사 등의 오물만 침적된 상태로 남아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비우천시 도로에 있는 토사나 각종 오물이 그레이팅(12)을 통해 수거통(1)에 유입므로서 수거통(1) 내부에 토사 등의 침적물이 쌓이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빗물받이(10)에 설치된 수거통(1)에 침적물이 어느 정도 쌓이게 되면 작업자는 그레이팅(12)을 들어낸 후 먼저 집수호퍼부재(6)를 들어내고 이어서 수거통(1)에 부착된 손잡이(2)를 잡고 작업자가 직접 수거통(1)을 꺼내거나 또는 준설장치의 리프트와이어를 손잡이(2)에 연결하여 들어낸 다음 수거통(1)이 들어있는 침적물을 수거탱크에 침적물을 붓고 빈 수거통(1)과 집수호퍼부재(6)를 다시 빗물받이(10)에 재설치하여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토사 등의 침적물을 수거처리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빗물받이 내부에 별도로 제작된 수거통과 집수호퍼부재를 삽입설치하는 수단으로 우천시에는 도로에 흐르는 빗물이 수거통으로 유입된 후 연결지관으로 배출되게 하므로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토사를 수거통에서 여과할 수 있어 토사가 하숙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을뿐 아니라 비우천시 빗물받이로 유입되는 각종 오물을 수거통이 수거케 한 다음 빗물받이에서 수거통만 꺼내는 간단한 작업으로 빗물받이에 유입되는 토사나 오물 등의 침적물을 수거처리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본 고안은 수거통의 규격을 빗물받이의 내부 규격보다 작게 제작하므로서 빗물받이가 설정된 규격보다 좁게 구축되었을 경우에도 삽탈이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고 아울러 집수호퍼부재의 탄력플랜지는 빗물받이의 내벽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벽면으로 흘러내리는 빗물에 쌓여 있는 토사를 전량 수거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져다 주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하측에는 하수관과 연결되는 연결지관이 마련되어 있고, 상측에는 그레이팅이 안치되는 빗물받이(10)에 있어서,
    상기 빗물받이(10) 내부의 둘레보다 좁은 둘레를 가지며 삽탈이 용이하고 상단 양쪽에는 손잡이(2)가 있고 하부 일측에는 큰직경의 배출구(4)를 형성한 수거통(1)과; 상기 수거통(1)의 사방에는 빗물은 배출시키고 토사나 오물은 포집할 수 있도록 작은 구멍으로 된 다수의 통수공(5)과; 상기 수거통(1)의 상주연부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하부(7)와 빗물받이(10) 내벽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큰직경을 갖는 탄력플랜지(8)가 상향을 향해 경사져 있는 집수호퍼부재(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용 침적물 수거통.
KR2019970033860U 1997-11-25 1997-11-25 빗물받이용 침적물 수거통 KR199900204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860U KR19990020403U (ko) 1997-11-25 1997-11-25 빗물받이용 침적물 수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860U KR19990020403U (ko) 1997-11-25 1997-11-25 빗물받이용 침적물 수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403U true KR19990020403U (ko) 1999-06-15

Family

ID=69692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860U KR19990020403U (ko) 1997-11-25 1997-11-25 빗물받이용 침적물 수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40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868B1 (ko) * 2020-07-06 2021-06-25 최영제 이동식 화장실
RU207909U1 (ru) * 2021-05-11 2021-11-23 Алексей Викторович Чечевичкин Фильтрующий патрон
KR20220032809A (ko) *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평창365 퇴적물 제거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868B1 (ko) * 2020-07-06 2021-06-25 최영제 이동식 화장실
KR20220032809A (ko) *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평창365 퇴적물 제거 구조체
RU207909U1 (ru) * 2021-05-11 2021-11-23 Алексей Викторович Чечевичкин Фильтрующий патро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9420B1 (en) Sanitary, storm and catch basin trap with filter insert
KR100524151B1 (ko) 초기 우수를 배제한 청정 우수 포집 장치
KR101770105B1 (ko)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탈착식 거름망 시스템
KR101355342B1 (ko) 우수 재사용을 위한 집수장치
KR100855693B1 (ko) 협잡물 제거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19990020403U (ko) 빗물받이용 침적물 수거통
KR20210122428A (ko) 유지 및 침사 거름기능을 구비한 물받이
KR200249085Y1 (ko) 도로의 배수용 집수정
JP2535340Y2 (ja) 雨水浸透枡用フィルタ
JP2000073414A (ja) 雨水貯溜槽用取水装置
KR200333359Y1 (ko) 퇴적물 수거를 위한 도로변 배수용 집수조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200208312Y1 (ko) 여과조가 구비된 도로용 빗물 집수구
KR20050095959A (ko) 두개의 필터가 내장된 맨홀
KR200342681Y1 (ko) 배수구용 맨홀박스
KR19990020404U (ko) 빗물받이용 침적물 수거통
JPH0248549Y2 (ko)
KR200234827Y1 (ko) 오물받이가 설치된 측구
KR200180003Y1 (ko) 집수통의 침사조 설치 구조
KR102035118B1 (ko) 이토실 분리형 우수 및 오수받이
KR19980043030A (ko) 걸름망을 설치한 배수구의 구조
KR101054283B1 (ko) 빗물받이
JPH022795Y2 (ko)
KR101958435B1 (ko)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
KR100803736B1 (ko) 배수구의 오물수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