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164U -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164U
KR19990020164U KR2019970033575U KR19970033575U KR19990020164U KR 19990020164 U KR19990020164 U KR 19990020164U KR 2019970033575 U KR2019970033575 U KR 2019970033575U KR 19970033575 U KR19970033575 U KR 19970033575U KR 19990020164 U KR19990020164 U KR 199900201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direct
refrigerator
cooling
fr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희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3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164U/ko
Publication of KR199900201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164U/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판과 판사이에 냉매유로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롤본드타입(ROLL-BOND)증발기를 냉각장치로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종래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는 증발기를 제작함에 있어서 그 제작비가 비싸고 내부공간이 협소한 소형냉장고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공간효율이 떨어지며 상기 증발기의 측면 및 상면과 냉장고 본체 내측의 내상 사이에 성에가 과도하게 착상되었을 경우 성에를 제거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왔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는 판과 판사이에 냉매유로가 형성된 사각평면 형상의 증발기 외측 상부와 하부로 다수개의 상부토출구와 하부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를 형성하여 증발기의 크기를 소형화 함으로써 판과 판 사이에 냉매유로가 형성된 사각평면 형상의 재료를 박스형태로 절곡하는 공정을 삭제하여 제조공정이 줄어들게 되어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부품의 크기를 줄여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증발기의 측면 및 상면과 냉장고 본체 내측의 내상 좁은틈 사이에 성에가 과도하게 착상되었을 경우 성에를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
본 고안은 직냉식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판사이에 냉매유로가 형성되어 사각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증발기가 설치된 원도어형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냉장고에는 직냉식 냉장고가 적용되고 있으며, 종래 기술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는 통상적인 냉동싸이클에서와 같이,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외부로 열이 방출되어 저온의 액상냉매가 된 후에, 캐필러리튜브를 거치면서 액상 냉매는 증발하기 쉬운 기액 혼합상태로 팽창되어 증발기를 통해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가스화되고, 증발기를 통해 가스화 된 냉매는 별도의 어큐뮬레이터를 통과하면서 액냉매는 어큐뮬레이터 저면에 잔류되고 가벼운 기체 냉매는 압축기로 보내져 압축기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압축되는 냉매의 순환반복에 의해 소형 냉장고 내의 냉기공급이 이루어 지게된다.
이때 상기 직냉식 냉장고에 적용시킨 증발기는 롤본드형태(Roll-Bond Type)로 증발기의 판과 판 사이에 냉매유로가 형성되어, 캐필러리튜브를 거친 차가운 냉기가 증발기의 냉매유로를 통과하면서 냉장고내의 상승된 온도를 낯추게 되며, 주변과 열교환되어 가스화 된 냉매는 증발기와는 별도로 내상 안쪽의 단열벽에 내설되어 있는 어큐뮬레이터로 보내져 기액 냉매가 분리되어 대부분의 가벼운 기체 냉매만이 압축기로 흡입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은 종래 직냉식 냉장고의 상단을 절개하여 증발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실과 냉장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원도어형 냉장고로서 판과 판사이에 냉매유로(15)가 형성된 롤본드형태의 증발기(10)는 상자형상으로 구성되어 전면과 후면이 개구되어 있고, 증발기(10)의 후면을 밀폐하는 수단이 되는 후면커버(미도시)는 증발기(10)의 개구된 후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정도의 면적을 갖는 평판형상으로서 상측단부와 하측단부에 감합부(미도시)를 두어 증발기의 돌출편(미도시)과 끼움결합 되어있다.
냉장고의 내측내상(40)에 고정비드(45)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비드(45)에 증발기(10)가 안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는 상기 상자형상의 증발기(10) 내측으로 냉동실(20)이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10)측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증발기(10)의 양측면과 상기 증발기(10)의 하면을 통해 하측으로 자연대류되어 냉장실(30) 내측으로 열전달되면서 열교환되는 순환을 반복하여 냉동실 및 냉장실의 냉기순환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는 증발기(10)를 제작함에 있어서 그 제작비가 비싸고 내부공간이 협소한 소형냉장고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공간효율이 떨어지며 상기 증발기(10)의 측면 및 상면과 냉장고 본체 내측의 내상(40) 사이의 틈새사이에 성에가 과도하게 착상되었을 경우 성에를 제거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는 판과 판사이에 냉매유로가 형성된 사각평면 형상의 증발기 외측 상부와 하부로 다수개의 상부토출구와 하부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를 형성하여 증발기의 크기를 소형화 함으로써 냉장고의 공간효율을 높이고 증발기 제작비용을 줄일수 있도록 한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의 제공을 그 기술적과제로 한다.
도 1은 종래 직냉식 냉장고의 증발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를 도시한 일부절결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의 정단면도 및 요부확대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60....증발기 15,65....냉매유로
20....냉동실 30....냉장실
35....선반 40....내상
45....고정비드 50....본체
70....케이스
상기한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는 직냉식 냉장고에 있어서, 판과 판사이에 냉동싸이클에 따라 유동하는 냉매가 순환하도록 냉매유로가 다단절곡되어 형성된 사각평면 형상의 증발기와, 상면에는 냉동실측으로 냉기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상부토출구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냉장실측으로 냉기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하부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 외부를 커버하는 케이스로 구성되어 고정비드 상측으로 안착되어 고정설치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를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를 도시한 일부절결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의 정단면도 및 요부확대 정단면도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6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의 판과 판 사이에 냉동싸이클에 따라 유동하는 냉매가 순환하도록 원형단면을 가진 냉매유로(65)가 형성되는데, 상기 냉매유로(65)는 입구측은 캐필러리튜브(미도시)와 연통되어 용접결합되고 상기 증발기(60)상에서 다수회 절곡되어 출구측으로는 어큐물레이터(미도시)측으로 용접결합되어 연통된다.
상기 증발기(60)의 외측으로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된 케이스(70)가 상기 증발기(60)의 외측으로 인서트몰딩(INSERT MOLDING)되어 덮어씌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70)의 상면에는 소정크기의 정원형상을 가진 상부토출구(61)가 상기 케이스(70) 상면 전면적에 걸쳐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고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60)의 표면이 상기 상부토출구(61)를 통해 냉동실(20)측으로 열교환된다.
상기 케이스(70)의 하면에도 상기 상부토출구(61)와 마찬가지로 냉장실(30)측으로 다수개의 하부토출구(62)가 형성되어 진다.
증발기(60)가 내측에 형성된 상기 케이스(70)는 냉장실(30)의 내상 양측에 각각 돌설된 고정비드(45)위에 안착되고 소정위치에 볼트결합(미도시)되어 냉장고 내측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종래와 같이 판과 판 사이에 냉매유로가 형성된 사각평면 형상의 재료를 상자형상으로 절곡하는 공정을 삭제하여 제조공정이 줄어들게 되어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부품의 크기를 줄여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는 판과 판사이에 냉매유로가 형성된 사각평면 형상의 증발기 외측 상부와 하부로 다수개의 냉기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를 형성하여 증발기의 크기를 소형화 함으로써 판과 판 사이에 냉매유로가 형성된 사각평면 형상의 재료를 박스형태로 절곡하는 공정을 삭제하여 제조공정이 줄어들게 되어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부품의 크기를 줄여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증발기의 측면 및 상면과 냉장고 본체 내측의 내상 좁은틈 사이에 성에가 과도하게 착상되었을 경우 성에를 제거하기 용이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에 있어서,
    판과 판사이에 냉동싸이클에 따라 유동하는 냉매가 순환하도록 다단 절곡되어 냉매유로(65)가 형성된 사각평면 형상의 증발기(60)와, 상면에는 냉동실(20)측으로 냉기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상부토출구(61)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냉장실(30)측으로 냉기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하부토출구(62)가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60)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케이스(70)로 구성되어 고정비드(45) 상측으로 안착되어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70)는 상기 증발기(60)의 외측으로 상기 증발기(6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60)는 상기 케이스(70)내에 인서트몰딩(INSERT MOLD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
KR2019970033575U 1997-11-24 1997-11-24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 KR199900201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575U KR19990020164U (ko) 1997-11-24 1997-11-24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575U KR19990020164U (ko) 1997-11-24 1997-11-24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164U true KR19990020164U (ko) 1999-06-15

Family

ID=69679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575U KR19990020164U (ko) 1997-11-24 1997-11-24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164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712B1 (ko) * 2002-01-23 2008-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냉식 냉장고의 증발기
KR100836053B1 (ko) * 2002-08-26 2008-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냉식 냉장고
WO2017164465A1 (ko) * 2016-03-22 2017-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80035620A (ko)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035621A (ko)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100497A (ko) * 2019-02-18 2020-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712B1 (ko) * 2002-01-23 2008-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냉식 냉장고의 증발기
KR100836053B1 (ko) * 2002-08-26 2008-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냉식 냉장고
WO2017164465A1 (ko) * 2016-03-22 2017-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80035620A (ko)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035621A (ko)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100497A (ko) * 2019-02-18 2020-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2416B2 (en) Automatic ice maker of the open-cell type
US10935301B2 (en) Refrigerator
JP5872143B2 (ja) 冷蔵庫
KR20090032733A (ko) 냉장고의 방열 장치
KR20030027367A (ko) 냉장고
JP2005069671A (ja) 冷蔵庫
KR20070015495A (ko) 냉동 시스템 및 저온 냉동 시스템용 증발기 플레이트의제조 방법
CN110567214A (zh) 冰箱
KR19990020164U (ko) 직냉식 냉장고의 냉각장치
EP3715751B1 (en) Refrigerator
KR200424088Y1 (ko) 액막 제상장치를 구비한 축냉식 냉장 시스템
KR100431480B1 (ko) 냉장고
JP2012098010A (ja) 冷却貯蔵庫
WO2023236277A1 (zh) 制冷设备的风道系统和制冷设备
JP5990731B2 (ja) 冷蔵庫
JP6637128B2 (ja) 冷蔵庫
KR101123715B1 (ko) 냉장고
KR100520083B1 (ko) 증발기의 제조방법 및 그 증발기를 갖는 냉장고
US20220136756A1 (en) Refrigerator
CN217686128U (zh) 制冷设备的风道系统和制冷设备
CN219346896U (zh) 冰箱及其风道部件
CN117249636A (zh) 制冷设备的风道系统和制冷设备
WO2022257886A1 (zh) 制冷家电的风口
WO2023135740A1 (ja) 冷蔵庫
US20220146155A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