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152A -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구조 - Google Patents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152A
KR19990020152A KR1019970043609A KR19970043609A KR19990020152A KR 19990020152 A KR19990020152 A KR 19990020152A KR 1019970043609 A KR1019970043609 A KR 1019970043609A KR 19970043609 A KR19970043609 A KR 19970043609A KR 19990020152 A KR19990020152 A KR 19990020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port
exhaust path
opening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3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43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152A/ko
Publication of KR19990020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152A/ko

Links

Landscapes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블로어가 회전하여 몸체 전면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강제 공랭식 열교환을 한후 몸체 내부를 구획한 에어가이드의 배기경로를 통해 몸체의 전면측 토출구로 배기하여 공기조화를 이루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배기경로를 통해 배기되는 공조공기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몸체(10)에는 전면 토출구(16)에 부가하여 측면 토출구(160)를 구비하고, 에어가이드(20)의 배기경로상에 장착하여 측면 토출구(160)를 임의적으로 개로 또는 폐로하는 개폐수단을 특징적 구성으로 하여, 상기 에어가이드의 배기경로를 통해 배기되는 공조공기는 칸막이를 중심으로 분기되어 전면 토출구의 측면 토출구로 배기됨으로써, 공조공기의 풍향이 실내의 전면은 물론 측면 부위까지 직접 도달되어 빠른 공조를 이루는 공조효율의 향상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구조
본 발명은 단일 몸체 내부를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획하여 실내측을 소정의 오도대로 공기조화를 이루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조공기의 배기경로를 복수개 구비하여 공조장소의 공조효율이 향상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면에 각각 흡입구(12)(14) 및 토출구(16)(18)를 형성한 몸체(10) 내부를 에어가이드(20)로 구획하여, 에어가이드(20) 후방의 몸체(10) 내면에 소음원이 되는 압축기(60), 응축기(30), 송풍수단을 내장하고, 에어가이드(20) 전방의 몸체(10) 내면에 증발기(40)를 내장하여, 몸체(10)를 창문틀 또는 건물벽(90)에 에어가이드(20)를 기준으로 밀폐된 실내측과 대기에 노출된 실외에 걸쳐 설치한다.
상기 송풍수단은 양단으로 돌설한 회전축(52)을 구비하여 실외측 몸체(10) 내부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송풍모터(50)와, 송풍모터(50)에 구비한 회전축(52) 일단에 장착하여 실외측에 위치하는 실외팬(70)과, 타단의 회전축(52)을 에어가이드(20)를 통해 관통하여 블로어(80)를 장착한 구성으로, 상기 송풍모터(5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52)에 의해 실외팬(70) 및 블로어(80)가 회전하면, 실내의 공기는 몸체(10)의 전후면에 형성한 흡입구(12)(16)를 통해 실내공기와 대기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한 후 증발기(40) 및 응축기(30)를 통해 열교환을 이루면서, 실외측 열교환공기는 후면측 토출구(18)를 통해 배기되고, 실내측의 열교환공기는 전면측 토출구(16)를 통해 배기되면서 실내를 소정의 온도대로 공조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의 흡입경로인 흡입구(12)와 공조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토출구(16)가 단일 경로를 이룬 상태에서 몸체(10)의 전면에 인접한 곳에 위치한다. 이에 토출구(16)를 통해 송풍되는 공조공기가 실내로 순환되기 전에 블로어(80)의 작동에 따라 흡입구(12)로 강제 흡입되는 피조공기에 빨려 들어가 실내를 빠른 시간 내에 공조시키지 못하는 공조효율 저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로 송풍되는 공조공기의 최종 배출경로를 복수개 구비하여 송풍면적을 확충함과 동시에 송풍단계에서 공조공기의 손실을 방지하여 공조효율이 향상되는 창문형 공조기의 토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토출구조를 적용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토출구조를 적용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5은 도 3 및 도 4의 토출구조에 적용한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2: 흡입구
16, 160: 토출구 20: 에어가이드
100: 칸막이 200: 힌지
300: 개폐판 400: 작동레버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면 토출구(16)에 부가하여 측면 토출구(160)를 구비한 몸체(10)와, 몸체(10) 내부를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획함고 동시에 실내측 흡배기경로를 이루는 에어가이드(20)의 배기경로상에 장착하여 측면 토출구(160)를 임의적으로 개로 또는 폐로하는 개폐수단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전면 토출구(16)와 측면 토출구(160)로 구획하여 에어가이드(20)의 배기경로를 전면 토출구(16)와 측면 토출구(160)로 분기하는 칸막이(100)와, 칸막이(100)에 일측이 회동 자유롭도록 힌지(200) 결합하여 측면 토출구(160)측의 배기경로를 개로 및 폐로하는 개폐판(300)과 개폐판(300)에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은 손잡이로 몸체(10) 외부에 위치하여 개폐판(300)을 몸체(10) 외부에서 개문 또는 폐문하는 작동레버(400)로 구성한다.
상기 칸막이(100)는 에어가이드(20)의 배기경로상에 상하단이 기밀하게 밀착하여 고정하고, 공조공기의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만곡된다.
그리고 몸체(10) 외부에 위치하는 작동레버(400)의 일단은 몸체(10)에 별도의 인출공을 형성함이 없이 측면 토출구(160)를 통해 몸체(10) 외부로 돌출하도록 한다.
부호 80은 전면 토출구(16)와 측면 토출구(160)에 설치하여 공조공기의 풍향각을 설정하는 루버를 나타낸다.
부호 500은 전면 토출구(16)와 측면 토출구(160)에 설치하여 공조공기의 풍향각을 설정하는 루버를 나타낸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에서 측면측 토출구(160)는 점선으로 나타낸 개폐판(300)의 일측이 에어가이드(20)에 접촉하여 폐로된 상태이다.
상기 상태에서는 송풍모터(50)의 작동에 따라 블로어(80)가 회전하면, 실내의 공기가 몸체(10)의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되어 증발기(40)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온도대로 열교환을 이룬 후 에어가이드(20)의 배기경로로 배기되는 과정에서 개폐판(300)에 의해 차폐되어 측면 토출구(160)로 분기되지 않고 통상의 배기경로인 전면토출구(16)로 배기된다.
상기 상태에서 실내의 빠른 공조등 공조성의 증대가 필요할 경우, 측면 토출구(160)를 통해 돌출된 작동레버(400)의 일단을 전진 작동하면 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낸 개폐판(300)은 힌지(20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측면 토출구(160)를 개로 상태로 유지한다.
이에 공조공기는 칸막이(100)를 중심으로 분기되어 전면 토출구(16)와 측면 토출구(160)로 배기되어 실내를 공조한다.
따라서 측면 토출구(160)가 흡입구(12)와 이격됨으로서 공조손실이 방지된 상태로 공조기의 풍향이 실내의 전면은 물론 동시에 직접 측면 부위에 미치게 되어 빠른공조를 이루는 공조효율의 향상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블로어가 회전하여 몸체 전면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강제 공랭식 열교환을 한후 몸체 내부를 구획한 에어가이드의 배기경로를 통해 몸체의 전면측 토출구로 배기하여 공기조화를 이루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배기경로를 통해 배기되는 공조공기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몸체에는 전면 토출구에 부가하여 측면 토출구를 구비하고, 에어가이드의 배기경로상에 장착하여 측면 토출구를 임의적으로 개로 또는 폐로하는 개폐수단을 특징적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개폐수단은 에어가드의 배기경로를 전면 토출구와 측면 토출구로 분기하는 칸막이와, 칸막이에 일측이 회동 자유롭도록 체결되어 측면 토출구측의 배기경로를 개로 및 폐로하는 개폐판과, 개폐판을 몸체 외부에서 개문 또는 폐문하는 작동레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구조.
KR1019970043609A 1997-08-30 1997-08-30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구조 KR199900201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609A KR19990020152A (ko) 1997-08-30 1997-08-30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609A KR19990020152A (ko) 1997-08-30 1997-08-30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152A true KR19990020152A (ko) 1999-03-25

Family

ID=66038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3609A KR19990020152A (ko) 1997-08-30 1997-08-30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1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657B1 (ko) * 2022-08-09 2023-09-19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전면풍 및 측면풍 겸용 가변형 측면토출구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657B1 (ko) * 2022-08-09 2023-09-19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전면풍 및 측면풍 겸용 가변형 측면토출구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241B1 (ko) 공기조화기
JP2828835B2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19990020152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구조
KR200156399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H06129669A (ja) 一体形空気調和機
CA2308380C (en) Air exhaust actuator for an air conditioner
KR100389426B1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안내구조
JP2574593Y2 (ja) 空調装置の内部ケース
KR100432743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유동구조
KR0183562B1 (ko) 분리형 에어컨의 환기장치
JPH10238814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H05223277A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200235022Y1 (ko) 창문형에어콘의통풍공조절장치
KR200171602Y1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외기
KR200323967Y1 (ko) 창문형 에어컨
JP2883490B2 (ja) 空気調和機
KR200181347Y1 (ko) 공기조화기
KR200196944Y1 (ko) 공기 조화기
KR100228435B1 (ko) 공조 장치를 갖는 도어
KR200229882Y1 (ko) 창문형에어컨의풍향조정장치
JPH0682059A (ja) 空気調和装置
JPH06272895A (ja) 空気調和機
KR20050031571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토출부 구조
KR20000011370U (ko) 에어컨디셔너 실내기의 공기 흡입/송풍 장치
KR20000001846U (ko) 창문형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