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718A - 파이프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718A
KR19990019718A KR1019970043128A KR19970043128A KR19990019718A KR 19990019718 A KR19990019718 A KR 19990019718A KR 1019970043128 A KR1019970043128 A KR 1019970043128A KR 19970043128 A KR19970043128 A KR 19970043128A KR 19990019718 A KR19990019718 A KR 19990019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current
joining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3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9348B1 (ko
Inventor
구효종
Original Assignee
구효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효종 filed Critical 구효종
Priority to KR1019970043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9348B1/ko
Publication of KR19990019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718A/ko
Priority to KR1019990029361A priority patent/KR100257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30Organic material
    • B23K2103/42Plastics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파이프 접합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결할 플라스틱 파이프(1)들의 단부들과 일체로 접합되며 내측부에 유도전류에 의한 저항열발열체(21)를 구비한 연결구(20), 연결할 파이프들의 단부에 대하여 상기 연결구(20)를 가압지지하도록 상기 연결구의 윤곽과 동일한 내측 윤곽을 갖는 적어도 2개로 분할되고 각각 유도코일(18)이 제공된 파지부(11,11'), 그들로 부터 연장되어 서로에 대하여 힌지연결된 작동손잡이(14)를 구비한 홀더(10), 상기 발열체(21)로서의 전기저항체의 종류 및 연결할 파이프의 규격에 따라 상기 파이프와 연결구의 최적의 접합에 필요한 발열온도를 얻기 위하여 적합한 유도전류가 발생하도록 파지부(11,11')의 유도코일(18)로의 전류공급을 자동제어하는 제어장치(12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외부전원과 연결을 위한 외부노출 단자가 필요없어 연결구 구조가 단순화되며 연결구 내측부에 저항열발열체의 매설이 매우 간편하고 파이프와 연결구의 최적의 접합을 위한 전류공급의 제어가 용이하며, 상기 연결할 파이프에 대하여 연결구를 지지고정하는 홀더에 의해서 파이프 연결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
본 발명은 플라스틱 파이프와 같은 요소들의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합할 플라스틱 파이프 접합용 연결구를 홀더로 제위치에 보지함과 동시에 연결구에 제공된 유도코일에 유도전류가 흐르게 하여 이때 발생되는 저항열로 상기 요소들과 연결구의 접촉면이 용융상태로 되어 접합되도록 하는 접합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파이프의 접합에는 유기용제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용융접합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예를들어 폴리에틸렌(Polyethylen : PE)재 파이프의 경우에는 분자결합구조가 매우 안정되어 적합한 유기용재 또는 접착제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재료의 접합은 접합부를 용융시켜 접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때, 접합부를 용융시키는 방법에 따라 전기저항열 용융접합, 열판용융접합, 초음파용융접합 및 열기체용융접합 등이 있으나 폴리에틸렌관 배관에는 주로 전기저항열용융접합법과 열판용융접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저항열접합방법 및 수단을 도 11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서로 연결할 플라스틱 파이프(1,1')들의 단부들을 연결구(2)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구(2)는 파이프와 동일재질로 형성된 것으로 연결할 파이프 단부들이 마주보게 내입된다. 상기 내입된 파이프 단부들 외측면에 접합되는 연결구(2)의 내측부에는 발열코일(4)에 성형시 권취되어 제공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발열코일(4)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단자(3)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에 전원이 연결되면, 저항이 큰 발열코일(4)에서 발생되는 저항열에 의해 연결구(2)의 내측부와 그에 접촉된 파이프(1,1')들의 단부 외측면이 용융상태로 되어 일체로 접합됨으로써 파이프(1,1')들의 단부들은 연결구를 매개로 하여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기저항열접합에 있어서, 연결구(2)와 파이프(1,1')들의 단부가 용융되기 위해서는 발열코일(4)에 고전류가 단시간에 공급되어야 하므로 이를위한 정밀제어장치가 필요하고 발열코일(4)은 파이프의 직경, 두께 등을 감안하여 연결구(2) 성형시 내측부에 일정간격으로 권취된 상태로 제공되어야 하는데 그 작업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고가의 전용장비의 이용이 필수적이다. 또한, 발열코일(4)이 단선된 경우에는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어 발열코일이 가열되지 못하게 되므로 접합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안출된 것으로, 플라스틱 파이프 연결용 연결구 내측부에 외부 노출단자가 필요없는 저항열발열체를 매우 간편하게 삽입성형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구를 파이프에 대하여 가압지지하는 홀더에 유도코일을 제공하여 연결구의 발열체가 유도전류에 의해 발열되고, 파이프와 접합될 연결구의 내측부에 제공된 저항열발열체의 종류와 파이프의 사양에 따라 미리 프로그램된 자동제어하에 전류를 공급하여 파이프와 연결구가 최적으로 용융접합되는 플라스틱 파이프 연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할 플라스틱 파이프들의 단부들과 일체로 접합되는 연결구 내측부에 유도전류에 의한 저항열발열체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전원과 연결을 위한 외부노출 단자가 필요없어 연결구 구조가 단순화되며 연결구 내측부에 저항열발열체의 매설이 매우 간편하고 파이프와 연결구의 최적의 접합을 위한 전류공급의 제어가 용이하며, 상기 연결할 파이프에 대하여 연결구를 지지고정하는 홀더에 의해서 파이프 연결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플라스틱 파이프 접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관 연결용 연결구 홀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분기관 연결용 연결구 홀더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4a, 4b, 4c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에 의해 파이프에 접합되는 직선관, 분기관, 곡선관 연결용 연결구들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직선관용 연결구를 사용하여 직선형의 파이프들을 접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부분단면도.
도 6은 도 4b의 분기관용 연결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7은 도 4b의 곡선관형의 연결구에 적합한 홀더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파이프에 분기관용 홀 천공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연결구의 발열체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홀더의 코일에 전류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류 발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의 콘트롤러 사시도.
도 11은 종래에 따른 직선관 전기저항 파이프 접합용 연결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이프 8 : 연결단자
9 : 입력단자 10 : 홀더
11 : 파지부 12 : 연결코드
13 : 힌지 14 : 작동손잡이
15 : 보조홀더 16 : (홀 형성용)만곡부
17 : 홀 18 : 유도코일
20 : 연결구 21 : 발열체
31 : 천공커터 33 : 단열재
34 : 캡 35 : 너트
37 : 이탈방지턱 38 : 개구부
40 : 콘트롤러 41 : 셀렉터스위치
42 : 파워스위치 43 : 스타트스위치
44 : 비상정지스위치 45 : 타이머
50 : 마이크로프로세서 60 : 파워드라이브유니트
70 : 작동모듈 80 : 디스플레이유니트
90 : 입출력유니트 100 : 저전압유니트
110 : 전원부 111 : 평활회로
120 : 제어장치 VR : 가변저항
SW : 바이메탈스위치 T : 트랜스
BD : 브리지다이오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파이프 연결방법은 플라스틱 파이프와 내측부가 용융접합되는 연결구 내측부에 유도전류에 의한 저항열발열체를 매설하고, 연결할 파이프들의 단부들을 상기 연결구에 내입하며, 유도코일이 제공된 홀더를 상기 연결구 외측에 장착하여 연결구를 상기 파이프 단부들에 대하여 지지고정시키고, 파이프와 접합될 연결구의 내측부에 제공된 저항열발열체의 종류와 파이프의 사양에 따라 파이프와 연결고의 최적의 용융접합 온도로 상기 저항열발열체가 가열되는데 필요한 전류를 자동제어하에 홀더에 제공된 유도코일에 공급하여 파이프들의 단부들과 접촉된 연결구의 내측부에 제공된 저항열발열체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그로부터 얻어지는 발열체의 저항열에 의해 연결구의 내측부가 연결요소들과 일체로 용융접합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플라스틱 파이프 접합장치는 연결할 플라스틱 파이프들의 단부들과 일체로 접합되며 내측부에 유도전류에 의한 저항열발열체를 구비한 연결구와, 연결할 파이프들의 단부에 대하여 상기 연결구를 가압지지하도록 상기 연결구의 윤곽고 동일한 내측 윤곽을 갖는 적어도 2개로 분할되고 각각 유도코일이 제공된 파지부와 그들로 부터 연장되어 서로에 대하여 힌지연결된 작동손잡이를 구비한 홀더, 상기 발열체로서의 전기저항체의 종류 및 연결할 파이프의 규격에 따라 상기 파이프와 연결구의 최적의 접합에 필요한 발열온도를 얻기 위하여 적합한 유도전류가 발생하도록 파지부의 유도코일로의 전류공급을 자동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5에 있어서, 홀더(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의 파이프의 단부들이 내입되는 관형의 연결구(20)를 파이프에 대하여 가압지지하며, 내측부에 유도코일(18)이 매설된 2개로 분할된 파지부(11,11')와, 상기 파지부(11,11')로 부터 각각 수직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작동손잡이(14)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10)의 파지부(11,11')들은 도면에 도시된 결합된 위치와 분리된 위치로 회동하도록 힌지(13)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손잡이(14)들 사이에는 양단이 손잡이에 각각 고정된 인장스프링이 제공되어 평상시에는 서로 결합된 위치에서 보지되어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파이프에 연결구를 가압지지하는 한편, 사용자가 손잡이를 벌리면 파지부(11,11')들이 분리되어 연결구(20)를 파이프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지부(11,11')들 각각의 내측부에는 유도코일(18)이 제공되며, 그로부터 연장된 연결코드(12)가 외부에 노출되어 전원에 연결된다. 상기 유도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연결구(20)의 내측부에 성형시 매설된 발열체(21)에, 특히 표면부분에 집중하여 유도전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발열체 고유의 전기적 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한다. 상기 발열체(21)로는 유도전류가 흐를 때 큰 저항열이 발생하는 도전성재료를 사용하며, 예를들어 금속이나 비철금속의 망상구조, 도전성 고분자화합물, 분말상의 금속 또는 비철금속과 PE의 혼합물, 도전성 고분자화합물과 PE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금속, 비철금속 및 도전성 화합물을 PE에 체적비로 10%-50%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PE는 배관을 폴리에틸린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배관의 플라스틱질이 다른 경우에는 PE대신에 배관의 재질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열체의 형상은 연결구(20)의 내부구조 및 사양에 맞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발열체(21)에서 유도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열로 플라스틱의 연결구(20)의 내측부와 파이프가 용융상태로 일체로 견고하게 접합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이프들을 직선으로 연결접합하는 경우, 발열체(21)가 연결구(20)의 내부구조와 사양에 맞게 성형된 직선관용 연결구(20)의 내부에 연결할 파이프들의 단부들을 근접되게 내입한 상태에서 홀더(10)의 파지부(11,11')가 작동손잡이(14)에 제공된 인장스프링의 힘에 의해 당겨져서 연결구(20)를 가압파지하게 하고, 외부로 부터 연결되는 전원으로 파지부(11,11')의 유도코일(18)에 전류를 공급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유도코일(18)에 인접한 발열체(21)에 유도전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발열체(21)의 전기적 저항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연결구의 내측부와 그에 접촉된 파이프가 용융되어 일체화된 상태에서 냉각됨에 따라 견고하게 접합된다.
첨부도면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홀더(10')는 분기관을 접합하기 위한 것으로 작동손잡이가 파지부(11,11')의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들 각각의 상부에는 분기관용의 홀을 형성하는 반원형의 만곡부(16)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11,11')와 함께 결합하도록 연결파이프의 저면에 보조파지부(15)가 제공되며, 상기 파지부들과 보조파지부(15)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에 볼트체결용 홀(17)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도 4b에 도시된 분기관용 연결구(20')를 파이프위에 안착시키고 파지부(11,11',15)들로 연결할 파이프에 고정시킨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유도코일(18)이 통전되면 발열체(21)로부터 유도전류에 의한 저항열이 발생하여 파이프와 분기관용 연결구(20')의 접촉부가 용융접합되어 연결된다.
상기 홀더(10)는 파지부(11,11')들이 평상시 또는 파이프에 연결구를 보지하는 상태로 유지되게 인장스프링의 양단이 작동손잡이(14)들에 연결되어 내측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작용하게 하고, 작동손잡이들이 힌지(13)로 연결됨으로써 연결구를 파이프에 장착하기 위하여 또는 접합작업이 완료된 다음 그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먼저 파지부(15)가 제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손잡이(14)를 벌리면 파지부(11,11')들이 회동되면서 벌어져 파이프에 연결구를 장착하거나 그로부터 홀더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발열체(21)는 파지부(11,11')의 만곡부(16)들에 의해 형성되는 분기관용 연결구 삽입홀을 중심으로 환형으로 제공되고, 그에 대응하여 파지부(11,11')에 제공된 유도코일(18)은 발열체 보다 넓은 환형 또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c에는 분기파이프를 주파이프로 부터 분기시켜 연결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곡선관의 연결구(20)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연결구의 양단 내측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21)가 제공되며, 상기 연결구(20) 장착은 도 7에 도시된 전용 홀더를 사용하거나, 도 1의 홀더를 사용하여 도 4a에 도시된 직선관용 연결방법으로 직선형의 파이프들을 직각으로 연결구의 양단부에 연결할 수도 있다. 도 7의 홀더(10)는 곡선관의 연결구 전용으로서 파지부(11,11')가 굽혀져 있으며 그 외측에 작동손잡이가 힌지연결된 것으로 파지부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파이프에 분기관용 홀을 형성하기 위한 천공장치의 단면도이다. 상기 천공장치는 하부에 개구부(36)와 이탈방지턱(37)이 형성된 천공커터(31)와, 상기 천공커터(31)의 상부 및 내부의 적정위치에 적층된 단열재(33), 상기 천공커터와 단열재 사이에 제공된 유도코일(18), 천공커터(31)의 상부로부터 결합되는 T형상의 손잡이(14)와, 손잡이용 캡(34)을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14)의 하부에는 나사산(36)이 형성되어 천공커터(31)의 상부 및 내부에 적층된 단열재(33)를 고정너트(35)들에 의해 나선결합되고, 내부 단열재(33)에는 천공커터에 인접한 부분에 유도코일(18)이 매설되어 연결코드(12)에 의해 외부전원으로 부터 전류가 공급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연결코드(12)를 통해서 유도코일(18)에 전류가 인가되면, 천공커터(31)에 유도전류가 발생되고, 그에 따라 천공커터(31)가 자체 저항으로 가열되면서 파이프를 천공하게 되며, 상기 천공된 파이프의 구멍은 분기관용 연결구 장착용 홀로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턱(37)은 천공된 파이프로 부터 절취된 조각이 파이프속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며, 그 절취된 조각은 가열된 상태에서 예를들어 코르크 병마개 제거기구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천공커터로 부터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상기한 파이프 용융접합을 위해 전원을 유도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자동제어하는 제어장치의 블력도이다. 통상의 교류전원으로 작동되며, 외부입력단자(9)를 통하여 입력된 전원은 제 1트랜스(T1)에 의해 유기된 전원이 릴레이(RY)접점과 바이메탈스위치(SW)를 경유하고, 경유된 전원은 브리지다이오드(BD)와 평활회로(111)에 의해 직류전압·전류의 맥동률을 감소시켜 유도가열체의 유도코일(18)에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전원부(110)는 파워스위치(42)에 의해 연동되는 릴레이(RY)와, 과전압 및 과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바이메탈스위치(SW)에 의해 과열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가열전원은 제어장치(120)의 각 모드스위치에 의해 제어된다. 즉, 제어장치(120)의 셀렉터스위치(41)은 유도코일(18)로 공급되는 전류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수동접점, 오프접점, 파이프의 형태 및 종류에 따라 전류, 전압, 용융접합시간이 각각 프로그램된 다수의 채널모드접점를 구비하며, 파워스위치(42)와, 비상정지스위치(44)와, 스타트스위치(43) 및 상기 셀렉터스위치(41)가 수동접점(41a)에 위치된 상태에서 홀더(10)의 유도코일(18)로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가변저항(W) 및 수동조작에 의한 동작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45)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장치(40)의 파워스위치(42)는 전원부(110)의 릴레이(RY)와 연동된다.
각 모드스위치의 접점에 의해 선택된 접점은 콘트롤러(40)에서 감지되며, 감지된 데이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입력된다. 이렇게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기준치로서 프로그램된 전류, 전압, 용융접합시간, 냉각시간 등을 감안하여 최적의 상태에서 파이프와 연결구를 용융접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파워드라이브유니트(60)에 입력하게 된다. 이때 파워드라이브유니트(60)는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서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모듈(70)을 작동시키게 되고, 작동모듈(70)의 작동에 의해 홀더(10)의 파지부(11)에 와인딩된 유도코일(12)로 전류가 흐르면 연결구의 발열체에 유도전류가, 특히 표면에 집중하여 흐르게 됨에 따라 발열되어 파이프와 연결구의 접촉된 부분이 용융되어 일체로 접합된다. 상기 냉각시간은 접합된 파이프들의 접합부에 급냉에 의한 잔류응력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대기중에서의 서냉시간이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파이프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전류, 전압, 용융접합시간 및 냉각시간 등이 프로그램된 데이터에 의해 제어되는 과정을, 즉 접합과정에서 임의의 시간마다 전류, 전압 등을 최적조건에 대한 입력기준치와 비교하여 에러발생을 디스플레이유니트(8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조치를 취하게 한다. 또한, 파이프의 접합작업 횟수를 카운트하고 해당 작업조건을 저장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에러가 발생된 작업위치를 작업자가 파악하여 그 작업조건 등을 조사하여 필요시 정밀검사 또는 재작업을 하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어 가스관 파이프의 경우와 같이 완벽한 파이프접합의 요구를 충족하게 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저장된 데이터는 입출력유니트(90)에 의해 외부의 출력장치 즉, 프린트 및 컴퓨터 등과 같은 출력장치를 통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시켜 파이프의 접합된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0)의 작동전원은 전원부(110)의 릴레이(RY)접점과 바이메탈스위치(SW)를 경유한 전원을 입력받아 제 2트랜스(T2)와 저전압유니트(100)을 경유하여 각각의 유니트의 작동전원을 공급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전류에 의해 용융접합되는 파이프 접합장치용 제어장치(12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외부전원(교류전원) 입력단자(9)와 홀더(10)의 연결코드(12)를 연결하는 연결단자(8)를 연결하고, 파워스위치(42)를 누르게 되면 상기 파워스위치(42)와 연동되는 릴레이(RY)접점이 온(on)되면서 브리지다이오드(BD)를 경유하여 홀더(10)의 연결코드(12)에 연결된 유도코일에 스탠바이 상태의 작동전원을 통전시키게 된다. 또한, 제 2트랜스(T1)로 유기되는 전원은 저전압유니트(100)를 통하여 각각의 유니트에 작동전원을 공급한다.
작업자는 셀렉터스위치(41)의 다수의 체널모드접점을 홀더(10)의 파지부(11,11')에 내입된 파이프의 형태 및 종류에 따라 선택하고, 스타트스위치(43)를 누르면 전류, 전압, 접합시간이 프로그램된 데이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입력된다. 한편, 작업자가 파이프의 용융접합을 수동으로 조절하게 되는 경우에, 예를들어 작업현장에서 공급되는 전압이 작업할 파이프의 규격에 대하여 적합하지 않거나 파이프 규격이 특수한 경우에는 그에 대한 셀렉터스위치(41)의 채널모드접점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부득이 작업자가 셀렉터스위치(41)를 수동조작접점에 위치시키고, 가변저항(VR)의 저항값을 조정하여 부적합한 입력전압으로 부터 작업할 규격의 파이프접합에 필요한 전류로 조정되어 연결코드(12)를 통해 유도코일(18)에 통전되도록 하되, 조정된 입력전류로 파이프 접합에 필요한 작업시간을 산출하여 타이머(45)로 설정함으로써 스타트스위치(43)를 누르게 되면 타이머(45)가 동작하여 특수한 규격의 파이프 용융접합에 적합하게 조정된 전류가 설정된 시간동안 유도코일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로써, 여러 회사의 파이프 규격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항상 최적의 플라스틱 파이프 용융접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셀렉터스위치(41)의 다수의 채널접점모드 및 수동접점이 선택된 상태에서 조절되는 전류, 전압, 접합시간 등을 감지하게 되고, 이렇게 감지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유니트(80)의 액정모니터에 홀더(10)의 파지부(11,11')에 내입된 연결구의 형태 및 종류에 따라 용융접합하기 위해 공급되는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서, 작업자가 파이프의 접합조건을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전류, 전압, 접합시간 등이 프로그램된 데이터에 의해 파이프와 연결구를 용융접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파워드라이브유니트(60)에 출력하게 되고, 상기 파워드라이브유니트(60)는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파이프를 용융접합시키는 작동모듈(70)을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작동모듈(70)은 연결구와 파이프를 용융접합하기 위해 출력되는 전류량에 따라 복수개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파이프가 접합되는 과정에서 임의의 시간마다 전류, 전압, 접합시간 등의 작업조건에 대한 신호를 받아 저장하고 미리 입력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그 적합여부를 판별하게 되며, 상기 접합과정이 완료되면 파이프의 용융접합 작업순서를 각각 카운트하고 용융접합과정에서 발생된 전류, 전압의 오차를 감지하여 파이프와 연결구의 용융접합과정의 적부와 그 위치를 작업자가 알 수 있게 한다. 상기 파이프와 연결구의 용융접합과정에서 발생되는 상황은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서 저장되고,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는 입출력유니트(90)에 의해 외부의 출력장치(프린터 또는 컴퓨터의 모니터)로 출력하여 파이프의 접합과정에서 발생된 불량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파이프 접합장치는 발열체(21)가 유도전류에 의해 가열되면서 파이프와 연결구가 접합되므로 접합시간이 단축되고, 종래의 발열체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열체가 단선된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금속 또는 비철금속망이나,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을 발열원으로 사용하여 사출성형하게 되므로 연결구의 제조가 용이하며, 파이프를 용융접합하는데 있어 작업자의 작업공수를 절감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도전류에 따른 저항열에 의해 용융접합하는 파이프 접합장치 및 그 방법으로서, 홀더의 파지부에 권취된 유도코일로 전류를 통전시키게 되면 통전된 전류에 의해 연결구의 발열체에 유도전류가 발생되고, 이러한 유도전류는 전도성의 금속 또는 비철금속의 망이나,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 자체의 저항에 의해 발열됨에 따라 그에 접촉된 파이프와 연결구를 용융접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연결구의 형태 및 종류에 따라 용융접합되는 전류, 전압, 접합시간 등이 각각 프로그램된 다수의 채널모드접점을 선택하여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고, 접합상태가 양호하게 된다. 또한, 용융접합된 파이프의 상태를 작업자가 외부의 출력장치를 통해 파이프의 접합상태를 데이터로 판별하게 되므로 파이프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파이프와 연결구의 접합상태 적부를 용이하게 판단하여 항상 완벽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종래 발열코일을 연결구에 권취하는 것과 비교하여 발열체의 매설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연결구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Claims (13)

  1. 파이프를 용융접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플라스틱 파이프(1)와 내측부가 용융접합되는 연결구(20) 내측부에 유도전류에 의한 저항 발열체(21)를 매설하고, 연결할 파이프들의 단부들을 상기 연결구에 내입시키며, 유도코일(18)이 제공된 홀더(10)를 상기 연결구 외측에 장착하여 연결구를 상기 파이프 단부들에 대하여 지지고정시키고, 파이프(1)와 접합될 연결구(20)의 내측부에 제공된 저항열발열체의 종류와 파이프의 사양에 따라 파이프와 연결구의 최적의 용융접합 온도로 상기 저항열발열체(21)가 가열되는데 필요한 전류를 자동제어하에 홀더에 제공된 유도코일에 공급하여 파이프들의 단부들과 접촉된 연결구의 내측부에 제공된 저항열 발열체(21)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그로부터 얻어지는 발열체(21)의 저항열에 의해 연결구(20)의 내측부를 연결할 파이프들과 일체로 용융접합시키는 파이프 접합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연결구(20)의 내측에 제공되는 발열체(21)는 도전성 금속의 망상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접합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연결구(20)의 내측에 제공되는 발열체(21)는 도전성 금속의 분말을 배관용 플라스틱 파이프의 재료와 동일한 프라스틱재료에 체적비로 10%-50%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접합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의 내측에 제공되는 발열체(21)는 도전성 고분자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접합방법.
  5. 연결할 플라스틱 파이프(1)들의 단부들과 일체로 접합되며 내측부에 유도전류에 의한 발열체(21)를 구비한 연결구(20), 연결할 파이프들의 단부에 대하여 상기 연결구(20)를 가압지지하도록 상기 연결구의 윤곽과 동일한 내측 윤곽을 갖는 적어도 2개로 분할되고 각각 유도코일(18)이 제공된 파지부(11,11'), 그들로 부터 연장되어 서로에 대하여 힌지연결된 작동손잡이(14)를 구비한 홀더(10), 상기 발열체(21)로서의 전기저항체의 종류 및 연결할 파이프의 규격에 따라 상기 파이프와 연결구의 최적의 접합에 필요한 발열온도를 얻기 위하여 적합한 유도전류가 발생하도록 파지부(11,11')의 유도코일(18)로의 전류공급을 자동제어하는 제어장치(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이프 접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연결구(20)의 내측에 제공되는 발열체(21)는 도전성 금속의 망상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접합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연결구(20)의 내측에 제공되는 발열체(21)는 도전성 금속의 분말을 배관용 플라스틱 파이프의 재료와 동일한 프라스틱재료에 체적비로 10%-50%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접합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의 내측에 제공되는 발열체(21)는 도전성 고분자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접합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0)는 내입되는 원통형상의 파이프의 단부들에 대하여 관형의 연결구(20)를 가압지지하도록 내측부에 유도코일(18)이 매설된 2개로 분할된 파지부(11,11')와, 상기 파지부(11,11')로 부터 각각 수직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작동손잡이(14)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손잡이(14)들은 서로결합된 위치와 분리된 위치로 회동하도록 힌지(13)로 연결되어 있으며, 작동손잡이(14)들 사이에는 양단이 손잡이에 각각 고정된 인장스프링이 제공되어 평상시에는 서로 결합된 위치에서 보지되어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파이프에 연결구를 가압지지하는 한편, 사용자가 손잡이를 벌리면 파지부(11,11')들이 분리되어 연결구(20)를 파이프에 장착하며, 상기 홀더는 직선형의 파이프를 접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접합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0)는 분기관 접합용이며 상기 연결구(20)는 분기관을 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동손잡이가 파지부(11,11')의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들 각각의 상부에는 결합시 분기관용의 홀을 형성하도록 반원형의 만곡부(16)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11,11')와 함께 결합하도록 연결구의 저면에 보조파지부(15)가 제공되며, 상기 파지부(11,11')들과 보조파지부(15)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에 볼트체결용 홀(17)이 형성되어 분기관용 연결구를 파이프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하고, 분기관용 연결구(20)를 파이프위에 안착시키고 파지부(11,11',15)들로 연결할 파이프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유도코일(18)이 통전되면 발열체(21)로 부터 저항열이 발생하여 파이프와 분기관용 연결구(20')의 접촉부가 용융접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접합장치.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20)는 외부입력단자(9)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제 1트랜스(T1)에 의해 유기된 전원이 릴레이(RY)접점과 바이메탈스위치(SW)를 경유하고, 경유된 전원은 브리지다이오드(BD)를 경유하여 유도가열체(10)의 스탠바이상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0)와, 상기 전원부(110)의 제 1트랜스(T1)를 경유한 전원을 입력받아 제 2트랜스(T2)를 통하여 각각의 유니트의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저전압유니트(100)와, 상기 홀더(10)의 유도코일로의 공급전류, 전압, 작업시간 및 냉각시간 등에 대한 최적의 접합작업을 위한 기준치가 프로그램된 콘트롤러(40)와, 상기 콘트롤러(40)에서 선택된 데이터에 의해 파이프를 용융접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되는 전류, 전압, 시간 등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접합작업에 부적합한 경우 에러 신호를 출력하여 작업자에게 표시하도록 하고, 파이프와 연결구의 접합작업순서를 카운트하여 그 작업위치에서의 파이프 접합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5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서 출력된 파이프를 용융접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파워드라이브유니트(60)와, 상기 파워드라이브유니트(6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파이프를 유도가열체(10)를 작동시키는 작동모듈(70)과, 프로그램된 데이터에 의해 제어되는 과정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니트(8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의 출력장치로 출력시키는 입출력유니트(9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류에 의해 용융접합연결되는 파이프 접합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콘트롤러(40)는 유도가열체(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수동접점, 오프접점, 파이프의 형태 및 종류에 따라 전류, 전압, 용융접합시간 및 냉각시간이 각각 프로그램된 다수의 채널모드접점을 구비한 셀렉터스위치(41)와, 파워스위치(42)와, 비상정지스위치(44)와, 스타트스위치(43) 및 상기 셀렉터스위치(41)의 수동접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유도가열체(10)의 유도전류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는 가변저항(VR)과, 조정된 전류에 의해 필요한 작업시간 동안 전류가 통전되도록 하는 타이머(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접합장치.
  13. 파이프에 분기관용 홀을 형성하도록 하부에 개구부(38)와, 상기 개구부(38)의 내측에 이탈방지턱(37)를 구비한 원통형상의 천공커터(31)와, 하부에 나사산(36)이 형성되어 상기 천공커터(31)의 상부에 고정되는 T형상의 손잡이(14')와,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연결코드(12)에 연결된 유도코일(18)이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손잡이(14')의 하부에 고정된 단열수단을 포함하여 유도코일이 통전될 때 천공커터에 유도전류가 흘러 자체의 저항에 의해 발열되어 파이프에 홀을 천공하도록 구성된 파이프 천공장치.
KR1019970043128A 1997-08-29 1997-08-29 파이프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 KR100249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128A KR100249348B1 (ko) 1997-08-29 1997-08-29 파이프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
KR1019990029361A KR100257970B1 (ko) 1997-08-29 1999-07-20 플라스틱 파이프 분기관용 홀 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128A KR100249348B1 (ko) 1997-08-29 1997-08-29 파이프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361A Division KR100257970B1 (ko) 1997-08-29 1999-07-20 플라스틱 파이프 분기관용 홀 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718A true KR19990019718A (ko) 1999-03-15
KR100249348B1 KR100249348B1 (ko) 2000-04-01

Family

ID=195196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3128A KR100249348B1 (ko) 1997-08-29 1997-08-29 파이프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
KR1019990029361A KR100257970B1 (ko) 1997-08-29 1999-07-20 플라스틱 파이프 분기관용 홀 천공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361A KR100257970B1 (ko) 1997-08-29 1999-07-20 플라스틱 파이프 분기관용 홀 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24934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928B1 (ko) * 2001-11-30 2004-02-25 주식회사 목산인터트레이드 지역 난방용 배관 방법
KR100597983B1 (ko) * 2004-06-01 2006-07-13 손인철 금속 파이프용 유도가열식 용접장치
KR100876611B1 (ko) * 2008-07-16 2009-01-07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주파 가열 장치
KR20160131169A (ko) * 2015-05-06 2016-11-16 주식회사 포스코 파이프 접합 장치 및 방법
KR20210064578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메탈히터 클램프형 메탈히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027B1 (ko) 2008-04-25 2010-05-0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전자기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범퍼 스테이성형품
KR101591851B1 (ko) * 2014-03-11 2016-02-04 코리아쌀베지 주식회사 준설토 이송 배관 폐색 방지 장치
KR200496292Y1 (ko) * 2021-10-01 2022-12-23 주식회사 오엔 튜브 압착 고정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928B1 (ko) * 2001-11-30 2004-02-25 주식회사 목산인터트레이드 지역 난방용 배관 방법
KR100597983B1 (ko) * 2004-06-01 2006-07-13 손인철 금속 파이프용 유도가열식 용접장치
KR100876611B1 (ko) * 2008-07-16 2009-01-07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주파 가열 장치
KR20160131169A (ko) * 2015-05-06 2016-11-16 주식회사 포스코 파이프 접합 장치 및 방법
KR20210064578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메탈히터 클램프형 메탈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7970B1 (ko) 2000-05-15
KR100249348B1 (ko) 2000-04-01
KR19990078456A (ko) 199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274920A (ja) 熱可塑性管状継手の電熱溶接法及び電熱溶接装置
KR19990019718A (ko) 파이프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
CN105142842A (zh) 用于包括拉丝焊枪的焊接系统的自动化控制的系统和方法
CN104684674B (zh) 为焊接操作馈送填充材料的方法和系统
MXPA05002774A (es) Sistema y metodo de deteccion de la conexion del soplete.
US5908575A (en) Method of inductively fusion joining plastic pipes
EP3065933B1 (en) Method for connecting plastic pipes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same
DK0888513T3 (da) Fremgangsmåde og værktøj til forbindelse, reparationer og vedligholdelse af isolerende ledningsrør
US10226898B2 (en) Method for connecting plastic pipes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same
EP0981712B1 (en) Fusion joining apparatus
KR20170107714A (ko) 열 가소성 재질의 필라멘트 연결 용 용접기
JPH0745185B2 (ja) 電気溶着装置
KR100597983B1 (ko) 금속 파이프용 유도가열식 용접장치
GB2177558A (en) Fusion welding of plastics pipes
JP2001275224A (ja) 接合装置
JP2730885B2 (ja) 電気溶着装置
KR200199770Y1 (ko) 전기발열 시트를 이용한 폴리에틸렌 파이프의 융착기
WO1998033640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a weld connection between two plastic articles by means of heat treatment
JP2001030084A (ja) 抵抗溶接機
KR20020012809A (ko) 프린팅(코팅)된 가열 회로에 의한열가소성수지(폴리에칠렌, 폴리플로피렌 등) 파이프의전자식 융착시트.
JP2730884B2 (ja) 電気溶着装置
US5857609A (en) Portable electric desoldering tool
JPH04245A (ja) 電機子リード線の溶接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457387Y1 (ko) 출력표시 제어조종식 아크용접기
JP4171814B2 (ja) 抵抗ロウ付け方法及び抵抗ロウ付け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