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714A - 열 가소성 재질의 필라멘트 연결 용 용접기 - Google Patents

열 가소성 재질의 필라멘트 연결 용 용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714A
KR20170107714A KR1020160031389A KR20160031389A KR20170107714A KR 20170107714 A KR20170107714 A KR 20170107714A KR 1020160031389 A KR1020160031389 A KR 1020160031389A KR 20160031389 A KR20160031389 A KR 20160031389A KR 20170107714 A KR20170107714 A KR 20170107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heat
welding machine
filaments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4440B1 (ko
Inventor
김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트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트필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트필라
Priority to KR1020160031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440B1/ko
Publication of KR20170107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filamentary material being melted, e.g. fused deposition modelling [FD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41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8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involving additional operations performed on the added layers, e.g. smoothing, grinding or thickness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33Y40/20Post-treatment, e.g. curing, coating or pol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30Organic material
    • B23K2103/42Plastics
    • B23K2203/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72Roughness, e.g. anti-slip
    • B29K2995/0073Roughness, e.g. anti-slip smo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히터가 배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히터가 배제된 용접기에 관한것으로 3D 프린트에 사용되는 필라멘트를 접합시키는 용접기에 있어서 용접하고자 하는 두 개의 단선된 필라멘트(130,131)가 놓일 수 있는 필라멘트 수납홈(103,104)과 상기 수납홈을 각각 구비한 상측블록(102)과 하측블록(101)과 상기 상기 단선된 필라멘트를 녹여 붙이기 위한 열원을 제공하는 열원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로 만들어진 필라멘트 용접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온도 제어 장치 및 관련 조립 인건비가 소모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전기 히터 가열 식 필라멘트 용접기에 비하여 매우 저렴하게 필라멘트 용접기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해주며 따라서, 현재 필라멘트 용접기의 가격에 부담을 느껴서 필라멘트 용접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많은 3D 프린터 사용자들에게 필라멘트 용접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Description

열 가소성 재질의 필라멘트 연결 용 용접기{A welder for welding a themoplasticity material filament}
본 발명은 3D 프린터에서 사용되는 필라멘트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용접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필라멘트 용접기는 그 복잡한 구조로 말미암아 제조가격이 높으며 이로 인하여 최종 소비자 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소비자가 구매를 망설이게되어 필라멘트를 용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가로막는 요인이 되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전원장치, 온도 센서, 히터, 온도조절기 등의부가 장치 없이 제작되어서, 저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열가소성 필라멘트 용접기에 대한 것이다.
3D 프린터 중에서 열가소성 수지를 필라멘트 형태로 만든 다음 보빈에 감아 3D 프린터에 공급한 후, 이를 조금씩 녹여서 적층하는 방식의 3D 프린팅 방식(흔히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용융 필라멘트 적층방식)에서 사용되는 소모재인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라멘트'(이하 약 필라멘트)는 일반적으로 보빈에 1kg이나 500g 단위로 감겨서 공급이 된다.
3D 프린터에서 한 번의 인쇄물은 수십 그램에서 수백그램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지만, 큰 물체를 인쇄할 수록, 현재 보빈에 남아 있는 잔량 필라멘트가, 원하는 인쇄물의 인쇄 완료 이전에 소모되어, 인쇄를 실패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종이에 인쇄하는 프린터는 잉크나 토너가 여러 장을 인쇄 중 소진되어도, 이미 출력한 인쇄물은 살릴 수 있고 잉크가 없어서 인쇄가 안된 이후의 인쇄만 하면 되지만, 3D 프린터의 경우는 인쇄 중에 필라멘트가 소진되면 이미 인쇄해 놓은 출력물을 못 쓰고 처음부터 다시 출력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 중인 필라멘트를 새 필라멘트와 연결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있다.
이러한 사용자들은 필라멘트가 열 가소성(열을 가하면 액체 성상으로 녹고 식으면 고체로 되는 성질)이라는 특성을 이용하여, 필라멘트의 직경과 같은 직경의 구멍을 가진 가열블럭(필라멘트 연결 후에 빼낼 수 있게 해당 구멍을 기준으로 반으로 쪼개질 수 있는 구조를 갖춘 블럭)에, 사용 중인 필라멘트 끝과 새 필라멘트의 처음을 맞대도록하여 집어 넣은 후에, 그 필라멘트가 맞대어 있는 가운데 가열블럭 부분에 히터를 설치해서 필라멘트가 녹는 온도로 온도를 올리면, 해당 두 필라멘트의 양 끝이 액상으로 녹게되므로 이때 두 필라멘트를 밀어서 그 녹은 끝을 연결하여 주면, 가열블럭 안의 필라멘트 직경과 같은 구멍 안에서 녹은 두 필라멘트의 양 끝이 붙기때문에, 이를 식힌 다음 가열블럭을 열고 연결된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용 중인 필라멘트와 다른 필라멘트를 원만히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3D 프린터 사용자들은 두개의 필라멘트를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하며, 따라서 이 목적으로 사용되는 필라멘트 용접기가 여러 종 개발되어 있지만, 이 기존 용접기들의 가격이 비싸기때문에 많은 사용자에게 보급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용접기의 구조를 생각해보면, 두 필라멘트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을 가지고 있는 분할 가능한 가열 블럭을 가공해야 하고 이를 고정하여 열고 닫는 구조를 갖춘 프레임이 필요하며, 여기에 가열을 하기 위한 히터, 그리고 원하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이 온도센서의 온도값을 받아서 히터를 피드백제어를 하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조절해주는 제어기, 그리고 이 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장치 및 이 모든 것을 조립하는 인건비까지 포함되어서 결과적으로 용접기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FFF 3D 프린터 용 필라멘트는 1kg 단위로 보빈에 감겨서 사용자에게 공급이 되며 그 소매 가격은 현재 약 2만원~2만5천원 정도이다.
반면 필라멘트 용접기는 8만원~10만원 사이에서 실험적인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는데, 이 가격은 필라멘트의 가격을 생각해보면 사용자가 언뜻 사용하기에는 높은 가격대이다.
3D 프린터 용 필라멘트는 사용 중에 소진되면 수시간~수십시간 인쇄하던 결과물이 실패하기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하여 잔량이 남은 상태에서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면 잔량이 남은 필라멘트를 다음에 사용하기 곤란해지는 문제점 등이 있어서, 사용하던 필라멘트와 새 필라멘트를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저렴한 필라멘트 용접기가 개발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용융 필라멘트 적층방식 3D 프린터에 사용되는 필라멘트 끼리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용접기가 기존에는 복잡한 구조로 만들어져 있어서 비싼 가격에 팔리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그 구조를 단순하게 만들어 저렴한 가격으로 만들어서 보급시켜주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필라멘트와 필라멘트를 연결하기 위해 두개의 필라멘트가 놓일 수 있는 필라멘트 수납홈(103,104);
상기 수납홈을 각각 구비한 상측블록(102)과 하측블록(101);과, 상기 단선된 필라멘트를 녹여 붙이기 위한 열원을 제공하는 열원부;를 구비하되 상기 열원부에는 자체에서 열원을 발생하는 자체히터가 배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히터가 배제된 용접기이다.
이때 상기 열원부는 외부에서 생성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부재(120);가 구비되며, 상기 두 개의 블록중에는 상기 열전달부재에 의해 전달된 열이 상기 두 개의 단선된 필라멘트(130, 131)가 놓이는 상기 수납홈(103, 104)의 근방에 장착되도록 형성된 열 전달부재 장착홈(10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에서 언급한 근방이란 의미는 열전달부재가 절달되는 열을 수납홈에 적절히 전달하기 위해 적절히 떨어진 정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열전달부재는 알류미늄이나, 구리등 열을 잘 전달하는 재질을 갖지만 상기 상측 및 하측 블럭은 테프론등 수지계열의 재질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경우 열 전달부재와 필라멘트가 직접접촉하면 필라멘트가 열전달부재의 표면에 달라붙어 사용상 번거로울 수 있어 가능하면, 직접접촉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열이 잘 전달되면서도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열전달부재와 용접하고자 하는 필라멘트는 대략 1~2mm 정도 떨어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장착홈에 매립되는 매립부(120A);와 상기 장착홈에서 돌출되는 돌출부(120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는 외부에서 생성된 열원이 접촉되는 접촉부(120C);와 상기 필라멘트 조각이 놓일 수 있는 필라멘트조각 끼움홈(12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측블럭과 하측블럭이 고정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만든 구조를 갖춘 프레임(110,111)이 구비된다.
종래의 필라멘트 용접기에는 필라멘트의 녹는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전기로 가열되는 히터 및 이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이 온도를 감지하여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이 되어 있으므로 이 전기 히터와 제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고가의 전원장치가 필요하고, 이 구성품들을 조립, 배선하는 인건비 역시 필요하다.
이는 장치의 가격을 상승시키며 이로 인하여 많은 사용자가 사용하기 힘든 상황을 만든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이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시켜서 장치의 가격을 낮추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용접기는 별도의 전기 히터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전기 히터를 사용하지 않으면 온도제어를 할 필요가 없으므로 온도센서와 제어기가 필요 없고 여기에 전기를 공급해주어야하므로 필요했던 전원장치도 역시 필요없게된다. 또한 이 모든 것을 조립하고 배선하는데 필요한 인건비도 줄일 수 있으므로 최종 제품 가격은 획기적으로 내려가게 된다.
그렇다면 필라멘트를 가열하는 또 다른 구성이 필요한데, 이것은 사용자가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가스 라이터나 토치, 촛불 등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방법들을 이용하면 온도를 감지할 방법이 마땅히 없어 정밀한 온도제어가 불가능하므로, 기존의 필라멘트 용접기 개발자들이 이 방법을 사용하지 않은 것이다.
그러나 필라멘트의 녹는 온도범위가 상당히 광범위하기 때문에 밀하게 녹는 온도를 제어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용융필라멘트 적층방식 3D 프린터에서 사용되는 필라멘트 중 범용을 사용되는 필라멘트의 경우, 섭씨 180도부터 240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온도 영역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한다.
3D 프린터에서 이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안정된 인쇄를 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전기 히터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필라멘트 용접기는 연결하고자 하는 부위를 단순히 액체 상태로 두 필라멘트의 끝을 만들어주기만 하면 그 소기의 목적이 달성되기 때문에 유지해야하는 온도가 크게 중요하지 않고 단순히 녹게만 만들어주면 된다.
바로 이러한 점 때문에 필라멘트 용접기는 온도가 정밀 제어되어야 하는 전기 히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히터 없이 상기한 열재공부재(가스 라이터나 토치 등)로 필라멘트의 양 끝 연결부위를 가열하려면 액체 상태로 될때까지만 가열해주고 또한 타지 않는 온도 이하로 관리해주면되는데, 이는 다음 방법으로 그 목적을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열제공부재로부터 열을 전달할 수 있는 열전달부재(120)을 제공한다.
상기 열전달부재(120)에는 열의 전달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필라멘트조작 끼움홈(122)이 구비된다.
여기에 연결하고자 하는 소재와 동일한 재질의 필라멘트 조각을 꽂아 넣어둔다. 그다음 열전달부재(102)의 끝을 가열하면 반대편 연결된 블럭(101)을 통하여 상측 및 하측 블럭(101,102) 안의 필라멘트(130,131) 양 끝에 열이 전달되는데, 이 열은 역시 끼움홈(122)에 넣어둔 필라멘트 조각에도 전달된다.
사용자는 이 필라멘트 조각이 녹는 정도를 보고 블럭(101,102)안의 필라멘트 온도를 유추할 수 있으므로, 열전달부재(120)에 가열 중인 열재공부재(140)를 끄거나 켬으로써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실험적으로 직경 6mm, 길이 40mm의 알루미늄 소재 열전달부재의 끝을 가열 했을 때, 블럭의 재질은 불소수지(polyvinyl fluoride)를 사용한 경우, 2분 이내에 열전달부재에 생성된 끼움홈안의 필라멘트가 완전히 녹게되며, 이후 블럭 내에 배치한 두 필라멘트를 서로 밀어서 연결하였을 때, 원만히 용접이 되었다.
이 때 센서 구멍의 필라멘트가 녹는 상태를 보고 열제공부재(가스 라이터 등)의 적용을 가감할 수 있어서, 저온이나 과온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렇게 용접된 필라멘트의 용접 부위는 다른 부위보다 약간 직경이 크거나 또는 녹은 필라멘트가 두 개의 용접 블럭의 결합된 틈으로 녹아들어가 비어져 나온 부분이 생기기 마련이다.
이것을 다른 부위 필라멘트의 직경과 같도록 칼 등으로 가공을 해주어야 한다.
이때 직경을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므로 이는 번거로운 일이다.
본 고안에서는 열전달부재(120)의 말단에 필라멘트 직경에 해당하는 필라멘트 단면조절홈(121)을 형성하여 그 목적을 이루도록 한다.
두 필라멘트를 용접한 후에 용접 부위가 이 필라멘트 단면조절홈(121)에 원만하게 통과하도록 가공해주면, 별도의 필라멘트 직경 측정도구 없이도 소기의 목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필라멘트 용접기는 기존 시중에서 판매되는 고가의 필라멘트 용접기를 저렴한 가격으로 대치할 수 있도록 해준다.
기존의 필라멘트 용접기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전기 히터 및 관련 장치 없이 제작되기 때문에 이 부품 가격 및 이의 조립에 필요한 고가의 인건비 역시 줄일 수 있기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그 동안 기존 필라멘트 용접기의 비싼 가격으로 인하여 필라멘트 용접기를 사용할 수 없었던 사용자들에게 저렴한 필라멘트 용접기를 공급하여 필라멘트 용접, 연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필라멘트 용접기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필라멘트 용접기의 열전달부재와 상측및 하측 블럭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상측블럭의 안쪽부분을 볼 수있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열전달부재의 구조와 열전단부재 장착홈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필라멘트 끼움홈과 열조절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필라멘트 두께조절홈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터 없이 두개의 필라멘트 양 끝을 녹여서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필라멘트 용접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필라멘트 용접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단선된 두개의 필라멘트(130,131)가 놓일수 있도록 필라멘트 수납 홈(103,104)이 마련되고 상기 수납홈을 각각 구비한 상측블록(102)과 하측블록(10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납홈은 상기 블럭을 서로 마주했을 때 합쳐진 모양은 필라멘트의 단면과 같은 형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용접기에는 상기 단선된 필라멘트를 녹여 붙이기 위한 열원을 제공하는 열원부;를 구비되며, 상기 열원부에는 자체에서 열원을 발생하는 자체히터가 배제된 구조가 된다.
상기 열원부는 외부에서 생성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부재(120);가 구비되며
상기 두 개의 블록중에는 상기 열전달부재에 의해 전달된 열이 상기 두 개의 단선된 필라멘트(130, 131)가 놓이는 상기 수납홈(103, 104)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열전달부재의 일부가 상기 수납홈(130, 104)의 근방에 장착되도록 형성된 열 전달부재 장착홈(10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홈에 상기 열전달부재의 일부가 매립되며, 상기 열전달부재를 통해 전달된 열은 상기 매립된 부분에 의해 상기 수납홈에 놓여진 필라멘트에 전달되어 필라멘트를 녹이게 된다.
상기 열전달부재는 원통형상 혹은 직각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그 단면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마련된 용접기에 구성된 여닫이 프레임(110, 111)에는 블럭들(101, 102)가 장착되며, 상기 용접하고자 하는 필라멘트를 수납홈(103,104)에 넣은 후, 프레임을 닫는다.
이렇게 하여 두 필라멘트를 연결할 준비를 마친 다음 가스라이터, 토치 등과 같은 열재공부재(140)에서 제공하는 열원과 열전달부재(120) 중 상기 열원과 접촉되는 접촉부(120C)를 가열하면, 상기 열은 열전달부재의 매립부(120A)를 통하여 상측 혹은 하측블럭으로 전달이 되고, 결국 연결하려는 필라멘트의 양 끝 부위를 녹이게 된다.
이하 도 4을 통해 열전달부재(120)에 대해 설명한다.
열전달부재(120)은 상기 장착홈(105)에 매립되는 매립부(120A)와 상기 장착홈에서 돌출되는 돌출부(120B)로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는 외부에서 생성된 열원이 접촉되는 접촉부(120C);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의 가해진 열원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매립부를 통해 필라멘트의 양 끝까지 전달되어 필라멘트의 양 끝을 녹이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매립부를 통해 상기 필라멘트의 양끝에 전달되는 열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에는 녹이고자 하는 필라멘트 조각이 놓일 수 있는 필라멘트조각 끼움홈(122)이 구비된다.
즉 상기 끼움홈(122)에 필라멘트조각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열을 가하면 상기 끼움홈에도 동일하기 열이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끼움홈의 필라멘트의 녹는 상태를 감지하여 매립부를 통해 절단되는 열의량의 정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용접하고자 하는 필라멘트의 녹는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이때 미리 끼원넣은 필라멘트는 용접하려는 필라멘트와 동일재질이면 유리하나 다른 재질이라하도 문제될 것은 없으며 매립부를 통해 공급되는 열량을 확인할 수 있으면 족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끼움홈(122)에 꽂아 넣은 필라멘트의 녹는 상태를 보고 가열제공부재(140)의 적용을 가감하여 온도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부분의 필라멘트 양 끝이 녹았다고 판단되면, 가열을 중지하고, 두 필라멘트 중 하나 혹은 둘 다를 블럭(101,102)의 중앙 부위로 밀어 보낸다.
이렇게 하면 녹은 두 필라멘트(130,131)의 양 끝이 서로 붙게된다.
그 다음, 녹은 필라멘트 부위가 굳도록 대기한다.
경우에 따라 열전달부재(120) 끝을 준비된 물 속에 넣거나 물에 적신 휴지 등으로 냉각시키면 녹은 필라멘트가 훨씬 빠른 속도로 저하된다.
즉, 열절단부재(120)은 필라멘트의 가열과 냉각의 역할을 동시에 담당할 수 있다.
이렇게 용접 및 냉각 과정을 거친 후에 프레임(110,111)을 벌려서 이에 연결된 상측 및 하측 블럭(101,102)를 열면 연결 완료된 필라멘트를 꺼낼 수 있다.
상기 예와 같이 필라멘트 블럭(101,102)과 여기에 연결된 열전달부재(120) 및 열전달부재(120)에 구비된 필라멘트조각 끼움홈(122)의 구조를 이용하면 복잡한 온도제어 없이도 저렴하고 효과적으로 열가소성 필라멘트 용접 연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라멘트조각 끼움홈(122)에는 열차단부재(1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도 5참조). 이는 용접하고자 하는 필라멘트가 놓여있는 부위의 온도와 끼움홈(122)의 온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열차단부재(122)를 추가하면 실제 열차단부재를 통해 끼움홈의 온도와 용접하고자 하는 필라멘트가 놓여있는 부위의 온도를 거의 일치시킬 수 있어 손쉽게 필라멘트를 용접할 수 있다.
또한 열전달부재의 돌출부 끝단에는 상기 용접된 팔라멘트의 용접부위를 규일하게 할 수 있는 필라멘트 단면 조절홈(121)이 구비된다.
이는 용접된 필라멘트의 단면부위가 두꺼워진 경우 이를 상기 조절홈(121)에 끼워 상기 필라멘트를 위 아래로 움직이면 상기 조절홈의 날카로운 부분을 통해 상기 두꺼워진 필라멘트를 깍아내어 팔라멘트의 용접부위를 매끈하게 다듬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하측블럭 102. 상측블럭
103. 필라멘트 수납 홈 104. 필라멘트 수납 홈
110. 하측프레임 111. 상측프레임
120. 열전달부재 121. 필라멘트 단면조절홈
122. 필라멘트 끼움 홈 123. 열조절부재
130. 단선된 필라멘트1 131. 단선된 필라멘트2
140. 열제공부재 105. 열전달부재 장착홈

Claims (4)

  1. 3D 프린트에 사용되는 필라멘트를 접합시키는 용접기에 있어서
    용접하고자 하는 두 개의 단선된 필라멘트(130,131)가 놓일 수 있는 필라멘트 수납홈(103,104);과
    상기 수납홈을 각각 구비한 상측블록(102)과 하측블록(101);과
    상기 상기 단선된 필라멘트를 녹여 붙이기 위한 열원을 제공하는 열원부;를 구비하되 상기 열원부에는 자체에서 열원을 발생하는 자체히터가 배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히터가 배제된 용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부는
    외부에서 생성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부재(120);가 구비되며
    상기 두 개의 블록중에는 상기 열전달부재에 의해 전달된 열이 상기 두 개의 단선된 필라멘트(130, 131)가 놓이는 상기 수납홈(103, 104)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수납홈의 근방에 장착되도록 형성된 열 전달부재 장착홈(10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히터가 배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히터가 배제된 용접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장착홈에 매립되는 매립부(120A);와,
    상기 장착홈에서 돌출되는 돌출부(120B);로 구성되어 자체히터가 배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히터가 배제된 용접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는 외부에서 생성된 열원이 접촉되는 접촉부(120C);와
    상기 필라멘트 조각이 놓일 수 있는 필라멘트조각 끼움홈(122);이 구비되어 자체히터가 배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히터가 배제된 용접기.












KR1020160031389A 2016-03-16 2016-03-16 열 가소성 재질의 필라멘트 연결 용 용접기 KR101854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389A KR101854440B1 (ko) 2016-03-16 2016-03-16 열 가소성 재질의 필라멘트 연결 용 용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389A KR101854440B1 (ko) 2016-03-16 2016-03-16 열 가소성 재질의 필라멘트 연결 용 용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714A true KR20170107714A (ko) 2017-09-26
KR101854440B1 KR101854440B1 (ko) 2018-05-23

Family

ID=6003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389A KR101854440B1 (ko) 2016-03-16 2016-03-16 열 가소성 재질의 필라멘트 연결 용 용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4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318B1 (ko) * 2019-02-21 2020-04-20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필라멘트 연결기
KR20210147472A (ko) * 2020-05-29 2021-12-07 주식회사 3디나라 필라멘트 연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626B1 (ko) * 2018-09-11 2019-01-30 주식회사 3디나라 필라멘트 연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2440A (ja) * 1999-11-25 2001-06-05 Ykk Corp モノフィラメント端継ぎ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318B1 (ko) * 2019-02-21 2020-04-20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필라멘트 연결기
KR20210147472A (ko) * 2020-05-29 2021-12-07 주식회사 3디나라 필라멘트 연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440B1 (ko) 2018-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440B1 (ko) 열 가소성 재질의 필라멘트 연결 용 용접기
US4117311A (en) Electric welding muff
EP0241597B1 (en) Electrical circuit containing fusible material and having intrinsic temperature control
EP2543496B1 (en) Heat-seal system
US200902563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tubes made out of thermoplastic material
US20140265037A1 (en) Inductively Heated Extruder Heater
CN105946238B (zh) 一种fdm3d打印机耗材连接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859368B1 (ko) 필라멘트 연결기
KR101797719B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융착기구
KR101742626B1 (ko) 납 공급장치가 구비된 인두기
US10449727B2 (en) Method for connecting plastic pipes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same
TWI378026B (en) Out-of-phase electrical welder and process
KR20170045078A (ko) 열 가소성 재질의 필라멘트 연결 용 용접기
CN109937132B (zh) 3d打印装置和操作3d打印装置的方法
JP4407276B2 (ja) ロータコイルのロウ付け装置及びロウ付け方法
JP6566535B1 (ja) 3次元造形装置用の造形材料のホットエンド
US6865365B2 (en) Heating roller of a fix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use with the same
US5150923A (en) Plastic pipe joint assembly for joining sections of plastic pipe
US10226898B2 (en) Method for connecting plastic pipes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same
KR19990019718A (ko) 파이프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
KR101037654B1 (ko) 전기 열융착 합성수지관
KR102102318B1 (ko) 필라멘트 연결기
JP2008111459A (ja) 電磁融着継手
CN103958201A (zh) 辊设备
KR200199770Y1 (ko) 전기발열 시트를 이용한 폴리에틸렌 파이프의 융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