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946U - 가스기기의 푸쉬풀콕 - Google Patents

가스기기의 푸쉬풀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946U
KR19990018946U KR2019970032252U KR19970032252U KR19990018946U KR 19990018946 U KR19990018946 U KR 19990018946U KR 2019970032252 U KR2019970032252 U KR 2019970032252U KR 19970032252 U KR19970032252 U KR 19970032252U KR 19990018946 U KR19990018946 U KR 199900189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pindle
push
contact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석
Original Assignee
윤홍구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홍구, 동양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홍구
Priority to KR2019970032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946U/ko
Publication of KR199900189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946U/ko

Links

Landscapes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기기의 푸쉬풀콕에 관한 것으로, 가스기기에서 점화와 화력조절을 하나의 동작으로 일원화시킬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하고, 구조를 단순화시켜 고장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적은 조작력으로도 점화와 화력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일측에는 가스주입구(4)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다수의 가스유출구(6a,6b,6c)를 갖는 수납부(10)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체(中空體) 형태의 바디(2)와, 상기 바디(2) 내측에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환봉(丸棒)형태로서 외주연(外周緣)에 다수의 돌기부(14a,14b,14c)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는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있는 스핀들(12)과, 상기 바디(2)의 수납부(10)에 각각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핀들(12)의 돌기부(14a,14b,14c)가 상기 수납부(10) 저면의 가스유출구(6a,6b,6c)에 위치 할때에 가스주입구(4)로부터의 가스가 용이하게 가스유출구(6a,6b,6c)로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스핀들(12)의 돌기부(14a,14b,14c)와 접촉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다수의 플런저(18a,18b,18c)와, 상기 바디(2)의 일단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스핀들(12)의 일단과 접촉되어 일측을 밀렸을 때 불꽃을 발생시키는 MPU(20)와, 상기 바디(2)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핀들(12)의 타단과 연결됨으로서 그 스핀들(12)을 이동시켜 점화 및 화력조절을 수행하는 놉(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의 푸쉬풀콕.

Description

가스기기의 푸쉬풀콕
본 고안은 가스기기의 푸쉬풀콕(Push Pull Cock)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스기기에서 점화 및 화력조절을 담당하는 기존의 로타리콕(Rotary Cock)을 대체하여 성능 및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가스기기의 푸쉬풀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가스기기는 점화 및 화력조절을 실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로타리콕을 채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로터리콕의 통상적인 구조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이를 참조하여 그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긴 중공체(中空體) 형상을 하는 바디(2')는 내측의 일정부분에 링모양의 걸림턱(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디(2')의 일단 외측에는 점화 및 화력조절을 담당하는 놉샤프트(4')가 좌,우로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바디(2')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소정의 홈(도시되지 않음)이 파여진 로타리캠(6')이 상기 바디(2')의 일단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로타리캠(6')에는 환봉(丸棒)모양을 하는 푸쉬스핀들(8')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바디(2') 내측의 걸림턱(2a')을 통과할 수 있을 만큼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푸쉬스핀들(8')의 외경 표면에는 바디(2') 내부의 걸림턱(2a')에 일단이 접촉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로타리캠(6')에 결합 가능하게 되어 회전함으로서 화력을 조절하는 플러그(1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10')의 일측에는 구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통공(1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푸쉬스핀들(8')의 끝단에는 MPU(14')에 스프링(16') 개재된 채 결합된 씰(18')이 위치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푸쉬스핀들(8')이 좌로 이동시에 연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MPU(14')는 바디(2')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푸쉬스핀들(8')이 전진하여 씰(18')이 스프링(16')의 탄성력을 이기고 좌측으로 밀릴 때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스위치의 접점을 온시킴으로서 점화를 담당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씰(18')의 외주연에 접촉하는 바디(2')에는 가스주입구(20')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씰(18')이 좌로 이동했을 가스주입구(20')를 개방시켜 가스가 바디(2')내로 주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플러그(10')에 형성된 통공(12')과 접촉하는 부분의 바디(2')에도 가스유출구(22')가 형성되어 일정량의 가스를 버너(도시하지 않음)로 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2'는 오링로서 목적하지 않은 곳으로의 가스 유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를 하는 종래 로타리콕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기 소화 위치에서 놉샤프트(4')를 밀면서 일방향으로 최대회전시키면 푸쉬스핀들(8')이 전진하여 MPU(14')의 씰(18')을 밀어 주고 그러면 상기 MPU(14')는 마이크로스위치의 접점을 온시켜 불꽃을 발생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놉샤프트(4')에 결합된 로타리캠(6')은 플러그(10')의 일단과 결합하여 그 플러그(10')를 회전시키고 그러면 플러그(10')에 형성된 통공(12')과 바디(2')에 형성된 가스유출구(22')의 위치가 일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씰(18')이 일방향으로 밀림으로서 가스주입구(20')를 오픈시켜 가스를 받아들이고 이는 상기 가스유출구(22')를 통해 버너로 보내짐으로서 결국 버너의 점화가 실시된다.
상기와 같이 점화가 실시된 후 놉샤프트(4')의 외력을 제거하면 MPU(14')와 씰(18') 간의 스프링(16') 복원력에 의해 푸쉬스핀들(8')이 후퇴하고 그러면 마이크로스위치의 접점이 떨어져 오프되면서 불꽃 발생을 멈추고 버너는 대화력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대화력 상태에서 놉샤프트(4')의 회전 방향을 역으로 하면 그 플러그(10')에 형성된 다른 통공(12',구경이 더 작음)이 가스유출구(22')와 일치됨으로서 버너의 화력이 차차 중화력, 소화력 순으로 조절되며 만약 놉샤프트(4')가 소화위치까지 후퇴되면 가스유출구(22')는 완전히 닫히고 또한 MPU(14')가 씰(18')을 바디(2')의 단차(2a')쪽으로 밀어 버림으로서 가스주입구(20')를 닫게 되어 완전히 소화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조 및 작동을 하는 종래의 로타리콕에서는, 버너에 점화 및 화력조절을 위해 놉샤프트를 일측으로 밀고 또한 회전시키는 2단계의 동작이 필요함으로서 조작하는데 있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또한 상기 로타리캠 및 이와 결합 및 분리되는 플러그의 구조가 복잡함으로서 고장의 가능성이 높고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상기 로타리캠과 플러그 및 플러그와 바디의 마찰 면적이 큼으로서 조작력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스기기에서 점화 및 화력조절을 담당하는 기존의 로타리콕을 푸쉬풀콕으로 대체하여 점화와 화력조절을 하나의 동작으로 일원화 시킬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하고, 구조를 단순화시켜 고장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신뢰도를 높이고, 또한 조작시 마찰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적은 조작력으로도 점화와 화력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일반적인 가스기기의 로타리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스기기의 푸쉬풀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a 내지 도3d는 본 고안에 의한 푸쉬풀콕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2 ; 바디(Body) 2a ; 걸림돌기
4 ; 가스주입구 6a,6b,6c,8a,8b,8c ; 가스유출구
10 ; 수납부 12 ; 푸쉬스핀들(Push Spindle)
14a,14b,14c ; 돌기부 16 ; 걸림턱
18a,18b,18c ; 플런저(Plunger) 20 ; MPU(Micro Proscessor Unit)
22 ; 샤프트놉(Shaft Knob) 24,38 ; 오링(O-Ring)
26,36,32a,32b,32c ; 스프링(Spring) 28 ; 스토퍼(Stopper)
30 ; 커버(Cover) 34 ; 씰(Seal)
39 ; 마이크로스위치(Micro Swich) 40 ; 스파크모듈(Spark Module)
41 ; 서머커플(Thermo Coup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측에 가스주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다수의 가스유출구를 갖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체(中空體) 형태의 바디와; 상기 바디 내측에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환봉(丸棒)형태로서 외주연(外周緣)에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스핀들과; 상기 바디의 수납부에 각각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핀들의 돌기부가 상기 수납부 저면의 가스유출구에 위치 할때에 가스주입구로부터의 가스가 용이하게 가스유출구로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스핀들의 돌기부와 접촉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다수의 플런저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스핀들의 일단과 접촉함으로서 불꽃을 발생시키는 MPU와; 상기 바디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핀들의 타단과 연결됨으로서 그 스핀들을 이동시켜 점화 및 화력조절을 수행하는 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가스주입구(4)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다수의 가스유출구(6a,6b,6c)를 갖는 중공체(中空體) 형태의 바디(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스유출구(6a,6b,6c)의 상단에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수납부(10)가 형성되어 가스가 버너(도시하지 않음)쪽으로 지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바디(2) 내측에는 환봉(丸棒)형태로서 수평이동이 가능하며, 그 외주연(外周緣)에는 다수의 돌기부(14a,14b,14c)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는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있는 스핀들(12)이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핀들(12)의 외주연에는 바디(2)의 내경과 밀착하여 가스가 목적하지 않은 곳으로 유출되지 않토록 다수개, 바람직하기로는 두개 이상의 오링(24)이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스핀들(12)의 걸림턱(16) 내측의 바디(2)에는 걸림돌기(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돌기(2a)와 상기 스핀들(12)의 걸림턱(16) 사이에는 스프링(26)이 끼워져 있다. 상기 스프링(26)은 MPU(20)의 씰(34)을 밀어주기 위해 외력에 의해 전진한 스핀들(12)이 외력제거시 초기 소화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그 내경이 점차 작아지거나 또는 커지는 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2)의 수납부(10)에는 각각 플런저(18a,18b,18c)가 위치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스핀들(12)이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돌기부(14a,14b,14c)가 상기 수납부(10) 저면의 가스유출구(6a,6b,6c)에 위치할 때에 그 돌기부 (14a,14b,14c)에 접촉되어 상부로 이동하게 함으로서 가스가 수납부(10)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플런저(18a,18b,18c)에는 수납부(10)의 저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스토퍼(28), 바람직하기로는 고무재질의 스토퍼를 끼워서 가스의 유출 단속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그 수납부(10)를 덮고 있으며 역시 다수의 가스유출구(8a,8b,8c)가 형성된 커버(30) 저면에 각각 스프링(32a,32b,32c)을 개재하여 상기 플런저(18a,18b,18c)가 하부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저면과 더욱 강하게 접촉됨으로서 가스 유출 단속이 보다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스핀들(12)의 돌기부(14a,14b,14c)와 플런저(18a,18b,18c)의 하단은 모두 라운드 처리함으로서 그 접촉 작용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바디(2)의 일단에는 MPU(20)가 삽입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스핀들(12)의 일단이 MPU(20)의 씰(34)을 밀었을 때 마이크로스위치(39)의 접점이 온 되어 스파크모듈(40)에 전원이 인가되어 불꽃을 발생시키고 개방된 가스통로를 통해 가스가 주입되면 점화서머커플(41)을 가열하여 흡착기전력을 발생시켜 흡착함으로 점화가 되어 있는 상테에선 지속적으로 MPU(20)를 흡착하고 있어 가스통로를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때 상기 씰(34)이 일방향으로 이동됨으로서 가스주입구(4)를 개방하여 가스가 가스유출구(6a,6b,6c,8a,8b,8c)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하여 점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씰(34)과 MPU(20) 사이에는 스프링(36)이 개재되어 있어 놉(22)이 소화 위치로 되어 있을 때 씰(34)을 후퇴시켜 가스주입구(4)를 닫게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8은 바디(2) 내부에서 목적하지 않은 곳으로의 가스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하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스기기의 푸쉬풀콕의 작용을 도2와 도3a내지 도3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놉(22)을 전진시키면 이에 연결된 스핀들(12)이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MPU(20)의 씰(34)을 밀게 된다. 그러면 마이크로스위치(39)가 온되면서 스파크모듈(40)에 전원이 인가되어 불꽃이 방전되며 이때 상기 씰(34)이 좌로 이동됨으로서 가스주입구(4)를 통하여 가스가 주입되도록 하고 또한 스핀들(12)의 돌기부 즉, 제1돌기부(14a), 제2돌기부(14b), 제3돌기부(14c)가 수납부(10)에 위치하는 플런저 즉, 제1플런저(18a), 제2플런저(18b), 제3플런저(18c)를 상부로 밀어 올림으로서 가스가 가스유출구(6a,6b,6c,8a,8b,8c)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불꽃에 의해 버너에 점화가 실시된다.
상기와 같이 초기 점화가 실시된 후 놉(22)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걸림턱(16)과 걸림돌기(2a)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스핀들(12)이 일정거리 후퇴하나 MPU(20)가 씰(34)을 어느 정도 흡착한 상태로 되어 가수주입구(4)로 주입된 가스통로를 씰(34)이 막던 것을 계속 열어준다. 또한 상기 스핀들(12)의 제1돌기부(14a), 제2돌기부(14b), 제3돌기부(14c)에 의해 제1플런저(18a), 제2플런저(18b), 제3플런저(18c)가 모두 상부로 이동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모든 가스유출구(6a,6b,6c)를 개방시켜 대화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스핀들(12)에는 오링(24)이 끼워져 있기 때문에 놉(22)쪽으로는 가스가 유출되지 않으며 1회의 동작으로 가스기기의 점화 및 화력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도3a)
이어서 상기 놉(22)을 후퇴시켜 중화력을 유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핀들(12)의 제1돌기부(14a)와 제2돌기부(14b)가 제1플런저(18a) 및 제2플런저(18b)만을 상부로 이동시킨 상태이고 제3플런저(18c)는 닫혀진 상태로 있게 됨으로서 제1가스유출구(6a) 및 제2가스유출구(6b)만이 개방되어 유출되는 가스량을 감소시켜 중화력을 제공하게 된다.(도3b)
한편, 상기 놉(22)을 더 후퇴시키면 스핀들(12)의 제1돌기부(14a)에 의해 제1플런저(18a)만 상부로 이동됨으로서 가스의 유출량은 더욱 적어지고 제2플런저(18b) 및 제3플런저(18c)는 하부로 이동된 상태로 있게 되어 가스를 유출시키지 않음으로서 소화력을 제공한다.(도3c)
마지막으로, 상기 놉(22)을 완전히 후퇴시키면 상기 제1플런저(18a), 제2플런저(18b), 제3플런저(18c) 모두가 하부로 이동하여 제1가스유출구(6a), 제2가스유출구(6b), 제3가스유출구(6c)를 모두 닫음으로서 소화되며 이와 같이 소화가 되면 MPU(20)는 씰(34)을 다시 전진시켜 가스주입구(4)를 완전히 닫아 버림으로서 안전한 소화 상태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비록 이상에서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여기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에서 벗어남이 없는 여러 가지의 변형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가스기기에서 점화 및 화력조절을 담당하는 푸쉬풀콕을 구비하여 점화와 화력조절을 하나의 동작으로 일원화 시킬 수 있어 간편하고, 구조를 단순화시켜 고장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신뢰도를 높이고, 또한 조작시 마찰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조작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일측에는 가스주입구(4)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다수의 가스유출구(6a,6b,6c)를 갖는 수납부(10)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체(中空體) 형태의 바디(2)와;
    상기 바디(2) 내측에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환봉(丸棒)형태로서 외주연(外周緣)에 다수의 돌기부(14a,14b,14c)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는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있는 스핀들(12)과;
    상기 바디(2)의 수납부(10)에 각각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핀들(12)의 돌기부(14a,14b,14c)가 상기 수납부(10) 저면의 가스유출구(6a,6b,6c)에 위치 할때에 가스주입구(4)로부터의 가스가 용이하게 가스유출구(6a,6b,6c)로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스핀들(12)의 돌기부(14a,14b,14c)와 접촉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다수의 플런저(18a,18b,18c)와;
    상기 바디(2)의 일단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스핀들(12)의 일단과 접촉되어 일측을 밀렸을 때 불꽃을 발생시키는 MPU(20)와;
    상기 바디(2)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핀들(12)의 타단과 연결됨으로서 그 스핀들(12)을 이동시켜 점화 및 화력조절을 수행하는 놉(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의 푸쉬풀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12)의 외주연에는 바디(2)의 내경과 밀착하여 가스가 유출되지 않토록 오링(24)이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의 푸쉬풀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2)의 내측에는 걸림돌기(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돌기(2a)와 스핀들(12)의 걸림턱(16) 사이에는 그 스핀들(12)의 후퇴가 용이하도록 스프링(26)이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의 푸쉬풀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18a,18b,18c)는 각각 수납부(10)의 저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스토퍼(28)가 끼워져 가스의 유출 단속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의 푸쉬풀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18a,18b,18c)는 그 상부에 각각 스프링(32a,32b,32c)이 개재되어 플런저(18a,18b,18c)가 하부로 이동되어 있을 때 가스의 유출 단속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의 푸쉬풀콕.
KR2019970032252U 1997-11-14 1997-11-14 가스기기의 푸쉬풀콕 KR199900189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252U KR19990018946U (ko) 1997-11-14 1997-11-14 가스기기의 푸쉬풀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252U KR19990018946U (ko) 1997-11-14 1997-11-14 가스기기의 푸쉬풀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946U true KR19990018946U (ko) 1999-06-05

Family

ID=6967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252U KR19990018946U (ko) 1997-11-14 1997-11-14 가스기기의 푸쉬풀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94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343B1 (ko) * 2007-08-31 2008-08-04 박명선 가스버너용 점화장치의 체크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343B1 (ko) * 2007-08-31 2008-08-04 박명선 가스버너용 점화장치의 체크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2476B2 (en) Ignition switch assembly for a gas valve
US2588179A (en) Safety control device
US10840039B2 (en) Switch device for an ignition system
EP1194720B1 (en) An electrical switch for gas cocks
KR101364728B1 (ko) 업소용 가스버너 점화장치
KR19990018946U (ko) 가스기기의 푸쉬풀콕
CN108518501B (zh) 一种燃气旋塞阀
EP3438536B1 (en) Valve arrangement comprising a gas valve and a tactile feedback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said valve arrangement
KR100441206B1 (ko) 빌트인 가스레인지의 안전가스밸브
KR100762515B1 (ko)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
CN109381040B (zh) 包括触觉反馈装置的气阀及包括所述气阀的烹饪器具
KR0135490B1 (ko) 가스오븐렌지의 점화장치
EP1299675B1 (en) Remote-control device for gas cocks
KR930000769Y1 (ko) 가스기기의 자동 점화장치
KR910008058Y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3단콕크
KR900009722Y1 (ko) 2개의 주가스분출구를 가지는 코크
KR200400788Y1 (ko) 가스기기의 유량조절 밸브 조립체
KR200303984Y1 (ko) 빌트인 가스레인지의 안전가스밸브
JPS626362Y2 (ko)
JPH0480520A (ja) ガス調理器具およびガス器具安全装置
JPS602460Y2 (ja) ガス器具の操作装置機構
KR20040076653A (ko) 빌트인형 가스레인지의 안전밸브유닛
JPS602461Y2 (ja) ガス器具の操作装置機構
KR900008319Y1 (ko) 가스 기기의 점화 장치
KR200332298Y1 (ko) 빌트인 가스레인지의 안전가스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