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734A - 자동차의 도어록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734A
KR19990017734A KR1019970040752A KR19970040752A KR19990017734A KR 19990017734 A KR19990017734 A KR 19990017734A KR 1019970040752 A KR1019970040752 A KR 1019970040752A KR 19970040752 A KR19970040752 A KR 19970040752A KR 19990017734 A KR19990017734 A KR 19990017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vehicle
outside
doo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시명
Original Assignee
김무
삼성상용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 삼성상용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무
Priority to KR1019970040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734A/ko
Publication of KR19990017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734A/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키실린더를 작동시킬 수 있는 키이에 의해서 언록킹될 뿐 아니라, 차량 외부에서 특정 번호를 조합시켜도 언록킹되어 키이를 소지하고 있지 않아도 차량의 도어를 열 수가 있기 때문에 도어를 열기 위한 부품의 해체를 배제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트라이커(2)를 물어 고정시키는 록어셈블리(4); 이러한 록어셈블리(4)의 작동을 제어하는 인사이드핸들(6) 및 아웃사이드 핸들(8); 상기 록어셈블리(4)의 랫치의 언록킹작동을 규제하기 위한 록플레이트에 연결된 록킹장치(20); 키이에 의해 작동되어 이러한 록킹장치(20)를 록킹작동된 록플레이트를 차량의 외부에서 언록킹시키는 키실린더(21)와 록실린더(22); 및 특정번호의 조합에 따라 록킹작동된 록플레이트를 차량의 외부에서 언록킹시키는 시건장치(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의 도어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록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닫힘 상태를 록킹/언록킹시키는 자동차의 도어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바디를 구성하는 센터바디의 좌, 우측 전, 후부에는 탑승자의 출입을 위한 탑승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탑승구는 한 쌍의 프론트도어 및 리어도어에 의해 여닫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어들은 얇은 판재를 함의 형상으로 접어 용접시켜 형성되어 있으며, 창을 여닫는 도어글래스와 상기 도어글래스를 승강시키는 도어레귤레이터, 도어를 여닫을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닫힌 도어를 록킹/언록킹시키는 도어록장치가 조합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요지에 관련되는 상기 도어록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장착된 스트라이커(2)를 물어 고정시키는 록어셈블르(4)와, 이러한 록어셈블리(4)의 작동을 제어하는 인사이드핸들(6) 및 아웃사이드핸들(8)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인사이드핸들(6)과 아웃사이드핸들(8)은 각각의 핸들로드(10)(12)에 의해 록어셈블리(4)의 내부로 구성된 랫치(도시생략)와 연결되어 있어 인사이드핸들(6)과 아웃사이드핸들(8)이 각각 당겨질 때 스트라이커(2)에 물려 있던 랫치의 언록킹 작동을 규제하게 되는 것이다.
또, 이와 같은 도어록장치는, 상기 랫치의 언록킹작동을 규제하는 록플레이트(도시생략)와 연결된 록로드(14), 이 록로드(14)와 연결된 벨크랭크(16), 상기 벨크랭크(16)에 연결된 노브로드(18)로 이루어지는 록킹장치(20) 뿐 아니라, 이러한 록킹장치(20)를 차량의 외부에서 언록킹시키는 키실린더(21) 및 록실린더(22)가 더 포함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한 노브로드(18)를 누르면 이러한 누름력이 벨크랭크(16)를 통하여 록로드(14)로 전달되고, 이러한 록로드(14)는 록플레이트를 록킹상태로 회동시켜 록플레이트에 의해 랫치가 스트라이커(2)를 물게 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고, 이로써 인사이드핸들(6) 및 아웃사이드핸들(8)을 당겨도 도어는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노브로드(18)가 당겨 올려지거나 키실린더(21) 및 록실린더(22)의 작동으로 록플레이트가 언록킹되고, 이로써 록플레이트에 의해 록킹 상태에 있던 랫치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때 인사이드핸들(6)이나 아웃사이드핸들(8)을 당기게 되면 각각의 핸들로드(10)(12)들을 통하여 스트라이커(2)가 물려 있던 랫치가 언록킹됨으로써, 도어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도어록장치는 키실린더가 특정 키에 의해서만 언록킹 작동되기 때문에 키이를 분실하였거나, 키이를 차실내에 놓아둔 상태하에서 도어록장치가 록킹 작동되었을 경우, 부품을 해체시켜야만 도어를 열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실린더를 작동시킬 수 있는 키이에 의해서 언록킹될 뿐 아니라, 차량 외부에서 특정 번호를 조합시켜도 언록킹되어 키이를 소지하고 있지 않아도 차량의 도어를 열 수가 있어 도어를 열기 위한 부품의 해체를 배제시킬 수 있게 되는 자동차의 도어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자동차의 도어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록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록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일측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록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타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스트라이커 4 : 록어셈블리
6 : 인사이드핸들 8 : 아웃사이드핸들
20 : 록킹장치 22 : 키실린더
24 : 록실린더 28 : 시건장치
30,32,34,36 : 스위치 40,42,44,46 : 숫자판
이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트라이커를 물어 고정시키는 록어셈블리; 이러한 록어셈블리의 작동을 제어하는 인사이드핸들 및 아웃사이드핸들; 상기 록어셈블리의 랫치의 언록킹작동을 규제하기 위한 록플레이트에 연결된 록킹장치; 키이에 의해 작동되어 이러한 록킹장치를 록킹작동된 록플레이트를 차량의 외부에서 언록킹시키는 키실린더; 특정번호의 조합에 따라 록킹작동된 록플레이트를 차량의 외부에서 언록킹시키는 시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의 도어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한 시건장치가, 상기 록실린더에 직렬로 접속되는 다수의 스위치; 및 이러한 다수의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온작동시키기 위하여 소정 위치로 회동되는 다수의 숫자판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도어록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인사이드핸들과 아웃사이드핸들을 각각 당기면, 핸들로드에 의해 록어셈블리의 내부로 구성된 랫치가 스트라이커에 물려 있던 상태에서 언록킹되어 도어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노브로드가 당겨 올려지거나 키실린더가 언록킹 작동에 따라 록플레이트가 언록킹됨으로써 록플레이트에 의해 록킹 상태에 있던 랫치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때 인사이드핸들이나 아웃사이드핸들을 당기게 되면 각각의 핸들로드들을 통하여 스트라이커가 물려 있던 랫치가 언록킹됨으로써, 도어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시건장치가 차량의 외부에서 특정 번호로 조합되면 키실린더의 작동 상태와 동일하게 록실린더가 언록킹 작동되고, 이에 따라 록플레이트가 언록킹됨으로써 록플레이트에 의해 록킹 상태에 있던 랫치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때 인사이드핸들이나 아웃사이드핸들을 당기게 되면 각각의 핸들로드들을 통하여 스트라이커가 물려 있던 랫치가 언록킹됨으로써,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록장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장착된 스트라이커(2)를 물어 고정시키는 록어셈블리(4)와, 이러한 록어셈블리(4)의 작동을 제어하는 인사이드핸들(6) 및 아웃사이드핸들(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인사이드핸들(6)과 아웃사이드핸들(8)은 각각의 핸들로드(10)(12)에 의해 록어셈블리(4)의 내부로 구성된 랫치와 연결되어 있어 인사이드핸들(6)과 아웃사이드핸들(8)이 각각 당겨질 때 스트라이커(2)에 물려 있던 랫치의 언록킹 작동을 규제하게 된다.
또, 상기 랫치의 언록킹작동을 규제하는 록플레이트와 연결된 록로드(14), 이 록로드(14)와 연결된 벨크랭크(16), 상기 벨크랠크에 연결된 노브로드(18)로 이루어지는 록킹장치(20) 뿐 아니라, 이러한 록킹장치(20)를 차량의 외부에서 언록킹시키는 키실린더(21) 및 록실린더(22)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노브로드(18)를 누르면 이러한 누름력이 벨크랭크(16)를 통하여 록로드(14)로 전달되고, 이러한 록로드(14)는 록플레이트를 록킹상태로 회동시켜 록플레이트에 의해 랫치가 스트라이커(2)를 물게 된 상태로 고정되게 함으로써 인사이드핸들(6) 및 아웃사이드핸들(8)을 당겨도 도어는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노브로드(18)가 당겨 올려지거나 키실린더(21)의 회전으로 록실린더(22)가 작동됨으로써, 록실린더(24)가 언록킹 작동되면, 이에 따라 록플레이트가 언록킹되고, 이로써 록플레이트에 의해 록킹 상태에 있던 랫치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때 인사이드핸들(6)이나 아웃사이드핸들(8)을 당기게 되면 각각의 핸들로드(10)(12)들을 통하여 스트라이커(2)가 물려 있던 랫치가 언록킹됨으로써, 도어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특정번호의 조합에 따라 록킹작동된 록플레이트를 차량의 외부에서 언록킹시키는 시건장치(28)가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시건장치(28)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실린더(24)에 직렬로 접속되는 다수의 스위치(30)(32)(34)(36)와, 이러한 다수의 스위치(30)(32)(34)(36)를 선택적으로 온작동시키기 위하여 소정 위치로 회동되는 다수의 숫자판(40)(42)(44)(46)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다수의 숫자판(40)(42)(44)(46)의 외곽에는 특정의 위치로 누름돌기(48)가 각각 연장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스위치(30)(32)(34)(36)는 상기한 누름돌기(48)에 의해 눌려지는 접점판(50)(52)이 스프링(52)에 의해 탄지되는 상태하에서 눌려졌을 때 다수의 접점을 접속시켜 전원과 록실린더(22)를 직렬로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인사이드핸들(6)과 아웃사이드핸들(8)을 각각 당기면, 핸들로드(10)(12)에 의해 록어셈블리(4)의 내부로 구성된 랫치가 스트라이커(2)에 물려 있던 상태에서 언록킹되어 도어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노브로드(18)가 당겨 올려지거나 키실린더(22)가 언록킹 작동에 따라 록플레이트가 언록킹됨으로써 록플레이트에 의해 록킹 상태에 있던 랫치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때 인사이드핸들(6)이나 아웃사이드핸들(8)을 당기게 되면 각각의 핸들로드(10)(12)들을 통하여 스트라이커(2)가 물려 있던 랫치가 언록킹됨으로써, 도어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시건장치(28)의 다수 숫자판(40)(42)(44)(46)이 차량의 외부에서 특정번호로 조합되면 키실린더(21)의 작동 상태와 동일하게 록실린더(22)가 언록킹 작동되고, 이에 따라 록플레이트가 언록킹됨으로써 록플레이트에 의해 록킹 상태에 있던 랫치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때 인사이드핸들(6)이나 아웃사이드핸들(8)을 당기게 되면 각각의 핸들로드(10)(12)들을 통하여 스트라이커(2)가 물려 있던 랫치가 언록킹됨으로써,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키실린더를 작동시킬 수 있는 키이에 의해서 언록킹될 뿐 아니라, 차량 외부에서 특정 번호를 조합시켜도 언록킹되어 키이를 소지하고 있지 않아도 차량의 도어를 열 수가 있기 때문에 도어를 열기 위한 부품의 해체를 배제시킬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스트라이커를 물어 고정시키는 록어셈블리; 이러한 록어셈블리의 작동을 제어하는 인사이드핸들 및 아웃사이드핸들; 상기 록어셈블리의 랫치의 언록킹작동을 규제하기 위한 록플레이트에 연결된 록킹장치; 키이에 의해 작동되어 이러한 록킹장치를 록킹작동된 록플레이트를 차량의 외부에서 언록킹시키는 키실린더; 및 특정번호의 조합에 따라 록킹작동된 록플레이트를 차량의 외부에서 언록킹시키는 시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의 도어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시건장치가, 상기 록실린더에 직렬로 접속되는 다수의 스위치; 및 이러한 다수의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온작동시키기 위하여 소정 위치로 회동되는 다수의 숫자판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도어록장치.
KR1019970040752A 1997-08-25 1997-08-25 자동차의 도어록장치 KR19990017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752A KR19990017734A (ko) 1997-08-25 1997-08-25 자동차의 도어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752A KR19990017734A (ko) 1997-08-25 1997-08-25 자동차의 도어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734A true KR19990017734A (ko) 1999-03-15

Family

ID=66046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752A KR19990017734A (ko) 1997-08-25 1997-08-25 자동차의 도어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77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5447A (en) Three-part vehicle-door latch
US5697236A (en) Motor-vehicle door latch for remote actuation
RU2413825C2 (ru) Автомобиль и дверной замок для двери автомобиля
JPS6227226B2 (ko)
US6526790B2 (en) Closing device
WO1998027301A3 (en) Latch arrangements for automotive doors or other closures
WO2002004771A1 (en) Electrically operated ratcheting pawl latch
EP1164241A2 (en) Latch assembly and vehicle including such a latch assembly
US6655179B2 (en) Automotive door lock assembly
CA2161582A1 (en) Apparatus for locking the door of an elevator car and procedure for locking and unlocking a car door
WO1990005822A1 (en) Door locking systems for motor vehicles
CA2280144A1 (en) Latch arrangements for automotive doors or other closures
KR19990066954A (ko) 차량문 체결쇠 조립체
GB2187497A (en) Security lock for a door
KR19990017734A (ko) 자동차의 도어록장치
US3279227A (en) Motorcar door lock mechanism
KR0178503B1 (ko)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
KR200229620Y1 (ko) 화장실용 도어록 어셈블리
IT215578Z2 (it) Dispositivo per sbloccare e bloccare porte, specialmente porte di autoveicoli.
KR0158143B1 (ko) 자동차 도어의 도어래치 록킹 방지장치
US20050134052A1 (en) Pulsed electromagnetic application in vehicle door latch
SE8602607L (sv) Centrallasanordning utrustad med en fjerrkontrollanordning till ett motorfordon
JPS5813708B2 (ja) ドア用電気錠
KR100387815B1 (ko) 차량의 비상용 트렁크 개폐장치
KR100431985B1 (ko) 차량의 운전석 도어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