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321U -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흡기구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흡기구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321U
KR19990017321U KR2019970030768U KR19970030768U KR19990017321U KR 19990017321 U KR19990017321 U KR 19990017321U KR 2019970030768 U KR2019970030768 U KR 2019970030768U KR 19970030768 U KR19970030768 U KR 19970030768U KR 19990017321 U KR19990017321 U KR 199900173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microwave oven
intake
opening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원기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0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321U/ko
Publication of KR199900173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321U/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저판에 형성된 흡기구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의 후드겸용 전자렌지는 본체 내부의 흡기통로 입구라고 할 수 있는 저판의 흡기구가 항시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어 아래쪽 가스렌지에서 음식물 조리중 부주의로 과열되어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그 불길이 저판의 흡기구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되어 부품이 손상되고 누전 등의 2차화재를 유발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본 고안은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진 코일형태의 개폐판(300) 일단을 저판(200)의 흡기구(210) 일측에 설치하여 가스렌지에서의 화재발생으로 인해 소정온도 이상의 뜨거운 불길이 흡기구(210)로 유입되면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진 상기 개폐판(300)이 즉시 펼쳐지면서 저판(200)의 흡기구(210)를 막아줌에 따라 뜨거운 열기가 전장실 내부로 유입될 우려가 없는 것이며, 이로인해 종래처럼 전장실 부품에 심각한 영향을 줄 우려가 없어 각종 부품의 수명이 연장되고,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감을 높힐 수 있어 품질경쟁력 향상 및 전자렌지에서의 2차적인 전기누전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대형 화재사고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흡기구 개폐구조
본 고안은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저판에 형성된 흡기구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하부 가스렌지에서 화재발생시 그 열기의 통로인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저판 흡기구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여 2차적인 화재의 발생원인을 차단시키는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흡기구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단순히 고주파에 의해서만 음식물을 가열 조리하는 단기능 전자렌지와; 상기 고주파 외에 히터 및 컨벡션팬에 의해 그릴 및 오븐 기능이 있는 다기능 전자렌지로 구분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렌지는 모두 조리실내의 트레이 위에 음식물을 올려놓고 마그네트론에서 생성되는 고주파를 상기 조리실 내부로 조사시키거나 히터 및 컨백션팬을 구동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전자렌지는 임의 장소로의 이동이 간편하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탁상식 전자렌지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현재는 주방의 시스템 키친화를 시도하기 위한 후드겸용 전자렌지(OTR:Over-The Range)가 개발되어 주부들로 부터 상당히 좋은 호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후드겸용 전자렌지는 주방의 조리대위에 놓이는 가스렌지의 상단 벽에 매달아 설치되며, 가스렌지로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연기 및 음식냄새와 열기를 외부로 흡입 배출하여 주는 렌지후드와 상기 탁상식 전자렌지를 결합한 주방의 시스템 키친화를 위한 복합식 주방 가전제품이다.
상기 후드겸용 전자렌지는 가스렌지와 최대한 근접된 위치에 매달아 설치되므로 주방공간을 상당히 절약할 수가 있다. 즉, 주부들이 전자렌지에서 음식물을 간단히 데우거나 녹인 후 곧바로 가스렌지로 연속해서 요리할 수 있으며, 허리를 굽히지 않고 선채로 편하게 요리할 수 있도록 일반인의 평균키에 맞추어 주로 가스레인지가 설치되는 주방의 조리대 상단에 거치식으로 걸어서 설치하거나 또는 조리대 상측의 함실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후드겸용 전자렌지는 가스렌지의 조리대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 및 수증기를 포함한 더운 열기 등이 상승하면 이를 저판의 흡기구를 통해 캐비티의 흡입 통로로 유입한 다음 흡기통로 상측의 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외상과 캐비티 사이의 상측 공간부에는 벤틸레이션(Ventilation)모터와 그 양측에 트윈 스쿼러팬(Twin Squirrer Fan)이 일체로 축설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의 흡기구와 상측의 스쿼러팬사이에 흡기통로가 연설되어 스쿼러팬의 구동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트윈 스쿼러팬은 모터쿨링용 팬과 배기용 팬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고, 조작판(콘트롤판넬)의 조작키에 의해 벤틸레이션모터는 그 회전속도가 저속/고속으로 조절되어 스쿼러팬의 회전속도가 가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후드겸용 전자렌지는 도 1 에서와 같이 본체(10) 내부의 흡기통로(11) 입구라고 할 수 있는 저판(20)의 흡기구(21)가 항시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쪽의 가스렌지에서 가스불로 조리중인 용기가 부주의로 과열되어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그 불길이 저판(20)의 흡기구(21)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후드겸용 전자렌지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저판(20)의 흡기구(21)를 통해 불길이 유입되면 그 불길에 의해 후드겸용 전자렌지 내부에 심각한 영향을 주어 각종 부품의 고장이 잦게 되므로 품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감을 잃게 되어 품질경쟁력이 떨어짐은 물론 2차적인 전기누전 현상으로 인해 후드겸용 전자렌지가 2차적 발화를 일으키게 되어 불의의 대형 화재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아래쪽 가스렌지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다가 화재가 발생되면 그 열기의 통로인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저판 흡기구가 자동으로 신속히 닫히도록 하여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각종 부품보호와 2차적인 화재발생 원인을 차단시킬 수 있는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흡기구 개폐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저판의 흡기구 일측에 형상기억합금으로 코일처럼 감겨진 형태로 만들어진 개폐판 일단을 부착하여 설치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아래쪽의 가스렌지에서 조리하는 용기가 과열되어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의 초기 열기가 저판의 흡기구로 유입되면 흡기구 일측에 설치된 상기 개폐판이 열을 받아 자동으로 펴지면서 저판의 흡기구를 차단함에 따라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가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후드겸용 전자렌지를 흡기구를 보인 일부 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이 실시된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흡기구 개폐구조를 예시한 요부 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해 흡기구가 개폐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흡기통로
200 : 저판 210 : 흡기구
300 : 형상기억합금 재질의 개폐판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기술구성 및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이 실시된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흡기구 개폐구조를 예시한 요부 횡단면도이과,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해 흡기구가 개폐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구성중 본체(100) 내부 양쪽에 흡기통로(110)가 형성되고, 그 본체(100) 저면에는 상기 흡기통로(110)와 통하도록 양쪽에 흡기구(210)가 형성된 저판(200)을 설치한 구성은 종래와 같다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상 특징은 상기 저판(200)의 흡기구(210) 일측에 형상기억합금으로 코일처럼 감겨진 형태의 개폐판(300) 일단을 스크류나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부착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평소 아래쪽의 가스렌지에서 조리물을 정상적인 상태로 조리할 때에는 상기 형상 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진 개폐판(300)이 코일형태로 감겨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저판(200)의 양쪽 흡기구(210)는 열려있는 상태가 되며, 이에따라 가스렌지에서 상승하는 연기와 냄새 및 뜨거운 열기들은 흡기구(210)를 통해 본체(100) 양쪽의 흡기통로(110)로 원활히 유입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다가 가스렌지에 음식물을 올려 놓고 잠시 잠이 들거나 자리를 비웠을 때 조리용기가 과열되어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 초기상태의 열기가 저판(200)의 흡기구(210)로 유입되는데, 이때 흡기구(210) 일측의 상기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진 개폐판(300)이 열을 받아 원래의 형상 즉 코일형태에서 판판한 원래의 형태로 펴지면서 자동으로 저판(200)의 흡기구(210)를 차단함에 따라 가스렌지에서 발생한 화재의 열기가 더 이상은 흡기통로(110)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그후 가스렌지에서 발생한 화재가 진압되어 열기가 식으면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진 개폐판(300)은 다시 코일형태로 감기면서 저판(200)의 흡기구(210)를 열어 주므로 아래쪽 가스렌지에서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 및 뜨거운 열기 등이 저판(200)의 흡기구(210)를 통해 본체(100)의 흡기통로(110)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가스렌지에서 발생한 화재의 뜨거운 열기가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전장실 내부로 유입될 우려가 없으므로 종래처럼 전장실 부품에 심각한 영향을 줄 우려가 없어 각종 부품의 수명이 연장되는 것이며, 품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감을 높힐 수 있어 품질경쟁력이 향상됨은 물론 전자렌지에서 2차적인 전기누전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불의의 대형 화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본체(100) 내부 양쪽에는 흡기통로(110)가 형성되고, 그 본체(100) 저면에는 상기 흡기통로(110)와 통하도록 양쪽에 흡기구(210)가 형성된 저판(200)을 설치하여된 것에 있어서,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져 코일처럼 감겨져 있는 개폐판(300)의 일단을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저판(200)의 흡기구(210) 일측에 부착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흡기구 개폐구조
KR2019970030768U 1997-10-31 1997-10-31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흡기구 개폐구조 KR199900173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768U KR19990017321U (ko) 1997-10-31 1997-10-31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흡기구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768U KR19990017321U (ko) 1997-10-31 1997-10-31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흡기구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321U true KR19990017321U (ko) 1999-05-25

Family

ID=6969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768U KR19990017321U (ko) 1997-10-31 1997-10-31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흡기구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732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400B1 (ko) * 2003-11-04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WO2019066280A1 (ko) * 2017-09-29 2019-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400B1 (ko) * 2003-11-04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WO2019066280A1 (ko) * 2017-09-29 2019-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US11466865B2 (en) 2017-09-29 2022-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li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5050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EP1798484B1 (en) Composite cooking apparatus
KR101531060B1 (ko) 공기 순환 수단을 포함한 오븐 레인지
KR102153615B1 (ko) 조리기기
KR101520499B1 (ko) 오븐 레인지
US3032028A (en) Domestic oven ventilation system
US4308444A (en) Microwave oven with a capability of functioning as an electric heating oven
US3858568A (en) Oven vent hood
KR19990017321U (ko)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흡기구 개폐구조
US3215816A (en) Oven
JP3762727B2 (ja) 加熱調理器
KR200152112Y1 (ko) 오븐렌지의 도어 냉각장치
JP2003074865A (ja) 複合加熱調理装置
KR100667202B1 (ko) 증기조리장치 및 그 고온도어 경고방법
KR20060037003A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WO2005039244A1 (en) Microwave oven
KR19980030121U (ko) 가스오븐레인지의 배기덕트구조
KR0139302Y1 (ko) 그릴조리기의 가열장치
KR20040061116A (ko) 전기 오븐 레인지의 도어
KR20100119142A (ko) 덕트 유니트를 포함한 오븐 레인지
KR101531061B1 (ko) 열 차단 수단을 구비한 오븐 레인지
JP2000171046A (ja) 加熱調理器
JPS6143136Y2 (ko)
KR100397254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전면 배기구조
JPS587205Y2 (ja) ヒ−タ付電子レンジの温度過昇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