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101U -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101U
KR19990017101U KR2019970030545U KR19970030545U KR19990017101U KR 19990017101 U KR19990017101 U KR 19990017101U KR 2019970030545 U KR2019970030545 U KR 2019970030545U KR 19970030545 U KR19970030545 U KR 19970030545U KR 19990017101 U KR19990017101 U KR 199900171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torage device
case
base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윤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0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101U/ko
Publication of KR199900171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101U/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이 가능한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는 디스크케이스(1)가 수납되는 방사상의 수납홈(12)이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수납함(10)과; 이 수납함(10)의 중앙부에 상기 수납함(1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회전축(14)과; 상기 수납함(10)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14)의 양단부가 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지지대(20)와; 이 한 쌍의 지지대(20)가 고정적으로 세워설치되는 베이스(30)와; 이 베이스(30)에 내장되어 상기 회전축(14)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베이스(30)상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키는 스위칭수단(32,34)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
본 고안은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회전이 가능한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는 퍼스널컴퓨터와 각종의 영상 및 음향기기 등에 널리 사용되는 기록매체의 하나로서, 현재 대다수의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용도로 이용하고 있다. 디스크는 기록방식에 따라 레이저디스크, 컴팩트디스크, 디지털비디오디스크 등으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8cm 와 12cm의 두 종류가 제작되고 있다.
디스크에 담겨진 정보는 각종의 전용플레이어들, 예를 들면, LDP(Laser Disc Player), CDP(Cpmpact Disc Player) 등에 의하여 재생되고 있다. 디스크는 종래의 기록매체에 비하여 월등히 많은 정보저장량을 가지며, 높은 재생력을 가지므로, 즉 음질 또는 화질이 상당히 우수하므로 그 사용이 크게 증가되어 현재는 널리 보편화되어 있다. 디스크는 통상적으로 보관케이스에 보관되고 있으며, 정보저장량에 비하여 크기가 상당히 작아 휴대하기 편리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디스크 보관케이스는 별도의 설명이 없이도 누구나에게 연상될 수 있는 구조로서 디스크는 사각형상의 케이스에 고정적으로 내장된 보호테이블에 착탈가능하게 끼워넣어지며, 케이스와 보호테이블은 커버에 의하여 열고 닫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디스크가 넣어진 디스크케이스는 일반적으로 여러 형태의 디스크함, 디스크선반, 또는 디스크진열대등에 수납되어 보관된다. 종래에 있어서 디스크 보관형태는 전면이 투명유리의 개폐도어로 된 육면체 형상의 보관함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음향기기 및 실내장식등과의 조화의 관점, 디스크케이스 보관함, 선반 또는 진열대등이 주는 미감의 관점등 주로 심미감에 중점을 둔 다양한 형태의 디스크케이스 보관함, 선반 또는 진열대등으로 새롭게 디자인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스크케이스 보관함, 선반 또는 진열대등은 주로 보관되는 디스스케이스의 수량, 보관의 효율성 및 심미감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디자인되고 있을 뿐이며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의 기능적인, 예컨데, 디스크케이스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고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로부터 디스크케이스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측면은 고려되지 않았다. 즉,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가 고정된 상태만을 유지할 뿐 자체적으로는 전혀 운동하지 않아 사용자가 일일이 넣고 꺼내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의 기능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식적인 심미감을 가지면서도 아울러 그 자체 회전이 가능한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케이스를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디스크케이스 10: 수납함
12: 수납홈 14: 회전축
20: 지지대 22: 베어링
30: 베이스 32,34: 버튼
40: 모터 44,46: 풀리
48: 벨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는 디스크케이스가 수납되는 방사상의 수납홈이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수납함과; 이 수납함의 중앙부에 상기 수납함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수납함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가 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이 한 쌍의 지지대가 고정적으로 세워설치되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내장되어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베이스상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키는 스위칭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는 디스크케이스(1)가 수납되어 보관되는 원통형의 수납함(10)과, 이 원통형의 수납함(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20)와, 이러한 한 쌍의 지지대(20)가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베이스(30)와 수납함(10)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원통형의 수납함(10)은 디스크케이스(1)가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가지고 있으며, 원통형의 수납함(10)은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다수의 수납홈(12)이 디스크케이스(1)의 폭보다는 약간 크게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함(10)의 중심부에는 회전축(14)이 고정적으로 끼워지는 축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전축(14)은 수납함(1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디스크케이스(1)가 삽입되는 수납홈(12)의 깊이는 디스크케이스(1)를 수납함(10)으로부터 인출할 때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하여 디스크케이스(1)의 양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수납홈(12)에 삽입된 상태에서 디스크케이스(1)가 약간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수납홈(12)의 깊이를 디스크케이스(1)의 길이보다 다소 작게 형성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수납함(10)은 한 쌍의 지지대(20)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대(20)는 수납함(10)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회전축(14)의 양단부가 각각 지지대(20)에 내장된 베어링(22)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디스크케이스를 보관하는 원통형의 수납함(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20)는 베이스(30)에 고정적으로 세워설치된다. 베이스(30)에는 수납함(10)을 회전시키는 모터(40)가 내장되어 있으며, 베이스(30)에는 모터(40)를 정역회전시키는 동작버튼(32,34)이 구비되어 있다. 버튼(32)은 수납함(1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버튼에 해당되며, 버튼(34)은 수납함(1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버튼에 해당된다.
한편, 모터(10)의 구동력을 회전축(14)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은 한 쌍의 풀리(44,46)와 이들 풀리(44,46)에 걸어감기는 벨트(48)로 이루어지며, 풀리(44)는 축(42)에 의하여 모터(40)에 연결되어 있다.
지금부터는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케이스(1)는 원통형의 수납함(10)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수납홈(12)중에 원하는 하나의 수납홈(12)에 끼워넣기만 하면 된다. 다른 디스크케이스(1)를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에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비어 있는 수납함(10)의 수납홈(12)에 디스크케이스(1)를 끼워 넣기 위하여 원통형의 수납함(10)을 회전시켜 해당하는 수납홈(12)이 끼워넣기 적합한 위치에 오도록 하여 디스크케이스를 해당하는 수납홈(12)에 밀어 넣으면 된다. 끼워넣거나 꺼내는 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는 해당 수납홈(12)을 지지대(20)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즉 지지대(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어 있는 수납홈(12)의 위치에 따라 수납함(1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중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효과적인 가를 판단하여 버튼들(32,34)중의 하나를 ON시키고, 수납함(10)이 회전하여 수납홈(12)이 지지대(20)의 상부로 근접하게 되면, 버튼을 OFF시킨다.
한편, 반대로 디스크케이스(1)를 원통형의 수납함(10)의 수납홈(12)으로 분리하여 인출하는 경우에는 버튼들(32,34)중의 하나를 ON/OFF시켜 디스크케이스(1)가 수납된 수납홈(12)을 지지대(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해당하는 수납홈(12)으로부터 디스크케이스(1)의 양단을 파지하여 꺼내면 된다.
한편, 이상의 설명은 첨부한 도면들에 나타낸 하나의 실시예에 대해서만 이루어졌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을 것이며, 본 고안은 등록청구의 범위내에서 변형 또는 변경가능한 모든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는 디스크케이스를 회전가능한 원통형의 수납함에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크케이스를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 심미감도 표출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디스크케이스(1)가 수납되는 방사상의 수납홈(12)이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수납함(10)과;
    이 수납함(10)의 중앙부에 상기 수납함(1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회전축(14)과;
    상기 수납함(10)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14)의 양단부가 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지지대(20)와;
    이 한 쌍의 지지대(20)가 고정적으로 세워설치되는 베이스(30)와;
    이 베이스(30)에 내장되어 상기 회전축(14)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모터(40)와, 이 모터(40)의 축(42)에 굴대설치된 제1 풀리(44)와, 상기 회전축(14)에 굴대설치된 제2 풀리(46)와, 상기 제1 풀리(44)와 상기 제2 풀리(46)를 연결하는 벨트(48)로 구성된 구동수단과;
    상기 베이스(30)상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키는 스위칭수단(32,34)으로 이루어진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
KR2019970030545U 1997-10-31 1997-10-31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 KR199900171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545U KR19990017101U (ko) 1997-10-31 1997-10-31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545U KR19990017101U (ko) 1997-10-31 1997-10-31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101U true KR19990017101U (ko) 1999-05-25

Family

ID=69691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545U KR19990017101U (ko) 1997-10-31 1997-10-31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710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641B1 (ko) * 2014-06-27 2014-09-26 박호근 접이식 테이블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641B1 (ko) * 2014-06-27 2014-09-26 박호근 접이식 테이블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1087B1 (ko) 디스크 플레이어
JPS60138767A (ja) デイスクオ−トチエンジヤ−装置
US6229779B1 (en) Physical play-in-place audio compact disc jewel case
JP2001067761A (ja) ディスク装置
US6128265A (en) Portable disc player
US20070284270A1 (en) CD case with polishing and cleaning device
KR19990017101U (ko)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
KR19990017103U (ko)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
KR19990017099U (ko)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
KR19990017102U (ko)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
KR19990017074U (ko)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
KR19990017104U (ko)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
KR200305489Y1 (ko) 콤팩트디스크 보관장치
KR19980035103U (ko) 오토 체인저의 콤팩트 디스크 수납구조
KR19990017100U (ko) 디스크케이스 보관장치
KR960005594Y1 (ko) 오디오 장식장
KR200273871Y1 (ko) 컴팩트 디스크 보관용 수납장
JPH09320165A (ja) ディスク支持装置
KR200213661Y1 (ko)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케이스
JP2526812B2 (ja) ディスクプレ―ヤ
KR100247753B1 (ko) 독립 회전 안착판을 갖는 디스크 체인저장치
KR100255844B1 (ko) 벽걸이용 오디오의 씨디피
KR920007727Y1 (ko) 레이저 디스크 자동 연속플레이어
KR200177233Y1 (ko) 콤팩트디스크 보관함
JPS62192063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