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033U - 감전 방지용 전원 플러그 - Google Patents
감전 방지용 전원 플러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17033U KR19990017033U KR2019970030477U KR19970030477U KR19990017033U KR 19990017033 U KR19990017033 U KR 19990017033U KR 2019970030477 U KR2019970030477 U KR 2019970030477U KR 19970030477 U KR19970030477 U KR 19970030477U KR 19990017033 U KR19990017033 U KR 1999001703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unit
- push button
- home appliance
- apply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전제품의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전원 플러그에 전원 차단용 스위치를 부가하여 전기 감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전원이 가전제품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인가부(10)와; 가전제품의 콘센트와 결합되는 결합부(20)와; 분할 전선(40)과 전원 인가부(10)가 연결되어 가전제품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고정시켜주는 제 2 고정부(60)와; 상기 전원 인가부(10)와 결합부(20)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원 인가부(1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시켜주는 푸쉬 버튼부(70)와; 상기 푸쉬 버튼부(70)가 설정거리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걸림부(80)와; 상기 푸쉬 버튼부(70)가 설정거리로 하강한 후 상승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해주는 스프링(90)과; 상기 푸쉬 버튼부(70)가 상기 스프링(90)과 접속될 수 있도록 가이드해주는 스프링 고정부(100)와; 상기 푸쉬 버튼부(70)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푸쉬 버튼부(70)와 동시에 상승 및 하강을 하여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 인가부(10)와 결합부(20)에 온/오프 접속을 하는 접속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물기가 있는 손이나 전원 플러그에 손상이 있어 쇼트가 되었을 경우 푸쉬 버튼부를 눌러줌으로써, 감전으로 인한 인사사고 및 화재의 위험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가전제품의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전원 플러그에 전원 차단용 스위치를 부가하여 전기 감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감전 방지용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전원 플러그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이 가전제품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해주는 제 1 결합부(1)와, 상기 결합부(1)에 전원 인가시켜주는 제 1 전선(2)과, 상기 전선이 각각의 결합부(1)와 연결될 수 있도록 분리되어 있는 제 2 전선(3)과, 상기 제 1 결합부(1)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제 1 고정 볼트(4)와, 상기 제 2 전선(3)과 제 1 결합부(1)가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시켜주는 제 1 볼트(5)와,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있는 케이스(6)로 구성된다.
즉, 종래의 전원 플러그의 동작 과정은, 사용자가 케이스(6)를 잡고 가전제품의 도시하지 않은 콘센트에 제 1 결합부(1)를 삽입시키면, 제 1 볼트(5)가 상기 제 2 전선(3)과 제 1 결합부(1)를 고정시켜주어 제 1 전선(2)을 통해 도통되는 전원이 제 2 전선(3)을 거쳐 각각의 제 1 결합부(1)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가전제품에 전원이 공급될 때 상기 제 1 결합부(1)가 흔들리지 않도록 제 1 고정 볼트(4)가 상기 제 1 결합부를 고정시켜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원 플러그는 사용자의 손에 물기가 있거나 가전제품의 전원 단자에 전류가 도통되는 이물질이 있어 쇼트가 됐을 때, 사용자에게 감전이 되어 인사사고 및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전원 플러그를 손으로 잡고 콘센트에 IN/OUT 시킬 때 전원 차단 스위치를 눌러줌으로써, 전원이 차단되고, 손을 놓으면 자동적으로 스위치가 온이되어 전원이 도통될 수 있도록 한 감전 방지용 전원 플러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감전 방지용 전원 플러그는, 전원이 가전제품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인가부와; 가전제품의 콘센트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전원 인가부에 전원을 인가시켜주는 메인 전선과; 상기 제 메인 전선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각각의 전원 인가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분리되어 있는 분할 전선과; 전원이 입력될 때 상기 전원 인가부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제 1 고정부와; 상기 분할 전선과 전원 인가부가 연결되어 가전제품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고정시켜주는 제 2 고정부와; 상기 전원 인가부와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원 인가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시켜주는 푸쉬 버튼부와; 상기 푸쉬 버튼부가 설정거리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걸림부와; 상기 푸쉬 버튼부가 설정거리로 하강한 후 상승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해주는 스프링과; 상기 푸쉬 버튼부가 상기 스프링과 접속될 수 있도록 가이드해주는 스프링 고정부와; 상기 푸쉬 버튼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푸쉬 버튼부와 동시에 상승 및 하강을 하여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 인가부와 결합부에 온/오프 접속을 하는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원 플러그를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 방지용 전원 플러그의 구성을 나 타낸 평면도,
도 3 은 도 2 에 따른 감전 방지용 전원 플러그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 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 인가부 20 : 결합부
30 : 메인 전선 40 : 분할 전선
50 : 제 1 고정부 60 : 제 2 고정부
70 : 푸쉬 버튼부 80 : 걸림부
90 : 스프링 100 : 스프링 고정부
110 : 접속부
이하, 상술한 내용을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전원 인가부(10)에서는 전원이 가전제품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하고, 결합부(20)에서는 가전제품의 콘센트와 결합되고, 메인 전선(30)은 상기 전원 인가부(10)에 전원을 인가시켜주고, 분할 전선(40)은 상기 메인 전선(30)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각각의 전원 인가부(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분리되어 있고, 제 1 고정부(50)는 상기 전원 인가부(10)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준다.
또한, 제 2 고정부(60)는 상기 분할 전선(40)과 전원 인가부(10)가 연결되어 가전제품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고정시켜주고, 푸쉬 버튼부(70)는 상기 전원 인가부(10)와 결합부(20)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원 인가부(1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시켜주고, 걸림부(80)에서는 상기 푸쉬 버튼부(70)가 설정거리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지지해주고, 스프링(90)은 상기 푸쉬 버튼부(70)가 설정거리로 하강한 후 상승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해준다.
또한, 상기 스프링 고정부(100)에서는 상기 푸쉬 버튼부(70)가 상기 스프링(90)과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90)의 좌/우에 결합되어 가이드해주고, 접속부(110)에서는 상기 푸쉬 버튼부(70)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푸쉬 버튼부(70)와 동시에 상승 및 하강을 하여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 인가부(10)와 제 2 결합부(20)에 온/오프 접속해줌으로써,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감전 방지용 전원 플러그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손에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전원 플러그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푸쉬 버튼부(70)를 누른 후 가전제품의 콘센트에 삽입시키면, 상기 푸쉬 버튼부(70)가 하강을 하여 상기 푸쉬 버튼부(70)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접속부(110)가 전원 인가부(10)와 결합부(20)에서 오프되어 전원이 가전제품에 인가되지 않고, 상기 푸쉬 버튼부(70)가 스프링(90)이 있는곳까지 삽입될 수 있도록 스프링(90)의 좌/우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 고정부(100)에서 가이드해 준다.
또한, 상기 푸쉬 버튼부(70)를 사용자가 누를 때 설정 거리이상 하강하지 않게 걸림부(80)가 지지해주면, 사용자가 전원 플러그를 가전제품의 콘센트에 삽입을 시키고, 푸쉬 버튼부(70)를 놓게 되면, 스프링(90)에서 탄성력이 발생하여 상기 푸쉬 버튼부(70)를 상승하게 하여 상기 푸쉬 버튼부(70)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접속부(110)가 전원 인가부(10)와 결합부(20)에 접속된다.
그러면, 상기 접속부(110)가 전원 인가부(1)와 결합부(20)에 접속됨으로써, 메인 전선(30)에서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메인 전선(30)에서 인가된 전원을 분할 전선(40)에서 입력받아 다수개로 이루어진 각각의 전원 인가부(10)에 전원이 도통될 수 있도록 제 2 고정부(60)에서 상기 분할 전선(40)과 전원 인가부(10)를 고정시켜준다.
또한, 상기 전원 인가부(10)가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흔들리지 않도록 제 1 고정부(50)에서 고정시켜주면, 상기 전원 인가부(10)를 통해 인가된 전원이 접속부(110)를 통해 결합부(20)로 인가되어 상기 결합부(20)에서 출력된 전원이 가전제품의 콘센트에 입력되어 가전제품이 동작을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감전 방지용 전원 플러그는, 사용자가 물기가 있는 손이나 전원 플러그에 손상이 있어 쇼트가 되었을 경우 푸쉬 버튼부를 눌러줌으로써, 감전으로 인한 인사사고 및 화재의 위험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전원이 가전제품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인가부와; 가전제품의 콘센트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전원 인가부에 전원을 인가시켜주는 메인 전선과; 상기 메인 전선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각각의 전원 인가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분리되어 있는 분할 전선과; 전원이 입력될 때 상기 전원 인가부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제 1 고정부와; 상기 분할 전선과 전원 인가부가 연결되어 가전제품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고정시켜주는 제 2 고정부와; 상기 전원 인가부와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원 인가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시켜주는 푸쉬 버튼부와; 상기 푸쉬 버튼부가 설정거리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걸림부와; 상기 푸쉬 버튼부가 설정거리로 하강한 후 상승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해주는 스프링과; 상기 푸쉬 버튼부가 상기 스프링과 접속될 수 있도록 가이드해주는 스프링 고정부와; 상기 푸쉬 버튼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푸쉬 버튼부와 동시에 상승 및 하강을 하여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 인가부와 결합부에 온/오프 접속을 하는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전 방지용 전원 플러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0477U KR19990017033U (ko) | 1997-10-31 | 1997-10-31 | 감전 방지용 전원 플러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0477U KR19990017033U (ko) | 1997-10-31 | 1997-10-31 | 감전 방지용 전원 플러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7033U true KR19990017033U (ko) | 1999-05-25 |
Family
ID=6969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30477U KR19990017033U (ko) | 1997-10-31 | 1997-10-31 | 감전 방지용 전원 플러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17033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6338B1 (ko) * | 2011-06-28 | 2013-08-14 | 주식회사 리홈쿠첸 | 스팀 청소기의 전원차단 장치 |
-
1997
- 1997-10-31 KR KR2019970030477U patent/KR19990017033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6338B1 (ko) * | 2011-06-28 | 2013-08-14 | 주식회사 리홈쿠첸 | 스팀 청소기의 전원차단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040823T3 (es) | Borna de conexion y de empalme, respectivamente, para los aparatos electricos. | |
EP0557574A2 (en) | Method for safety non-arcing electric connection and the device using the same | |
KR19990017033U (ko) | 감전 방지용 전원 플러그 | |
KR100711102B1 (ko) | 측면 결선형 배선용 차단기 | |
DE59805147D1 (de) | Adapter, Stromschiene und Kupplungsvorrichtung | |
KR20050041387A (ko) | 전선 보호구 | |
ES2110352B1 (es) | Placa de terminales, en particular para aparatos electrodomesticos. | |
CN211719855U (zh) | 一种安全插座 | |
CN213752561U (zh) | 断路保护器 | |
CN216667946U (zh) | 一种空气净化器自动断电装置 | |
CN210350412U (zh) | 自动断送电的交流低压配电柜 | |
KR900003182B1 (ko) | 과부하 자동차단용 콘센트 | |
KR19990019539U (ko) | 휴즈 단락시 자동복원장치 | |
KR19980028365U (ko) | 퓨즈와 릴레이박스의 결합구조 | |
KR200350055Y1 (ko) | 전원차단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 |
RU9343U1 (ru) | Многоместная колодка удлинителя | |
KR840000695Y1 (ko) | 전원 조절을 아답터로 할 수 있는 플럭 | |
RU8519U1 (ru) | Удлинитель-таймер-приставка | |
KR19990035676U (ko) | 누전차단기를 구비한 플러그와 콘센트 | |
CN1164752A (zh) | 快速熔断自推力控制保险丝管 | |
DE68923302D1 (de) | Elektrische Sicherheitssteckdose. | |
KR200379568Y1 (ko) | 측면 결선형 배선용 차단기 | |
CN2315679Y (zh) | 三脚插头 | |
KR910001772Y1 (ko) | 휴즈, 터미날블록 | |
CN2268986Y (zh) | 快速熔断自推力控制保险丝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