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963A - 수신겸용 도시형 발신전용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수신겸용 도시형 발신전용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963A
KR19990016963A KR1019970039693A KR19970039693A KR19990016963A KR 19990016963 A KR19990016963 A KR 19990016963A KR 1019970039693 A KR1019970039693 A KR 1019970039693A KR 19970039693 A KR19970039693 A KR 19970039693A KR 19990016963 A KR19990016963 A KR 19990016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all
unit
signal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39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6963A/ko
Publication of KR19990016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963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가능한 도시형 발신전용 휴대전화기(CT-2)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호출기의 수신신호를 이용해서 수신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된 수신통화기능을 갖춘 도시형 발신전용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호출기부와 발신전용 휴대전화부를 구비하여 무선호출자의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호출자와 직접 통화할 수 있도록 된 도시형 수신겸용 휴대전화에 있어서:
상기 무선호출기부는 무선호출자의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호출 신호 수신부;
상기 무선호출신호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출력이 감소되지 않게 출력의 변동을 방지하여 출력하는 자동이득조정회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신전용 휴대전화부는 상기 자동이득조정회로에서 이득이 조정된 무선호출기부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무선호출자와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형 수신겸용 발신전용 휴대 전화기를 제공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무선호출기의 수신신호를 무선호출신호 발신자에게 다시 전송하지 않고 바로 통화가 가능한 송수신 가능한 저가의 개인 휴대통신 장비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수신겸용 도시형 발신전용 휴대전화기
본 발명은 수신가능한 도시형 발신전용 휴대전화기(CT-2)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호출기의 수신신호를 이용해서 수신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된 수신통화기능을 갖춘 도시형 발신전용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 있어서, 대도시 권역에서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도시형 발신휴대전화기(CT-2)는 현재 시행중에 있는 이동전화기에 비해 가격이 현저히 저가이고, 이용요금 또한 상당히 저렴하다.
또한 상기 도시형 발신전용 휴대전화기는 보행중에도 자유롭게 통화할 수 있는 전화기로 휴대통신(PCS)의 방식중 초보단계의 방식이다. 현재 한국통신에서는 시티폰이란 이름으로 국내 대도시 지역에서 서비스를 수행중에 있다.
상기 발신전용 휴대전화기는 현재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무선전화기(코드리스폰), 예컨대 CT-1을 옥외로 확장시킨 것이다. 상기 휴대전화기는 여러지역에 설치된 기지국을 중심으로 반경 100m 내지 200m의 범위내에서 발신통화만 할 수 있고 상기 전화기로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공중전화 부스에 설치한 근접한 기지국을 통해 일반전화망과 접속되게된다.
상기 발신전용 휴대전화기와 같은 통화방식은 디지탈방식으로 통화품질이 우수하고 통신 보안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상기 방식이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데 단말기의 가격이 10만원대로 저렴하고 이용요금 또한 일반전화요금수준이 되기 때문에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셀룰라 폰(cellular phone) 즉 휴대폰을 이용하는 경우 셀룰라 폰은 항상 소정 기지국과 계속하여 소정신호를 송수신하고 있는 바, 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셀룰라 폰은 상기 소정의 기지국으로부터 현재의 위치를 항상 알려야하기 때문에 상기 셀룰라 폰의 단말기의 전원이 온 상태로 됨으로서 전원이 방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휴대폰은 발신전용 휴대 전화에 비해 상당히 고가이며 그 이용료 또한 가장적게 이용하여도 월 2 내지 3만원 정도로 상당히 비싼 수준이다.
따라서 휴대폰에 비해 가격 및 이용료가 현저히 저가이면서 수신기능을 갖춘 발신전용 휴대 전화기가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부응하여 도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발신전용 휴대 전화기가 제안되있다.
이 전화기의 동작을 보면 무선호출기(13)을 통해 들어온 무선호출신호(5)가 제어부 및 인터페이스부(12)에 입력되고 이 제어 및 인터페이스부(12)는 상기 무선호출신호와 제어신호(3)를 도시형 발신전용 휴대 전화기(11)로 전송하고 또한 기지국 조정장치(10)로 수신 전화번호의 수신요청 및 위치통보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도시형 발신전용 휴대 전화기(11)는 상기 기지국조정장치(10)으로 전화번호를 송출하며, 상기 수신 전화번호 및 위치통보신호를 수신한 기지국 조정장치(10)는 해당전화번호 발신자에 신호를 송출하므로서 수신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전화기는 착신신호 해당의 전화번호를 다시 기지국 조정장치(10)를 통해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구조로 수신전화를 바로 통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따라서 발신전용 전화기에서 해당 전화번호 발신자에게 다이얼링 할때 상기 발신자의 사정에 따라 통화의 성공여부가 결정되며 또한 상기 발신전용 전화기 소지자가 기지국과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다면 통화가 불가능하여 접속의 성공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무선호출기의 수신신호를 발신자에게 다시 전송하지 않고 바로 통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기지국간의 이동시 전화 통화의 중단없이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된 수신기능을 갖춘 도시형 발신전용 휴대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수신기능을 갖춘 도시형 발신전용 휴대전화기의 수신통화 흐름의 개략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신기능을 갖춘 도시형 발신전용 휴대전화기의 수신통화 흐름의 개략 블럭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화송수신신호, 2 : 수신요청 및 위치통보신호, 3 : 제어신호, 4 : 수신요청신호, 5 : 무선호출신호, 10 : 기지국 조정장치, 11 : 발신전용 휴대전화기, 12 : 제어 및 인터페이스부, 13 : 무선호출기, 20 : 무선호출신호, 21 : 무선호출기, 22 : 무선호출신호수신부, 23 : AGC 회로부, 24 : 발신전용 휴대전화부, 25 : 인터페이스부, 26 : 전화회로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무선호출기부와 발신전용 휴대전화부를 구비하여 무선호출자의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호출자와 직접 통화할 수 있도록 된 도시형 수신겸용 휴대전화에 있어서:
상기 무선호출기부는 무선호출자의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호출 신호 수신부;
상기 무선호출신호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출력이 감소되지 않게 출력의 변동을 방지하여 출력하는 자동이득조정회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신전용 휴대전화부는 상기 자동이득조정회로에서 이득이 조정된 무선호출기부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무선호출자와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형 수신겸용 발신전용 휴대 전화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보면 본 발명의 수신기능을 갖춘 도시형 발신전용 휴대전화기의 수신통화 흐름의 개략 블럭도가 도시되는데,
무선호출기부(21)는 무선호출신호 수신부(22) 및 자동이득조정부(AGC 회로부)로 구성되며 무선호출신호수신부(22)를 통해 수신된 무선호출자의 무선호출신호(20)는 자동이득조정부로 출력된다. 상기 자동이득조정부는 페이딩(fading)이나 전번 특성에 의해 수신전파의 입력레벨의 변동에 의한 출력 레벨의 변동을 고려하여 출력의 변동을 방지해서 통신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기 무선호출신호는 발신전용 휴대전화부의 인터페이스부(25)로 입력되며, 이 인터페이스부(25)로부터의 상기 무선호출신호(20)는 발신전용 휴대전화부(24)의 수신장치(도시않음)를 거쳐 전화회로부(26)로 입력되어 무선호출신호 발신자와 통화가 수행된다.
이에 의해 무선호출자와의 직접적인 통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신겸용 휴대전화기는 배터리의 잔량이 3단계로 표시되며, 수진볼륨은 7단계로 조정되며, 타인의 조작 방지를 위해 비밀번호가 설정되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무선호출기의 수신신호를 무선호출신호 발신자에게 다시 전송하지 않고 바로 통화가 가능한 송수신가능한 저가의 개인 휴대통신 장비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일 실시예를 참조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일탈치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

  1. 무선호출기부와 발진선용 휴대전화부를 구비하여 무선호출자의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호출자와 직접 통화할 수 있도록 된 도시형 수신겸용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호출기부는 무선호출자의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호출 신호 수신부;
    상기 무선호출신호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출력이 감소되지 않게 출력의 변동을 방지하여 출력하는 자동이득조정회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신전용 휴대전화부는 상기 자동이득조정회로에서 이득이 조정된 무선호출기부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무선호출자와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형 수신겸용 발신전용 휴대 전화기
KR1019970039693A 1997-08-20 1997-08-20 수신겸용 도시형 발신전용 휴대전화기 KR19990016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693A KR19990016963A (ko) 1997-08-20 1997-08-20 수신겸용 도시형 발신전용 휴대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693A KR19990016963A (ko) 1997-08-20 1997-08-20 수신겸용 도시형 발신전용 휴대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963A true KR19990016963A (ko) 1999-03-15

Family

ID=6604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693A KR19990016963A (ko) 1997-08-20 1997-08-20 수신겸용 도시형 발신전용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69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28687B1 (en) Integrated communication system
US4989230A (en) Cellular cordless telephone
JP3095414B2 (ja) 複数の動作モードを有する携帯通信およびデータ端末
US6154650A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 call for a mobile station using either a wireless network or a wireline network
US5701337A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combined mobile phone and pager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5978684A (en) Device for supporting multi-line configurations in a fixed wireless loop application
US79577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to a wireless network the operational mode of a wireless communicator
KR960004959B1 (ko) 인입 전화 호출 접속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
KR20020059452A (ko) 무선 통신 장비,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 및 원격통신 장비
KR19990016963A (ko) 수신겸용 도시형 발신전용 휴대전화기
US7146173B2 (en) Method and network for answering calls to mobile terminals according to user-defined response modes
KR100350248B1 (ko) 이동전화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방법
JPH08130501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3097137B2 (ja) 携帯通信端末
JPH10164251A (ja) 通信端末装置
JP3077249B2 (ja) 無線電話装置
KR100784327B1 (ko) 유무선통합 서비스를 위한 일반전화기의 벨소리 발생 조절장치 및 방법
JP2001069544A (ja) 移動体通信機
KR100267863B1 (ko) 무선호출기를가지는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음성메시지확인방법.
JPH0691585B2 (ja) 無線を利用した構内電子交換機の内線呼出装置
JPH10290191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H09182151A (ja) 携帯電話機
JPH09181855A (ja) デジタル無線電話システム
WO20040237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d/wireless call exchanging and dual-channel wireless terminal therefor
KR980013053A (ko) 선택 호출 신호에 의한 셀룰러 전화기의 원격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