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295A - Osd 패스워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팅 상태 보호 방법 - Google Patents

Osd 패스워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팅 상태 보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295A
KR19990016295A KR1019970038804A KR19970038804A KR19990016295A KR 19990016295 A KR19990016295 A KR 19990016295A KR 1019970038804 A KR1019970038804 A KR 1019970038804A KR 19970038804 A KR19970038804 A KR 19970038804A KR 19990016295 A KR19990016295 A KR 19990016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display device
osd
screen
sett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덕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8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6295A/ko
Publication of KR19990016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295A/ko

Links

Landscapes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임의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환경을 변경하는 것을 막기위해 OSD 화면을 이용하여 암호를 입력받아 세팅 상태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버튼을 누르는 과정과, 암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시키는 과정과, 지정된 시간내에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암호를 입력하는 과정과, 입력된 암호와 기 저장된 암호를 비교하여 해당 결과에 따라 기능 실시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OSD 조절 기능을 수행할 때 암호를 체크하므로써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도록 하므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팅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OSD 패스워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팅 상태 보호 방법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팅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임의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환경을 변경하는 것을 막기위해 OSD 화면을 이용하여 암호를 입력받아 세팅 상태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표적인 컴퓨터 주변장치로서 그 구성은 도 1에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100)는 키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에 따라 데이터를 발생하는 CPU(110)와, 상기 CPU(11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인가 받아 영상 신호(R,G,B)로 처리하고 이를 동기시키기 위한 수평동기신호 HS 및 수직동기신호 VS를 출력하는 비디오 카드(120)를 포함한다.
모니터(200)는 상기 컴퓨터(100)내의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영상 신호(R,G,B) 및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인가 받아 후단에 상 조정 신호와 기준 발진 신호 등의 조절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210)과, 상기 마이컴(210)의 동작을 위한 화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버튼(Button)부(220)와, 상기 마이컴(210)으로부터 출력되는 모니터 화면 제어 신호와 기준 발진 신호를 인가 받아 라스터(Raster)를 동기시키는 수평 및 수직 출력 회로부(230)와, 상기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인가 받아 증폭하여 표시하는 비디오 회로부(240)와, 상기 마이컴(210)과 상기 수평 및 수직 출력 회로부(230)와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240)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250)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모니터(200) 내부의 각 블럭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컴퓨터(100)의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각종 화면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마이컴(210)에서 인가 받는다.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 받은 마이컴(210)은 제어 버튼(Button)부(220)에서 인가되는 화면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상을 조정하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마이컴(210)으로부터 출력되는 상 조정 신호와 기준 발진 신호를 인가 받은 수평 및 수직 발진 신호 처리기(230-1)는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인가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에 따라 톱니파 발생 회로의 온/오프 동작의 스위칭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직 펄스를 수직 드라이브 회로(230-2)로 인가하게 된다.
수직 펄스를 인가 받은 수직 드라이브 회로(230-2)는 일반적으로 1단의 수직 증폭형이 많이 사용되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입력을 가하고 에미터 단자에서 출력 전압을 꺼내는 에미터 팔로우(Emitter Follower)형을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이득보다는 직선성 개선의 동작을 한다.
이러한 수직 드라이브 회로(230-2)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신호를 인가받은 수직 출력 회로(230-3)는 수직 편향요크(Deflection Yoke)(230-4)를 통해 흐르는 수직 동기 펄스에 부합된 톱니파 전류를 만들게 되고, 그에 따라 수직 주사 주기가 결정된다.
수평 및 수직 발진 신호 처리기(230-1)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발진 신호는 수평 드라이브 회로(230-5)에 인가된다. 수평 발진 신호를 인가 받은 수평 드라이브 회로(230-5)는 수평 출력 회로(230-6)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충분한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수평 드라이브 회로(230-5)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인가 받은 수평 출력 회로(230-6)는 수평 편향요크(H-DY)(230-7)에 톱니파 전류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톱니파 전류에 의해 수평 주사 주기가 결정된다.
또한, 안정된 직류(DC) 전압을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이하 CRT라 칭함)(240-3)의 애노드(Anode)에 공급하기 위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lyback Transformer; 이하 FBT라 칭함)(230-9)가 사용된다.
FBT는 누설 인덕턴스와 고압 회로(230-8)의 분포 용량에 의한 고조파를 이용하여, 콜렉터 펄스가 작아도 큰 고압을 발생하여 CRT(240-4)의 애노드(Anode) 단자에 인가하게 된다.
고압을 인가 받은 애노드(Anode) 단자는 영상 신호 처리부(240)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의 휘도를 조정하게 된다. OSD부(240-1)는마이컴(21)에서 출력되는 화면 제어 신호에 따른 OSD데이터를 인가 받아 OSD 이득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비디오 프리 앰프(240-2)는 OSD부(240-1)로부터 출력되는 OSD 이득 신호와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는다. 비디오 프리 앰프(240-2)는 저전압 증폭기로 낮은 영상 신호(R,G,B)를 증폭시켜 일정한 전압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가령 예를 들어, 1VPP 미만의 신호를 4 ∼ 6VPP의 신호로 증폭시킨다. 이와 같이 4 ∼ 6VPP의 신호로 증폭 된 것을 비디오 출력 앰프(240-3)는 40 ∼ 60VPP 의 신호로 증폭하여 각 화소에 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비디오 출력 앰프(240-3)에서 증폭된 영상 신호는 CRT(240-4)의 캐소드(Cathode)에 인가되어 화면을 통해 영상을 표시된다.
또한, OSD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비디오 프리 앰프(240-2)에서 OSD가 선택되어 일정 레벨로 증폭된 후, 비디오 출력 앰프(240-3)에서 최종 증폭되어 CRT (240-4)의 화면에 OSD 데이터를 표시하게 된다. CRT(240-4)에 표시되는 OSD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모니터(200)의 사용자에게 모니터(200)의 기능 또는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모니터의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250)는, 상용 교류를 입력받는 교류(Alternative Current; 이하 AC라 칭함)입력단(250-1)을 통해 교류를 입력받는다. AC입력단(250-1)을 통해 출력되는 교류를 입력받은 디가우징 코일(250-2)은 화면의 색 순도가 지자계 또는 외부 조건에 의해 발생되는 색상의 번짐 상태를 원래의 색상으로 회복시키는 동작을 한다.
이 동작은 디가우징 코일(250-2)에 순간적으로 2-8초 동안 교류를 가하면, 모니터(200) 내에 있는 새도우 마스크(Shadow Mask)에 형성된 자계를 흩트려 색상의 번짐 상태를 회복시키게 된다.
또한, 정류기(250-3)를 통해 정류되어 출력되는 직류는 스위칭 트랜스포머(250-4)로 인가된다. 직류를 인가 받는 스위칭 트랜스포머(250-4)는 스위칭 동작을 하여 전압 출력단(250-5)을 통해 모니터(200) 내에 필요로 하는 각종 구동 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만일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V-SYNC)가 인가되지 않으면 마이컴(210)은 서스펜드 모드 신호를 전압 레귤레이터(250-5)로 인가하여 편향 전압을 차단하게 된다.
펄스 폭 변조회로(Pulse Width Modulation; 이하 PWM)부(250-6)의 구형파 펄스는 스위칭 장치의 온/오프 드라이브 동작을 시키며, 펄스 폭의 변화는 도전 시간(Conduction Time)을 증가 감소시켜 출력 전압의 안정화를 시키게 된다. 그리고, 마이컴(210)은 모니터(200)내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감지 여부에 따라 DPMS모드를 실행하여 모니터(200) 내부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팅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제어버튼부를 사용한다. 또 이러한 제어버튼부는 대개의 경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사용자는 조절하고자 하는 기능키를 눌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그 결과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기능을 변경하게 된다. 이 때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게 되면 본래의 사용자가 다시 사용할 때 세팅을 다시해야 하는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어버튼을 이용하여 OSD 설정 상태를 변경하고자 할 때 암호를 입력하게 하므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팅 상태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행과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버튼을 누르는 과정과, 암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시키는 과정과,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암호를 입력하는 과정과, 입력된 암호와 기 저장된 암호를 비교하여 해당 결과에 따라 기능 실시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진행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제어버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행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OSD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진행과정 및 그 동작 효과 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행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버튼을 누르게 된다. 이 때의 사용자는 허가된 사용자 또는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일 수도 있다.(S1 과정)
제어버튼이 눌렸음을 인식한 마이컴은 도 4에 나타난 예시도에서와 같이 암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는 화면을 OSD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시킨다. 물론 이 때의 OSD 화면은 경우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S2 과정)
암호 입력을 요구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타이머를 작동하여 일정 시간내에 OSD 화면의 조합 등을 이용하여 암호를 입력받는다. 물론 이 때 지정된 시간이 초과되었다면 마이컴은 사용자가 허가되지 않은 사람이라고 간주하여 더 이상의 진행을 수행하지 않고 원상태로 강제로 복귀시키게 된다.(S3 ∼S6 과정)
일정 시간 내에 암호를 입력하였다면 입력된 암호와 임의의 기억장소에 저장되었던 암호를 비교하여 동일여부를 확인한다.(S7 과정)
만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에러메시지를 나타내면서 원 상태로 복귀한다.(S8 과정)
암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제어 버튼의 기능을 수행하고 변화된 값을 세팅한다.(S9 과정)
이 때 수행되는 제어기능은 수평/수직 사이즈 조절, 색상관련 조절신호등 여러 가지 기능이 수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OSD 조절을 수행할 때 암호를 체크하여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도록 하므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팅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버튼을 누르는 과정과,
    암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시키는 과정과,
    지정된 시간내에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암호를 입력하는 과정과,
    입력된 암호와 기 저장된 암호를 비교하여 해당 결과에 따라 기능 실시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진행되는 OSD 패스워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팅 상태 보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입력 과정에서 사용되는 암호 입력 수단은 OSD 화면의 조합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 패스워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팅 상태 보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암호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과정은 마이컴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 패스워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팅 상태 보호 방법.
KR1019970038804A 1997-08-14 1997-08-14 Osd 패스워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팅 상태 보호 방법 KR19990016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804A KR19990016295A (ko) 1997-08-14 1997-08-14 Osd 패스워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팅 상태 보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804A KR19990016295A (ko) 1997-08-14 1997-08-14 Osd 패스워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팅 상태 보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295A true KR19990016295A (ko) 1999-03-05

Family

ID=6599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804A KR19990016295A (ko) 1997-08-14 1997-08-14 Osd 패스워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팅 상태 보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62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567A (ko) * 2001-10-11 200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스워드 유효 판별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567A (ko) * 2001-10-11 200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스워드 유효 판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5164B1 (ko)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한 자동 휘도 조정 회로 및 방법
KR100283572B1 (ko) Os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dpms 표시 방법
US5943228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witching power of display monitor with remote controller
KR100247393B1 (ko) Pfc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US6115033A (en) Video display device and a power saving method therefor
KR100303079B1 (ko) 마이콤의리셋(reset)을통한디스플레이모니터의파워온/오프장치및방법
KR100288580B1 (ko) Osd를이용한디스플레이모드표시방법
US6275221B1 (en) Low consumption power circuit using an electronic switch in a display monitor
US6424341B2 (en) Device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OSD in muting video signals
KR19980015197A (ko) 모니터의 자동전원 제어회로(Automatic power control circuit for use with a monitor)
KR19990016295A (ko) Osd 패스워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팅 상태 보호 방법
KR100263090B1 (ko) OSD를이용한상조정패턴(Pattern)을표시하는회로및방법
KR1002428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왜곡 보정 회로
KR100247397B1 (ko) 사용자 의도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 정보 컨트롤 장치 및 방법
KR200160532Y1 (ko) 파워 1차측의 전원공급 장치
KR100209505B1 (ko) 듀티(duty) 변경 회로
KR100218007B1 (ko) 다중 동기 방식 모니터의 상 사이즈 자동 조정 방법
KR19980085431A (ko) 동기신호 처리시 발생된 오류 동작 코드화 장치 및 방법
KR19980085008A (ko) 복수의 fet를 이용한 수평편향 드라이브 회로
KR19990013697U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동 dpms구현 장치
KR19990012255U (ko) 안전 차단 장치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19990042243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키 재정의 방법
KR200200453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편향요크커넥터이탈감지회로
KR200155998Y1 (ko) 동기신호의 판별에 의한 오버 레이지 제한 회로
KR10026082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포지션 조절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