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835U - 단자함 설치대 - Google Patents

단자함 설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835U
KR19990015835U KR2019970029141U KR19970029141U KR19990015835U KR 19990015835 U KR19990015835 U KR 19990015835U KR 2019970029141 U KR2019970029141 U KR 2019970029141U KR 19970029141 U KR19970029141 U KR 19970029141U KR 19990015835 U KR19990015835 U KR 199900158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vertical member
horizontal
bolt
box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0928Y1 (ko
Inventor
이의근
박분희
이성근
Original Assignee
이의근
이성근
박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근, 이성근, 박분희 filed Critical 이의근
Priority to KR2019970029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928Y1/ko
Publication of KR199900158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8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9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볼트를 조립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도록 하므로 써 단자함 설치대의 설치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고 좀 더 손쉽게 케이블 인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단자함 설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 설치대는 소정 각도 경사지게 내부 빈 공간 쪽으로 돌출된 경사턱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관체와 수평관체의 일측에 대략 수직하게 결합된 제 1 수직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제 1몸체, 수평관체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수평부재와 수평부재에 대략 수직하게 결합되고 일측에는 수평부재와 연통되는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 2수직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제 2몸체, 수평관체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고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홈과 경사턱에 대응되게 형성된 경사면을 갖는 슬라이드 너트 및 볼트구멍을 통해 삽입되고 슬라이드 너트에 결합되어 경사턱에 걸리는 슬라이드 너트와 제 2몸체를 서로 당겨주므로 써 제 1수직부재와 제 2수직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속하게 단자함 설치대의 고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케이블 인입작업에 따른 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자함 설치대
본 고안은 단자함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주 등에서 전선 케이블을 건물로 인입하고자 할 때 옥상 난간대 등의 구조물에 설치하여 건물의 외벽에 손상을 주지 않고 단자함과 케이블을 걸어주기 위한 고리 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단자함 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 등에서 케이블을 건물로 인입하고자 하는 경우 건물의 난간 등의 구조물에 단자함 설치대를 고정하고 여기에 케이블을 안내하는 고리와 단자함을 설치하여 케이블을 건물로 인입하였다. 이러한 단자함 설치대에 대해서는 특허공보 92-9867호(이하, "선원"이라함) 등에 자세히 게재되어 있다. 선원의 벽단자함 설치대를 비롯한 대부분의 단자함 설치대는 볼트를 이용하여 건축물 난각 등의 구조물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데, 이는 관련하여 첨부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단자함 설치대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단자함 설치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종래의 단자함 설치대(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단자함 설치대(100)는 건물축의 난간 등 소정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기구로서 인입되는 케이블을 안내해주고 단자함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데 이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함 설치대(100)는 제 1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몸체(110)는 4각 단면을 갖는 제 1관체(111)와 제1관체(111) 일측단에 수직하게 결합된 ㄷ자단면모양의 제 1수직부재(112)로 이루어져 있다. 제 1수직 부재(112)의 하단에는 핀(113)을 통해 삼각대(114)가 결합되어 있다. 제 1수직부재(112)의 상단에는 브래킷(115)를 통해 볼트로(120)가 제 1관체(111) 내부 쪽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 1몸체(110)의 제 1관체(111) 일측에는 고정대(116)를 통해 고리(117)가 고정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몸체(10)에는 제 2몸체(130)가 결합되어 있다.
제 2몸체(130)는 4각 단면모양의 제 2관체(131)와 제 2관체(131)의 끝단에 수직하게 연결된 ㄷ자단면모양의 제2수직부재(132)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 2몸체(130)의 제 2관체(131)는 제 1관체(111) 내부로 삽압되어 있다. 물론, 제 2관체(131)의 끝단은 막혀 있는 상태에서 볼트(120)가 결합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제 2몸체(130)의 제 2수직부재(132) 하단부에는 핀(133)을 통해 삼각대(134)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단자함 설치대(100)를 이동시켜 앙측 삼각대(114, 134) 사이로 구조물이 위치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120)을 잠그면 제 2관체(131)는 제1관체(111)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2수직부재(132)는 제 1수직부재(112)에 가까워지고, 양측의 두 삼각대(114, 134)도 서로 가까워지면서 구조물에 물리게 된다. 즉, 도 1의 단자함 설치대(100)는 구조물에 고정되게 된다. 구조물에서 단자함 설치대(100)를 이탈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볼트(120)를 풀어서 들어올리면 된다. 단자함은 제 1수직부재(132) 또는 제 2수직부재(112) 측면 핀 등에 설치하면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자함 설치대(100)를 구조물에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처음부터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구조물에 삼각대(114, 134)가 밀착되어 물릴 때까지 볼트(120)를 조여야 하는 데, 양측 삼각대(114, 134) 사이의 간격에 비해 구조물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경우에는 볼트(120)를 수십회 회전시켜야 한다. 이는 힘든 일일 뿐만 아니라 시간도 많이 걸려 작업능률을 떨어뜨리는 주요원인이 된다.
도 2는 도 1 단자함 설치대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단자함 설치대(100)는 위에서 설명한 것에 약간의 변형을 가한 것으로 볼트(120) 끝단에 고리(122)를 설치한 것과 삼각대(114, 134)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고무(114a, 134a)를 부착한 것과 제 2몸체(130)의 제 2수직부재(132)에 단자함 설치시 J볼트를 취부할 수 있는 구멍(136)을 상하로 각각 형성하였다는 것에서 도 1의 단자함 설치대(100)와 차이가 나며 그 외의 부분은 거의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나타낸 단자함 설치대(100) 역시 구조물에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처음부터 구조물에 양측 삼각대(114, 134)가 밀착되어 물릴 때까지 볼트(120)를 조여야 하는 데, 경우에 따라 수십회 이상 볼트(120)를 회전시켜야 된다. 이는 힘든 일일 뿐만 아니라 시간도 많이 걸려 작업 능률을 떨어뜨리는 한 요인이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볼트를 조립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도록 하므로 써 단자함 설치대의 설치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고 좀 더 손쉽게 케이블 인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단자함 설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자함 설치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 단자함 설치대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 설치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 설치대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부분파단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우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구조물200 : 단자함 설치대
210 : 제 1몸체211 : 수평관체
212 : 제 1수직부재213 : 빈 공간
214 : 경사턱215 : 안내공
216 : 단자함 설치편217, 224 : 삼각대
218, 255 : 리벳220 : 제 2몸체
221 : 수평부재222 : 볼트 구멍
223 : 제 2수직부재230 : 슬라이드 너트
231 : 나선232 : 홈
233 : 경사면234 : 안내핀
240 : 볼트250 : 고리부재
251 : 관통공252 : 지지체
253 : 고리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의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의 인입을 도와주고 단자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단자함 설치대에 있어서, 소정 각도 경사지게 내부빈 공간 쪽으로 돌출된 경사턱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관체와 수평관체의 일측에 대략 수직하게 결합된 제 1수직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제 1몸체, 수평관체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수평부재와 수평부재에 대량 수직하게 결합되고 일측에는 수평부재와 연통되는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 2수직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제 2몸체, 수평관체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고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홈과 경사턱에 대응되게 형성된 경사면을 갖는 슬라이드 너트 및 볼트구멍을 통해 삽입되고 슬라이드 너트에 결합되어 경사턱에 걸리는 슬라이드 너트와 제 2몸체를 서로 당겨주므로 써 제 1수직부재와 제 2수직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설치대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 설치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 설치대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부분파단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우측면도이다.
도 3 ∼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 설치대(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 설치대(200)는 제 1몸체(2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몸체(210)는 사각단면모양의 수평관체(211)와 수평관체(211)의 일측단에 수직하게 연결된 ㄷ자단면모양의 제 1수직부재(212)로 이루어져 있다.
도 3과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평관체(211)의 내부에는 빈 공간(2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평관체(211)의 끝단 부근 상면에는 소정 각도 경사지게 내부 빈 공간(213)쪽으로 돌출된 경사턱(214)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턱(214) 뒤쪽으로 안내공(215)이 수평관체(21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수직부재(212) 바깥면에는 도 4와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함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반원호모양의 단자함 설치편(216)이 소정 각격을 두고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안쪽면으로는 구조물에 용이하게 물리도록 해주는 삼각대(217)가 리벳(218)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몸체(210)에는 제 2몸체(220)가 마주보고 결합되어 있다. 제 2몸체(220)는 제 1몸체(210)의 수평관체(211)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수평부재(221)와 수평부재(221)에 끝단에 대략 수직하게 결합되고 일측에는 수평부재(221)와 연통되는 볼트구멍(222)이 형성되어 있는 제2수직부재(223)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수평부재(221)와 제 2수직부재(223)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ㄷ자형태의 단면을 갖는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 2수직부재(223)의 안쪽면으로는 삼각대(224)가 리벳(225)을 통해 설치되어 있다. 이 삼각대(224)는 고정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표면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 설치대(200)는 슬라이드 너트(2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슬라이드 너트(230)는 수평관체(211)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고 나선(231)이 형성되어 있는 홈(232)을 구비하고 있다. 이 홈(232)의 앞쪽 끝단은 점점 넓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는 볼트(24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슬라이드 너트(230)의 상면 일측에는 수평관체(211)의 경사턱(214)에 대응되게 경사면(233)이 형성되어 있고, 그 뒤쪽으로 안내핀(234)이 위쪽으로 돌출 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핀(234)은 수평관체(211)의 안내공(215)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너트(230)의 이동을 안내하여주고 일정 거리 이상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을 방지하여주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케 설치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 설치대(200)는 볼트(2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볼트(240)는 볼트구멍(222)을 통해 삽입되고 슬라이드 너트(230)의 나선(231)에 결합되어 경사턱(214)에 걸리는 슬라이드 너트(230)와 제 2몸체(220)를 서로 당겨주므로써 제 1수직부재(212)와 제 2수직부재(223)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 설치대(200)는 볼트(240)가 삽입되는 관통공(251)을 갖는 ㄱ자형태의 지지체(252)와 지지체(252) 상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인입을 안내하는 고리(253)를 구비하고 볼트(240)를 통해 제 2수직부재(223)에 고정되는 고리부재(25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고리부재(25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수직부재(223)의 상단에 고정되어 인입되는 케이블을 안내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 설치대(200)의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볼트(240)를 고리부재(250)의 관통공(251)에 삽입한 후 볼트(240)를 제 2수직부재(223)의 볼트구멍(222)으로 끼운다. 그런 다음 슬라이드 너트(230)에서 안내핀(234)을 해체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너트(230)를 수평관체(211)의 내부 빈공간(213)으로 삽입한다. 이 경우 경사면(233)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배치하여야함은 물론이다. 슬라이드 너트(230)를 수평관체(211)의 내부로 충분히 삽입후 안내공(215)을 통해 안내핀(234)을 결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평부재(221)와 볼트(240)를 수평관체(211)로 삽입한다. 그러면 볼트(240)의 끝단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 홈(232)의 끝단부에 삽입되면서 슬라이드 너트(230)를 상승시키면서 순간적으로 볼트(240)는 안쪽으로 더 깊숙이 삽입되게 된다. 이 때 슬라이드 너트(230)도 후진하고 안내핀(234)이 안내공(215)의 후단에 걸리는 위치에서 슬라이드 너트(230)는 멈추게 된다. 이렇게 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 설치대(200)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조립된다.
조립된 상태의 단자함 설치대(200)를 이동시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하고자 하는 구조물(50) 양측으로 삼각대(217, 224)가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도 4 상태에서 볼트(240)를 밀면 제 1몸체(210)와 제 2몸체(220)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마주보고 배치된 삼각대(217, 224) 역시 서로 가까워지게 된다. 충분히 힘을 가하여 양측의 삼각대(217, 234)가 구조물(50)의 양측 표면에 각각 닿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볼트(240)를 잠그면 나선(231)으로 인해 슬라이드 너트(230)는 왼쪽으로 전진한다. 슬라이드 너트(230)가 일정 거리 이상 전진하면 슬라이드 너트(230)의 경사면(233)이 수평관체(211)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턱(214)에 걸리게 되고 슬라이드 너트(230)는 멈추게 된다. 볼트(240)를 더욱 더 잠그면 경사턱(214)에 걸려 있는 슬라이드 너트(230)와 제 2몸체(220) 사이의 볼트(240)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양측의 삼각대(217, 224)는 구조물(50)의 양측 표면에 밀착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 설치대(200)는 구조물(5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단자함 설치대(200)를 구조물(50)에 고정 후 필요한 단자함을 단자함 설치편(216) 등을 통해 설치하고 케이블 인입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물론, 단자함 설치대(200)를 구조물(50)에서 해체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볼트(240)를 조금 풀어준 상태에서 안내핀(234)을 잡고 슬라이드 너트(230)를 위쪽으로 당긴 상태에서 제 2몸체(220)를 바깥쪽으로 살짝 잡아당기면 수평부재(221)와 볼트(240)가 바깥쪽으로 약간 빠지게 된다. 그 상태에서 단자함 설치대(200)를 들어올리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 설치대를 이용하는 경우 볼트를 한꺼번에 깊숙이 밀어 넣어 삼각대가 고정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를 잠그면 되므로 신속하게 단자함 설치대의 고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케이블 인입작업에 따른 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소정의 구조물에 고정되어 케이블의 인입을 도와주고 단자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단자함 설치대에 있어서,
    소정 각도 경사지게 내부 빈 공간 쪽으로 돌출된 경사턱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관체와 상기 수평관체의 일측에 대략 수직하게 결합된 제 1수직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제 1몸체;
    상기 수평관체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에 대략 수직하게 결합되고 일측에는 상기 수평부재와 연통되는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 2수직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제 2몸체;
    상기 수평관체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고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홈과 상기 경사턱에 대응되게 형성된 경사면을 갖는 슬라이드 너트; 및
    상기 볼트구멍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슬라이드 너트에 결합되어 상기 경사턱에 걸리는 슬라이드 너트와 상기 제 2몸체를 서로 당겨주므로 써 상기 제 1수직부재와 제 2수직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설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갖는 ㄱ자형태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인입을 안내하는 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볼트를 통해 상기 제 2수직부재에 고정되는 고리부재와, 상기 제 1수직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단자함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반원호모양의 단자함 설치편 및 상기 제 1수직부재와 제 2수직부재의 내측면에 각각 마주보고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에 물리는 삼각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설치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너트의 외주면 일측에는 안내핀이 바깥쪽으로 돌출 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평관체 일측에는 상기 안내핀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설치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너트의 홈의 전단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설치대.
KR2019970029141U 1997-10-20 1997-10-20 단자함 설치대 KR2001609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141U KR200160928Y1 (ko) 1997-10-20 1997-10-20 단자함 설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141U KR200160928Y1 (ko) 1997-10-20 1997-10-20 단자함 설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835U true KR19990015835U (ko) 1999-05-15
KR200160928Y1 KR200160928Y1 (ko) 1999-11-15

Family

ID=1951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141U KR200160928Y1 (ko) 1997-10-20 1997-10-20 단자함 설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9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7353A (zh) * 2018-02-09 2018-06-19 张家港派恩信精密配件制造有限公司 胶管组装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395B1 (ko) 2009-07-31 2009-12-04 (주) 청송설계이앤씨 공동주택의 분전제어용 스위치
KR102029051B1 (ko) * 2019-05-22 2019-10-07 김영욱 받침대가 구비되는 계량기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7353A (zh) * 2018-02-09 2018-06-19 张家港派恩信精密配件制造有限公司 胶管组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0928Y1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3637B2 (en) Electrical box roller to facilitate wire pulling
KR102074625B1 (ko) 에어컨배관 교체방법
KR102324856B1 (ko) 건축물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트레이
US7410141B2 (en) Industrial hanger for metal framing
US5915770A (en) Electricians cabling pole
KR100947365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KR200160928Y1 (ko) 단자함 설치대
KR200459341Y1 (ko) 천장의 경량틀 조립체
KR200175865Y1 (ko) 벽단자함 설치대
KR920009867B1 (ko) 벽단자함 설치대
CN218028329U (zh) 固定装置及墙体施工结构
KR200179138Y1 (ko) 단자함 설치대
CN115162564A (zh) 固定装置、固定装置安装方法及墙体施工方法
KR200293493Y1 (ko)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970001621B1 (ko) 케이블 인입걸이
JP3388317B2 (ja) 配線・配管材用受具
JP2000234440A (ja) ラック用仮設足場材
JP3526423B2 (ja) 仮囲い用パネルの取付金具
CN220249830U (zh) 一种办公灯的安装结构
KR200269701Y1 (ko) 케이블 고정구
KR19980068684U (ko) 전선케이블 인입용 클램프의 벽고정체
KR200392686Y1 (ko) 통신케이블용 조가선 클램프
JPH11118068A (ja) 可撓管立ち上げ保持具
JP3389574B2 (ja) 通信ケーブルの管路内壁取付方法、及びこの方法において使用する取付具、この取付具の取付装置及び上記取付具の通信ケーブル装着装置
KR200402360Y1 (ko)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