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239U - 가습 마스크 - Google Patents

가습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239U
KR19990015239U KR2019970028468U KR19970028468U KR19990015239U KR 19990015239 U KR19990015239 U KR 19990015239U KR 2019970028468 U KR2019970028468 U KR 2019970028468U KR 19970028468 U KR19970028468 U KR 19970028468U KR 19990015239 U KR19990015239 U KR 199900152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water
vibrator
reservoir
humid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진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2019970028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5239U/ko
Publication of KR199900152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239U/ko

Links

Landscapes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목적 : 본 고안은 교통 수단 등에 수용된 다수의 사람중에서 원하는 사람만이 가습된 호흡을 할 수 있게 하는 가습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구성 : 본 고안은 흡습성 패드(8)에 물을 함유시켜 착용자의 호흡 중에 공기로 가습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또는 저수통(14)에 저장된 물을 분자 진동시켜 발생되는 증기가 상기 흡습성 패드(8) 또는 벨로우즈관(24)을 경유하여 착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한 구성으로 된 것이다.
효과 : 본 고안은 착용자가 호흡할 때에 가습 작용을 행함에 따라 호흡기 질환자나 노약자, 유아 등이 건조 공간에서 장시간 여행할 때에도 호흡에 곤란을 일으키는 일이 없이 쾌적한 여행을 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가습 마스크
본 고안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가 호흡하는 공기 중에 습기를 부여하여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가습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해외 여행에 경험이 있는 사람은 비행기의 내부가 운행 중에 상당히 건조한 상태이었음을 상기할 수 있을 것이다.
건조하고 격리된 공간에서 가벼운 호흡기 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알레르기성이 있는 승객은 호흡에 상당한 고통을 받기 마련이며 견디자 못할 정도로 심각한 상태일 때에는 젖은 수건을 입, 코 주위에 덮어 건조 공기가 습기를 머금은 공기로 되게 하는 방법을 활용하는 이도 간혹 목격할 수 있다.
문명 사회에서 건조하고 격리된 공간은 상기 비행기 내부 만이 아니라 에어컨이 가동 중인 극장 실내나 장거리 운행 버스, 여객선 등과 같이 일상 생활 중에 늘상 겪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건조 공기에 관한 문제는 전자 기술의 발달에 수반한 초음파 가습기에 의해 해결되고 있다. 그러나 실용화된 초음파 가습기는 그 크기가 휴대하기 불편할 정도로 큰데다가 높은 전압을 요구하므로 일정의 공간을 무작위로 가습하여 주는데에는 적합할지라도 같은 공간에 수용된 사람들중에서 일부 사람에게 선택적으로 가습되도록 하는 용도에는 적합치 못하다. 체질에 따라 가습된 공기를 싫어하는 사람도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비행기나 장거리 버스 등의 실내를 일괄적으로 가습시킨다고 하는 발상은 비현실적으로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의 공간에 수용된 다수의 사람중에서 원하는 사람만이 가습된 호흡을 할 수 있게 하는 가습 마스크를 제공하여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하기에 적합 구조의 가습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객 시트 등의 소정 개소에 고정 설치되어 원하는 승객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가습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는 본 고안의 주된 구성은 솜, 부직포 등으로 된 흡습성 패드가 내부에 수용되고, 그 외부는 물분자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미세 통기공이 뚫려진 방수포로 포장되며 상기 방수포는 양측방에 현수용 밴드가 달린 외피에 의해 포장됨과 아울러 상기 흡습성 패드에는 수분이 상당량 함유된 구성의 가습 마스크로 된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는 본 고안의 다른 주된 구성은 통기공이 상반부에 국한하여 뚫려지고 하반부는 상당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된 방수포에 의해 상기 흡습성 패드가 포장되고, 상기 방수포는 양측방에 현수용 밴드가 달린 외피로 포장되어진 가습 마스크로 된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는 본 고안의 또다른 주된 구성은 주입구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외부로부터 격리되고 내부에 초음파 발생용 피에조부재가 배치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간이 수조를 보유하고, 이 간이수조는 도관을 통하여 흡습성 패드의 내부와 연통된 채로 양측방에 현수 밴드가 달린 외피에 의해 포장됨과 아울러 상기 외피의 내측 일부에는 재충전 배터리가 수납된 가습 마스크로 된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는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은 주입구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외부로부터 격리된 간이 수조가 좌석의 헤드 레스트 내부에서 도관을 통해 초음파 발생용 피에조부재의 일측에 연통되고 타측은 벨로우즈관을 경유하여 상기 헤드 레스트의 외부로 연장되어 안면 피복구로 연통된 가습 마스크로 된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는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은 주입구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외부로부터 격리된 간이 수조가 좌석의 아암 레스트 내부에서 도관을 통해 초음파 발생용 피에조부재의 일측에 연통되고 타측은 벨로우즈관을 경유하여 상기 아암 레스트의 외부로 연장되어 안면 피복구로 연통된 가습 마스크로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휴대형에 적합한 가습 마스크의 정단면도.
도 2는 휴대형 가습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 주는 마스크의 측단면도.
도 3은 휴대형 가습 마스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 주는 마스크의 측단면 도.
도 4는 붙박이형 가습 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용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붙박이형 가습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용 상태의 측면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밴드 4 : 외피
6 : 발수 직포 8 : 흡습성 패드
10 : 통기포 12 : 배터리
14 : 저수통 16 : 바이브레이터
24 : 벨로우즈관
본 고안의 특징적 신규성은 청구범위를 통해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지만 고안의 추가적 목적과 장점 그 자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습 마스크로서 휴대형에 적합한 구조를 묘사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묘사된 가습 마스크는 통상적인 마스크와 같이 직포로 되고 양측변에 현수용 밴드(2)가 봉재된 외피(4)를 구비하고 있다. 외피(4)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는 발수 직포(6)로 피복된 흡습패드(8)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발수 직포(6)는 통풍은 가능하나 물이 통과될 수 없게 되어 있는 직물이며, 이것은 통기성과 방수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스포츠 의류 등의 겉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착용자가 호흡할 때에 발수 직포(6)를 통과하는 공기가 흡습성 패드(8)를 경유하게 됨으로써 가습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 발수 직포(6)의 방수성이 보장되지 않아 누수가 염려되는 경우에는 도 2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수 직포(6)의 하단부 일정 범위로 방수 코팅(7)을 행하여 놓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발수 직포(6)의 하단부가 완전 방수됨으로써 눗의 염려가 어뵤게 되고, 동시에 발수 직포(6)의 직조 눈금을 약간 성글게 하여도 되기 때문에 호흡하기가 한결 힘들지 않게 된다.
그렇지만 상기 실시예의 가습 마스크는 호흡 중의 공기가 세직된 발수 직포(6)를 통과하는 구조이므로 노약자나 유아의 경우에는 호흡하기가 상당히 힘들게 된다.
도 3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한 다른 구조의 가습 마스크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외피(4)의 내부는 3 구역으로 분할된다. 첫째 구역은 통기포(10)에 의해 분할된 공간의 한쪽이며, 여기에는 흡습성 패드(8)가 저장된다.
둘째 공간은 상기 분할된 공간의 다른쪽으로 되고 여기에는 카드상의 배터리(12)가 수납 배치된다. 또 셋째 구역은 상기 흡습성 패드(8)와 배터리(12)의 하부에 설정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저수통(14)이 설치된다. 저수통(14)의 상측은 도관(15)을 통해 상기 흡습성 패드(8)로 연통됨과 아울러 그 내부 하측에는 초음파 발생원으로서 바이브레이터(16)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바이브레이터(16)는 착용자가 마스크의 전면에 노출된 스위치(18)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배터리(12)를 동력원으로 하여 발진되는 것이고, 이러한 발진 작용으로 저수통(14)의 물은 분자 운동을 일으켜 증기화됨에 따라 흡습성 패드(8)로 스며 들고, 또 착용자가호흡할 때에 상기 흡습성 패드(8)로 스며든 증기가 가습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바이브레이터(16)는 작고 발진 효과가 큰 피에조소자를 적용하였다.
또, 배터리(12)는 상기 외피(4)의 일측으로 열려진 통로(20)를 통해 교체할 수 있게 하여 새 배터리로 교환하거나 또는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휴대용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4로 도시한 바와 같이 비행기 등의 좌석에 붙박이 형태로 장착될 수도 있다.
붙박이 형태를 묘사한 도 4의 실시예에서 저수통(14)은 헤드 레스트(22)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통(14)의 하측방에는 바이브레이터(16)가 설치되어서 이를 통과하는 물을 진동시켜 증기화 하게 되어 있고, 또 바이브레이터(16)의 단부는 벨로우즈관(24)을 경유하여 마스크의 외피(4)로 둘러싸인 흡습성 패드(8)로 연통된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26)은 상기 바이브레이터(16)를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착용자가 호흡할 때에 들이 마시는 공기로 충분한 가습이 이루어지는 점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이 실시예는 저수통(14)의 용량이 크므로 장시간에 걸친 가습이 가능하여 장거리 교통수단에 적합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 바이브레이터(16)에 의한 물의 진동으로 증기가 발생되게 하는 것이므로 흡습성 패드(8)를 발수 직포(6)로 피복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쉽게 착용하고 호흡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따라서 노약자나 유아에게도 적용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도 5는 장거리 교통 수단에 적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저수통(14)은 좌석의 아암 레스트(26)에 내장되는 점이 다를 뿐이고, 기본적 구성은 도 4로 예시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저수통(14)을 아암 레스트(28)로 내장시키는 구성은 장시간에 걸친 가습 작용이 가능한 것이므로 기차와 같은 장거리 교통수단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장거리 여행 중에 교통 수단의 실내 공기가 건조하게 되어 겪게 되는 불편을 가습되는 마스크로 완전히 해결하여 호흡기 질환자나 노약자, 유아가 비행기, 버스, 기차 등을 이용하여 장거리 여행할 때에 괴로움을 겪지 않고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솜, 부직포 등으로 된 흡습성 패드(8)가 내부에 수용되고, 그 외부는 물분자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미세 통기공이 뚫려진 발수 직포(6)로 포장됨과 아울러 상기 발수 직포(6)는 양측방에 현수용 밴드(2)가 달린 외피(4)에 의해 피복되고, 상기 흡습성 패드(8)는 상기 발수 직포(6)에 저장되는 물을 함유하고 있게 한 구성의 가습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 직포(6)의 하반부는 방수 코팅에 의해 완전 방수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마스크.
  3. 주입구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외부로부터 격리되고 내부에 바이브레이터(16)가 배치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저수통(14)을 보유하고, 이 저수통(14)은 도관(15)을 통하여 흡습성 패드(8)의 내부와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바이브레이터(16)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2)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의 가습 마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16)는 피에조소자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마스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12)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마스크.
  6. 주입구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외부로부터 격리된 저수통(14)이 교통 수단의 좌석 헤드 레스트(20) 내부에서 도관(15)을 통해 바이브레이터(16)에 연통되고, 상기 바이브레이터(16)는 벨로우즈관(24)을 경유하여 마스크를 구성하는 외피(8)의 내측 흡습 패드(8)로 연통된 구성의 가습 마스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14)은 교통 수단의 좌석 아암 레스트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마스크.
KR2019970028468U 1997-10-14 1997-10-14 가습 마스크 KR199900152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468U KR19990015239U (ko) 1997-10-14 1997-10-14 가습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468U KR19990015239U (ko) 1997-10-14 1997-10-14 가습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239U true KR19990015239U (ko) 1999-05-15

Family

ID=69690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468U KR19990015239U (ko) 1997-10-14 1997-10-14 가습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523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523A (ko) * 2002-06-21 2003-12-31 안병열 온습 마스크
KR102071178B1 (ko) * 2019-05-14 2020-03-02 김동근 다기능 마스크
KR102105699B1 (ko) 2020-01-20 2020-04-28 김대혁 마스크형 수분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523A (ko) * 2002-06-21 2003-12-31 안병열 온습 마스크
KR102071178B1 (ko) * 2019-05-14 2020-03-02 김동근 다기능 마스크
KR102105699B1 (ko) 2020-01-20 2020-04-28 김대혁 마스크형 수분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49896A (en) Personnel isolation and protection systems
US5511541A (en) Warm air mask
US20070044802A1 (en) Filtering and humidifying face mask
US5595173A (en) Rehumidification filter for ventilation mask
US3174300A (en) Personnel isolation and protection systems
JP4740143B2 (ja) 加温体
JP2009511146A (ja) 呼吸用保護具
EP0350914B1 (en) Humidity-retaining mask
JP2001040512A (ja) 冷却服
US4300547A (en) Respirator having means for cooling inhalation air
KR19990015239U (ko) 가습 마스크
US3385293A (en) Closed circuit breathing apparatus
KR20210034377A (ko) 화재 방연 마스크
US4188947A (en) Breathing device having a coolant chamber
EP3363487B1 (en) Silencer and ventilator
JP3685019B2 (ja) 視力改善治療具
KR20050112012A (ko) 휴대용 가습 마스크
JP2005111048A (ja) 空調枕及び水微細化装置とエアサプリメント装置
WO2004058355A1 (en) Device for humidifying nasal and oral cavity
JP3180896U (ja) フェイスマスク
IT9020691A1 (it) Dispositivo biocondizionatore per oggetti, come sedili, divani, indumenti particolari e simili, con superfici suscettibili di entrare in contatto con parti corporee
CN108991625A (zh) 一种冷藏型的清凉口罩
KR102217161B1 (ko) 인형탈
CN110882499B (zh) 一种冷热交换滤芯及口罩
JPH03475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