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149A - Chain tensioner for automatic tension adjustment - Google Patents

Chain tensioner for automatic tension adjus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149A
KR19990015149A KR1019970037061A KR19970037061A KR19990015149A KR 19990015149 A KR19990015149 A KR 19990015149A KR 1019970037061 A KR1019970037061 A KR 1019970037061A KR 19970037061 A KR19970037061 A KR 19970037061A KR 19990015149 A KR19990015149 A KR 19990015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sleeve
oil
groov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0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40464B1 (en
Inventor
신달흔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37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464B1/en
Publication of KR19990015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1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464B1/en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장력 조절용 체인 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무한궤도형상의 체인(2)이 걸려진 구동축(3)의 스프로켓(4)과 피동축(5)의 스프로켓(6)사이에서 실린더헤드(7) 상에 요홈(8)이 형성되면서 이 요홈(8)속에 체인을 지지하는 체인 텐셔너(1)가 삽입되고, 이 체인 텐셔너는 체인과 맞닿아서 체인을 지지하면서 헤드(9)와, 이 헤드의 중앙부위에서 일정한 폭을 갖고서 하방으로 연장된 슬리이브(10), 이 슬리이브와 측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요홈의 측벽과 맞닿게 되는 플랜지, 상기 요홈(8)의 바닥면에 안착되게 설치된 플런져(13), 상기 슬리이브의 바닥면에 형성된 오일구멍을 개폐시키는 체크볼(16)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n tensioner for automatic tension adjustment, comprising: a cylinder head (7) between a sprocket (4) of a drive shaft (3) and a sprocket (6) of a driven shaft (5) on which an endless chain (2) is engaged. The grooves 8 are formed on the chain tensioners 1 for supporting the chains in the grooves 8, and the chain tensioners are in contact with the chains to support the chains. Sleeve 10 extending downwards with a constant width in the central portion, a flange formed laterally with the sleev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groove, installed to be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8 The plunger 13 and the check ball 16 which open and close the oil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aid sleeve are comprised.

이에 따라 체인에 항상 일정한 장력이 걸리도록 하여 원활한 동력전달을 기할 수 있고, 또 체인의 진동과 요동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스프로켓의 파손을 에방하며, 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a constant tension is always applied to the chain, so that power can be smoothly transmitted, and the vibration and fluctuation of the chain can be prevented to improve durability, prevent damage to the sprocket, and improve dynamic characteristics.

Description

자동장력 조절용 체인 텐셔너Chain tensioner for automatic tension adjustment

본 발명은 체인 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체인에 항상 적절한 장력이 유지되도록하고, 체인의 진동과 요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장력 조절용 체인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n tens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n tensioner for automatic tension adjustment, in which a proper tension is always maintained on a chain and effectively prevents vibration and shaking of the chain.

일반적으로 체인은 구동계의 동력을 피동장치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체인을 사용해서 동력을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해 구동계와 피동장치에는 각각 체인이 걸려지는 스프로켓이 장착된다.In general, the chain is widely used as a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drive system to the driven device, and the drive system and the driven device are each equipped with a sprocket on which the chain is hung to smoothly transmit power using such a chain.

그리고 상기와 같은 체인을 사용해서 동력을 전달할 경우에 체인에는 항상 장력이 작용하게되고, 이러한 장력으로 인해 체인을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체인이 초기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늘어지게 되는 데, 체인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 체인에 걸리는 장력이 달라지게 되면서 원활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체인이 진동이나 요동을 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is transmitted using the chain as described above, tension is always applied to the chain, and when the chain is used for a long time due to such tension, the chain does not maintain its initial shape and is stretched. Increasing the tension on the chain will not only ensure a smooth power transmission, but also make the chain vibrate or swing.

상기와 같은 체인동력전달계에서 발생하는 체인의 장력변화를 억제하고 체인의 진동 등을 방지하여 원활한 동력전달을 기하기 위해 종래에도 이른바 체인 텐셔너가 사용되고 있었는 바,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01)의 스프로켓(102)과 종동축(103)의 스프로켓(104)에 각각 무한궤도형상의 체인(105)이 걸려지고,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 사이의 적절한 부위에 체인텐셔너(106)가 장착되어 체인을 지지해주게 되어 있다.The so-called chain tensioner has been used in the past to reduce the tension change of the chain generated in the chain power transmiss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and prevent the vibration of the chain so as to smoothly transmit power,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Similarly, the chain 105 of the endless track is hung on the sprocket 102 of the drive shaft 101 and the sprocket 104 of the driven shaft 103, and the chain tensioner 106 is disposed at an appropriate portion between the drive shaft and the driven shaft. Is fitted to support the chain.

여기서 상기 체인텐셔너(106)는 예컨대 자동차의 엔진에서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실린더헤드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구멍을 갖추고서 스틸재질로 만들어진 4각 블록형상의 몸체(106a)와, 이 몸체에 일체로 부착되면서 체인과 밀접되어 체인을 적절히 지지해주는 고무지지편(106b)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Wherein the chain tensioner 106 is, for example, when used in the engine of the automobile, having a fastening hole for mounting to the cylinder head, a quadrangular block-shaped body (106a) made of steel material, and integrally attached to the body The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rubber support piece 106b in close contact with the chain to properly support the chain.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체인 텐셔너에서는 단순히 체인의 진동만을 억제하여 체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초점을 두고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체인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체인의 요동운동을 제어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체인을 매개로 하느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엔진의 경우에는 캠샤프트 스프로켓이 파괴가 파손되거나 소음의 발생이 심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hain tensioner as described above, it is manufactured to focus on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chain by simply suppressing the vibration of the chain, so that the chain swinging motion cannot be controlled when the chain is long. In addition to the poor power transmission through the chain, the engine had the drawback that the camshaft sprockets were damaged or destroy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체인에 항상 적절한 장력이 유지되도록하여 원활한 동력전달을 도모할수 있고, 체인의 진동과 요동을 억제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로켓의 파손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자동장력 조절용 체인 텐셔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drawbacks, so that the proper tension is always maintained in the chain to facilitate smooth power transmission, and the vibration and fluctuations of the chain can be suppressed to increase durability and improve dynam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in tensioner for automatic tension adjustment to prevent damage to the sprocke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체인 텐셔너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도이고,1 is a schematic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a chain tens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체인 텐셔너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in tens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자동장력 조절용 체인 텐셔너의 설치상태도,Figure 3 is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automatic tension control chain tension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자동장력 조절용 체인 텐셔너의 설치상태도와 그 체인가이드의 사시도,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in guide and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hain tensioner for automatic tension adjus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자동장력 조절용 체인 텐셔너의 설치상태도이다.6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the automatic tension control chain tens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체인 텐셔너 2-체인1-Chain Tensioner 2-Chain

3-구동축 4-스프로켓3-drive shaft 4-sprocket

5-피동축 6-스프로켓5-driven 6-sprockets

7-실린더헤드 8-요홈7-cylinder head 8-recess

9-헤드 10-슬리이브9-head 10-sleeve

11-플랜지 12-홈11-Flange 12-Home

13-플런져 14-리턴스프링13-plunger 14-return spring

15-리턴스프링 16-체크볼15-return spring 16-check ball

17-오일유입구멍 18-오일유출구멍17-Oil Spill Hole 18-Oil Spill Hole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체인과 인접한 실린더헤드에 오일유입구멍과 오일유출구멍을 각각 갖추고서 형성된 요홈과, 상기 체인과 맞닿아서 체인을 지지하는 헤드와, 이 헤드의 중앙부위에서 일정한 폭을 갖고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오일구멍과 연통된 오일구멍을 가진 슬리이브, 이 슬리이브와 측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홈이 형성되게 배열되면서 상기 요홈의 측벽까지 연장된 플랜지, 상기 요홈의 바닥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면서 상단부가 상기 홈속에 삽입되게 설치된 플런져, 상기 슬리이브와 플런져의 선단부가 일정간격(h)을 유지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플랜지의 하단부가 요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H)로 상승된 상태로 유지되게 상기 슬리이브를 지지하는 리턴스프링, 상기 슬리이브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일구멍을 개폐시키기 위해 리턴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된 체크볼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groove formed by having an oil inlet hole and an oil outlet hole in the cylinder head adjacent to the chain, and a head for supporting the chain in contact with the chain, A sleeve having an oil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il hole while having a constant width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extending downwardly, and a flange extending to the side wall of the groove while being arranged to form a groov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leeve in a lateral direction. Plunger is installed to be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while the upper end is inserted into the groov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leeve and the plunger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h) and the bottom of the flange bottom of the groove A return spring for supporting the sleeve so as to be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H) from the surfac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leeve By a return spring parameters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oil hole which is characteristic which is to be provided with structural check ball elastically suppor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에 체인가이드가 끼워지고, 이 체인가이드는 오일유입구멍과 오일유출구멍을 갖추고서 실린더헤드에 형성된 다른 요홈에 삽입된 다른 버킷에 의해 2점부위에서 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고, 또 상기 버킷이 상기 오일유입구멍과 오일유출구멍에 각각 연통되는 오일구멍을 갖추고서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in guide is fitted to the head, the chain guide having an oil inlet hole and an oil outlet hole, supported by a two-point portion by another bucket inserted into another groove formed in the cylinder head. The bucket has an oil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il inlet hole and the oil outlet hole, respectively, and has a structure formed in one bod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체인 텐셔너(1)를 도시한 것인 바, 무한궤도형상의 체인(2)이 걸려진 구동축(3)의 스프로켓(4)과 피동축(5)의 스프로켓(6)사이에 실린더헤드(7) 상에 요홈(8)을 형성시키고, 이 요홈(8)속에 체인을 지지하는 상기 체인 텐셔너(1)가 삽입되어 있다.Figure 3 shows a chain tensio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ocket 4 and the driven shaft 5 of the drive shaft (3) in which the chain 2 of the crawler track A groove 8 is formed on the cylinder head 7 between the sprockets 6, and the chain tensioner 1 for supporting the chain is inserted therein.

즉 체인과 맞닿아서 체인을 지지하면서 헤드(9)는 체인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체적으로 라운드로 형성됨과 더불어 모서리부위도 둥글게 형성되고, 이 헤드의 중앙부위에서 일정한 폭을 갖고서 하방으로 슬리이브(10)가 연장되게 형성되며, 이 슬리이브와 측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플랜지(11)가 형성되어, 이 플랜지와 상기 슬리이브사이에 홈(12)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요홈의 측벽까지 연장되어 요홈의 측벽과 맞닿게 되어 있다.In other words, the head (9) is formed as a whole round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chain while contacting the chain to support the chain, and the corners are also rounded, and the sleeve (9) has a constant width at the center of the head and the sleeve ( 10) is formed to extend, the flange 1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the sleeve, a groove 12 is formed between the flange and the sleeve, the flange to the side wall of the groove It extends and abuts the side wall of the groove.

그리고 상기 요홈(8)의 바닥면에 안착되게 설치된 플런져(13)는 그 상단부가 상기 홈(12) 속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있고, 이 플런져의 안쪽으로 일부가 삽입된 상기 슬리이브는 리턴스프링(14)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이 리턴스프링으로 인해 상기 플랜지의 하단부가 요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H)로 상승된 상태로 유지됨과 더불어 상기 플런져의 선단부와 헤드의 바닥면사이도 일정간격(h)을 두고 유지되어, 체인 텐셔너(1)가 상기 요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로 상기 높이(h) 만큼 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데, 여기서 상기 h는 H보다 작게 되어 있다.And the plunger 13 is installed to be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8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end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2, the sleeve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lunger is return spring It is elastically supported via (14), and the return spring keeps the lower end of the flange raised from the bottom of the groove to a certain height (H) and between the tip of the plunger and the bottom of the head. It is also maintained at a constant interval h so that the chain tensioner 1 can move up and down by the height h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where h is smaller than H.

또 상기 슬리이브의 바닥면에는 오일구멍이 형성되면서 이 오일구멍은 리턴스프링(15)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된 체크볼(16)에 의해 개폐되게 되어 있고, 상기 요홈의 양쪽 측면에는 오일유입구멍(17)과 오일유출구멍(18)이 각기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오일구멍(17,18)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와 슬리이브에 각각 형성된 오일구멍과 연통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n oil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leeve, and the oil hole is opened and closed by a check ball 16 install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through the return spring 15, and oil inflow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roove. Holes 17 and oil outlet holes 18 are formed respectively, and these oil holes 17 and 18 are in communication with oil hol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flange and the sleeve as shown by the arrow.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체인 텐셔너(1)에 의하면, 체인이 이완될 때에는 도 3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이 유입구멍(17)을 통해 슬리이브의 내부로 공급되어 슬리이브 내부가 고압영역이 됨과 더불어 이 오일은 상기 체크볼을 누르고 플러져내부로 유입되게 되며, 또 상기 리턴스프링에 의해 체인 텐셔너 전체가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상기 헤드부가 체인과 밀접되어, 체인의 이완을 방지하고, 체인에 적절한 장력이 유지되게 해준다.According to the chain tensio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hain is relaxed, oil is supplied into the sleeve through the inlet hole 17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As the inside of the sleeve becomes a high pressure region, the oil presses the check ball and flows into the plunger, and the head spring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hain as the entire chain tensioner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return spring. And maintain the proper tension in the chain.

한편 체인에 큰 장력이 걸리 경우에는 플러져 내부가 고압영역이 되면서 상기 체크볼이 닫기게 되어, 체인의 장력을 적절히 유지해주면서 체인의 진동과 요동을 방지해 주게 되고, 상기 오일유입구멍을 통해 유입되어 슬리이브와 플런져를 거친 오일은 상기 오일유출구멍을 통해 적절히 드레인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a large tension is applied to the chain, the inside of the plunger becomes a high pressure region, and the check ball is closed, thereby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chain properly and preventing the vibration and swing of the chain, and flowing through the oil inlet hole. The oil passed through the sleeve and the plunger is properly drained through the oil outlet hole.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체인 텐셔너와 버킷가이드를 도시한 것인 바, 이 2실시예에 따른 체인 텐셔너(20)는 체인과 밀접되는 별도의 체인가이드(21)를 갖추고 있고, 이 체인가이드(21)는 강도가 높고 내마모성이 뛰어난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지며, 양쪽 측벽부에 체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FIGS. 4 and 5 illustrate a chain tensioner and a bucket guid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in tensioner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a separate chain guide 21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hain. The chain guide 21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and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and a locking jaw 22 is formed on both side walls to prevent the chain from being separated.

또 2개의 버킷(23,24)이 상기 체인가이드의 바닥부에 형성된 구멍속에 끼워져 체인가이드를 지지해주게 되어 있는 데, 한쪽 버킷(23)은 상기 1실시예에 따른 버킷과 동일하게 체크볼(16)과 리턴스프링(14), 슬리이브(10)와 플런져(13) 등을 갖추고 있는 반면에 다른쪽 버킷(24)은 단지 하나의 몸체만으로 형성되어 실린더헤드상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어 있다.In addition, two buckets (23, 24) are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chain guide to support the chain guide, one bucket 23 is the same as the bu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heck ball 16 ), Return spring 14, sleeve 10 and plunger 13, etc., while the other bucket 24 is formed with only one body and inserted into a recess formed on the cylinder head.

또 상기 각 버킷의 헤드(25,26)에는 오일구멍이 선단부까지 형성되어, 체인가이드(21)와 헤드의 마찰을 감소시켜주게 되어 있다.In addition, oil holes are formed in the heads 25 and 26 of the buckets up to the tip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chain guide 21 and the head.

상기 2실시예에 따른 체인 텐셔너에 의하면, 상기 1실시예보다 체인을 보다 넓은 영역에서 안정되게 지지하여 원활한 동력전달과 체인의 진동 및 요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hain tens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hain can be stably supported in a wider area than in the first embodiment to prevent smooth power transmission and vibration and shaking of the chain.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체인 텐셔너를 도시한 것인 바, 이 실시예에 따른 체인 텐셔너(30)는 체인가이드(21)를 갖추고서 2점부위에서 체인가이드를 지지하는 방식은 상기 2실시예와 동일하지만, 2개의 버킷(31,32)이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2실시예와 상이하게 되어 있다.Meanwhile, FIG. 6 illustrates a chain tensio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in tensioner 3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chain guide 21 to support the chain guide at two points. Is the same as the second embodiment, but differs from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the two buckets 31 and 32 are configured identically.

즉 각 버킷(31,32)은 실린더헤드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요홈속에 각각 삽입되어 있고, 또 헤드(25)와 슬리이브(10), 플랜지(11), 플런져(13), 체크볼(16) 및 리턴스프링(14)의 구성은 각각 동일할 뿐만 아니라 그 작용도 동일하게 되어 있다.That is, each of the buckets 31 and 32 is inserted into a reces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ylinder head, and the head 25, the sleeve 10, the flange 11, the plunger 13 and the check ball ( 16) and the return springs 14 are not only identical, but also have the same effect.

상기 3실시예에 따른 체인 텐셔너는 상기 1실시예 및 2실시예에 비해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단가도 비싸지게 되지만, 체인의 장력조절과 진동 및 요동방지면에서 보다 뛰어난 작용을 하게 됨은 물론이다.The chain tensio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more complicated in construction and more expensive to manufacture tha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but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chain tensioner has a superior effect in terms of tension control and vibration and shaking of the chain.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장력 조절용 체인 텐셔너에 의하면, 체인에 항상 일정한 장력이 걸리도록 하여 원활한 동력전달을 기할 수 있고, 또 체인의 진동과 요동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스프로켓의 파손을 에방하며, 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hain tensioner for automatic tension adjus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in is always subjected to a constant tension to ensure smooth power transmission, and also prevents vibration and swing of the chain to improve durability and prevent sprocket damage. Ebang, and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ynamic characteristics.

Claims (3)

체인과 인접한 실린더헤드에 오일유입구멍과 오일유출구멍을 각각 갖추고서 형성된 요홈과, 상기 체인과 맞닿아서 체인을 지지하는 헤드와, 이 헤드의 중앙부위에서 일정한 폭을 갖고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오일구멍과 연통된 오일구멍을 가진 슬리이브, 이 슬리이브와 측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홈이 형성되게 배열되면서 상기 요홈의 측벽까지 연장된 플랜지, 상기 요홈의 바닥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면서 상단부가 상기 홈속에 삽입되게 설치된 플런져, 상기 슬리이브와 플런져의 선단부가 일정간격(h)을 유지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플랜지의 하단부가 요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H)로 상승된 상태로 유지되게 상기 슬리이브를 지지하는 리턴스프링, 상기 슬리이브의 바닥면에는 형성되어 있는 오일구멍을 개폐시키기 위해 리턴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된 체크볼을 갖춘 자동장력 조절용 체인 텐셔너.A recess formed with an oil inlet hole and an oil outlet hole in the cylinder head adjacent to the chain, the head supporting the chain in contact with the chain, and extending downward with a constant width at the center of the head. A sleeve having an oil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oil hole, a flange extending to the side wall of the groove while being arranged to form a groov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direction of the sleeve, the upper end is installed to be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Plunger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leeve and the plunger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h) and the lower end of the flange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H)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Return spring supporting the sleeve to open and close the oil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leeve Automatic tension adjusting chain tensioner with the flexible support to be installed, check to see turned into a spring-bor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 체인가이드가 끼워지고, 이 체인가이드는 오일유입구멍과 오일유출구멍을 갖추고서 실린더헤드에 형성된 다른 요홈에 삽입된 다른 버킷에 의해 2점부위에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력 조절용 체인 텐셔너.2. The chain guide of claim 1, wherein the chain guide is fitted to the head, and the chain guide has an oil inlet hole and an oil outlet hole and is supported at two points by another bucket inserted into another groove formed in the cylinder head. Chain tensioner for automatic tension adjustm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이 상기 오일유입구멍과 오일유출구멍에 각각 연통되는 오일구멍을 갖추고서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력 조절용 체인 텐셔너.3. The chain tensioner for automatic tension adjustmen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bucket is formed in one body with oil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oil inflow holes and the oil outflow holes, respectively.
KR1019970037061A 1997-08-02 1997-08-02 Tensioner KR1002404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061A KR100240464B1 (en) 1997-08-02 1997-08-02 Tens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061A KR100240464B1 (en) 1997-08-02 1997-08-02 Tens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149A true KR19990015149A (en) 1999-03-05
KR100240464B1 KR100240464B1 (en) 2000-03-02

Family

ID=1951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061A KR100240464B1 (en) 1997-08-02 1997-08-02 Tens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46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618B1 (en) * 2001-12-18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amper apparatus for chain guide
CN108408337A (en) * 2018-04-08 2018-08-17 意欧斯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automatic chain strai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618B1 (en) * 2001-12-18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amper apparatus for chain guide
CN108408337A (en) * 2018-04-08 2018-08-17 意欧斯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automatic chain str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0464B1 (en) 200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7249B2 (en) Hydraulic tensioner
EP0581219B1 (en) Chain tensioner apparatus
US5653652A (en) Hydraulic tensioning system with dual arm blade
CA2421841C (en) Belt tensioner
US6062998A (en) Shoe for guiding the running of a transmission chain
US5984815A (en) Spring blade tensioner with curved blade ends
US6322470B1 (en) Pivoting dual arm chain tensioner system for contacting multiple chain strands
US5370584A (en) Piston design for removing air from a hydraulic tensioner
CN104145137B (en) Variable-flow hydraulic chain adjuster
CN1965179B (en) Traction mechanis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885179A (en) Hydraulic tensioner with grooved reservoir cover
US6155941A (en) Hydraulic tensioner having a flexible blade arm
KR100240464B1 (en) Tensioner
JPH10292856A (en) Hydraulic tensioner
KR101923657B1 (en) Chain Tensioner
WO2004094864A3 (en) Hydraulic asymmetric damped belt tensioner
US7056246B2 (en) Compliant chain guide with multiple joints
KR101971321B1 (en) Chain guide
KR20120041893A (en) Chain tensioner arm
US20030104891A1 (en) Silent chain
KR100199806B1 (en) Chain damping guide
RU2750157C1 (en) Tensioning device of chain drive
KR0135534Y1 (en) Noise reducing device of camshaft timing chain
KR100369085B1 (en) Reduction device for vibration of timing belt
JPH04219546A (en) Belt for transmitting high lo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