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084U -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084U
KR19990015084U KR2019970028281U KR19970028281U KR19990015084U KR 19990015084 U KR19990015084 U KR 19990015084U KR 2019970028281 U KR2019970028281 U KR 2019970028281U KR 19970028281 U KR19970028281 U KR 19970028281U KR 19990015084 U KR19990015084 U KR 199900150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ltage
amplifier
osd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76961Y1 (ko
Inventor
이현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28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961Y1/ko
Publication of KR199900150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0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9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7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more than one sound signal, e.g. stereo, multi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무신호시 음성다중방송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칼라 킬러부로부터 발생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일정레벨 이하인 때,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OSD 화면에 경고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검출기능, 칼라 킬러전압 검출기능 및 OSD 기능을 활용하여 입력신호가 무신호로 인해 음성다중방송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칼라 방송수신시 색재생부내의 칼라 킬러부에서 양호한 화상의 재현을 위해 발생되는 전압을 판별하여 텔레비전의 화면상에 상기 무신호시 경고메시지를 표시하는 OSD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시청자로 하여금 신속하게 다른 방송채널을 선국하도록 함과 동시에 텔레비전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
본 고안은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무신호시 음성다중방송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칼라 킬러부로부터 발생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일정레벨 이하인 때,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텔레비전의 화면상에 경고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다중방식은 주파수가 서로 다른 2개의 전파를 이용하는 투 캐리어(TWO CARRIER) 방식, 즉 영상전파, 영상전파보다 4.5MHZ높은 음성전파 및 영상전파보다 4.7242MHZ높은 또다른 음성전파를 동시에 발사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 음성다중방송을 하는 경우로는 FM 스테레오 방송과 같이 스테레오 방송을 하는 경우 및 한국어와 외국어를 동시에 방송(뉴스, 외국영화 등)하는 경우가 있으며, 상기 스테레오 방송을 하는 경우에는 제 1음성반송파에 좌/우 신호를 합한 신호(L+R=MONO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 송신하고, 제 2반송파에는 좌/우 차신호(L-R신호) 및 자동인식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 송신하고 있다.
여기서, 자동인식신호(IDENTIFICATION SIGNAL)는 수신측에서 스테레오 방송을 하고 있는지 아니면 두 개의 음성다중방송을 하고 있는지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해서 수직귀선기간마다 보내어지는 신호(FM 스테레오 방송에서 파일럿 신호에 상응하는 신호)로서, 상기 자동인식신호는 스테레오 방송을 할 경우 55.07KHZ(수평동기신호 주파수의 3.5배)를 부반송파(SUB-CARRIER)로 이것을 149.9HZ(수평동기신호 주파수의 1/105)로 50% 진폭변조한 신호이며, 두 개의 음성다중방송을 하는 경우에는 55.07KHZ를 276.0HZ(수평동기신호 주파수의 1/57)로서 50% 진폭변조한 신호이다.
또한, 제 1음성전파 및 제 2음성전파의 주파수 편이분은 ±25KHZ이지만 제 2음성전파의 경우는 자동인식신호 ±2.5KHZ가 더 부가되므로 ±27.5KHZ가 되며, 상기 자동인식신호 등이 수평동기신호(15734.26HZ)와 일정한 관계가 있는 특정주파수로 지정해두는 이유는 송수신 과정에서 영상신호와 색부반송파, 및 음성반송파와 동기신호들 간에 상호간섭이 일어서 영상신호에 악영향을 주거나 음성채널 간에 누화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최소화하고, 대역폭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음성다중방송에서 무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음성에 노이즈가 삽입되거나 화면에 노이즈가 끼게 되는 등 출력상태가 양호하지 못하여 정상적인 음성다중방송이 출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검출기능, 칼라 킬러전압 검출기능 및 OSD 기능을 활용하여 입력신호가 무신호로 인해 음성다중방송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칼라 방송수신시 색재생부내의 칼라 킬러부로부터 발생되는 전압을 판별하여 텔레비전의 화면상에 상기 무신호시 경고메시지를 표시하는 OSD 화면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인 색재생부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의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안테나 110 : 튜너회로부
120 : IF증폭부 130 : 영상검파부
140 : 제 2필터 150 : 제 2음성복조부
160 : 인식신호검출부 170 : 스위치부
180 : 제 2증폭부 190 : 메트릭스 회로부
200 : 제 1필터 210 : 제 1음성복조부
220 : 제 1증폭부 230 : 마이컴
240 : 신호검출부 250 : 영상증폭부
260 : 전압검출부 270 : OSD 구동부
281 : 제 1대역증폭부 282 : 제 2대역증폭부
283 : ACC부 284 : 색동기부
285 : 칼라 킬러부 286 : 복조부
287 : 출력부 290 : CRT 구동부
300 : C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면서 상기의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은 안테나(100)를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중에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선국된 채널의 영상신호를 고주파 증폭처리함과 더불어 채널이 선국되므로써 발진되는 발진주파수와 혼합하여 증폭하기 쉬운 중간주파수로 변환한 후 증폭하여 복합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튜너부(110)와, 상기 튜너부(110)로부터 인가되는 복합영상신호를 중간주파증폭하는 IF증폭부(120)와, 상기 IF증폭부(120)로부터 중간주파증폭되어 인가되는 중간주파신호를 AM검파하여 영상신호, 제 1음성신호(4.5MHZ의 FM파) 및 제 2음성신호(4.7242MHZ의 FM파)가 혼합된 복합신호를 뽑아내는 영상검파부(130)와, 상기 영상검파부(130)로부터 인가되는 복합신호 중에서 4.5MHZ의 제 1음성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 1필터(200)와, 상기 제 1필터(200)로부터 4.5MHZ의 FM신호를 인가받아 제 1음성신호(50-15000HZ의 저주파신호)를 꺼내는 제 1음성복조부(210)와, 상기 제 1음성복조부(210)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저주파신호를 증폭시키는 제 1증폭부(220)와, 상기 영상검파부(130)로부터 인가되는 복합신호 중에서 4.7242MHZ의 제 2음성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 2필터(140)와, 상기 제 2필터(140)로부터 4.7242MHZ의 FM신호를 인가받아 제 2음성신호(50-15000HZ의 저주파신호)를 꺼내는 제 2음성복조부(150)와, 상기 제 2음성복조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저주파신호를 증폭시키는 제 2증폭부(180)와, 상기 제 2음성복조부(150)에 포함되어 있는 자동인식신호를 AM검파하여 인식신호를 꺼내는 인식신호 검출부(160)와, 상기 제 1증폭부(220) 및 제 2증폭부(180)로부터 제 1음성신호(L+R신호) 및 제 2음성신호(L-R신호)를 인가받아 동위상으로 합성(가산)하거나 역위상으로 합성(감산)하여 L신호 및 R신호를 분리해내는 메트릭스 회로부(190)와, 상기 인식신호 검출부(160)로부터 인가되는 제 1인식신호의 주파수가 149.9HZ일 경우 상기 메트릭스 회로부(190)에서 인가되는 스테레오 출력이 통과해 나가도록 하는 한편, 상기 인식신호 검출부(160)로부터 인가되는 제 2인식신호의 주파수가 276HZ일 경우 상기 메트릭스 회로부(190)를 통과하지 않고 출력되도록 회로를 변경시키는 스위치부(170)와, 상기 IF증폭부(120)로부터 입력신호를 검출하여 마이컴(230)에 인가하는 신호검출부(240)와, 상기 영상검파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 및 휘도신호를 증폭하는 영상증폭부(250)와, 상기 영상증폭부(250)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에서 원래의 색차신호를 만들어 내어 CRT(3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증폭하여 CRT구동부(290)에 인가하는 한편, 상기 OSD구동부(270)로부터 OSD RGB신호를 인가받아 처리하는 색재생부(280)와, 상기 색재생부(130)로부터 발생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마이컴(230)에 인가하는 전압검출부(260)와, 상기 마이컴(230)으로부터 OSD구동제어신호를 인가받아 OSD RGB신호를 출력하는 OSD구동부(270)와, 상기 신호검출부(240) 및 전압검출부(260)로부터 검출된 신호 및 전압을 각각 인가받은 후, 상기 OSD구동부(270)에 OSD 구동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마이컴(23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안테나(100)를 통해 수신되는 전파는 튜너부(110)에 의해 선별적으로 선택된 후, 증폭하기쉬운 중간주파수로 변환되어 IF증폭부(120)에 의해 중간주파증폭되어 영상검파부(130)에 출력된다. 상기 영상검파부(130)는 IF증폭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중간주파신호를 AM검파함으로써 영상신호, 제 1음성신호 및 제 2음성신호가 혼합된 복합신호를 얻어내어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영상검파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제 1음성신호인 4.5MHZ의 FM신호에는 스테레오 방송을 하는 경우 L+R(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를 합성한 신호)가 들어있게 되고, 두 개의 음성방송(한국어와 외국어)을 하는 경우에는 한국어가 들어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음성신호인 4.7242MHZ의 FM신호에는 상기 스테레오 방송을 하는 경우 L-R신호가 들어있게 되고, 상기 2개국어 방송을 하는 경우 외국어와 인식신호가 들어있게 되며, 모노(MONO)방송을 하는 경우 인식신호는 0HZ로 된다.
또한, 상기 영상검파부(130)로부터 출력되는 복합신호에는 제 1음성신호 및 제 2음성신호가 혼합되어 있어 제 1필터(200)를 통해서는 상기 제 1음성신호만이 통과되고, 제 2필터(140)를 통해서는 상기 제 2음성신호만이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 1필터(200)로부터 출력되는 제 1음성신호는 제 1음성복조부(210)에 의해 제 1저주파 음성신호가 꺼내어지게 되고, 상기 제 2필터(140)로부터 출력된는 제 2음성신호는 제 2음성복조부(150)에 의해 제 2저주파 음성신호가 꺼내어지게 되어 제 1증폭부(220) 및 제 2증폭부(180)를 통하여 증폭되어 메트릭스 회로부(190)에 출력된다. 상기 메트릭스 회로부(190)는 상기 제 1증폭부(220) 및 제 2증폭부(180)로부터 증폭되어 인가되는 제 1음성신호와 제 2음성신호를 가산 및 감산하여 L신호(좌측 신호) 및 R신호(우측 신호)로 분리해내게 된다. 상기 분리되는 L신호 및 R신호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제 2음성복조부(150)와 제 2증폭부(180)의 사이에는 인식신호 검출부(160)가 접속되어 제 2음성복조부(150)로부터 인식신호를 검출하여 스위치부(170)에 출력하게 되며, 상기 스위치부(170)는 인식신호 검출부(16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제 1인식신호일 경우 상기 메트릭스 회로부(190)에서 인가되는 스테레오 출력이 통과해 나가도록 하는 한편, 상기 인식신호 검출부(16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제 2인식신호일 경우 상기 메트릭스 회로부(190)를 통과하지 않고 출력되도록 회로가 변경되도록 한다.
한편, IF증폭부(120)에 접속된 신호검출부(240)는 상기 IF증폭부(120)로부터 출력되는 무신호를 검출하여 마이컴(230)에 인가하게 되고, 상기 신호검출부(240)로부터 무신호를 인가받은 상기 마이컴(230)은 색재생부(280)에 접속된 전압검출부(250)가 상기 색재생부(280)로부터 검출하여 인가하는 전압을 판별하게 된다. 즉, 상기 색재생부(280)내의 칼라 킬러부(286)는 칼라 방송수신시에 적당한 직류전압을 만들어 내어 제 2대역증폭부(283)에 가해 동작시키게 되고, 이 때 측정되는 전압은 약 3.8V가 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컴(230)은 전압검출부(260)가 인가하는 전압을 근거로 유신호 및 무신호를 판별하고, 상기 인가된 전압이 3.8V가 아닌 경우 무신호로 판단하여 OSD구동부(270)에 OSD 구동제어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상기 마이컴(230)으로부터 OSD 구동제어신호를 인가받은 OSD구동부(270)는 OSD RGB신호를 상기 색재생부(280)에 인가하므로써 텔레비전의 화면에 무신호임을 경고하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인 색재생부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상기 색재생부(280)는 영상신호에 포함되는 반송 색신호 성분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 증폭하는 제 1대역증폭부(282) 및 제 2대역증폭부(283)로 이루어지는 대역증폭부(281)와, 색도 신호의 검출에 필요한 색부반송파를 발생시키는 색동기부(285)와, 흑백 방송수신 때에 상기 제 2대역증폭부(283)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칼러 킬러부(286)와, 상기 제 1대역증폭부(282)의 이득을 자동제어하는 ACC부(284)와, 상기 색부반송파를 사용하여 반송색신호에서 색도 신호를 검출하는 복조부(287)와, 상기 복조부(287)로부터 색도신호를 인가받아 출력하는 한편, OSD구동부(270)로부터 OSD RGB신호를 인가받아 처리하는 출력부(288)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색재생부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텔레비전의 화면에 구현되는 색체 정보는 칼라 텔레비전 신호의 3.58±0.5MHZ의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색재생부(280)에는 상기 주파수 대역만의 신호가 필요로 되며,상기 대역증폭부(281)가 상기 3.58±0.5MHZ의 주파수 대역만을 선택 증폭하여 색동기부(285) 및 복조부(287)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색동기부(285)는 대역증폭부(281)로부터 인가되는 반송색신호에서, 원래의 색차신호로 되돌리기 위해 수평동기신호의 백 포오치에 삽입되어 있는 버어스트 신호를 뽑아내고, 상기 버어스트 신호와 일정한 위상차를 유지하는 3.58MHZ의 연속파인 색부반송파를 만들어 복조부(287)에 출력하게 되고, 상기 ACC부(284)는 대역증폭부(281)를 통해 색동기부(285)에서 검출한 버어스트 신호의 진폭에 의해 제 1대역증폭부(282)의 이득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ACC부(284)는 수신 전파의 변동 및 안테나의 부정합에서 휘도신호와 반송색신호의 레벨차가 변동하여 화면의 포화도가 불규칙하게 변화하거나, 채널의 교체로 포화도만이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제 1대역증폭부(282)의 이득을 자동조정함으로써 상기 복조부(287)에 가하는 반송색신호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칼러 킬러부(286)는 색동기부(285)로부터 버어스트 신호를 인가받아 제 2대역증폭부(283)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칼러 킬러부(286)는 흑백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색재생부(280)가 동작하게 되면 휘도신호의 3.5MHZ성분 및 잡음 성분이 상기 색재생부(280)에 혼입되어 흑백 화상에 색잡음이 생기게 되고, 칼러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이외에는 상기 제 2대역증폭부(283)의 동작을 차단시킴으로써 화상의 잡음을 소거시키게 된다.
상기 복조부(287)는 대역증폭부(281)로부터 인가되는 반송색신호를 상기 색동기부(285)로부터 인가받은 색부반송파를 가지고 복조하여 CRT(300)에 필요로 되는 3개의 색차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288)는 영상증폭부(250)와 색재생부(280)에서 각각 증폭된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를 가산하여 빨강, 녹색, 파랑의 3가지 원색신호로 든 후, CRT 구동부(290)에 필요한 크기까지 증폭하는 한편, 상기 OSD구동부(270)로 부터 OSD RGB신호를 인가받아 증폭 및 처리하여 텔레비전의 화면상에 OSD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어, 도 3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를 나타낸 흐름도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텔레비전의 전원이 온절환되는 단계(S10)와, 상기 전원 온절환단계(S10)에서 채널이 선국되는 단계(S20)와, 상기 채널선국단계(S20)에서 음성다중 방송채널이 선국되어 음성다중 방송이 출력되는 단계(S30)와, 상기 음성다중방송 출력단계(S30)에서 상기 IF증폭부(120)로부터 무신호가 검출되어 상기 마이컴(230)에 인가되어 확인되는 단계(S40)와, 상기 무신호 확인단계(S40)에서 무신호가 확인된 후 상기 음성다중방송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단계(S50)와, 상기 오동작 발생단계(S50)에서 상기 전압검출부(260)에 의해 색재생부(280)내의 칼라 킬러부(286)로부터 발생되는 전압이 검출되어 그 유/무가 판별되는 단계(S60)와, 상기 전압 유/무 판별단계(S60)에서 검출된 전압이 없는 경우 상기 마이컴(230)이 OSD구동부(270)에 OSD 구동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단계(S70)와, 상기 제어신호 인가단계(S70)에서 OSD구동부(270)가 상기 마이컴(230)으로부터 OSD 구동제어신호를 인가받아 OSD RGB신호를 상기 색재생부(280)에 출력함으로써 텔레비전의 화면상에 무신호 경고메시지가 출력되는 단계(S80)와, 상기 전압 유/무 판별단계(S60)에서 검출된 전압이 있는 경우 정상적인 음성다중방송의 출력을 위하여 상기의 채널선국을 반복실행하는 단계(S20)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텔레비전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입력신호가 무신호로 인해 음성다중방송의 오동작이 발생되는 경우, 칼라 방송수신시 색재생부내의 칼라 킬러부에서 양호한 화상의 재현을 위해 발생되는 전압이 검출되고, 상기 검출된 전압이 일정레벨 이하로 판별될 때, OSD구동부가 동작되도록 하여 텔레비전의 화면상에 상기 무신호 경고메시지를 표시하는 OSD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시청자로 하여금 신속하게 다른 방송채널을 선국하도록 하고, 텔레비전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안테나(100)를 통해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회로부(110)와,
    상기 튜너회로부(110)로부터 인가되는 복합영상신호를 중간주파증폭하는 IF증폭부(120) 및 상기 IF증폭부(120)로부터 중간주파증폭되어 인가되는 중간주파신호를 AM검파하여 영상신호, 제 1음성신호 및 제 2음성신호가 혼합된 복합신호를 뽑아내는 영상검파부(130)와,
    상기 영상검파부(130)로부터 인가되는 복합신호중에서 제1음성신호 및 제2음성신호만을 각각 통과시키는 제1필터(200) 및 제2필터(140)와,
    상기 제 1필터(200) 및 제 2필터(140)로부터 제 1 및 제 2의 FM신호를 인가받아 제 1음성신호 및 제 2음성신호를 각각 꺼내는 제 1음성복조부(210) 및 제 2음성복조부(150)와,
    상기 제 1음성복조부(210) 및 제 2음성복조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저주파신호를 각각 증폭시키는 제 1증폭부(220) 및 제 2증폭부(180) 및 상기 제 2음성복조부(150)에 포함되어 있는 자동인식신호를 AM검파하여 인식신호를 꺼내는 인식신호 검출부(160)와,
    상기 제 1증폭부(220) 및 제 2증폭부(180)로부터 제 1음성신호(L+R신호) 및 제 2음성신호(L-R신호)를 인가받아 동위상으로 합성(가산)하거나 역위상으로 합성(감산)하여 L신호 및 R신호를 분리해내는 메트릭스 회로부(190)와,
    상기 인식신호 검출부(16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제 1인식신호일 경우 상기 메트릭스 회로부(190)에서 인가되는 스테레오 출력이 통과해 나가도록 하는 한편, 상기 인식신호 검출부(16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제 2인식신호일 경우 상기 메트릭스 회로부(190)를 통과하지 않고 출력되도록 회로를 변경시키는 스위치부(170)와,
    상기 IF증폭부(120)로부터 입력신호를 검출하여 마이컴(230)에 인가하는 신호검출부(240) 및 상기 영상검파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 및 휘도신호를 증폭하는 영상증폭부(250) 및 상기 마이컴(230)으로부터 OSD구동제어신호를 인가받아 OSD RGB신호를 출력하는 OSD구동부(270)와,
    상기 영상증폭부(250)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에서 원래의 색차신호를 만들어 CRT구동부(290)에 인가하고, 상기 OSD구동부(270)로부터 OSD RGB신호를 인가받아 처리하는 색재생부(280) 및 상기 색재생부(280)로부터 발생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마이컴(230)에 인가하는 전압검출부(260)와,
    상기 전압검출부(260)로부터 검출된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OSD구동부(270)에 OSD 구동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마이컴(230)으로 이루어지는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검출부(260)는 칼라 킬러부(285)로부터 검출되는 전압이 3.8V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마이컴(230)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230)은 전압검출부(26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이 3.8V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OSD구동부(270)에 OSD 구동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
KR2019970028281U 1997-10-11 1997-10-11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 KR2001769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281U KR200176961Y1 (ko) 1997-10-11 1997-10-11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281U KR200176961Y1 (ko) 1997-10-11 1997-10-11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084U true KR19990015084U (ko) 1999-05-15
KR200176961Y1 KR200176961Y1 (ko) 2000-04-15

Family

ID=19511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281U KR200176961Y1 (ko) 1997-10-11 1997-10-11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9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842A (ko) * 2004-10-26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842A (ko) * 2004-10-26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961Y1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8713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o prevent or limit user adjustment of displayed image quality
US5075766A (en) Television on-screen character display system with provisions for edging characters
JPH0775015A (ja) テレビチャンネル切換装置
JP2995029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176961Y1 (ko)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
KR200176962Y1 (ko) 동기신호 및 자동이득제어전압 검출통한 약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
KR0139229B1 (ko) 국가코드를 이용한 멀티텔레비전의 방송시청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tellite broadcasting of multi-television by using country code)
KR20000028048A (ko) 티 브이의 화면 조정장치 및 그 방법
KR0181017B1 (ko) 텔레비전수상기의 vcr 플레이시 채널자동절환방법
KR19980047372A (ko) 외부기기 상태 알림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및 외부기기 상태 알림방법
KR950006450B1 (ko) 위성방송수신기
JP2002044561A (ja) テレビ/ラジオ受信装置
KR100245120B1 (ko) 강신호시 채널스킵 방지 방법
KR970011506B1 (ko) 방송프로그램에 따른 tv의 영상 조정 시스템
KR19990036100U (ko) 휴대용 텔레비전의 자동채널 선국장치
KR19990041600A (ko) 텔레비전의 과변조 제어장치
KR960007681B1 (ko) 텔레비젼을 이용한 무드라이트 장치
KR19980041547A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의 색상 및 휘도 자동조정방법
KR19990054239A (ko) 3시스템 절환시 영상차단 장치 및 방법
KR19990031458A (ko) 주,부화면의 스테레오/모노 차별 표시방법
KR19990026547U (ko) 텔레비전의 자막과 osd의 중첩출력 방지장치
JPH07107406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9990025599A (ko) 텔레비전의 영상/자막 편집 시스템
KR19980047377A (ko) 방송국 서치기능을 갖는 텔레비젼의 방송국 서치방법
KR19990028824U (ko) 텔레비젼의 무신호시 화면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