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810A - 방사소자간의 위상차조정이 가능한 2개의 방사소자를 갖춘안테나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소자간의 위상차조정이 가능한 2개의 방사소자를 갖춘안테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810A
KR19990014810A KR1019970708154A KR19970708154A KR19990014810A KR 19990014810 A KR19990014810 A KR 19990014810A KR 1019970708154 A KR1019970708154 A KR 1019970708154A KR 19970708154 A KR19970708154 A KR 19970708154A KR 19990014810 A KR19990014810 A KR 19990014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device
transmission line
impedance
radiating
radiating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리아스마리오
존슨스테판
휘톨드 엠. 발라웨더
Original Assignee
토르스텐 괴르젤
알곤에이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03983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1481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토르스텐 괴르젤, 알곤에이비이 filed Critical 토르스텐 괴르젤
Publication of KR19990014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81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8Conical, cylindrical, cage, strip, gauze, or like elements having an extended radiating surface; Elements comprising two conical surfaces having collinear axes and adjacent apices and fed by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 H01Q9/285Planar dip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안테나장치는, 제 1특성 임피던스 Z1을 가지며 제 1전송라인에 연결되는 쌍 및 큰 방사기를 포함한다. 각 쌍은 적어도 제 1 및 제 2방사소자(1, 2) 및 제 1 및 제 2방사소자에 대한 제 1 및 제 2임피던스 트랜스포머(3, 4)를 포함한다. 각 트랜스포머의 한 측면은 각 소자에 연결되어 있다. 다른 측면은 결합된 임피던스로 제 2전송라인(8)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제 2전송라인은 제 1특성 임피던스 Z1의 2배와 같은 저항성의 제 1임피던스 R1을 가진다. 제 1전송라인과 제 2전송라인간의 연결은 많은 가능한 접속점(9) 가운데 선택된 1곳에서 이루어진다. 선택된 접속점은 상기 제 1 및 제 2방사소자간의 단일 위상차를 결정한다.

Description

방사소자간의 위상차조정이 가능한 2개의 방사소자를 갖춘 안테나장치
지향성 빔 안테나장치 즉 셀룰러 텔레폰시스템에 있어서, 조정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거나 혹은 특정한 빔방향 또는 기울기를 미리 세트하여, 방사된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발생한 방사를 효과적으로 수용한다. 안테나수단의 기계적/기하학적 조정능력은 종래의 기술에 공지되어 있으나, 다중방사 안테나장치의 경우에 있어서는, 전기적 조정능력이 안테나장치의 확실한 장착에 더 적합하다. 그러나,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종래기술의 장치는 디자인이 복잡하고, 안테나장치의 조립이나 제조에 있어 작은 변형이 있을 수 있다. 전기적으로 조정가능한 빔 안테나장치는 일본 특허출원번호 63-134241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어레이에서 다른 방사소자로 피드라인(feed line)에 딜레이(delay)를 변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신호위상차조정이 가능한 방사소자(radiating element)의 그룹 또는 2개의 방사소자를 갖춘 무선통신 안테나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위상차를 조정할 수 있는 지향성 방사빔(radiating beam)을 만들기 위해 상호작용하는 방사소자의 그룹 혹은 2개의 방사소자를 가지는 안테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방향성 또는 360°방사소자로부터 빔을 돌리는데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2개의 방사쌍극소자의 그룹, 발룬수단, 임피던스 트랜스포머, 및 제 2전송라인을 포함하고, 형성된 2개의 금속판소자로부터 형성된 제 1전송라인에 연결되고 접지면(도시되지 않음)상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장치의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안테나장치의 제 1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장착된 안테나장치상의 접지면을 나타내는 도 1의 안테나장치의 제 2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접지면, 임피던스 트랜스포머, 제 2전송라인 및 상기 접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병렬로 놓인 기판상의 2개의 방사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패치소자를 포함하여 제 1전송라인에 연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안테나장치의 절단부 및 부분 확대부를 나타내는 원근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청구항 1의 서두에 따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에 의해, 전기적 조정능력이 달성되고, 연결되는 케이블/피드 전송라인의 수 및/또는 길이가 감소된다. 뿐만 아니라, 케이블수의 감소는 일반적으로 필요한 변압기 하우징의 수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자의 집적화에 의해 안테나장치의 소자의 수를 줄이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기계적으로 견고하고 전기적으로 안정된 안테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다른 파라메타 및 성능을 가진 다양한 안테나구성과 결합할 수 있는 모듈러 안테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부품의 선택 및 교체에 있어서 매우 조심해야 하는 고주파 또는 초고주파에서 동작하는 무선통신, 즉 셀룰러 텔레폰 시스템에 적합한 안테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특징이 조합된 안테나장치는 종래기술의 안테나장치보다 재료, 공정, 조립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또 다른 목적은 종속 청구항의 특징부에 따른 안테나장치에 도달하는 것이다. 실제적으로 종래기술의 안테나장치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장치에 의하면, 피드 전송라인의 수 및 길이가 반감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상세한 설명이 아래에 언급되고 설명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또는 제 2방사소자 각각은 1개 이상의 방사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각 제 1 및 제 2방사수단은 방사수단의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룹의 방사소자에 있어서, 신호는 각각의 위상이 있지만, 여러가지 상호작용 효과에 의하여 위상이 다를 수 있다.
1개의 제 1방사소자 및 1개의 제 2방사소자 또는 소자그룹을 가지는 것처럼 기술되어 있지만, 2개 또는 그 이상의 본 발명의 안테나장치 또는 다른 방사소자를 정렬하여, 더 긴 범위의 더욱 집중된 방사빔을 만드는 상호작용을 얻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다. 다중방사 안테나장치를 정렬하는 원리는 공지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안테나장치는 상술된 바와 같이, 월등히 개선된 것이다.
안테나장치는, 공지된 기술로서, 제 1전송라인을 매개로 무선전송 및/또는 수신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제 1전송라인 및 제 2전송라인간의 연결은 본 발명의 안테나장치에 있어 중요하다. 제 1전송은 제 2전송라인의 특성 임피던스의 반을 가지기 때문에, 이 연결은 대체로 순수한 전류분할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 1전송라인에서 접속점까지의 신호전달의 에너지는, 제 2전송라인에 접속점으로부터 각 방향으로 전달하는 에너지의 반으로 동등하게 나누어져 있고, 그 역으로도 마찬가지이다.
이것은, 접속점의 선택이 접속점으로부터 각각의 방사소자(또는, 방사소자의 그룹)로 신호패스의 길이에 대체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암시한다. 명백히, 제 2전송라인상의 접속점의 위치 및 방사소자의 신호위상간의 위상차 사이는 선형의 관계가 있다.
제 1 및 제 2방사소자간에 가능한 큰 위상차를 얻기 위해, 제 1전송라인에 대한 연결점은, 대체로 일정하고 저항특성의 임피던스를 가지는 제 2전송라인의 바깥부분이 선택될 수 있다. 매칭(matching), 위상 및 전원분리특성은 그 부분의 외부에서 변화되고, 방사소자중 한 개의 방향에서, 접속점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다소 안테나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금속판 접지면으로 된 전도성 접지수단은, 제 1 및 제 2방사소자에 관한 소정의 전위 및 위치를 가지며, 방사소자가 명확한 빔방향 및 방사소자 임피던스특성을 가지도록 한다.
제 2전송라인의 임피던스의 어디에나 적용될 수 있는 발룬(balun)수단의 결합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임피던스 전송수단은 방사소자의 임피던스매칭을 수행한다.
각 임피던스 트랜스포머는, 유연하고 상기 전도성 접지수단의 일부로 형성되는 제 1세선형 도전소자 및 확장됨에 따라 다른 특성임피던스를 가지는 제한부와 함께 상기 도전소자로부터 분리되며 나란히 병렬로 확장되는 제 2세선형 도전소자에 의해 형성된다.
제 2도전소자는, 특성임피던스의 변화를 얻기 위해, 2개의 인접한 부분사이에 단면영역에서의 스텝을 구비한다. 특성임피던스의 변화는 도전소자간의 유전체의 변화를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제 2도전소자는, 특성임피던스의 변화를 얻기 위해 2개의 인접한 부분사이의 단면영역에서의 스텝을 구비할 수 있다.
제 2전송라인은, 휘어짐이 가능하고 상기 도전접지수단의 일부로 형성되는 제 3세선형 도전소자 및 상기 도전소자로부터 분리되고 나란히 또는 병렬인 제 4세선형 도전소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 2전송라인은, 제 1전송라인의 한 개의 컨덕터를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제 1전송라인에 수직인 평면에 둥근형의 패스를 가질 수 있다.
안테나장치의 방사소자 또는 안테나장치의 그룹은, 중심에서 중심으로의 거리가 대략 한파장 또는 그 이하(전술한 값의 범위인 0.9∼1.0파장)인 영역인 평면 및 수직인 매트릭스에서 정렬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방사소자, 제 1 및 제 2트랜스포머, 및 제 2전송라인은 도전접지수단상에 설치된 1개 구조의 유니트(unit)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임피던스 트랜스포머의 제 1 및 제 3연결수단은 제 1 및 제 2발룬수단을 경유하여 제 1 및 제 2방사소자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방사소자 및/또는 세선형 도전소자는 단일 금속판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방사소자 사이의 신호에 있어서, 소정의 위상차를 주는 각 접속점의 가능한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가 제 2전송에 제공된다.
제 2전송라인은, 파장의 1/8 또는 그 이하의 전기적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방사소자는 분극 또는 위상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관련하여, 안테나장치는, 위상이 공급되고 반파장보다 작게 분리되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제 1방사 2극 안테나수단(1)과, 위상이 공급되고 중심과 중심의 거리를 대략 반파장으로 하여 제 1방사소자(1)중 각 1개에 대하여 전위되어 정렬되는 2개의 제 2방사 2극 안테나수단(2)을 구비한다.
각 2극 안테나(1, 2)는 대략 반파장의 길이를 가지고 대략 1/4 파장의 간격으로 도전 접지면(5)에 병렬로 놓여져 있다.
제 1 및 제 2방사소자(1, 2)는, 제 1 및 제 2발룬수단(12, 14, 13, 15)을 각각 매개로 하여 제 1 및 제 2임피던스 트랜스포머(3, 4)로부터 공급된다. 제 1 및 제 2임피던스 트랜스포머는 제 2전송라인(8)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2극 안테나(1, 2), 발룬수단의 부품(14, 15), 및 임피던스 트랜스포머(3, 4)의 단일 접지도전체 및 제 2전송라인(8)은 안테나장치의 바탕부을 구성하는 1개의 제 1금속판으로부터 천공되어 형성된다. 이 바탕부는, 반파장보다 작게 분리되는 인접한 전기적 접속점에 대하여 나사와 너트로 리플렉터(reflector ; 5)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아래로 돌출된 혹(wart ; 6)에 의해 제공된다.
발룬수단의 부품(12, 13), 임피던스 트랜스포머(3, 4)의 신호전송부품 및 제 2전송라인(8)은, 바탕부의 하부에 고정된 안테나장치의 상부로 구성된 제 2금속판에 의해 형성되고, 비도전체의 고정수단(17)에 의해 바탕부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병렬로 놓여지며, 도전체의 고정수단으로 발룬수단에 고정된다. 대량생산되기 위해 제 2의 판은 펀칭(punching)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임피던스 트랜스포머(3, 4)의 상부는 스텝(18, 19)에서 변화하는 폭을 가진다. 이러한 변화는 부분적인 특성 임피던스의 차이를 제공하며, 안테나에 연결된 발룬수단과 100Ω의 특성 임피던스를 가지는 제 2전송라인(8)간에 효과적인 임피던스결합을 제공한다. 안테나수단에 연결된 제 1전송라인(도시되지 않음)은 50Ω의 동축케이블이다. 이 동축케이블은 바탕부내의 슬롯(slot ; 7)의 어떤 지점에 접지되고 고정될 수 있는 접지 및 고정블록(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된다. 원하는 위상차의 선택을 유도하기 위해 제 2전송라인(8)상에 마크(mark ; 9)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형태의 안테나장치는 동일한 접지면(리플렉터)상에 정방형으로 더 정렬되어 서로 상호작용하는 방법으로 제 1안테나장치의 방사기와 상호작용한다.
도 4와 관련하여, 안테나장치는, 평면 비도전체 기판(42)상에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인쇄회로에 의해 형성된 제 1방사패치(patch)소자(31)를 포함하고, 이 소자(31)를 제 2임피던스 트랜스포머(34)에 연결된 100Ω의 아크(arc)형의 전송라인(38)에 연결하고 결합하는 제 1임피던스 트랜스포머(33, 43)를 갖추고, 상기 제 1방사패치소자(31)에 대칭되는 형태의 제 2방사패치소자(32)는 제 2임피던스 트랜스포머(34)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기판(42)으로부터 평행하게 분리시키는 분리 및 고정수단(46, 47)에 의해 지지되는 도전체의 리플렉터(35)로 구성된다. 동축케이블은 기판에 수직으로 들어가고, 중앙 도전체(36)을 경유하여 제 2전송라인에 접속되고, 세그먼트(segment ; 37)에서의 위치(39)는 위상차를 결정한다. 도 4는 절단부(44) 및 부분 확대부(45)를 포함한다.
지향성 빔 안테나장치 즉 셀룰러 텔레폰시스템에 있어서, 조정가능한 안테나를 사용하거나 혹은 특정한 빔방향 또는 기울기를 미리 세트하여, 방사된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부수적인 방사를 효과적으로 수용한다.

Claims (9)

  1. 제 1특성 임피던스 Z1을 가지는 제 1전송라인에 연결되는 안테나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제 1방사소자와,
    적어도 1개의 제 2방사소자,
    상기 제 1방사소자에 연결되는 제 1 연결수단 및 제 2연결수단을 갖춘 제 1임피던스 트랜스포머수단 및,
    상기 제 2방사소자에 연결되는 제 3연결수단 및 제 4연결수단을 갖춘 제 2임피던스 트랜스포머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연결수단에서의 상기 제 1임피던스 트랜스포머수단 및 상기 제 4연결수단에서의 상기 제 2임피던스 트랜스포머수단은 상기 제 1특성 임피던스 Z1의 2배와 대체로 동일한 저항성의 제 1임피던스 R1과 대체로 동일하게 나타나고,
    상기 제 2 및 제 4연결수단은 상기 제 1임피던스 R1과 대체로 동일한 제 2특성 임피던스 Z2를 가지는 제 2전송라인과 서로 연결되며,
    제 1전송라인은 상기 제 1 및 제 2방사소자간의 신호 위상차를 결정하는 접속점에서 상기 제 2전송라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도전체의 접지수단, 상기 도전체의 접지수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상기 제 1방사소자 및 상기 도전체의 접지수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상기 제 2방사소자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1세선형 도전소자 및 상기 도전소자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있는 제 2세선형 도전소자는 확장에 따라 다른 특성 임피던스를 가지는 섹션(section)을 제한하는 각 임피던스 트랜스포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3세선형 도전소자 및 상기 도전소자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있는 제 4세선형 도전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송라인의 1개 도전체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상기 제 1전송라인에 수직인 둥근 패스를 갖춘 상기 제 2전송라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장치의 방사소자가 중심에서 중심까지의 거리가 대략 반파장인 영역에서 대체로 평면이고 수직인 매트릭스로 정렬되는 적어도 1개의 안테나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어레이(array).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방사소자, 상기 제 1 및 제 2트랜스포머, 및 상기 제 2전송라인이 상기 도전체 접지수단상에 장착되어 1개 구조의 유니트(unit)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임피던스 트랜스포머의 제 1 및 제 3연결수단은 제 1 및 제 2발룬수단을 매개로 상기 제 1 및 제 2방사소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소자 및/또는 상기 세선형 도전소자는 단일 금속판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장치.
KR1019970708154A 1995-05-16 1996-05-14 방사소자간의 위상차조정이 가능한 2개의 방사소자를 갖춘안테나장치 KR199900148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501830-5 1995-05-16
SE9501830A SE503722C2 (sv) 1995-05-16 1995-05-16 Antennorgan med två strålande element och med en justerbar fasskillnad mellan de strålande element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810A true KR19990014810A (ko) 1999-02-25

Family

ID=2039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154A KR19990014810A (ko) 1995-05-16 1996-05-14 방사소자간의 위상차조정이 가능한 2개의 방사소자를 갖춘안테나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826250B1 (ko)
JP (1) JPH11505388A (ko)
KR (1) KR19990014810A (ko)
CN (1) CN1094261C (ko)
AU (1) AU707610B2 (ko)
BR (1) BR9608819B1 (ko)
DE (2) DE29512952U1 (ko)
SE (1) SE503722C2 (ko)
WO (1) WO19960370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8862C1 (de) * 1999-08-17 2001-03-15 Kathrein Werke Kg Hochfrequenz-Phasenschieberbaugruppe
DE10316788B3 (de) * 2003-04-11 2004-10-21 Kathrein-Werke Kg Verbindungseinrichtung zum Anschluss zumindest zweier versetzt zueinander angeordneter Strahlereinrichtungen einer Antennenanordnung
CN100411400C (zh) * 2006-04-06 2008-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阻抗调节装置和包含该装置的通信系统
GB2495119A (en) * 2011-09-29 2013-04-03 British Telecomm Spacer arrangement for mounting an antenna on a convex conductive surfa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1400A (en) * 1968-10-16 1971-10-05 Tokyo Shibaura Electric Co Phased array antenna
US4427984A (en) * 1981-07-29 1984-01-24 General Electric Company Phase-variable spiral antenna and steerable arrays thereof
JPS61167203A (ja) * 1985-01-21 1986-07-28 Toshio Makimoto 平面アンテ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26250B1 (en) 2002-03-27
BR9608819B1 (pt) 2009-05-05
AU5785396A (en) 1996-11-29
JPH11505388A (ja) 1999-05-18
BR9608819A (pt) 1999-12-07
CN1094261C (zh) 2002-11-13
SE9501830L (sv) 1996-08-12
WO1996037009A1 (en) 1996-11-21
CN1184563A (zh) 1998-06-10
AU707610B2 (en) 1999-07-15
DE29512952U1 (de) 1995-10-19
SE9501830D0 (sv) 1995-05-16
SE503722C2 (sv) 1996-08-12
DE69620168T2 (de) 2002-11-28
EP0826250A1 (en) 1998-03-04
DE69620168D1 (de) 200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67672B1 (en) A single or dual polarized molded dipole antenna having integrated feed structure
EP0969547B1 (en) Antenna device
KR100721238B1 (ko) 이중 편파 다이폴 배열 안테나
US7196674B2 (en) Dual polarized three-sector base station antenna with variable beam tilt
US5917455A (en) Electrically variable beam tilt antenna
US5818391A (en) Microstrip array antenna
EP0647977B1 (en) Circularly polarized microcell antenna
EP0618639B1 (en) Antenna apparatus and antenna system
CN106688141B (zh) 移动通信服务用全向天线
US5742258A (en) Low intermodulation electromagnetic feed cellular antennas
KR19980063815A (ko) 안테나 상호 결합 중화기
NZ526494A (en) Single piece twin folded dipole antenna
US6005522A (en) Antenna device with two radiating elements having an adjustabl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GB2424765A (en) Dipole antenna with an impedance matching arrangement
US20030112200A1 (en) Horizontally polarized printed circuit antenna array
US5818397A (en) Circularly polarized horizontal beamwidth antenna having binary feed network with microstrip transmission line
EP0618637B1 (en) Antenna structure
EP0540124B1 (en) Satellite antenna system
KR19990014810A (ko) 방사소자간의 위상차조정이 가능한 2개의 방사소자를 갖춘안테나장치
EP0982802B1 (en) Dipole feed arrangement for a reflector antenna
JPH07336133A (ja) アンテナ装置
JPH0998019A (ja) 偏波共用アンテナ
US6466169B1 (en) Planar serpentine slot antenna
JP4836142B2 (ja) アンテナ
JP2023505332A (ja) 高電流保護を備えた無指向性水平偏波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