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773A - Trailing arm suspension with wrapper compression shaft mounting - Google Patents

Trailing arm suspension with wrapper compression shaft moun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773A
KR19990014773A KR1019970708116A KR19970708116A KR19990014773A KR 19990014773 A KR19990014773 A KR 19990014773A KR 1019970708116 A KR1019970708116 A KR 1019970708116A KR 19970708116 A KR19970708116 A KR 19970708116A KR 19990014773 A KR19990014773 A KR 19990014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rapper plate
wrapper
wash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1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피어스윌리암시.
Original Assignee
피어스윌리암시.
네이뉴웨이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어스윌리암시., 네이뉴웨이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어스윌리암시.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95/006151 external-priority patent/WO1996036502A1/en
Publication of KR19990014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773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9/00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과 맞닿는 휠을 차량 프레임(10)에 장착하는 차량 현가장치로서, 여기에서 2개의 아암(18)은 프레임의 양측면에 고정되고 휠 지지축(12)은 그 아암들 사이에서 현수된다. 이 축은 축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랩퍼 플레이트(34), 랩퍼 플레이트의 내면에 장착된 어댑터 플레이터(39) 그리고 축 주위의 랩퍼와 축에 대항한 어댑터 플레이터를 압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38)에 의해 아암에 고정된다. 그 구성에 있어서, 랩퍼 플레이트는 축을 지지하여 보강한다. 랩퍼 플레이트는 웨워싸이게 되는 축의 부분의 외형에 상응한다. 이 축은 사각형, 타원형, 6각형, 8각형, 장방형 또는 D자형상의 단면으로 될 수 있다. 랩퍼 플레이트와 어댑터 플레이트는 축상에서 교차힘을 가한다. 구멍(42)은 축의 인접한 측면의 수직 중간지점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랩퍼 플레이트의 측면에 형성된다. 원형 워셔(44)가 랩퍼 플레이트의 측면에 있는 구멍과 일치되게 각각의 측면상에서 축에 용접되어, 축에 대한 랩퍼 플레이트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한다.The invention is a vehicle suspension for mounting a wheel in contact with the ground on a vehicle frame 10, wherein two arms 18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and a wheel support shaft 12 is suspended between the arms. . This shaft is formed by a wrapper plate 34 which partially encloses the shaft, an adapter plater 39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rapper plate and at least one bolt 38 compressing the wrapper around the shaft and the adapter plater against the shaft. Fixed to the arm. In that configuration, the wrapper plate supports and reinforces the shaft. The wrapper plate corresponds to the contour of the portion of the shaft to be wrapped. This axis can be a square, oval, hexagonal, octagonal, rectangular or D-shaped cross section. The wrapper plate and the adapter plate exert cross forces on the shaft. The hole 42 is formed in the side of the wrapper plat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midpoint of the adjacent side of the shaft. Circular washers 44 are welded to the shaft on each side to coincide with the holes in the side of the wrapper plate, preventing lateral movement of the wrapper plate relative to the shaft.

Description

랩퍼 압축식 축마운팅을 갖춘 트레일링 아암 현가장치Trailing arm suspension with wrapper compression shaft mounting

피어스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4,693,486호(1987년 9월 15일 발행됨)에서, 트레일링 아암 현가장치는 부분적으로 주위를 에워싸는 랩퍼 플레이트에 의해 트레일링 아암에 고정되는 축, 랩퍼 플레이트가 이 축을 지지하여 강화하도록 축에 대하여 랩퍼 플레이트를 압축하는데 이용되는 볼트, 그리고 이 랩퍼 플레이트를 축에 부착시키는 원형 플러그 용접부를 가진다.In U.S. Patent No. 4,693,486 issued September 15,1987 by Pierce et al., The trailing arm suspension is a shaft which is secured to the trailing arm by a wrapper plate that is partially enclosed, the wrapper plate supporting the shaft. A bolt used to compress the wrapper plate against the shaft to reinforce, and a circular plug weld to attach the wrapper plate to the shaft.

버드에 의한 미국특허 제3,547,215호(1970년 12월 15일 발행됨)는 트레일링 아암 현가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사각축이 차량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아암에 차례로 고정되는 브래킷에 통상적으로 용접된다. 브래킷에 축을 고정시키는 용접부는 축의 측면의 중간지점에서 만들어지는데 여기에서 수직 굽힘 모멘트 응력이 공평하게 된다.U.S. Patent No. 3,547,215 (published Dec. 15, 1970) by Budd discloses a trailing arm suspension, in which the square shaft is typically welded to a bracket in which the square shaft is in turn fixed to the trailing arm of the vehicle suspension. do. The weld that secures the shaft to the bracket is made at the midpoint of the side of the shaft, where the vertical bending moment stress is leveled.

축들은 축을 높은 부하 상태에서 브래킷에 부착하도록 통상적으로 브래킷에 용접된다. 이 축은 브래킷의 양측면상의 일렬 용접에 의해 축 브래킷에 용접된다. 이것이 일렬 용접이기 때문에, 이 용접부는 응력이 집중되어 크랙이 야기될 수 있는 단부를 가진다.The shafts are typically welded to the bracket to attach the shaft to the bracket at high load. This shaft is welded to the shaft bracket by in-line welding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Since this is a single line welding, this weld has an end where stress can be concentrated and cracks can be caused.

피어스에 의한 미국특허 제5,116,075호는 랩퍼 플레이트에 있는 구멍이 제거되고 블록들이 랩퍼 플레이트에 인접한 축에 용접되어 축에 대한 랩퍼 플레이트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피어스 등에 의한 '486특허와 유사한 랩퍼 압축식 축마운팅을 갖춘 트레일링 아암 현가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배열이 비교적 만족스러워도 축에 용접되는 지점에서 이 블록은 응력크랙을 야기할 수가 있다. 이 현가장치에서의 최고의 응력지점이 블록이 위치되는 랩퍼 플레이트의 에지에 있고 이들 응력이 이 지점에서 축상에 가장 큰 변형야기 한다고 알게 되었다. 또한 축의 수직중심상의 랩퍼의 축선 중간 지점에서 축상에 최소의 변형이 나타나는 것을 알게 되었다.U.S. Patent No. 5,116,075 to Pierce and the 486 patent by Pierce et al. A trailing arm suspension with a similar wrapper compression shaft mounting is disclosed. Even if this arrangement is relatively satisfactory, the block can cause stress cracks at the point of welding to the shaft. The highest stress point in this suspension is found at the edge of the wrapper plate where the block is located and these stresses should cause the largest strain on the axis at this point. It was also found that the minimum strain appeared on the axis at the midpoint of the wrapper's axis in the vertical center of the axis.

본 발명은 차량프레임에 지면과 맞닿는 휠을 장착하기 위한 차량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휠 지지축이 트레일링 아암에 고정되어 있는 트레일링 아암 현가장치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일면에 있어서, 지면과 맞닿는 휠용 축상에 축지지 조립체를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uspension for mounting a wheel in contact with the ground on a vehicle fr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iling arm suspension shaft in which the wheel support shaft is fixed to the trailing arm.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aspect, relates to a method for mounting an axial support assembly on an axis for a wheel that abuts the grou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를 장착하고 있는 차량프레임의 일부 측면도,1 is a partial side view of a vehicle frame equipped with a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가장치의 일부 확대 측면도,2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view of the suspension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에 있는 선(3-3)을 따라 취한 단면도, 그리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in FIG. 2, and

도 4는 도 3에 있는 선(4-4)을 따라 취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4-4 in FIG.

본 발명은 지면과 맞닿는 휠을 차량 프레임에 장착하는 차량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고 그리고 축 지지조립체를 축에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현가장치는 프레임 양쪽에 고정된 적어도 2개의 강성아암으로 구성된다. 이 아암은 정렬된 피벗 마운트들을 통하여 차량 프레임에 고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휠 지지축은 아암에 장착된다. 길다란 평면의 상보적인 표면을 가진 랩퍼 플레이트가 적어도 180°로 축주위를 에워싸고 있다. 랩퍼 플레이트의 양쪽은 축의 하부를 넘어 뻗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볼트가 축의 양쪽을 직경상으로 압축하기 위하여 종속적인 양쪽에서 랩퍼 플레이트를 통하여 뻗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uspension for mounting a wheel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a vehicle frame and a method for mounting an axis support assembly to an axis. The suspension consists of at least two rigid arms fix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This arm is secured to the vehicle frame through aligned pivot mounts. At least one wheel support shaft is mounted to the arm. A wrapper plate with a long, planar complementary surface surrounds the axis at least 180 °. Both sides of the wrapper plate extend beyond the bottom of the shaft. At least one bolt extends through the wrapper plate on both sides dependent to compress radially both sides of the shaft.

본 발명에 따라, 랩퍼 플레이트는 축의 수직중간지점 주위에 있는 한 위치에서 랩퍼 플레이트의 한쪽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가진다. 워셔는 축에 용접되고 랩퍼 플레이트 구멍과 일치되게 되어 있어 축에 대하여 랩퍼 플레이트의 측방형 이동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워셔는 환형형상으로 되어 있고 워셔에 있는 중앙개구에서 용접에 의해 축에 용접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랩퍼 플레이트 구멍은 랩퍼 플레이트의 축선상의 중앙부에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wrapper plate has at least one hole located on one side of the wrapper plate at a position around the vertical midpoint of the axis. The washer is welded to the shaft and coincides with the wrapper plate hole to prevent lateral movement of the wrapper plate relative to the shaft. Preferably, the washer is annular and welded to the shaft by welding at the central opening in the washer.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wrapper plate hole is in the axial center of the wrapper plate.

본 발명은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The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들을 참조하면,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차량프레임(10)은 본 발명을 따른 현가장치(16)에 의해 현수된 지면과 맞닿는 휠(14)(가상선으로 도시됨)과 축(12)을 가진다. 차량 양쪽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좌측에 있다. 현가장치(16)는 프레임(10)에 매달려 있는 행거 브래킷(20)에 피벗식으로 장착된 트레일링 아암(18)을 차량 프레임(10)의 각각의 측면에서 포함한다. 이 행거(20)는 트레일링 아암(18)의 전방끝을 피벗식으로 지지하기 위해 하단부에 피벗핀(22)을 가진다. 트레일링 아암(18)은 축(12)을 지지하는 중공 장방형 부재로 구성된다. 트레일링 아암(18)의 전방끝은 피벗핀(22)에 피벗식으로 장착된다. 트레일링 아암(18)은 차량프레임(10)을 따라 후방으로 뻗어 있다. 트레일링 아암(18)의 후방끝은 공기 스프링(24)에 고정된다. 트레일링 아암(18)은 전·후방 끝 사이에 약간 하향으로 굽은 중간부를 가진다. 전방 부시핀(26)과 후방 부시핀(28)은 축지지 조립체(30)를 지지하면서 축지지조립체(30)와 트레일링 아암(18) 사이의 제한된 관절연결을 허용하기 위해 약간 하향으로 굽은 부근에서 트레일링 아암(18)을 통하여 뻗어 있다. 공기 스프링(24)의 상부는 차량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nd in particular with reference to FIG. 1, a vehicle frame 10 includes a wheel 14 (shown in phantom) and an axle 12 that abut the ground suspended by a suspension device 16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Both vehicles are on the left side of the frame as shown in FIG. Suspension 16 includes a trailing arm 18 on each side of vehicle frame 10 pivotally mounted to hanger bracket 20 suspended from frame 10. This hanger 20 has a pivot pin 22 at its lower end to pivotally support the front end of the trailing arm 18. The trailing arm 18 is composed of a hollow rectangular member supporting the shaft 12. The front end of the trailing arm 18 is pivotally mounted to the pivot pin 22. The trailing arm 18 extends rearward along the vehicle frame 10. The rear end of the trailing arm 18 is fixed to the air spring 24. The trailing arm 18 has an intermediate portion bent slightly downward between the front and rear ends. The front bushpin 26 and the rear bushpin 28 support the shaft support assembly 30 while slightly downwardly curved to allow limited articulation between the shaft support assembly 30 and the trailing arm 18. Extends through the trailing arm 18.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spring 24 is fixed to the vehicle frame 10.

작동에서, 지면과 맞닿는 휠(14)의 수직운동량은 축(12)을 통하여 축지지조립체(30)에 이동된다. 축지지조립체(30)의 수직운동량은 전·후방 부시핀(26,28)을 통하여 트레일링 아암(18)에 이동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부싱(29)은 부시핀(26,28)을 에워싼다. 전·후방 부시핀(26,28)의 부싱(29)에 의해 축지지조립체(30)와 트레일링 아암(18)사이에 허용된 제한된 관절연결은 트레일링 아암(18)의 수직운동을 완화시키고 축지지조립체(30)가 트레일링 아암(18)에 비하여 작은 수직 및 원뿔형 변위를 하게 함으로써 현가장치의 구름률을 제어한다.In operation, the vertical momentum of the wheel 14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moved to the shaft support assembly 30 through the shaft 12. The vertical momentum of the shaft support assembly 30 is moved to the trailing arm 18 through the front and rear bush pins 26 and 28. Referring to FIG. 3, the bushing 29 surrounds bushing pins 26, 28. The limited articulation allowed between the axial support assembly 30 and the trailing arm 18 by bushings 29 of the front and rear bush pins 26, 28 relieve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trailing arm 18. The axial support assembly 30 controls the rolling rate of the suspension by allowing small vertical and conical displacements relative to the trailing arm 18.

축지지조립체(30)의 두드러진 수직 변위는 트레일링 아암(18)의 수직변위를 야기한다. 트레일링 아암(18)의 수직변위는 피벗핀(22)에서 트레일링 아암(18)의 전방끝의 피벗연결부에 의해 허용된다. 트레일링 아암(18)의 수직운동은 공기 스프링(24)과 완충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완충되어 규제된다.Significant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shaft support assembly 30 results in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trailing arm 18.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trailing arm 18 is allowed by the pivot connection at the front end of the trailing arm 18 at the pivot pin 22.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trailing arm 18 is cushioned and regulated by an air spring 24 and a shock absorber (not shown).

축지지조립체(30)는 트레일링 아암(18)의 양쪽에 배치된 한쌍의 측면 플레이트(32), 측면 플레이트(32)에 매달려 있는 U자형 랩퍼 플레이트(34), 보강 플레이트(36), 볼트(38) 및 어댑터 플레이트(39)로 구성된다. 볼트(38)는 랩퍼 플레이트(34)의 측면을 압축하기 위하여 U자형 랩퍼 플레이트(34)의 단부를 관통한다.The shaft support assembly 30 includes a pair of side plates 32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ailing arm 18, a U-shaped wrapper plate 34 suspended from the side plate 32, a reinforcing plate 36, a bolt ( 38) and adapter plate 39. The bolt 38 penetrates the end of the U-shaped wrapper plate 34 to compress the side of the wrapper plate 34.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32)는 전·후방 부시핀(26,28)을 수용하도록 상부에 개구를 가진 수직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전·후방 부시핀(26,28)은 트레일링 아암(18)을 통하여 그리고 트레일링 아암(18)의 양측면에 배치된 한쌍의 측면 플레이트(32)에 있는 상응하는 개구를 통하여 뻗어서 측면 플레이트(32)를 트레일링 아암(18)에 고정시키고 이에 의해 축지지조립체(30)를 지지하면서 측면 플레이트(32)와 트레일링 아암(18)사이에 제한된 관절연결 허용한다. 또한,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32)는 U자형 랩퍼 플레이트(34)의 고리부분을 상보적인 꼴로 수용하도록 하부에 적응된 U자형 개구를 가진다. 이에 의해 측면 플레이트(32)는 랩퍼 플레이트(34)가 용접에 의해서와 같이 고정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하여 랩퍼 플레이트를 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Each side plate 32 is composed of a vertical plate with an opening at the top to receive the front and rear bush pins 26 and 28. The front and rear bushfins 26, 28 extend through the trailing arm 18 and through corresponding openings in the pair of side plates 32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ailing arm 18 to extend the side plates 32. ) To the trailing arm 18 and thereby supporting the axial support assembly 30 while allowing limited articulation between the side plate 32 and the trailing arm 18. In addition, each side plate 32 has a U-shaped opening adapted to the bottom to accommodate the annular portion of the U-shaped wrapper plate 34 in a complementary shape. The side plate 32 thereby serves to strengthen the wrapper plate by providing a surface on which the wrapper plate 34 can be fixed, such as by welding.

랩퍼 플레이트(3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 모양의 플레이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퍼 플레이트(34)는 U자형 단면이다. 랩퍼 플레이트(34)의 고리부분은 측면 플레이트(32)내에서 상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랩퍼 플레이트(34)이 개방단부는 하향으로 뻗어 있다. 랩퍼 플레이트(34)는 용접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측면 플레이트(32)에 고정된다. 랩퍼 플레이트(34)는 랩퍼 플레이트(34)의 내면과 축의 상면 사이에 작은 공간을 갖고서 사각형, 장방형 또는 다른 비원형 단면 구성을 가진 축(12)을 넉넉하게 수용하도록 형상화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퍼 플레이트(34)는 U자형 랩퍼 플레이트(34)의 고리부분에 있는 구멍(40)을 가지고 있어 축지지조립체(30)의 전체중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랩퍼 플레이트(34)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트레일링 아암 전극을 제공한다.The wrapper plate 34 is a saddle shaped plate as shown in FIG. 3. As shown in FIG. 2, the wrapper plate 34 is U-shaped in cross section. The loop portion of the wrapper plate 34 is disposed upward in the side plate 32 and the open end of the wrapper plate 34 extends downward. The wrapper plate 34 is fixed to the side plate 32 by suitable means such as welding. The wrapper plate 34 is shaped to have a large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wrapper plate 34 and the top surface of the shaft, to accommodate the shaft 12 having a rectangular, rectangular or other non-circular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3, the wrapper plate 34 has a hole 40 in the ring portion of the U-shaped wrapper plate 34,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weight of the shaft support assembly 30, 34) increase the flexibility and provide a trailing arm electrode.

랩퍼 플레이트(34)는 U자형 랩퍼 플레이트(34)의 측면을 관통한다. 조립될 때, 볼트(38)는 축(12)밑에 위치되고 볼트(38)가 조여지면 축(12)에 대하여 압축하면서 U자형 랩퍼 플레이트(34)의 측면을 위치시키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어댑터 플레이트(39)는 축(12)상의 랩퍼 플레이트(34)의 파지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되어 있다. 어댑터 플레이트(39)는 볼트(38)를 위한 랩퍼 플레이트(34)내의 개구 바로 아래 지점에서 랩퍼 플레이트(34)의 내면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어댑터 플레이트(39)는 2개의 직립 다리부(31)와 고리부(33)를 가지고서 U자형 단면으로 되어 있다. 어댑터 플레이트(39)는 2개의 직립 다리부(31)의 상면이 축(12)의 하면과 접촉하도록 장착된다.The wrapper plate 34 penetrates the side of the U-shaped wrapper plate 34. When assembled, the bolt 38 is positioned below the shaft 12 and is adapted to position the side of the U-shaped wrapper plate 34 while compressing about the shaft 12 when the bolt 38 is tightened. Adapter plate 39 is included to enhance the gripping effect of wrapper plate 34 on shaft 12. The adapter plate 39 is fixed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rapper plate 34 at a point just below the opening in the wrapper plate 34 for the bolt 38. The adapter plate 39 has a U-shaped cross section with two upright legs 31 and a ring portion 33. The adapter plate 39 is mount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two upright legs 31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haft 12.

축지지조립체(30)는 랩퍼 플레이트(34)를 지지하여 보강하기 위해 랩퍼플레이트(34)와 측면 플레이트(32)에 용접에 의한 것과 같이 고정된 보강 플레이트(36)를 또한 포함한다. 완충기 브래킷(37)은 완충기(도시되지 않음)의 하부를 고정시켜 축(12)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해 내측면 플레이트(32)에 제공된다. 복수의 플레이트가 용접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서로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것으로서 축지지조립체(30)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설명되어도, 단일 축지지조립체가 주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은 또한 쉽게 이해될 수 있다.The axial support assembly 30 also includes a reinforcing plate 36 fixed as by welding to the wrapper plate 34 and the side plate 32 to support and reinforce the wrapper plate 34. A shock absorber bracket 37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plate 32 to secure the bottom of the shock absorber (not shown) to damp the vibrations of the shaft 12. Although the axial support assembly 30 is describ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as a plurality of plates are fixedly attached to each other by suitable means such as welding, it is also readily understood that a single axial support assembly can be formed by casting. have.

본 발명에 따라, 랩퍼 플레이트는 축(12)의 대략 수직 중간 지점에서의 한 위치에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개의 구멍(42)을 포함한다. 환형워셔(22)는 축(12)의 수직 중간 지점에서 구멍(42)과 일치되게 축에 용접된다. 워셔(44)는 중앙구멍(46)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워셔(44)는 용접부(48)를 통하여 구멍(46)에서 축에 용접된다. 워셔(44)의 외경은 구멍(42)의 내경과 꼭맞게 되어 구멍안으로 뻗어 있어 랩퍼 플레이트(34)와 축(12) 사이의 상대적인 측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축선의 중간지점에서 그리고 랩퍼 플레이트(34)에 대하여 중앙에 워셔(44)를 축(12)에 용접시키는 것은 랩퍼 플레이트와 축(12)사이의 응력을 최소화시켜 축(12)에 대하여 랩퍼 플레이트(34)의 이동을 방지한다. 원한다면, 랩퍼 플레이트(34)에 있는 구멍(42)들은 서로로부터 축선상으로 편위될 수 있고 워셔(44)들은 서로에 대하여 축선상으로 변위된 위치에서 축에 용접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wrapper plate comprises at least one and preferably two holes 42 on the side at one position at an approximately vertical midpoint of the shaft 12. The annular washer 22 is welded to the shaft to coincide with the hole 42 at the vertical midpoint of the shaft 12. The washer 44 has a central hole 46. Preferably, the washer 44 is welded to the shaft at the hole 46 through the weld 48. The outer diameter of the washer 44 fits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42 and extends into the hole to prevent relative lateral movement between the wrapper plate 34 and the shaft 12. Welding the washer 44 to the shaft 12 at the midpoint of the axis and at the center of the wrapper plate 34 minimizes the stress between the wrapper plate and the shaft 12 to minimize the stress between the wrapper plate and the shaft 12. 34) to prevent movement. If desired, the holes 42 in the wrapper plate 34 may be axially biased from each other and the washers 44 may be welded to the shaft at a position axially displaced relative to each other.

작동에서, 축(12)은 축(12)을 U자형 상보적인 랩퍼 플레이트(34)내로 먼저 삽입하고 그다음 이 축(12)을 랩퍼 플레이트(34)내로 강압적으로 클램핑시킴으로써 랩퍼 플레이트(34)내에 고정된다. 볼트(38)는 랩퍼 플레이트(34)가 축(12)에 대하여 가까이 다가들때까지 조여진다. 그다음, 어댑터 플레이트(39)는 랩퍼 플레이트(34)의 내면에 용접에 의해서와 같이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직립다리부(31)가 축(12)의 하면과 접촉하도록 한다. 어댑터 플레이트(39)가 고정적으로 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볼트(38)는 더 조여져서 축(12)상에 압축력을 야기시킨다.In operation, the shaft 12 is secured in the wrapper plate 34 by first inserting the shaft 12 into the U-shaped complementary wrapper plate 34 and then forcibly clamping the shaft 12 into the wrapper plate 34. do. The bolt 38 is tightened until the wrapper plate 34 comes close to the shaft 12. The adapter plate 39 is then fixed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rapper plate 34 such as by welding so that the upright leg 31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shaft 12. With the adapter plate 39 fixedly in place, the bolt 38 is further tightened, causing a compressive force on the shaft 12.

볼트(38)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여짐에 따라, 랩퍼 플레이트의 측면은 축(12)의 상보적인 측면상에 제1직경상의 압축력을 화살표(F1)방향으로 가한다. 볼트(38)의 조임은 또한 U자형 랩퍼 플레이트(34)의 종속적인 단부가 안쪽으로 굽혀지도록 한다. 안쪽으로의 굽힘은 축(12)의 바닥 모서리에 대하여 랩퍼 플레이트의 바닥의 약간의 회전을 초래하여 수평성분의 운동을 랩퍼 플레이트(34)의 바닥 단부내로 도입한다. 이 단부에서의 랩퍼 플레이트(34)의 안쪽 굽힘은 어댑터 플레이트(39)에 의해 축(12)상에 수직성분의 힘(F2)의 적용을 초래한다. 따라서, U자형 랩퍼 플레이트(34)의 단부상의 수평힘은 제1힘(F1)과 교차하는 제2압축력(F2)으로 변환된다. 랩퍼 플레이트(34)의 내면을 따라 작용된 압축힘(F1)과 함께 축상에 어댑터 플레이트(39)에 의해 발휘된 이 교차 압축힘(F2)은 축(12)상의 축지지조립체(30)에 충분한 파지강도를 제공하여 비틀림 응력과 굽힘 응력에 대하여 축을 강화시킨다.As the bolt 38 is tightened as shown in FIG. 2, the side of the wrapper plate exerts a first diameter compressive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1 on the complementary side of the shaft 12. Tightening of the bolt 38 also causes the dependent end of the U-shaped wrapper plate 34 to bend inward. Inward bending causes a slight rotation of the bottom of the wrapper plate about the bottom edge of the shaft 12 to introduce movement of the horizontal component into the bottom end of the wrapper plate 34. Inward bending of the wrapper plate 34 at this end results in the application of the vertical component force F2 on the shaft 12 by the adapter plate 39. Thus, the horizontal force on the end of the U-shaped wrapper plate 34 is converted into a second compression force F2 that intersects the first force F1. This cross compression force F2 exerted by the adapter plate 39 on the shaft together with the compression force F1 act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wrapper plate 34 is sufficient for the shaft support assembly 30 on the shaft 12. Provides grip strength to strengthen the shaft against torsional and bending stresses.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워셔(44)는 랩퍼 플레이트(34)에 있는 개구(42)와 맞추어져 있다. 바람직하게, 워셔 플레이트(34)는 축의 각각의 측면상에 하나씩 2개의 구멍을 가지고 있고 이 구멍과 각각 일치되게 2개의 워셔(44)로 더 구성된다. 워셔(44)는 구멍(42)에 위치되고 워셔와 축(12)사이의 플러그 용접부(48)에 의해 제위치에 용접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접부(48)는 워셔(44)의 중앙개구(46)에 바람직하게 위치된다. 축(12)상으로의 워셔(44)의 용접은 U자형 랩퍼 플레이트(34)가 축(12)에 완전히 부착된 후 발생되어야 한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washer 44 is fitted with an opening 42 in the wrapper plate 34. Preferably, the washer plate 34 has two holes, one on each side of the shaft, and is further comprised of two washers 44 each coincident with this hole. The washer 44 is located in the hole 42 and welded in place by the plug weld 48 between the washer and the shaft 12. As illustrated in FIG. 3, the weld 48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central opening 46 of the washer 44. Welding of the washer 44 onto the shaft 12 should occur after the U-shaped wrapper plate 34 is fully attached to the shaft 12.

U자형상, 6각형상, 8각형상, 및 장방형상과 같은 다른 축형상은 랩퍼 플레이트의 구성을 간단히 수정하여 축의 단면에 상응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Other axial shapes, such as U-shaped, hexagonal, octagonal, and rectangular, can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y mod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rapper plate to correspond to the cross section of the shaft.

본 발명은 랩퍼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잠재하고 있는 스트레스 분쇄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여 최소의 노력을 가지고 본 발명에 다른 현가장치의 조립에 대한 단순하고 신속한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problems with potential stress breakdown at the end of the wrapper plate and provides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simple and quick method for assembly of other suspensions with minimal effort.

적당한 변경과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한정된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상기 개시의 범주내에서 가능하다.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7)

차량 프레임에 지면과 맞닿는 휠을 장착하기 위한 차량 현가장치로서, 정렬된 피벗 마운트를 통하여 프레임의 양 측면에 고정된 적어도 2개의 강성 아암; 적어도 하나의 휠 지지축으로서 상기 축 주위를 적어도 180°에워싸고 상기 축을 넘어 뻗어 있는 양측면에 매달려 있는 길다란 평면의 상보적인 표면을 가진 랩퍼 플레이트를 통하여 상기 아암에 장착된 상기 축; 그리고 서로를 향하여 상기 랩퍼 플레이트의 상기 양측면을 당김으로써 상기 축을 직경상으로 압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볼트로 구성된 상기 차량 현가장치에 있어서,A vehicle suspension for mounting a wheel against a ground on a vehicle frame, comprising: at least two rigid arms fix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through aligned pivot mounts; At least one wheel support shaft, the shaft mounted to the arm via a wrapper plate having an elongated planar complementary surface circumscribing at least 180 ° around the axis and hanging on both sides extending beyond the axis; And said vehicle suspension comprising at least one bolt for compressing said shaft radially by pulling said both sides of said wrapper plate towards each other, 랩퍼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있는 구멍;Holes in at least one side of the wrapper plate; 그 구멍내에 있고 축에 용접된 워셔; 로 구성되고,A washer in the hole and welded to the shaft; Consisting of, 워셔의 측방향 크기가 구멍의 측방향 크기에 상응하여 축에 대한 랩퍼 플레이트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A vehicle suspen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eral size of the washers prevents lateral movement of the wrapper plate relative to the shaft in correspondence with the lateral size of the holes. 제 1 항에 있어서, 랩퍼 플레이트에 있는 구멍은 형태에 있어서 원형이고 워셔는 형태에 있어서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2. A vehicle suspens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es in the wrapper plate are circular in shape and the washers are circular in shape. 제 2 항에 있어서, 워셔는 형태에 있어서 환형이고 워셔에 있는 중앙 개구에서 축에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3. A vehicle suspensio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washer is annular in shape and welded to the shaft at a central opening in the washer. 제 1 항에 있어서, 구멍은 랩퍼 플레이트의 축선상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2. A vehicle suspens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e is located at the central portion on the axis of the wrapper plate. 지면과 맞닿는 휠을 위한 축상에 축지지조립체를 장착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of mounting an axial support assembly on an axis for a wheel in contact with the ground,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가진 랩퍼 플레이트의 길다란 평면의 상보적인 표면에 축을 삽입하는 단계;Inserting the shaft into the elongated planar complementary surface of the wrapper plate having at least one hole; 상기 랩퍼 플레이트의 양측면을 통하여 볼트를 삽입하는 단계;Inserting bolts through both sides of the wrapper plate; 상기 랩퍼 플레이트가 축의 양측면과 접촉할때까지 상기 볼트를 조이는 단계로 구성된 상기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comprising tightening the bolt until the wrapper plate contacts both sides of the shaft, 랩퍼 플레이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에 워셔를 위치시키는 단계, 그리고Placing the washer in at least one hole in the wrapper plate, and 워셔를 축에 용접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과 맞닿는 휠을 위한 축상에 축지지조립체를 장착하는 방법.Welding the washer to the shaft, wherein the shaft support assembly is mounted on the shaft for the wheel against the ground. 제 5 항에 있어서, 워셔는 축에 대한 랩퍼 플레이트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의 단면 크기와 대략 같은 단면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과 맞닿는 휠을 위한 축상에 축지지조립체를 장착하는 방법.6. The shaft support assembly of claim 5 wherein the washer has a cross sectional size approximately equal to the cross sectional size of the at least one hole to prevent lateral movement of the wrapper plate relative to the shaft. How to mount it. 제 6 항에 있어서, 워셔는 형태에 있어서 환형이고 그리고 용접단계는 워셔의 중앙 개구에 용접비드를 위치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과 맞닿는 휠을 위한 축상에 축지지조립체를 장착하는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washer is annular in shape and the welding step consists in positioning the weld bead in the central opening of the washer.
KR1019970708116A 1995-05-16 1995-05-16 Trailing arm suspension with wrapper compression shaft mounting KR1999001477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5/006151 WO1996036502A1 (en) 1995-05-16 1995-05-16 Trailing arm suspension with wrapper compression axle moun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773A true KR19990014773A (en) 1999-02-25

Family

ID=2224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116A KR19990014773A (en) 1995-05-16 1995-05-16 Trailing arm suspension with wrapper compression shaft mounting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1505197A (en)
KR (1) KR19990014773A (en)
MX (1) MX970881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805A (en) * 2018-04-11 2019-10-21 이장범 a functional air spring for trai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805A (en) * 2018-04-11 2019-10-21 이장범 a functional air spring for trai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505197A (en) 1999-05-18
MX9708816A (en) 199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3486A (en) Trailing arm suspension with wrapper compression axle mounting
US5116075A (en) Trailing arm suspension with wrapper compression axle mounting
US4813704A (en) Dual strut wheel suspension
US6155370A (en) Front suspension device
US6543857B1 (en) Vehicle axle
JP3945036B2 (en) Suspension device for automobile
EP2176079A1 (en) Wheel axle suspension
US4565389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US6508393B2 (en) Suspension system including arm having zero clearance axle connection
JP2582469B2 (en) Mounting structure of suspension member
JPH1191671A (en) Support structure of link type front suspension
JP4418596B2 (en) Suspension support for shock absorber or air spring of wheel suspension
US4874185A (en) Vehicle suspension supporting construction
KR19990014773A (en) Trailing arm suspension with wrapper compression shaft mounting
JPH02249712A (en)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JP4382261B2 (en) Strut type suspension assembly device
EP0825931A1 (en) Trailing arm suspension with wrapper compression axle mounting
JPH071932A (en) Vehicle suspension device
MXPA97008816A (en) Rear arm suspension with envolt compression axle assembly
US20020185326A1 (en) Swing arm for all terrain vehicle
JPH09254623A (en) Rear suspension construction
KR100259701B1 (en) The upper control arm structure for suspension
JPH0444410Y2 (en)
JPH076003Y2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JP4124415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hydraulic shock absor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