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733A - 스포츠 기구 - Google Patents

스포츠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733A
KR19990014733A KR1019970708075A KR19970708075A KR19990014733A KR 19990014733 A KR19990014733 A KR 19990014733A KR 1019970708075 A KR1019970708075 A KR 1019970708075A KR 19970708075 A KR19970708075 A KR 19970708075A KR 19990014733 A KR19990014733 A KR 19990014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th
brace
freedom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어벨드조안
홀디데릭헨드릭알레윈
오텐에그벌트
Original Assignee
기어벨드비히어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어벨드비히어비.브이. filed Critical 기어벨드비히어비.브이.
Publication of KR19990014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73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3/00Accessories for skates
    • A63C3/04Supporting frames or gliders for ska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22Skates with special foot-plates of the boot
    • A63C1/28Pivotally-mounted plat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에 의해 활주가능하고 회전가능한 스키, 특히 크로스컨트리 스키나 빙상스케이트 또는 롤러스케이트용 스케이트 프레임이 설치된 신발에 연결되는 스포츠 기구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은 착용자에 의해 신겨질 신발(2)의 연결용 수단으로서의 상부 보조프레임(3)과, 주평판에서 선회하기 위한 상기 상부 보조프레임(3)에 선회기구(4)를 매개로 연결되고 러너(6) 또는 휠을 구비하거나 구비하는 데에 적합한 하부 보조프레임(5), 및 양쪽 보조프레임을 서로쪽으로 밀어붙이는 재설정용 스프링 수단(115)으로 구성되는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프레임은 보조프레임이 상기 평판에서 상호적으로 선회가능하고 병진가능하며, 특정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프레임이 적어도 4개의 상호적으로 선회가능하고 병진가능한 로드로 구성된 기구의 일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포츠 기구
상기 프레임은 스케이트로 공지되었고 곡예 스케이트(tumble skate)라는 이름으로 수년 동안 상업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가변구조는 빙판 또는 지면 위에서 착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가능한 크게 함으로써 성취되어질 완력의 효과와 속도를 최대화함이 목적이다.
공지된 스케이트는 매우 간단한 구조의 장점을 갖추고 있는 반면, 전술한 목적을 실현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공지된 스케이트의 기술적 결함의 중요한 원인은 양쪽 보조프레임이 신발의 앞 끝 부분에 위치한 영역에서 상호간 선회하기 위해 연결되어 있어서, 큰 선회각은 실현될 수 있는 반면, 가해질 힘이 발 앞에서 너무 멀리 위치하는 연동유효점을 가지기 때문에 힘이동의 효과성을 발휘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휠에 의해 활주가능하고 회전가능한 스키, 특히 크로스컨트리 스키나 빙상스케이트 또는 롤러스케이트용 스케이트 프레임이 설치된 신발에 연결되는 스포츠 기구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은 착용자에 의해 신겨질 신발의 연결용 수단으로서의 상부 보조프레임과, 주평판에서 선회하기 위한 상기 상부 보조프레임에 선회기구를 매개로 연결되고 러너 또는 휠을 구비하거나 구비하는 데에 적합한 하부 보조프레임, 및 양쪽 보조프레임을 서로쪽으로 밀어붙이는 재설정용 스프링 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을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1a와 도 1b 및 도 1c는 각각 선회된 세 위치에서 공지의 곡예 스케이트의 개략도,
도 2a와 도 2b 및 도 2c는 발의 둥근 부분의 뒤 또는 밑으로 옮겨진 힌지를 구비한 공지의 곡예 스케이트의 가능한 변형의 개략도,
도 3과 도 4 및 도 5는 하나의 자유도를 갖는 평판에 가능한 세 개의 연결부의 측면도,
도 6은 두 자유도를 갖는 평판의 연결부의 측면도,
도 7a는 두 윤곽 사이의 접촉의 개략도,
도 7b는 도 7a의 연결의 훨씬 발전된 실시예를 도시한 상세도,
도 8∼도 31은 청구항 9의 표에 따른 기구부재들의 개략도,
도 32a와 도 32b는 도 24(기구부재 6/1)에 따른 바람직한 프레임의 선회된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33a와 도 33b는 도 32의 스케이트에 있어서, 각각 안정위치에서와 48˚의최대 선회위치에서 부분적으로 길이부를 도시한 부분측면도,
도 34는 도 32와 도 33에 따른 스케이트 구조의 설명도,
도 35는 선회축 위치를 데카르트 좌표로 표시한 그래프,
도 36은 도 32∼도 35에 따른 스케이트의 선회각의 작용에 의한 막대의 X와 Y 방향으로의 위치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생리학적이고 인간공학적인 고려를 기초로 하여 스케이팅 동안 추력의 연동유효점을 가변적인 방식에서 임의대로 선택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케이팅 동안 착용자가 장딴지 근육을 사용함으로써 힘이동의 효과성을 가능한 크게 하는 스케이트 프레임을 구현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바, 이는 공지의 고정 스케이트에는 해당되지 않고 거의 무시해도 될 매우 작은 범위의 전술한 공지의 곡예 스케이트에만 해당된다.
프레임이 걷는 동작과 동일한 방식으로 발을 구부릴 수 있게 한다는 것이 아주 중요한데, 이는 안정된 추력과 관련된 근육의 가능한 가장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 중요하며, 종래 기술의 스케이트는 이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보조프레임은 상기 평판에서 상호적으로 선회가능하고 병진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특정한 실시예는 보조프레임이 적어도 4개의 상호적으로 선회가능하고 병진가능한 로드로 구성된 기구의 일부를 이루는 특징을 갖는 바, 상기된 바와 같은 로드기구라는 용어는 광범위한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특별한 방향으로의 병진운동은, 예를 들면 병진운동의 횡단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주 긴 로드의 회전으로 보여질 수 있다.
상부 보조프레임은 이 상부 보조프레임에 관련된 신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세로조정 수단이 이 목적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은 단지 하나의 자유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유도는 단지 하나의 가변적인, 예를 들면 부재가 힌지연결부 주위에 만들 수 있는 선회각으로 표시가능한 기구 또는 연결부의 운동가능성으로 정의되며, 이 경우에 자유도는 상부 보조프레임과 하부 보조프레임의 관련된 운동가능성의 관계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프레임이 버팀경로(pole path)를 갖추고 있는데, 이 버팀경로는 회전의 순간중심 또는 하부 보조프레임에 관련된 상부 보조프레임 받침대의 집합이며, 잘 구획된 버팀경로로 프레임은 단지 하나의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버팀경로는 대체로 일직선이다.
상기 후자 변형은 버팀경로가 대체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특징을 유리하게 수용할 수 있다.
적어도 발이 구부려지는 스포츠 기구에 있어서, 상기 후자 변형은 프레임의 안정위치에서 착용자의 발의 둥근 부분 밑의 시작위치와 프레임이 최대한 외부로 선회된 위치에서 착용자의 엄지발가락 밑의 최종위치 사이에 버팀경로가 연장되어 바람직하게 구현된다.
가장 우수한 결과가, 보조프레임의 일정한 상대각속도에서 버팀경로를 따르는 막대의 속도가 시작위치부터 최종위치까지 증가하는 실시예에서 성취되며, 바람직하기로 초기에 속도가 대체로 일정한 반면, 속도가 경로의 끝쪽으로 증가한다.
특정한 변형은 프레임이 아래 표에 따르는 기구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첫 번째 수는 로드의 수를 표시하고, p1은 하나의 자유도와의 연결부 수를 표시하며, p2는 두 자유도와의 연결부 수를 표시하며, #은 잘 구획된 버팀경로의 존재와 함께 발의 구부려짐에 대한 스포츠 기구의 적합성을 표시한다.
기구/부재 도면 p1 p2 적합
2/1 8 0 2 #
3/1 9 2 1
3/2 10 1 1
3/3 11 0 1
4/1 12 4 0 #
4/2 13 4 0 #
4/3 14 3 2 #
4/4 15 2 4 #
4/5 16 1 6 #
4/6 17 0 8 #
5/1 18 5 1 #
5/2 19 4 3 #
5/3 20 3 5 #
5/4 21 2 7 #
5/5 22 1 9 #
5/6 23 0 11 #
6/1 24 7 0 #
6/2 25 6 2 #
6/3 26 5 4 #
6/4 27 4 6 #
6/5 28 3 8 #
6/6 29 2 10 #
6/7 30 1 12 #
6/8 31 0 14 #
바람직한 선택의 이용가능한 기구는 일곱이나, 여덟, 아홉 또는 열 개의 선회축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운동학적인 요구와 무게 및 간이성에 대한 절충은 일곱 개의 선회축으로 구성된 프레임으로 실현된다.
전술한 모든 특징은 도 24를 따르면서 도 35에 따른 (적어도 상대적인)크기로 구성된 프레임의 실시예로 충족된다.
발생되는 매우 큰 힘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프레임은 기계적으로 매우 튼튼해야 하며, 특히 프레임이 비틀림강도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이 발이 구부려질 수 있는 스케이트용 프레임에 다음 조건이 요구되는데, 최대높이는 대략 30 mm이고 이 최대값은 러너를 위한 지지관과 신발 사이의 공간에 의해 결정되며, 최대길이는 대략 150 mm이고 뒤꿈치지지는 이 점에 있어서 특징을 이루며, 선회축을 형성하는 샤프트는 강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 대략 10 mm 이상 서로 떨어져야 한다.
도 1a와 도 1b 및 도 1c는 각각 안정위치와 중간 선회위치 및 최대 선회위치에서 공지의 곡예 스케이트(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 스케이트는 신발(2)과, 신바닥에 연결된 상부 보조프레임(3), 힌지(4)를 매개로 하여 앞에서 보조프레임(3)에 연결된 관형 형상의 하부 보조프레임(5), 및 이 보조프레임(5)에 설치된 러너(6)로 구성된다.
도 2는 스케이트(1)의 가능한 변형을 도시하는 바, 스케이트(9)는 힌지(4')의 축이 도 1에 따른 힌지(4)의 축 보다 훨씬 뒤에 위치한다는 점이 변경되어서, 힘이동의 향상을 유발할 수 있고, 힌지(4')가 대략 착용자 발의 둥근 부분 밑에 효과적으로 위치하며, 힘이동의 효과성이 간단한 구조의 조합으로 조금 향상될 수 있는 반면, 본 실시예는 선회각이 필연적으로 제한되는 결점을 갖는데, 이는 특히 도 2c를 참조로 명확히 된다.
가능하고 적당한 곳의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통상 표시되는데, 이는 일치하는 구성요소에 뿐만 아니라, 특히 기능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도 적용된다.
도 3은 두 부재(7,8;각각 상부 보조프레임(3)과 하부 보조프레임(5)에 일치하는) 사이의 연결부를 도시하는데, 평판의 이 연결부는 단지 하나의 자유도를 갖는다.
도 4는 마찬가지로 하나의 자유도를 갖는 두 부재(7,8) 사이의 연결부를 도시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부재들은 상호적으로 직선안내자로 연결되어서 단지 병진운동의 자유도를 갖는다.
도 5는 도 3의 힌지연결부와 도 4의 직선안내자의 혼합물을 효과적으로 수용하는 곡선안내자로 구성되는 부재(7,8) 사이의 연결부를 도시하는데, 이는 단지 하나의 자유도임에도 불구하고 병진운동과 회전운동 모두가 가능하다.
도 6은 두 자유도를 갖는 부재(7,8) 사이의 커플링의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이는 안내경로의 힌지이다.
도 7a는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의 자유도 모두를 갖는 두 윤곽 사이의 커플링을 도시한다.
도 7b에 따른 스케이트(10)는 각각 부재(7,8)의 일부를 이루는 두 개의 상호적으로 작용하는 기어랙(11,12)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신발과 상부 보조프레임의 2 ,3으로 표시된 안정위치에서 2',3'로 표시된 선회위치까지의 이동 때문에 회전운동과 병진운동이 발생하고, 회전의 중심이 랙(12)과 일치하는 경로를 따르므로 이는 실제의 버팀경로이다.
잘 구획된 버팀경로로 프레임은 단지 하나의 자유도를 가질 수 있는데, 다시한번 기술하자면 본 발명이, 신발에 연결되고 또는 연결될 수 있는 상부 보조프레임과 러너나, 휠, 스키빔, 또는 유사한 것이 연결되는 또는 연결될 수 있는 하부 보조프레임에 각각 일치하는 전술한 부재(7,8)의 자유도에 독점적으로 관계된다는 것이다.
도 8∼도 31은 위에 포함된 표에 기술한 바와 같이 기구부재들을 도시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버팀경로의 존재는 발이 구부려지는 스포츠 기구를 위한 본 발명의 범주내에 적용할 수 있는 기구를 위해 필요하므로, 도 9와 도 10 및 도 11의 실시예는 요구조건에 해당되지 않는다.
도 24에 따른 기구부재 6/1의 실시예는 특히 중요한데, 이 실시예는 여섯 개의 로드와 일곱 개의 선회축으로 구성되는 한편, 도 24에 도시된 원리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즉 도 32a와, 도 32b, 도 33a, 도 33b, 도 34, 도 35, 및 도 36을 참조로 하여 구체적인 예로 아래에 기술될 것이다.
도시된 표와 관련된 도 8∼도 31에 대해서, 로드기구의 전술한 기구에 부가하여 기구는 기구당 여섯 개 이상의 로드/부재로도 형식화될 수 있다.
전술한 기구의 각각의 힌지연결부에 있어서 직선안내자도 선택될 수 있다.
안내자경로의 각각의 힌지에 있어서 접촉부도 두 윤곽 사이에 선택될 수 있는데, 도 7a를 참조로 하중이 모든 방향으로 작용함이 불가능하다.
안내자경로의 각각의 힌지에 있어서 곡선안내자는 선택될 수 있는데, 영향받는 부재의 버팀경로로 된다.
전술한 바에 따르는 도 8∼도 31과 그 변형에 따른 24개의 기구는 부재의 버팀경로에 대한 엄중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에 모두 동등하게 알맞은 것은 아니어서, 원칙적으로 알맞은 부재는 표에서 #로 표시된다.
직선안내자와 곡선안내자 및 선회안내자는 실제로 간단한 힌지 보다는 구획된 평면의 기구를 지지할 능력이 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의 기구가 네 개의 힌지로는 운동학과, 무게, 간이성, 및 잘 구획된 버팀경로에 대한 엄중한 요구조건에 해당될 수 없다는 것이 경험적으로 증명되었으며, 상기 요구조건은 일곱 개의 힌지에 의해 매우 밀접한 근사를 이룰 수 있는 반면, 열 개의 힌지로는 실질적으로 완벽하게 만족시킬 수 있다.
부분적으로 저중량과 구조의 간이성 및 가격을 예상하여, 도 24에 따른 기구부재 6/1의 기구가 일반적으로 가장 알맞은 것으로 고려되는 바, 다음의 도면들은 그에 관계가 있다.
도 32a와 도 32b는 도 24에서 윤곽을 그린 원리에 의거한 스케이트(13)를 도시하는 바, 도 24와 동일하게 상부 보조프레임은 도 1과 도 2에 따른 상부 보조프레임과 도 24의 부재(7) 사이의 기능적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두 개의 참조부호 3,7로 표시되며, 유사하게 하부 보조프레임은 5,8로 표시되는데, 하부보조프레임이 러너(6)를 지지하는 관형 프레임부(14)에 나사로 연결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32a와, 도 32b, 도 33a, 도 33b, 및 도 34는 단지 일곱 개의 힌지(A,B,C, D,E,F,G)를 도시하는 바, 여섯 개의 로드는 필요에 있어서 이들 힌지의 관련된 부호로 표시되며, 이는 로드(A,B,C)가 관형 프레임부(14)를 포함해서 하부 보조프레임(5,8,14)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이 명확하게 되는 한편, 상부 보조프레임(G,F)은 신발(2)의 바닥에 연결된다.
특히 도 33a와 도 33b는 다양한 로드와 그들의 힌지가 선회하는 동안 다른 위치변화를 분명히 도시하고, 도 34는 큰 축척으로 도 33a의 위치를 도시하는데, 여기에는 보조프레임(3,7)의 선회 동안 힌지(D,C,G,F)의 이동이 도시된다.
만약 구체화된 크기가 도 35와 이에 포함된 표에 도시된 바와 일치하면, 전술한 보조프레임(3,7) 또는 로드(G,F)의 버팀경로는 요구조건에 따라서, 실제적으로 아주 수평하게 착용자 발의 둥근 부분 밑부터 엄지발가락 밑까지 주행한다.
도 35에서, 각각의 힌지(A,B,C,D,E,F,G)의 위치는 데카르트 좌표계에 지시되는 바, 착용자의 신발 크기에 따라 힌지 B의 X좌표는 지시된 값을 수용하거나 어떤 양수의 편차를 나타낼 수 있다. 세 개의 신발 크기가 예를 들어 선택될 수 있는데, 주어진 기본값에 관계있는 양수의 편차는 각각 약 1.3과 2.6 mm가 된다.
도 35에 따른 본래의 좌표계는 하부 보조프레임(5,8)의 뒤에서 무작위로 선택되고, 이 보조프레임(5,8)의 다른 점들은 참조부호, 예를 들어 힌지 A로 대용되었는데, 만약 비율이 유지된다면, 전체 좌표계(A∼G)의 크기는 예를 들어 이 힌지 A에 비례하여 수정될 수 있다.
도 36은 하부 보조프레임(5,8)에 관계있는 상부 보조프레임(3,7)의 버팀경로를 매개변수의 표시로 도시하는 바, 수평에는 선회각이 도로 도시되는 반면, 각각의 X방향(△X)과 Y방향(△Y)의 선회중심의 위치변화가 수직방향으로 도시된다. 도 36의 그래프는 수직방향의 변화(△Y)가 약간의 밀리미터로 되고 약 48˚의 선회각에 일치하는 선회경로의 끝에서 대략 0에 도달한다.
수평방향의 막대의 위치변화는 △X로 표시되는데, 속도는 약 35˚의 선회각까지 사실상 일정하고, 이 거리 이후에 막대는 최종위치까지 가속한다.
선회각이 0이면 막대는 대략 발의 둥근 부분 밑에 위치되고 끝에서는 엄지발가락 밑에 위치된다는 점이 다시한번 고려된다.
재설정용 스프링(115)에 나선형의 비틀림스프링(도 33a와 도 33b 참조)으로 구현되는 것이 고려되는 바, 이는 힌지 A의 샤프트 주위에 배치되고 로드(ABE,도 24 참조)와 로드(AD) 사이에 복원력을 가하여 보조프레임(3,7)이 도 3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에 의해서 안정위치로 복원되는데, 상기 안정위치에서 뒤꿈치부재(15)가, 하부 보조프레임(5,8)의 일부를 이루면서 부드러운 정지부를 형성하는 탄성재로 싸여있는 끝이 뾰족한 정지장치 표면내에 안정될 수 있다.
하부 보조프레임(5,8)은 부품이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사출성형된 윤곽부터 시작하여 제작될 수 있고, 프레임의 모든 로드는 알루미늄으로부터 매우 알맞게 제작될 수 있는데, 이 재료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저중량을 겸비하며, 힌지는 매우 내구성이 있는 재료와 이의 혼합물로부터 공지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재설정용 스프링 수단이 모든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데, 이들은 나선형의 당김 스프링이나 비틀림 스프링 또는 태엽으로 매우 알맞게 구현될 수 있고, 다수의 스프링은 로드기구에서도 작용할 수 있다. 스프링 수단의 편심과 강도는 두 가지의 고려로 결정되는데, 그 한가지는 스케이팅을 지치는 작용하지 않는 상태 동안 하부 보조프레임은 가능한 빨리 상부 보조프레임으로 이동되어야 하고, 다른 한가지는 복원력이 너무 커서 아주 중요한 이용가능한 힘의 일부가 스프링수단에 의해 흡수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20˚이상의 비교적 임의의 매우 큰 선회각은 발동작의 자연스러운 펴짐에 일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는 발목 주위의 가능한 발의 회전을 사용하는 데에 최적이 되는 바, 이 변동성은 발바닥의 굴곡작용으로 표시되고 우수한 힘이동에 필수적이다.
매우 간략하게 전술한 고려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프레임은 필수적인 속도증가를 유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3)

  1. 휠수단에 의해 활주가능하고 회전가능한 스키, 특히 크로스컨트리 스키나 빙상스케이트 또는 롤러스케이트용 스케이트 프레임이 설치된 신발에 연결되는 스포츠 기구용 프레임으로서, 착용자에 의해 신겨질 신발(2)의 연결용 수단으로서의 상부 보조프레임(3)과, 주평판에서 선회하기 위한 상기 상부 보조프레임(3)에 선회기구(4)를 매개로 연결되고 러너(6) 또는 휠을 구비하거나 구비하는 데에 적합한 하부 보조프레임(5), 및 양쪽 보조프레임을 서로쪽으로 밀어붙이는 재설정용 스프링 수단(115)으로 구성되어, 보조프레임이 상기 평판에서 상호적으로 선회가능하고 병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기구용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이 적어도 4개의 상호적으로 선회가능하고 병진가능한 로드로 구성된 기구의 일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기구용 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단지 하나의 자유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기구용 프레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버팀경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기구용 프레임.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경로가 대체로 일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기구용 프레임.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경로가 대체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기구용 프레임.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안정위치에서 착용자의 발의 둥근 부분 밑의 시작위치와 프레임이 최대한 외부로 선회된 위치에서 착용자의 엄지발가락 밑의 최종위치 사이에 버팀경로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기구용 프레임.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의 일정한 상대각속도에서 버팀경로를 따르는 받침대의 속도가 시작위치부터 최종위치까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기구용 프레임.
  9. 제 4항에 있어서, 프레임이 아래 표에 따르는 기구의 부재인데, 첫 번째 수는 로드의 수를 표시하고, p1은 하나의 자유도와의 연결부 수를 표시하며, p2는 두 자유도와의 연결부 수를 표시하며, #은 잘 구획된 버팀경로의 존재와 함께 발의 구부려짐에 대한 스포츠 기구의 적합성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기구용 프레임.
    기구/부재 도면 p1 p2 적합 2/1 8 0 2 # 3/1 9 2 1 3/2 10 1 1 3/3 11 0 1 4/1 12 4 0 # 4/2 13 4 0 # 4/3 14 3 2 # 4/4 15 2 4 # 4/5 16 1 6 # 4/6 17 0 8 # 5/1 18 5 1 # 5/2 19 4 3 # 5/3 20 3 5 # 5/4 21 2 7 # 5/5 22 1 9 # 5/6 23 0 11 # 6/1 24 7 0 # 6/2 25 6 2 # 6/3 26 5 4 # 6/4 27 4 6 # 6/5 28 3 8 # 6/6 29 2 10 # 6/7 30 1 12 # 6/8 31 0 14 #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일곱이나, 여덟, 아홉 또는 열 개의 선회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기구용 프레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일곱 개의 선회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기구용 프레임.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도 24를 따르면서 도 35에 따른 (적어도 상대적인)크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기구용 프레임.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비틀림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기구용 프레임.
KR1019970708075A 1995-05-24 1996-05-24 스포츠 기구 KR199900147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00430 1995-05-24
NL1000430 1995-05-24
NL1001284 1995-09-26
NL1001284 1995-09-26
NL1002060 1996-01-11
NL1002060 1996-0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733A true KR19990014733A (ko) 1999-02-25

Family

ID=27351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075A KR19990014733A (ko) 1995-05-24 1996-05-24 스포츠 기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113111A (ko)
EP (1) EP0958007B1 (ko)
JP (1) JPH11505733A (ko)
KR (1) KR19990014733A (ko)
AT (1) ATE265878T1 (ko)
AU (1) AU695197B2 (ko)
CA (1) CA2221834A1 (ko)
DE (1) DE69632416T2 (ko)
NO (2) NO313492B1 (ko)
NZ (1) NZ308660A (ko)
WO (1) WO19960372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32560A1 (fr) 1978-08-02 1980-02-29 Texas Instruments Inc Procede de decapage de metaux, en particulier d'aluminium, au plasma de tetrachlorure de silicium
FR2750882B1 (fr) * 1996-07-12 1998-10-30 Salomon Sa Patin a roues en ligne multiposition
FR2754726B1 (fr) * 1996-10-18 1998-11-27 Salomon Sa Dispositif de liaison entre une chaussure et un article de sport
AT406123B (de) * 1997-09-29 2000-02-25 Atomic Austria Gmbh Schwenkbare verbindungseinrichtung zwischen einem sportgerät und einer aufstandsfläche für einen fuss eines benutzers sowie bindung zur halterung des fusses auf einem sportgerät
NL1007231C2 (nl) * 1997-10-08 1999-04-09 Viking Schaatsenfabriek B V Klapschaats.
US6120040A (en) 1997-10-24 2000-09-19 K-2 Corporation Flexing base skate
US7419187B2 (en) 1997-10-24 2008-09-02 K-2 Corporation Double klap flex base boot with heel linkage
US6666463B2 (en) 1997-10-24 2003-12-23 K-2 Corporation Flexing base skate
US6082744A (en) * 1997-10-24 2000-07-04 K-2 Corporation Double hinged skate
IT1297292B1 (it) * 1997-11-06 1999-09-01 Stylus Spa Ora Toifin Spa Struttura di telaio per pattini da ghiaccio particolarmente per la velocita'
US6983942B2 (en) * 1998-02-02 2006-01-10 Minson Enterprises Co., Ltd. Adjustable skate
US6916027B2 (en) * 1998-02-02 2005-07-12 Minson Enterprises, Co. Ltd. Adjustable skate
FR2779659B1 (fr) * 1998-06-16 2000-09-01 Christophe Oddoux Dispositif d'articulation complementaire de fixation de ski ou de raquette
US6431559B1 (en) * 1998-06-26 2002-08-13 Juraj George Tlucko Skate with pivoting front wheels
US6883811B2 (en) 1998-06-26 2005-04-26 Juraj George Tlucko Skate with pivoting front carriage
NL1009736C2 (nl) * 1998-07-24 2000-02-01 Zandstra B V Schaatsgestel.
FR2782652B1 (fr) 1998-09-02 2000-10-06 Salomon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e chaussure a un article de sport
AT410902B (de) * 1998-11-12 2003-08-25 Atomic Austria Gmbh Schwenkbare verbindungseinrichtung zur anordnung zwischen einem sportgerät und einem fuss eines benutzers sowie schuh und sportgerät hierfür
FR2787724A1 (fr) 1998-12-24 2000-06-30 Salomon Sa Patin comprenant une chaussure articulee sur un chassis
US6056299A (en) * 1999-02-01 2000-05-02 Soo; Mike Skate base structure
FR2792846B1 (fr) 1999-04-30 2001-07-27 Salomon Sa Patin a roues en ligne du type a platine superieure articulee
WO2000066232A2 (fr) 1999-04-30 2000-11-09 Salomon S.A. Chassis articule
US6971652B2 (en) 1999-05-06 2005-12-06 Viking Schaatsenfabriek B.V. Connecting mechanism for pivotally connecting a shoe to a sporting device
NL1011985C2 (nl) * 1999-05-06 2000-11-07 Univ Amsterdam Verbindingsorgaan.
US6513815B2 (en) * 2000-07-18 2003-02-04 Verducci Usa Llc In-line racing skate propulsion device
US6736412B1 (en) 2000-10-04 2004-05-18 K2 Corporation Klop skate having pushing and pulling capabilities
FR2843310B1 (fr) 2002-08-08 2004-09-10 Salomon Sa Dispositif de fixation a decrochage par l'avant
US20040056449A1 (en) * 2001-02-02 2004-03-25 Salomon S.A. Binding device with front unfastening
ITPN20010031U1 (it) 2001-08-10 2003-02-10 F B C Di Giuliano Frati & C S Dispositivo perfezionato per l'aggancio di una calzatura ad un attrezzo sportivo.
FR2833178B1 (fr) 2001-12-11 2004-02-13 Salomon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e chaussure a un article de sport comportant des moyens de rappel perfectionnes
FR2836393B1 (fr) 2002-02-28 2004-05-21 Salomon Sa Dispositif de fixation a ressort de compression
FR2843311B1 (fr) 2002-08-08 2004-09-10 Salomon Sa Dispositif de fixation a accrochage integre
US7152865B2 (en) 2002-12-18 2006-12-26 Minson Enterprises Co., Ltd. Heel adjustable skate
FR2850031B1 (fr) 2003-01-21 2006-08-11 Salomon Sa Fixation a energie deportee
FR2853253B1 (fr) 2003-04-03 2005-05-06 Fixation avec un organe de liaison en deux parties
FR2856312B1 (fr) * 2003-06-18 2005-08-05 Salomon Sa Dispositif de fixation a bras pivotant
FR2865660B1 (fr) 2004-01-30 2006-04-07 Salomon Sa Dispositif de fixation a deverrouillage integre
FR2873044B1 (fr) 2004-07-13 2006-09-29 Salomon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e chaussure a un article de sport avec systeme de rappel elastique separe
FR2892943A1 (fr) * 2005-11-09 2007-05-11 Skis Rossignol Sa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e chaussure de sport sur une planche de glisse
EP2015852A2 (en) * 2006-04-28 2009-01-21 Lane Ekberg Pivoting footwear systems and, configurable traction systems
US20080184599A1 (en) * 2006-10-10 2008-08-07 Lane Ekberg Pivoting footwear systems and, configurable traction systems
CA2668539C (en) 2006-11-07 2013-09-24 Debra J. Kreutzer Collapsible snowshoe
NL1034143C2 (nl) * 2007-07-17 2009-01-20 Widee Bv Gestel voor een klapschaats, alsmede klapschaats met een dergelijk gestel.
EP2241355A3 (de) * 2009-04-17 2012-09-05 Christian Steinbach Skibindung
SE534628C2 (sv) 2010-02-09 2011-11-01 Marsblade Ab Inlinesskena
IT1399266B1 (it) * 2010-03-19 2013-04-11 Maruelli Attacco con alza punta
EP2547410B1 (en) * 2010-03-19 2014-06-18 Maruelli Stefano & C. S.A.S. Improved binding system for skis with the possibility of lifting the tip of the footwear
SE535465C2 (sv) * 2011-03-18 2012-08-21 Marsblade Ab Bindning samt en skida, skridsko eller sko med en sådan bindning
EP2703053A1 (en) * 2012-08-31 2014-03-05 Marsblade AB Coupling means
ITTO20130641A1 (it) * 2013-07-29 2013-10-28 Torino Politecnico Meccanismo articolato per attacchi per sci.
DE202014000791U1 (de) * 2014-01-27 2015-01-28 Karl-Heinz Belling Vorrichtung an einspurigen Roll- oder Schlittschuhen zum Erreichen eines Schwenk-Klappeffektes
WO2017074941A1 (en) * 2015-10-27 2017-05-04 Daymaker Touring, Llc Linkage binding
NL2021395B1 (en) 2018-07-25 2020-01-31 Schaatsenfabriek Viking B V Clap skate
EP3978088B1 (en) * 2020-10-02 2023-10-04 Flow Motion Technology AB An ice skat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327A (en) * 1899-02-14 Skate-runner
US31797A (en) * 1861-03-26 Improvement in skates
US1228544A (en) * 1916-04-19 1917-06-05 Carl Louis Falstrem Ice-skate.
US1702316A (en) * 1927-02-15 1929-02-19 Horace L Ridgers Skate
DE811095C (de) * 1949-01-04 1951-08-16 Karl Thomae Schlittschuh
US3749413A (en) * 1972-03-03 1973-07-31 J Nicolson Wheeled ski
CA1120509A (en) * 1980-02-05 1982-03-23 Sophia Berta Spring assisted roller skates
EP0192312A3 (en) * 1985-02-21 1987-11-25 Gerrit Jan Van Ingen Schenau Skate, more particularly ice-skate for speed skating
NL8702068A (nl) * 1987-09-02 1989-04-03 Gerrit Cornelis Van Ooijen Noorse schaats.
FR2659534B1 (fr) * 1990-03-16 1994-09-23 Salomon Sa Ensemble chaussure/patin et chaussure destinee a un tel ensemble.
EP0602120B1 (en) * 1991-09-03 1997-03-19 Catsclaw Limited Apparatus for arresting the progress of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75375L (no) 1997-11-24
EP0958007A1 (en) 1999-11-24
NO975375D0 (no) 1997-11-24
EP0958007B1 (en) 2004-05-06
US6113111A (en) 2000-09-05
AU5845996A (en) 1996-12-11
WO1996037269A1 (en) 1996-11-28
CA2221834A1 (en) 1996-11-28
NO319350B1 (no) 2005-07-18
DE69632416D1 (de) 2004-06-09
NO20024483D0 (no) 2002-09-19
NZ308660A (en) 1999-03-29
JPH11505733A (ja) 1999-05-25
NO313492B1 (no) 2002-10-14
DE69632416T2 (de) 2004-09-16
ATE265878T1 (de) 2004-05-15
AU695197B2 (en) 1998-08-06
NO20024483L (no) 199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4733A (ko) 스포츠 기구
US2529968A (en) Mechanism for artificial legs
US20160199699A1 (en) Balance training system
CA1057050A (en) Ski boot
US4595195A (en) Apparatus for practicing skiing
US6499761B1 (en) Device for fixing a shoe to a sports article
NO180613B (no) Sportsstövel beregnet til bruk ved glidesport
US4199879A (en) Safety ski boot structure
RU2488420C2 (ru) Роликовая лыжа или конек с системой торможения и способ торможения упомянутого спортивного изделия
US6736412B1 (en) Klop skate having pushing and pulling capabilities
US3728804A (en) Ski boot
US4132425A (en) Multi-wheel in-line roller skates
JPS61284201A (ja) アルペンスキ−靴
US6843497B1 (en) Flexible connection between sports device and shoe
CA1160042A (en) Skiing boot
RU2555644C2 (ru) Роликовый конек
JP2975295B2 (ja) 生物動態力学的ローラスケート
JP2001327627A (ja) 運動機器
WO2002098254A1 (en) Article of footwear, binding assembly and article of footwear-binding assembly combination
RU2116813C1 (ru) Лыжи опорные
WO1990012515A1 (en) Sports footwear and support system
RU2128076C1 (ru) Лыжа
JPH06178701A (ja) 人工関節および人工関節を備えたスキー靴
JP6146751B2 (ja) アイススケート靴
WO2000047295A1 (en) Adjustable inline skate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