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611A - 다주파 부호(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 - Google Patents

다주파 부호(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611A
KR19990014611A KR1019980051024A KR19980051024A KR19990014611A KR 19990014611 A KR19990014611 A KR 19990014611A KR 1019980051024 A KR1019980051024 A KR 1019980051024A KR 19980051024 A KR19980051024 A KR 19980051024A KR 19990014611 A KR19990014611 A KR 19990014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ing
encryption
telephone
sender
mf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7842B1 (ko
Inventor
이종인
Original Assignee
이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인 filed Critical 이종인
Priority to KR1019980051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842B1/ko
Publication of KR19990014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842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기의 MFC 톤 다이얼 신호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MFC 방식 전화기를 사용하여 은행이나 카드사 등에서 제공하는 폰 뱅킹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전화기에서 출력되는 MFC 톤 다이얼 신호를 그대로 전송하지 않고 암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폰 뱅킹 서비스 등을 이용할 때 중요한 이용자 정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은행(또는 카드사)과 고객간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송신인의 사용자번호가 수신되면, 수신측에서 난수를 생성하여 송신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난수와 송신인의 사용자번호를 사용하여 미리 정의된 인증함수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측에서 상기 난수와 송신인의 사용자번호를 사용하여 미리 정의된 인증함수값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측에서 두 인증함수값을 비교하여, 송/수신측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는 단계와; 송신측으로부터 발생되는 다이얼 신호를 변환하여 암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암호화된 결과를 다시 재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주파 부호(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
본 발명은 다주파 부호(Multi-Frequency Code; 이하는 MFC라 칭함) 방식 전화기를 통해 중요한 개인정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은행이나 카드사 등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통신망(예를 들면 자동응답 폰-뱅킹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주파 부호방식 전화기에 의해 자금 이체 등을 실시하게 될 때, MFC 톤으로 전송되는 통장 계좌 번호(또는 카드 번호)와 비밀 번호 및 거래 금액 등의 개인 정보가 불법 사용자들에게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MFC 방식 전화기에서 사용자가 버튼을 눌러 선택되어 자동식 교환기로 송출되는 MFC 톤은 누름 버튼 다이얼을 누를 때 생기는 음성 주파수 중의 3×4 또는 4×4 키 매트릭스의 각 행과 각 열에 설정된 두 주파수의 사인파를 혼합한 신호로서, 두 주파수를 수신할 때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배려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은 다이얼 조작이 간단하고 선택신호의 송출속도가 빠르며, 전화 회선망을 통하여 한 단말기로부터 다른 단말기까지 직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여러 가지 새로운 서비스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은행이나 카드사 등에서는 타행 또는 당행 자금 이체나 예금 입/출금 업무 등을 창구에서 직접 취급하는 경우에 인력 및 공간 소요에 따른 경비를 절감하고 고객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와 같은 전화기의 MFC 톤을 이용하여 자금 이체가 가능하게 하는 폰 뱅킹 서비스를 실시하여 일반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폰 뱅킹 서비스에서는 은행이나 카드사 등의 호스트 컴퓨터에 자동 응답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폰 뱅킹 서비스 이용자는 은행이나 카드사가 지정해준 전화번호에 전화를 걸어 전화 회선망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의 안내에 따라 전화기의 해당 버튼을 누르는 동작으로 은행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폰 뱅킹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종래 은행에 직접 나가야만 가능했던 당행 또는 타행 자금 이체나 예금 잔고 확인 또는 입금 확인 등의 은행 업무를 MFC 방식 전화기만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은행 업무를 보는데에 따른 시간을 대폭적으로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금 수수료 또한 저렴하여 일반 고객들이 주로 많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MFC 전화기로 은행이나 카드사의 자동 응답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전화기에서 발생되는 MFC 톤 다이얼 신호가 변형되지 않은 순수한 MFC 톤 신호 자체로 전화 회선망을 통해 은행이나 카드사로 전송되기 때문에 고객정보가 보안성을 잃은 상태로 전송되며, 따라서 전화 선로 중간에서 타인에 의한 불법 녹취가 있을 경우 중요한 고객정보가 매우 쉽게 누출되고, 그 누출된 정보가 타인에 의해 도용되어 엄청난 피해를 입는 사례가 속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송신측과 수신측이 각각 미리 정의된 인증함수에 의해 정당 사용자인지를 확인한 후, 송신측에서는 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암호화된 신호를 해독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MFC 전화기에서 전송되는 고객 정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은행(또는 카드사)과 고객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송신측 전화기와 암호화 모듈 및 수신측 전화기와 암호화 모듈의 통화라인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송신측으로부터 송신인의 사용자번호가 수신되면, 수신측에서는 임의의 난수를 생성하여 송신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난수와 송신인의 사용자번호 및 미리 정의된 인증함수를 사용하여 그 함수값을 계산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수신측으로부터 임의의 난수가 수신되었을 때, 송신측에서는 상기 난수와 송신인의 사용자번호 및 미리 정의된 인증함수를 사용하여 그 함수값을 계산하고, 그 함수값 계산결과를 전화 회선망을 통해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송신측으로부터 인증함수값이 수신되었을 때, 수신측에서는 자신이 계산한 인증함수값과 송신측에서 계산된 인증함수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로 송신측과 수신측에 대한 상호인증을 실행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인증된 송신측으로부터 다이얼 신호가 발생되면 그 다이얼 신호를 변환하여 암호화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암호화된 결과를 전화기의 다이얼 번호와 대응시키기 위하여 실제 전화기에서 발생된 MFC 톤과는 다른 정상 MFC 톤으로 다시 재변환하여 전화 회선망을 통해 전송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지는 MFC 전화기의 톤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시스템이 적용된 상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블록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암호화 모듈을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일 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송신측과 수신측 모듈 사이의 신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이 적용되기 위한 전화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버튼 누름에 따라 각 버튼에 해당하는 MFC 톤을 발생하는 MFC 방식 전화기(10)와; 전화기와 국선 사이에 연결되어 국선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해독하여 상대측 기기와의 인증 여부를 체크하고, 인증이 확인되면 전화기에서 발생되는 다이얼 신호를 암호화하여 국선으로 전송하는 암호화 모듈1(20A)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임의 전화 회선망을 통해 링신호가 전송될 경우 그 링신호 전송상태를 호스트 컴퓨터가 인식하여 자동 응답 시스템을 연결하고, 그 자동 응답 시스템의 안내를 따르는 MFC 톤 다이얼 신호가 전화 회선을 통해 규율에 맞게 수신될 경우 MFC 톤 다이얼 신호가 지정하는 폰 뱅킹 서비스(예를 들어 MFC 톤 다이얼 신호가 지정하는 이용자의 계좌번호에서 원하는 금액을 자동 이체하는 등의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호스트 컴퓨터 구동 프로그램이 설정된 경우, 상기 호스트 컴퓨터(30)에 상기 암호화 모듈 1과 동일한 형태로 또 하나의 암호화 모듈 2(20B)를 장착하여 구성하고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암호화 모듈 1 또는 2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일 실시예도이다.
도면에서는 전화기와 국선 사이의 신호 전송경로를 전화기의 MFC 톤 출력을 국선으로 직접 전송하는 경로와, 별도의 MFC 톤 다이얼 신호 암호화 경로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이용자의 의도가 개입된 외부 제어신호 혹은 의용자의 의도에는 관계없이 내부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단자를 자동 절환하여 상기 두 신호 전송 경로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전화선 절환수단(21)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전화선 절환수단을 전화기의 내선과 국선 사이에 외장형으로 구비함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MFC 톤 다이얼 신호의 암호화를 실행하기 위하여 특정 조건을 검출하는 암호화 설정수단으로서는 전화기의 내선에 직접 연결되어 그 전화기에서 발생되는 MFC 톤 다이얼 신호, 특히 특수버튼(예를 들어 * 버튼이나 # 버튼)에 대한 다이얼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MFC 톤 검출부(22A)와, 상기 전화선 절환수단을 이용자의 의도에 따라 임의로 수동 절환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한 키입력부(22B)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송/수신측에 대한 상호 인증을 실행하는 수단으로서는 스스로 임의의 난수를 생성하여 전화 회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혹은 상호 인증을 위해 상대방이 생성한 난수와 상대방이 계산한 결과를 전화 회선망을 통해 전송받을 수 있고, 자신이 생성한 난수와 상기 전송받은 난수 및 별도의 기 설정된 인증치로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인증함수값을 계산할 수 있으며, 상기 계산 결과를 전화 회선망을 통해 전송받은 계산 결과와 비교하는 동작으로 상호 인증을 수행하는 암호화 모듈 상호 인증부(25)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전화기에서 발생되는 MFC 톤 다이얼 신호를 지정된 암호화 함수나 혹은 테이블 변환표에 따라 변환하는 암호화 수단(24)으로서는 실제 전화기에서 발생되는 MFC 톤 다이얼 신호를 그에 대응하는 키번호로 해독하기 위한 MFC 톤 디코더부(24A)와, 상기 MFC 톤 디코딩 출력을 임의의 암호화 함수(사전 약속에 의하여 기 설정된 여러 가지의 암호화 함수를 사용할 수 있음)를 이용하여 암호화(예를 들면 16 진수화)하는 암호화 연산부(24B)와, 상기 암호화된 신호를 선로 전송특성이 높은 전화기의 다이얼 번호에 대응시키기 위하여 실제 전화기에서 출력되는 MFC 톤 다이얼 신호와는 구별되는 다른 정상 MFC 톤으로 재변환하는 MFC 톤 인코더부(24C)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 설명중에서 암호화 연산부(24B)는 임의의 암호화 함수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예로서 이미 알려진 암호화 함수나 또는 별도로 고안된 암호화 함수를 사용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각각의 함수가 별개의 함수이거나 똑같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암호화된 신호를 다시 전화 다이얼 번호에 대응시키는 방식은 암호화 결과를 십진수로 변환하여 다이얼 번호(0-9)로 대응시킬 수 있으며, 암호화 결과를 2진수로 변환하여 2개의 다이얼 번호(예를 들어 0,1 또는 0,9)로 대응시킬 수 있으며, 암호화 결과를 16진수의 하위와 상위 4비트수로 변환한 후 0-9는 정상톤으로, A-F까지는 특수 버튼(*, #) 등을 그 앞이나 뒤에 하나 또는 그 이상 부가시켜 대응시킬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여러 가지가 더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수단(23)을 갖으며, 송신측과 수신측의 전화 회선망이 연결된 상태에서 특정 조건이 검출되었을때에 상기 암호화 모듈 상호 인증부를 제어하여 송신측과 수신측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로 상기 암호화 수단 및 전화선 절환수단을 제어하여 전화기의 MFC 톤이 암호화 전송되게 하는 주 제어수단(26)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신측 전화기(예를 들어 개인 사용자)와 수신측 전화기(이하에서는 은행이나 카드사 등의 호스트 컴퓨터에 연결된 전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함)의 통화라인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송신측과 수신측의 전화기 각각에 연결된 두 암호화 모듈 사이의 신호 흐름도이다.
먼저 제 1단계에서 송신측 암호화 모듈 1(20A)에서 전화 회선망을 통해 송신인의 사용자번호를 전송(ST11)한다. 이때 송신인의 사용자 번호는 전화기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값일 수도 있으며, 또는 송신측 암호화 모듈 1에 미리 송신인의 사용자 번호를 프로그램해둔 상태에서 통화라인이 연결되면 자동으로 송신되는 값일 수도 있다.
수신측 암호화 모듈 2(20B)에서는 상기 송신측 암호화 모듈로부터 송신인의 사용자번호가 수신되면, 임의의 난수를 생성(ST12)하여 다시 송신측으로 전송(ST13)한다. 그리고 상기 난수와 송신인의 사용자번호 및 미리 정의된 인증함수를 사용하여 그 함수값을 계산(ST14)한다.
다음 제 2단계에서 송신측 암호화 모듈 1(20A)에서는 상기 수신측로부터 임의의 난수가 수신되면, 그 난수와 송신인의 사용자번호 및 미리 정의된 인증함수를 사용하여 그 함수값을 계산(ST15)하고, 그 함수값 계산결과를 수신측으로 전송(ST16)한다.
제 3단계에서 수신측 암호화 모듈 2(20B)에서는 상기 송신측으로부터 인증함수값 계산결과가 수신되면, 자신이 계산한 인증함수값과 송신측에서 전송된 인증함수값을 비교(ST17)하여, 그 비교결과로 송신측과 수신측에 대한 상호인증을 실행(ST18)하고, 인증 확인됨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측으로 전송(ST19)한다.
따라서, 제 4단계에서 송신측 암호화 모듈 1(20A)에서는 상기 제 3단계에서 인증 실행된 확인 신호를 받게 된다(ST20). 이후 송신측 전화기에서 다이얼 신호가 발생되면, 송신측 암호화 모듈 1(20A)에서는 그 다이얼 신호를 소정 규칙에 따라 변환하여 암호화(ST21)한다.
제 5단계에서 송신측 암호화 모듈 1(20A)에서는 상기 암호화된 결과를 전화기의 다이얼 번호와 대응시키기 위하여 실제 전화기에서 발생된 MFC 톤과는 다른 정상 MFC 톤으로 다시 재변환(ST22)하여 수신측으로 전송(ST23)하고, 수신측 암호화 모듈 2(20B)에서는 해당 규칙에 따라 해독(ST24)하여 호스트 컴퓨터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 5단계에서는 암호화된 결과를 전화기의 다이얼 번호와 대응시키기 위하여 십진수로 변환할 수 있으며, 또는 16진수의 하위와 상위 4비트수로 변환한 후 0-9까지는 정상톤으로 변환하고 A-F까지는 A-F까지 정의된 다이얼 번호에 특수번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 부가시켜 재변환할 수 있으며, 또는 2진수로 재변환한 후 그에 대응되는 2개의 다이얼 번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암호화 모듈 및 그 암호화 모듈이 적용된 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 기술에 대해서는 선출원(본 출원인에 의해 1998년 5월 27일에 이미 특허 출원된 제19308호가 있음)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그것을 개량한 형태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측의 암호화 모듈 1(20A)의 주 제어수단(26)에서는 전화 회선망이 연결되어 은행이나 카드사 등의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되면, 송신측 전화기(10)에서 특수 번호(#, *)에 해당하는 MFC 톤이나 외부 키입력부(22B)에서 특정 키입력이 있는 상태를 검출하여 어느 하나가 검출되면 상기 특정 조건으로 만족하여 암호화 모듈 상호 인증부(25)를 구동시킴으로써, 은행측 호스트 컴퓨터(30)에 연결된 또 하나의 암호화 모듈 2(20B)와의 송/수신측 인증 실행단계를 개시한다.
상기 인증 실행단계에서 암호화 모듈 1(20A)은 송신인의 사용자 번호를 은행측의 호스트 컴퓨터(30)로 정상 톤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때 호스트 컴퓨터(30)측의 암호화 모듈 2(20B)는 상기 사용자 번호를 입력받으면, 임의의 난수를 스스로 생성하여 다시 송신측으로 전송하며, 그와 동시에 상기 난수와 상기 송신인의 사용자 번호를 사용하여 미리 정의된 인증함수의 값을 계산한다.
한편, 송신측 암호화 모듈1(20A)은 상기 수신된 난수와 송신인의 사용자 번호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미리 정의된 인증함수의 값을 계산하고, 그 계산 결과를 다시 호스트 컴퓨터측 암호화 모듈 2(20B)로 전송한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측 암호화 모듈 2(20B)은 자신이 계산한 인증함수 계산결과와 상기 송신측 암호화 모듈 1로부터 수신된 인증함수 계산결과를 비교한다. 이때 상기 비교 결과가 동일할 경우는 호스트 컴퓨터측 암호화 모듈 2(20B)로 인증 확인 결과를 전송하며, 만약 결과가 같지 않다면 비교 오류신호를 전송하거나 아무런 신호도 보내지 않고,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따라서 송신측 암호화 모듈 1(20A)의 주 제어수단(26)에서는 그 인증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자동으로 전화선 절환부(21)의 스위칭 단자를 암호화 전송경로로 연결함으로써, 이후 전화기에서 발생되는 MFC 톤 다이얼 신호가 MFC 디코더부(24A)와 암호화 연산부(24B)와 MFC 톤 인코더부(24C)를 순차적으로 거쳐 전송되도록 하여 고객의 은행 계좌번호, 비밀 번호 및 금액 정보가 이미 서로 간에 약속된 암호화 함수 혹은 지정된 테이블 변환표에 의해 암호화된다. 이러한 암호화 동작은 암호화 함수키를 세션(session)키로 하는 암호화 함수 변환 또는 암호화 테이블 변환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 뒤 다시 전송 특성이 좋은 정상톤으로 재변환되어 전송되게 한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30)측의 암호화 모듈 2(20B)에서는 그 역변환 과정을 거쳐 신호를 해독하여 고객의 은행 계좌번호, 비밀 번호 및 금액 정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화기에서 출력되는 MFC 톤 다이얼 신호를 암호화 전송 모듈을 통해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암호화된 MFC 톤 다이얼 신호를 해독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MFC 전화기를 이용한 자금 이체 업무(폰 뱅킹)를 실시하게 될 때 이용자 정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송신측 전화기와 암호화 모듈 및 수신측 전화기와 암호화 모듈의 통화라인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송신측으로부터 송신인의 사용자번호가 수신되면, 수신측에서는 임의의 난수를 생성하여 송신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난수와 송신인의 사용자번호 및 미리 정의된 인증함수를 사용하여 그 함수값을 계산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수신측으로부터 임의의 난수가 수신되었을 때, 송신측에서는 상기 난수와 송신인의 사용자번호 및 미리 정의된 인증함수를 사용하여 그 함수값을 계산하고, 그 함수값 계산결과를 전화 회선망을 통해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송신측으로부터 인증함수값이 수신되었을 때, 수신측에서는 자신이 계산한 인증함수값과 송신측에서 계산된 인증함수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로 송신측과 수신측에 대한 상호인증을 실행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인증된 송신측으로부터 다이얼 신호가 발생되면 그 다이얼 신호를 변환하여 암호화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암호화된 결과를 전화기의 다이얼 번호와 대응시키기 위하여 실제 전화기에서 발생된 MFC 톤과는 다른 정상 MFC 톤으로 다시 재변환하여 전화 회선망을 통해 전송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지는 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송신측 암호화 모듈에서는 송신인의 올바른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조건에서 상기 인증함수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FC 전화기의 다이얼신호 보안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암호화키를 사용하여 상기 인증함수 계산값에 대한 암호화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동작은 암호화 함수키를 세션(session)키로 하는 암호화 함수 변환 또는 암호화 테이블 변환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송신측 암호화 모듈에서 발생되는 MFC 톤 다이얼 신호를 임의 암호화 함수로 변환하기 이전에 MFC 톤 다이얼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는 암호화된 결과를 실제 전화기의 다이얼 번호와 대응시키기 위하여 십진수로 재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는 암호화된 결과를 16진수의 하위와 상위 4비트수로 변환한 후 0-9까지는 정상톤으로 변환하고, A-F까지는 A-F까지 정의된 다이얼 번호에 특수번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 부가시켜 재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는 암호화된 결과를 2진수로 재변환한 후 그에 대응되는 2개의 다이얼 번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
KR1019980051024A 1998-11-26 1998-11-26 다주파 부호(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 KR100277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024A KR100277842B1 (ko) 1998-11-26 1998-11-26 다주파 부호(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024A KR100277842B1 (ko) 1998-11-26 1998-11-26 다주파 부호(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611A true KR19990014611A (ko) 1999-02-25
KR100277842B1 KR100277842B1 (ko) 2001-01-15

Family

ID=65948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024A KR100277842B1 (ko) 1998-11-26 1998-11-26 다주파 부호(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8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8994B2 (en) 2010-01-12 2013-10-15 Baker Hughes Incorporated EFPI sensor
US8793102B2 (en) 2010-01-12 2014-07-29 Baker Hughes Incorporated Multi-gap interferometric senso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8994B2 (en) 2010-01-12 2013-10-15 Baker Hughes Incorporated EFPI sensor
US8793102B2 (en) 2010-01-12 2014-07-29 Baker Hughes Incorporated Multi-gap interferometric sens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7842B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8187A (en) Secure telecommunications data transmission
KR200304933Y1 (ko) 스피커를 데이터 전송수단으로 활용한 휴대폰.
WO2001045054A2 (en) The acoustic encoding of dynamic identification codes
US20060147000A1 (en) Method for in-band entity authentication via telephone
KR100277842B1 (ko) 다주파 부호(mfc)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보안방법
CN102622820A (zh) 终端设备和服务器
KR100856648B1 (ko) Dtmf 변환장치를 이용한 폰뱅킹 서비스의 해킹 방지방법 및 시스템
KR100293174B1 (ko) 전화기의다주파부호(mfc)톤다이얼신호보안방법및장치
KR0170165B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홈 뱅킹 단말장치 및 그의 운용방법
CN105635390A (zh) 双音多频信号的显示方法、显示系统和终端
KR0170164B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펌 뱅킹 단말장치 및 그의 운용방법
KR20000014730A (ko) 통신시스템용 보안장치
JPH11353399A (ja) 電話機、自動決済処理装置及び自動決済方式
US7702313B1 (en) Telecommunications terminal
JPS5911146B2 (ja) 暗証番号入力方法とその装置
KR100562933B1 (ko) 자동응답 보안시스템 및 그 보안방법
KR200399212Y1 (ko) 디티엠에프 톤 형태의 일회용 패스워드 발생장치, 상기일회용 패스워드 발생장치를 이용한 전화 거래 인증 시스템
JPH10214305A (ja) ホームバンキングシステム
KR100450931B1 (ko) 비밀번호를 보호하는 전화기 및 그 방법
CN102044026A (zh) 电话支付加密方法、装置和系统
CN101485183A (zh) 提供和使用电话呼叫卡的方法和设备
KR100229766B1 (ko) 메모리된 전화번호를 페이저로 확인하는 방법
KR200329562Y1 (ko) 전화 발신자 표시를 이용하여 휴대전화를 열쇠로사용하는 자물쇠장치
GB2345225A (en) A telephone
KR20040055478A (ko) 사설 교환기간의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