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967U - 노광장치용 브이 캠 - Google Patents

노광장치용 브이 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967U
KR19990013967U KR2019970027284U KR19970027284U KR19990013967U KR 19990013967 U KR19990013967 U KR 19990013967U KR 2019970027284 U KR2019970027284 U KR 2019970027284U KR 19970027284 U KR19970027284 U KR 19970027284U KR 19990013967 U KR19990013967 U KR 199900139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moving
support
exposure
tri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2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풍기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20199700272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3967U/ko
Publication of KR199900139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967U/ko

Links

Landscapes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광장치용 브이 캠에 관한 것으로, 광원램프에서 주사되는 광량 및 비산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삼각캠과 조절커버의 이동거리가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브이 캠의 일면에 소정의 깊이를 이루는 다수개의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로울러가 이동하는 거리 및 이동경로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에따라 삼각캠과 조절커버의 정확한 이동거리의 설정으로 패널의 양내측부위의 노광처리를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노광장치용 브이 캠
본 고안은 노광장치용 브이 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이 캠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가 브이 캠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이와 연동하는 삼각캠 및 조절커버의 이동거리를 일정하게 하고, 이에따라 패널 양내측 부위의 노광처리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노광장치용 브이 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브라운관은 여러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바, 그중 스크린 공정은 화면부와 3색 형광막을 형성시키는 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기 스크린 공정에 있어서, 패널의 내면에 도포.건조된 레지스트막을 소정의 형상으로 현상시키고, 이후, 블랙코팅을 수행하기 위해 노광장치가 사용되며, 이 노광장치 내부에는 패널 내면에 광원을 주사하기 위한 하나의 매개인 광원램프가 장착되어 있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1은 노광장치에 설치된 광원램프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노광장치(10) 지지부재(12)의 상면 중앙에는 일정깊이와 길이를 이루는 가이드홈(14)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14)의 내부에는 이 가이드홈(14)을 따라 전,후진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부재(16)가 삽입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부재(16)의 일측에는 양편에 일정 경사면(18)을 이루는 삼각캠(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삼각캠(20)의 양편에는 이 삼각캠(20)의 경사면에 압압.밀착되도록 탄성스프링(22)으로 탄지된 이동부재(2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이동부재(24)의 또 다른 일측면에는 이와 연동하도록 연결된 연결부재(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결부재(26)의 일끝에는 하부의 광원램프(28)에서 주사되는 광원의 발광량 및 비산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조절커버(30)가 부착.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삼각캠(20)과 대응하는 가이드부재(16)의 일끝은 중앙에 결합된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회동하는 회동판(34)의 상부 일면에 부착.연결되어 있고, 이 면과 대응하는 면의 하부에는 지지대(36)가 일정길이로 하여 수평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지지대(36)의 일끝에는 회전볼(38)이 이탈되지 않도록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6)의 일 끝에 결합된 회전볼(38)은 V자형으로 소정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는 브이 캠(40)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로 하여 양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대(36)의 일정부위에는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42)의 작동에 의해 로드(44)가 수평으로 왕복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노광장치(10)는 먼저 도시되지 않은 컨베이어시스템에 의해 이동되어 오는 패널을 다수개의 노광렌즈를 이격.내장시킨 노광장치의 상면에 안착시키게 되고, 이와동시에 실린더(42)의 작동에 따라 로드(44)가 전,후진하게 되면, 이와 연결된 지지대(36)의 회전볼(38)이 브이 캠(40)의 밀착면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측방향의 일정거리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지지대(36)가 좌,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브이 캠(40)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경사면의 상사점에 회전볼(38)이 위치할 수록, 지지대(36)는 수평 전진하게되고, 이와 반대로 회전볼(38)이 브이 캠(40)의 중앙으로 갈수록 지지대는 후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회전볼(38)이 위치하는 경사면에 따라 지지대(36)가 전,후진 하게 되는데, 이때 이 지지대(36)의 일끝은 중앙의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회동판(34)의 하부 일면에 연결.부착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는 면의 상부에는 삼각캠(20)을 구비한 가이드부재(16)가 부착.고정되어 있어서, 결국 지지대(36)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 회동판(34)이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각도를 이루며 회동하게 되며, 이에따라 삼각캠(20)이 전,후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데, 상기 삼각캠(20)이 전진할 경우, 먼저 삼각캠(20)과 연결된 가이드부재(16)는 지지부재(12)에 형성된 가이드홈(14)을 따라 슬라이딩 전진.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삼각캠(20)의 양측 경사면(18)에는 이동부재(24)가 탄성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내측방향으로 탄지되어 있어, 탄성스프링(22)은 압축되면서 양측으로 밀려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삼각캠(20)의 계속적인 전진 이동과 동시에 이동부재(24)가 양편으로 벌어짐으로써, 광원램프(28)에서 발광되는 광량과 발산각도를 조절하여 패널의 내측부위의 노광처리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노광처리의 수행을 끝마치면, 상기 삼각캠(20)은 후진하게 되고, 이 양측에 탄지된 탄성스프링(22)은 탄발력이 작용하여 양측에 벌어져 있던 이동부재(24)가 내측방향으로 재 이동함게 됨으로써, 이와 연동하는 조절커버(30)가 처음상태로 좁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노광장치용 브이캠은 먼저 지지대(36)에 결합된 회전볼(38)이 브이 캠(40)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측방향으로 이동시, 브이캠(40)의 일면은 단순히 평평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예컨데 첨부된 예시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이캠(40)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볼(38)의 경로가 좌측방향으로 경로(a)라 하고, 우측방향으로 상기 경로(a)와 동일한 경로를 이탈하여 경로(b)로 이동할 경우, 경로(a)와 경로(b)의 거리를 비교해보면, 적어도 경로(a)보다 경로(b)의 이동거리가 크게 설정됨으로써, 결국 이와 연결된 상태로 연동하는 조절커버(30)가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경로(a) 및 경로(b)에 따라 일정한 이동거리로 벌어지지않으므로 해서, 패널의 크기에 따라 광량조절 및 광원의 비산각도 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패널의 노광처리 불량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회전볼(38)은 지지대(36)의 일 끝에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삽입.결합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는 브이 캠(40)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양편부위의 압력(P1)과 압력(P2)에 압압.밀착에 따른 이 부의의 마모로 인하여 라운드의 홈이 형성되고 이와 같이 라운드 홈이 형성되면, 회전볼(38)의 불안정한 이동 및 상호 간섭이 발생되어 정확한 노광처리를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패널의 관종에 따라 노광처리에 따른 브이 캠(40)의 각도를 변경시키고자할 경우에는, 이 브이 캠(4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각도 조절장치가 없으므로 해서, 관종에 따른 노광처리 수행에 어려움이 있고, 이에따라 관종 별로 각각의 각도를 이루는 브이 캠(40)을 제작하여 필요시, 교체하여 노광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브이 캠의 중앙을 기준하여 양편에 동일한 거리의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지지부재의 고무 로울러가 이동시, 이동경로의 변경 혹은 이탈방지을 방지함으로써, 이와 연동하는 삼각캠의 수평 이동거리 및 조절커버의 이동거리를 일정하게 하여, 패널의 노광처리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노광장치용 브이 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각도를 이루는 브이캠의 일면에는 일 끝에 회전볼이 결합된 지지대가 밀착.슬아딩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대의 일끝은 중앙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외동하는 회동판의 일면 하부에 부착.고정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하는 회동판의 일면 상부에는 일 끝에 삼각캠을 구비한 가이드부재가 부착.고정된 노광장치용 브이캠에 있어서, 상기 브이 캠의 일면에 상호 깊이 차이를 이루는 한쌍의 가이드홈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는 지지대의 일끝에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고무로울러가 결합된 구조로서, 상기 브이 캠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가 브이 캠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방향의 동일한 거리로 이동함으로써, 이와 연동하는 삼각캠 및 조절커버의 이동거리를 일정하게 하고, 이에 따라 패널의 노광처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노광장치의 광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의 (a)는 도 1의 노광장치용 브이 캠을 나타낸 사시도 (b)는 (a)를 나타낸 평 면도
도 3의 본 고안의 노광장치용 브이 캠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노광장치 12 : 지지부재
14,52 : 가이드홈 16 : 가이드부재
18 : 경사면 20 : 삼각캠
22 : 탄성스프링 24 : 이동부재
26 : 연결부재 28 : 광원램프
30 : 조절커버 32 : 힌지축
34 : 회동판 36 : 지지대
38 : 회전볼 40,50 : 브이 캠
42 : 실린더 44 : 로드
54 : 곡면 56 : 힌지핀
58 : 고무로울러
첨부된 예시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노광장치용 브이 캠을 나타낸 도면인 바,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품을 표시하므로 이에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 1 및 도 2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노광장치 내에 결합된 노광램프의 결합구조는 종래와 동일한 구조로되어 있는데, 여기서 본 고안은 브이 캠(50)의 일면에 상호 깊이 차이를 이루는 한쌍의 가이드홈(52)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 브이 캠(50)의 좌측과 우측이 접하는 가이드홈(52)의 중앙부위에는 이 부위의 압압.밀착에 따른 마모를 방지하고자 소정의 곡률을 이루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52)을 따라 이동하는 지지대(36)의 일끝에는 힌지핀(5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고무 로울러(58)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이동되어 오는 패널을 노광장치의 상면에 안착시키고, 이와동시에 실린더(42)의 작동에 따라 로드(44)가 전,후진하게 되면, 첨부된 예시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연결된 지지대(36)의 고무 로울러(58)가 힌지핀(5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브이 캠(50)의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52)을 따라 좌,우측방향의 일정거리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지지대(36)의 고무 로울러(58)가 브이 캠(50)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먼저 상기 고무 로울러(58)가 이동하는 브이 캠(50)에는 소정깊이를 이루는 가이드홈(52)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고무 로울러(58)가 이동하는 과정중에 경로의 변경 혹은 이탈이 방지되고, 이에따라 브이캠(50)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거리(a',b') 즉, a'=b'가 동일하게 이루어져, 결국 이에 따라 전,후진하는 삼각캠(20) 및 조절커버(30)의 이동거리가 일정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이에따라 패널 양측면이 노광처리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패널의 관종에 따라 브이 캠(50)의 각도를 변경시킬 경우에는 이 브이 캠(50)의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4)의 깊이가 각각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해서 노광처리 수행에 따른 브이 캠(50)의 각도를 신속.간편하게 변경하여 노광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지지대(36)의 결합된 회전볼(38)이 브이 캠(40)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측방향으로 이동시, 브이 캠(40)의 일면이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동 경로를 정확하게 설정 혹은 셋팅하지 못하고, 이에따라 좌,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볼(38)의 경로가 동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결국 패널의 양측면 노광처리를 정확하게 할 수 없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 브이 캠(50)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동일한 경로를 이루는 가이드홈(52)이 형성되어 있어서, 지지대(36)에 결합된 고무 로울러(58)의 경로 변경 혹은 이탈을 방지하고, 이에따라 삼각캠(50) 및 조절커버(30)의 이동거리가 일정하게 이루어짐으로 해서 패널 측면부위의 노광처리 수행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브이 캠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가 브이캠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방향으로 동일한 경로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해서 이와 연동하는 삼각캠의 수평 이동거리와 조절커버의 이동거리를 일정하게 하여,이에따라 패널의 양내측면 부위의 노광처리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소정각도를 이루는 브이캠의 일면에는 일 끝에 회전볼이 결합된 지지대가 밀착.슬아딩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대의 일끝은 중앙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외동하는 회동판의 일면 하부에 부착.고정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하는 회동판의 일면 상부에는 일 끝에 삼각캠을 구비한 가이드부재가 부착.고정된 노광장치용 브이캠에 있어서,
    상기 브이 캠의 일면에 상호 깊이 차이를 이루는 한쌍의 가이드홈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는 지지대의 일끝에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고무로울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장치용 브이캠.
KR2019970027284U 1997-09-30 1997-09-30 노광장치용 브이 캠 KR199900139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284U KR19990013967U (ko) 1997-09-30 1997-09-30 노광장치용 브이 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284U KR19990013967U (ko) 1997-09-30 1997-09-30 노광장치용 브이 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967U true KR19990013967U (ko) 1999-04-26

Family

ID=6969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284U KR19990013967U (ko) 1997-09-30 1997-09-30 노광장치용 브이 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396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02275B1 (en) Steady rest with vertical adjustment
KR100378767B1 (ko) 투과형 스크린
KR19990013967U (ko) 노광장치용 브이 캠
US7158322B2 (en) Lens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same
US8020424B2 (en) Ring compression device and ring compression method
KR20170051297A (ko) 노광 장치용 노광 헤드 및 노광 장치용 투영 광학계
KR0134549B1 (ko) 3빔분리방식 프로젝터의 투사각조정장치
KR0134551B1 (ko) 3빔분리방식 프로젝터의 투사각조정장치
US11746982B1 (en) Lamp for vehicle
EP0164498B1 (en) Device for reciprocally driving a shaft
KR100210772B1 (ko) 3빔분리방식의 프로젝트의 투사각 조정장치
JPH06170469A (ja) 板材加工機のワークテーブル装置
KR19990075480A (ko) 인쇄기기의 레이저 스캐너 기울기 조정장치
KR100231392B1 (ko) 컬러 브라운관의 제조방법
KR0134550B1 (ko) 3빔분리방식 프로젝터의 투사각조정장치
KR100360450B1 (ko) 수직형 노광장치의 마스크 정렬 장치
JPH08220999A (ja) 液晶パネルの調整装置
US6795259B2 (en) Lens barrel
CN1081303C (zh) 传送带导向装置
KR200240722Y1 (ko) 나사전조장치
KR200146393Y1 (ko) 칼라수상관의 판넬을 노광시키는 노광기
JP3201685B2 (ja) 可変式容器保持装置
DE102021122252A1 (de) Projektionssystem
KR200162824Y1 (ko) 보정렌즈 요동장치
KR20230155710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