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935U -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935U
KR19990013935U KR2019970027252U KR19970027252U KR19990013935U KR 19990013935 U KR19990013935 U KR 19990013935U KR 2019970027252 U KR2019970027252 U KR 2019970027252U KR 19970027252 U KR19970027252 U KR 19970027252U KR 19990013935 U KR19990013935 U KR 199900139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unit
vibration
supporter
hou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봉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27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3935U/ko
Publication of KR199900139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935U/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스피커 유닛의 하우징이 올려놓여지는 상판과 하판이 연결판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판의 중앙에 연결판과 이어지도록 상면이 트인 설치홈이 형성되는 테이블과; 테이블의 설치홈에 장착되는 압축코일 스프링과; 압축코일 스프링의 상부에 탄성력을 부여받아 설치홈의 상방으로 출몰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서포터와; 상판의 상면 및 서포터의 상면에 진동을 흡수하는 부착되는 방진포로 구성된다. 따라서, 스피커 유닛의 진동이 바닥 또는 벽 등으로 전달되는 것이 서포터의 완충 작용 및 방진포의 방진에 의해 차단되는 단순한 구성 및 구조로 제작되므로, 잡음이나 이상음의 발생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음질이 개선되어 제품의 신뢰성 및 경쟁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
본 고안은 스피커 유닛(speaker uni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의 전달이 완충 작용(緩衝 作用)에 의해 차단되도록 한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시스템(audio system)은 오디오신호를 매체(媒體)에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장치이며, 매체는 카세트 테이프(cassette tape), 레코드(record), 그리고 디스크(disc)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오디오 시스템은 턴테이블(turn table), 튜너(tuner), 앰프리파이어(amplifier)와 카세트 데크(cassette deck), 스피커 유닛이 기본적으로 구성되고, 여기에 이퀄라이저(equalizer) 및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 등이 단품으로 추가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오디오 시스템은 스피커 유닛이 분리되어 있으나 튜너, 앰프리파이어, 카세트 데크가 하나의 본체로 구성되는 뮤직 센터(music center)와, 모든 기기가 분리되어 전문적인 특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컴포넌트 시스템(component system)으로 나뉘어진다.
이와 같은 오디오 시스템에 대한 하나의 예로 뮤직 센터를 도 1에 나타내어 설명하면, 오디오 시스템(10)은 본체(11)와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12)가 하나의 세트(set)로 재생기기(13)를 구성하게 되고, 여기에 스피커 유닛(14)이 조합되어 구성되며, 스피커 유닛(14)은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시켜 출력시키는 변환기의 하나이다. 스피커 유닛(14)의 하우징(housing: 15)은 대략 상자 형상체로 제작되고, 이 하우징(15)의 전면에 스피커 본체(16)가 설치된다.
한편, 스피커 유닛(14)은 공기를 매질(媒質)로하여 재생음을 전달하기 때문에 설치 장소 및 위치에 따라 음질이 차이가 크게 나타나며, 스피커 유닛(14)의 진동은 바닥 또는 벽 등으로 전달되어 잡음이나 이상음의 발생 원인으로 작용된다.
이러한 종래 스피커 유닛의 사용 상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피커 유닛(14)의 하우징(15)이 올려놓여지는 테이블(17)은 대개의 경우 장식을 목적으로 목재를 소재로 제작된다.
그리고, 테이블(17)은 진동의 전달을 줄이기 위하여 스피커 유닛(14)의 하우징(15)을 받치는 상판(17a)과 바닥 등에 지지되는 하판(17b)이 연결판(17c)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이에 따라 테이블(17)은 대략 Ⅰ자 형상을 이루도록 제작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테이블(17)은 단순히 스피커 유닛(14)을 받쳐주고 있기 때문에 스피커 유닛(14)의 진동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스피커 유닛(14)의 진동이 테이블(17)을 통해서도 바닥 또는 벽 등으로 전달되어 잡음이나 이상음의 발생 원인이 되며, 이로 인하여 스피커 유닛(14)의 사용에 지장이 초래되거나 음질이 저하되는 등 제품의 신뢰성 및 경쟁력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다가구 주택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곳에서는 스피커 유닛(14)의 울림이 많기 때문에 진동을 방지하는 것에 세심한 주의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 및 진동이 스피커 유닛(14)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야만 하는 것이나, 이것을 테이블(17)의 사용에 의해서 완전하게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 및 구조에 의해 진동이 효과적으로 차단되도록 한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오디오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스피커 유닛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오디오 시스템(audio system) 14: 스피커 유닛(speaker unit)
15: 하우징(housing) 20: 테이블(table)
21: 상판 22: 하판
23: 연결판 25: 설치홈
30: 압축코일 스프링 35: 서포터(supporter)
40: 방진포(防振布)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하우징의 전면에 스피커 본체가 설치되어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출력시키는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로서, 스피커 유닛의 하우징이 올려놓여지는 상판과 하판이 연결판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판의 중앙에 연결판과 이어지도록 상면이 트인 설치홈이 형성되는 테이블과; 테이블의 설치홈에 장착되는 압축코일 스프링과; 압축코일 스프링의 상부에 탄성력을 부여받아 설치홈의 상방으로 출몰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서포터와; 상판의 상면 및 서포터의 상면에 진동을 흡수하는 각각 부착되는 방진포로 구성되는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피커 유닛(14)은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시켜 출력시키는 변환기의 하나이다. 스피커 유닛(14)의 하우징(15)은 대략 상자 형상체로 제작되고, 이 하우징(15)의 전면에 스피커 본체(16)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한 스피커 유닛(14)의 하우징(15)은 테이블(20)에 올려놓여지며, 테이블(20)은 대개의 경우 장식을 목적으로 목재를 소재로 제작된다. 테이블(20)은 진동의 전달을 줄이기 위하여 스피커 유닛(14)의 하우징(15)을 받치는 상판(21)과 바닥 등에 지지되는 하판(22)이 연결판(23)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이에 따라 테이블(20)은 대략 I자 형상을 이루도록 제작된다.
또한, 테이블(20)은 상판(21)의 중앙에 연결판(23)과 이어지도록 상면이 트인 설치홈(25)이 형성된다. 설치홈(25)은 그 단면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나타냈으나, 설치홈(25)의 단면은 사각형 및 기타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테이블(20)의 설치홈(25)에는 압축코일 스프링(30)이 장착되고, 이 압축코일 스프링(30)의 상부에는 서포터(support: 35)가 탄성력을 부여받아 수직 운동에 의해 설치홈(25)의 상방으로 출몰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즉, 테이블(20)의 설치홈(25)에 서포터(35)가 압축코일 스프링(30)에 의해 지지되게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한 압축코일 스프링(30)은 탄성변형(彈性變形)이 가능한 완충부재, 예를 들어 링 스프링(ring spring)이나 러버(rubber)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서포터(35)는 하나의 설치홈(25)에 장착된 것을 나타냈으나, 서포터(25)의 장착 위치 및 숫자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서포터(25)는 하우징(15)을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도록 네 개가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블(20)은 그 상판(21)의 상면 및 서포터(35)의 상면에 방진포(防振布: 40)가 각각 부착되고, 이 방진포(40)는 스피커 유닛(14)의 진동을 흡수하여 방진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피커 유닛(14)의 하우징(15)을 테이블(20)의 상판(21)에 올려놓게 되면, 하우징(15)의 대략 중앙이 서포터(35)의 상면에 지지되고, 이에 따라 스피커 유닛(14)의 무게에 의해 눌려지면서 서포터(35)가 설치홈(25)으로 몰입된다.
요컨대, 설치홈(25)의 상방으로 돌출되있던 서포터(35)가 스피커 유닛(14)의 무게에 의해 압축코일 스프링(30)을 압축시키면서 설치홈(25)으로 몰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피커 유닛(14)의 하우징(15)이 테이블(20)의 상판(21)에 올려지게 되면, 하우징(15)의 하면에 방진포(40)가 지지되게 된다.
한편, 스피커 유닛(14)의 스피커 본체(16)로부터 재생음이 재생되는 과정에서, 스피커 유닛(14)의 하우징(15)에 진동이 발생되면, 이러한 하우징(15)의 진동은 방진포(40)에 흡수되어 방진된다.
또한, 하우징(15)의 진동은 압축코일 스프링(30)의 탄성력을 부여받는 서포터(35)의 완충 작용에 의해 완화되어 테이블(20)의 상판(21)에서 하판(22)으로 전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즉, 압축코일 스프링(30)이 하우징(15)의 진동에 의해 탄성변형되면서 서포터(35)를 미세하게 움직여 진동을 흡수하게 됨에 따라 하우징(15)의 진동이 완화된다.
그리고, 테이블(20)의 연결판(23)은 설치홈(25)의 형성으로 인하여 하우징(15)의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매질의 면적, 즉 진동의 전달 경로를 최소화시키게 되므로, 테이블(20)의 상판에서 하판(22)을 전달되는 진동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스피커 유닛(14)의 진동이 서포터(35)의 완충 작용과 방진포(40)의 방진에 의해 테이블(20)의 하판(22)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스피커 유닛(14)의 진동이 바닥 또는 벽 등으로 전달되어 잡음이나 이상음의 발생되는 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스피커 유닛(14)의 음질이 개선되어 제품의 신뢰성 및 경쟁력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다가구 주택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곳에서 스피커 유닛(14)의 울림이 방지되며, 외부의 충격 및 진동이 스피커 유닛(14)에 전달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스피커 유닛이외에도 각종 전기.전자 제품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에 의하면, 스피커 유닛의 진동이 바닥 또는 벽 등으로 전달되는 것이 서포터의 완충 작용 및 방진포의 방진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되는 단순한 구성 및 구조로 제작되므로, 잡음이나 이상음의 발생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음질이 개선되어 제품의 신뢰성 및 경쟁력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1)

  1. 하우징의 전면에 스피커 본체가 설치되어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출력시키는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로서,
    상기 스피커 유닛(14)의 하우징(15)이 올려놓여지는 상판(21)과 하판(22)이 연결판(23)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판(21)의 중앙에 연결판(23)과 이어지도록 상면이 트인 설치홈(25)이 형성되는 테이블(20)과;
    상기 테이블(20)의 설치홈(25)에 장착되는 압축코일 스프링(30)과;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30)의 상부에 탄성력을 부여받아 상기 설치홈(25)의 상방으로 출몰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서포터(35)와;
    상기 상판(21)의 상면 및 상기 서포터(35)의 상면에 진동을 흡수하는 각각 부착되는 방진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
KR2019970027252U 1997-09-30 1997-09-30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 KR199900139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252U KR19990013935U (ko) 1997-09-30 1997-09-30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252U KR19990013935U (ko) 1997-09-30 1997-09-30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935U true KR19990013935U (ko) 1999-04-26

Family

ID=69690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252U KR19990013935U (ko) 1997-09-30 1997-09-30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393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604B1 (ko) * 2020-09-04 2021-08-19 이은섭 음향기기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604B1 (ko) * 2020-09-04 2021-08-19 이은섭 음향기기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1746B2 (ja) 携帯装置のためのオーディオ・システム
US42510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undesired transmission of acoustic energy from a loudspeaker cabinet and for acoustically isolating high fidelity sets therefrom
US8103033B2 (en) Audio system for portable device
JP2000023272A (ja) 防振装置
US20180070160A1 (en) Elimination of parasitic audio vibrations using spring mounted speakers
KR19990013935U (ko)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
KR200158240Y1 (ko) 스피커 유닛의 진동 방지장치
US330022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honograph suspension and low frequency improvement
KR19990017110U (ko) 오디오 시스템용 장식장
KR19990013924U (ko) 스피커 유닛용 받침 장치
JP3382406B2 (ja) スピーカ内蔵機器
CN215734687U (zh) 一种防震音响设备
CN219497334U (zh) 一种一体式唱机
JP3031211B2 (ja) 耐振構造光ディスク装置
JP2001126462A (ja) 防振機構及び携帯型情報記録再生装置
US4368530A (en) Acoustic dampening assembly for record player turntable
CN212628309U (zh) 一种防震的汽车音响外壳
JP2010130454A (ja) 映像記録装置内蔵テレビ
WO1999009557A1 (fr) Appareil electronique
KR200158104Y1 (ko) 스피커 유닛의 받침대
KR100863553B1 (ko) 방진장치 및 그를 이용한 광학디스크 플레이어
KR19990017107U (ko) 스피커 유닛의 받침대
KR19990017108U (ko) 스피커 유닛의 받침대
CN110890112A (zh) 一种唱片机的防震支架结构
CN116453552A (zh) 一体式唱机及其减震支撑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