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807U - 브이씨알용 노브 - Google Patents

브이씨알용 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807U
KR19990013807U KR2019970027120U KR19970027120U KR19990013807U KR 19990013807 U KR19990013807 U KR 19990013807U KR 2019970027120 U KR2019970027120 U KR 2019970027120U KR 19970027120 U KR19970027120 U KR 19970027120U KR 19990013807 U KR19990013807 U KR 199900138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vertical plate
pressing
front panel
tac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운양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27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3807U/ko
Publication of KR199900138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807U/ko

Links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이씨알의 정면에 부착된 노브가 택트 스위치를 과도하게 누르는 것을 방지하고, 노브의 복원을 원할히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프런트 패널(100)의 배면에 결합되어 버튼(3)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수직판(1)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가압부(5)가 회동하여 메인 피씨비(80)의 택트 스위치(S)를 누르는 노브(20)의 수직판(1) 상부에 프런트 패널(100)에 형성된 보스(101)가 삽입되는 관통공(15A)을 선단에 갖는 판형의 인장 스프링(15)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인장 스프링(15)이 수직판(1)의 회동 한계를 설정하여 가압부(5)가 택트 스위치(S)를 과도하게 누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직판(1)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한 탄성편(7)과 함께 인장 스프링(15)이 수직판(1)의 상부에서 인력을 발생시켜 노브(20)가 초기 상태로 원활히 복귀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브이씨알용 노브
본 고안은 브이씨알용 노브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브이씨알의 정면에 부착되어 메인 피씨비의 택트 스위치를 스위칭하는 노브에 인장 스프링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노브가 택트 스위치를 과도하게 압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복귀가 원할하게 되게 한 브이씨알용 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 및 영상신호를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하거나 비디오 테이프에 수록된 음성 및 영상신호를 재생하도록 한 브이씨알은 비디오 카세트의 삽입방식에 따라 탑 로딩방식과 프런트 로딩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근래의 전형적 방식인 프런트 로딩방식의 브이씨알에서는 프런트 패널에 비디오 카세트의 삽입과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카세트 삽입구를 형성하고, 이 카세트 삽입구의 인접한 위치에 비디오 테이프의 재생 및 녹화나 보내기 및 되감기와 같이 모드를 선택하도록 한 노브와 함께 전원 스위치를 비롯하여 브이씨알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한 다수의 기능버튼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프런트 패널에 구비된 노브는 외부의 누름 동작에 의해 메인 피씨비에 설치된 택트 스위치를 가압함으로써, 택트 스위치의 접점을 연결시켜 소정의 모드를 전환시키고 있다.
이러한 브이씨알의 노브는 통상적으로 프런트 패널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상기한 노브의 조작에 따라 접점이 연결되도록 한 택트 스위치는 브이씨알의 내부에 수평으로 안치된 메인 피씨비의 상부에 부착된 관계로 브이씨알의 노브는 수평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을 수직으로 변환하여 택트 스위치에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노브는 저면을 프런트 패널에 힌지회동하게 고정하고, 배면 하부에 장방형의 가압부를 수평으로 돌설시켜 전방으로부터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가압부가 하부 방향으로 회동 하강함으로써, 택트 스위치의 접점을 가압하여 접속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택트 스위치의 조작을 위해 가압부를 형성한 브이씨알용 노브에 대한 예로써 종래에는, 도 1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판(31)의 정면에는 프런트 패널(100)의 버튼 결합공(105)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원형, 또는 사각형상의 버튼(33)이 형성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버튼(33)이 형성된 수직판(31)의 배면 하부에는 택트 스위치(S)를 접속시키도록 장방형의 판체형상을 갖는 가압부(35)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수직판(31)의 하부에는 탄성편(37) 및 프런트 패널(100)의 배면에 결합되는 고정부(39)를 일체로 형성하여 수직판(31)이 고정부(39)로부터 힌지 회동되게 한다. 이러한 고정부(39)에는 관통공(39A)을 형성하여 프런트 패널(10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보스(101)에 결합되게 한다.
따라서 노브(30)를 프런트 패널(100)에 결합시킬 때에는 프런트 패널(100)의 보스(101)를 고정부(39)의 관통공(39A)으로 삽입시킨 다음, 고정부(39)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융착시켜 고정부(39)를 프런트 패널(100)에 고정시킴으로써, 통상의 상태에서는 수직판(31)이 직립된 상태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수직판(31)에 형성된 버튼(33)이 프런트 패널(100)의 버튼 결합공(105)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또한 이와 함께 수직판(31)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가압부(35)는 메인 피씨비(80) 상부의 택트 스위치(S)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드를 전환하기 위하여 노브(30)의 버튼(33)을 후방으로 가압하면, 수직판(31)과 고정부(39)의 사이에 형성된 탄성편(37)의 탄성에 따라 수직판(31)을 포함한 가압부(35)가 하부 방향으로 회동을 하면서 택트 스위치(S)를 상부로부터 가압함으로써, 택트 스위치(S) 내부의 접점을 연결시켜 모드 전환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모드를 전환시킨 후 버튼(33)에 작용하는 가압력을 해제하면, 탄성편(37)의 탄성에 의해 수직판(31)이 초기의 상태와 같이 복귀되어 버튼(33)이 프런트 패널(100)의 노브 결합공(105)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되며, 이와 함께 가압부(35)는 메인 피씨비(80) 상부의 택트 스위치(S)로부터 이격되어 내부의 접점에서 이탈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노브(30)는 프런트 패널(100)의 전면으로 돌출된 버튼(33)을 누르는 압력이 그대로 가압부(35)를 통하여 택트 스위치(S)에 전달되므로, 버튼(33)을 과도한 압력으로 누를 경우 택트 스위치(S)가 손상되기 쉽다. 그러나 종래의 노브(30)는 이러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없으므로, 노브(30)의 잦은 조작에 따라 탄성편(37)에 가압력이 반복 작용할 경우에는 택트 스위치(S)가 손상되어 모드의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노브(30)는 가압부(35)가 택트 스위치(S)를 누른 다음 탄성편(37)의 복원력으로만 원상으로 복귀되므로 노브(30)를 장기간 사용하여 탄성편(37)의 복원력이 저하되면, 노브(30)의 버튼(33)이 프런프 패널(100)의 전방으로 충분히 돌출되지 않게 되어 노브(30)의 조작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브이씨알용 노브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브이씨알의 정면에 부착되어 메인 피씨비에 설치된 택트 스위치를 스위칭하는 노브의 가압부가 택트 스위치를 과도하게 누르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노브의 탄성편의 복원력을 보강하여 장기간의 사용에도 노브가 원할히 복원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의 (a)는 종래 브이씨알용 노브의 사시도,
(b)는 종래 브이씨알용 노브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노브의 사시도,
도 3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노브의 배면도,
(b)는 본 고안에 따른 노브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직판 3 : 버튼
5 : 가압부 15 : 인장 스프링
15A : 관통공 80 : 메인 피씨비
100 : 프런트 패널 S : 택트 스위치
본 고안에 따른 브이씨알용 노브는, 프런트 패널의 배면에 결합되어 버튼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수직판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가압부가 하강하여 메인 피씨비의 택트 스위치를 연결시키도록 노브에 있어서, 수직판의 상부에는 프런트 패널에 형성된 보스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선단에 갖는 판형의 인장 스프링을 일체로 형성한 구조이다.
따라서 노브의 가압부가 택트 스위치를 누를 때 인장 스프링이 노브의 수직판의 회동을 제한하여 수직판에 일체로 형성된 가압부가 과도하게 택트 스위치를 누르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인장 스프링이 탄성편의 탄성력을 보강하여 수직판의 복원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노브의 양호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브이씨알용 노브(20)는 도 2 및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런트 패널(100)의 노브 결합공(105)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버튼(3)의 가압에 따라 수직판(1)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가압부(5)가 회동하여 하부 방향으로 하강함으로써, 메인 피씨비(80)에 부착된 택트 스위치(S)를 가압하여 내부의 접점을 연결하도록 한 것에 적용된다.
상기 수직판(1)의 정면에는 프런트 패널(100)의 노브 결합공(105)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버튼(3)이 형성되고, 수직판(1)의 배면 하부에는 장방형의 판체형상을 갖는 가압부(5)가 리브(6)와 함께 수평으로 형성된다.
또한 수직판(1)의 하부에는 프런트 패널(100)의 배면에 부착되어 프런트 패널(100)로부터 수직판(1)을 회동되게 지지하는 관통공(9A)을 갖는 고정부(9)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9)의 관통공(9A)은 프런트 패널(100)의 배면으로부터 돌설된 보스(101)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9)는 탄성편(7)을 형성하여 수직판(1)을 지지함으로써, 버튼(3)을 통해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가압력에 따라 고정부(9)가 프런트 패널(100)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수직판(1)이 후방으로 회동되게 하여 가압부(5)가 메인 피씨비(80)의 택트 스위치(S)를 누르도록 하고, 버튼(3)에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다시 원상으로 복원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수직판(1)의 상부에는 판형의 인장 스프링(15)을 두 개 형성하고, 이러한 인장 스프링(15)의 상단에는 프런트 패널(100)의 배면에 형성된 보스(101)가 삽입되는 관통공(15A)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인장 스프링(15)은 하단이 수직판(1)의 상부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단이 프펀트 패널(100)의 배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정부(9)의 탄성편(7)과 함께 수직판(1)을 탄성지지한다. 이러한 탄성부(15)는 판형을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수직판(1)이 후방으로 회동되면 당기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브이씨알용 노브(20)를 프런트 패널(100)에 조립할 때에는, 프런트 패널(100)의 배면의 상하에 돌출된 보스(101)를 노브(20)의 고정부(9) 및 인장 스프링(15)의 관통공(9A,15A)으로 삽입시킨 다음, 고정부(9) 및 인장 스프링(15)의 관통공(9A,15A)을 경유하여 외부로 돌출된 부위를 융착시킴으로써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프런트 패널(100)과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결합된 본 고안은 모드 전환을 위해 노브 결합공(105)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버튼(3)를 후방으로 가압시킬 경우, 버튼(3)의 가압력이 수직판(1)으로 전달됨으로써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판(1)이 탄성편(7)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하며, 이와 함께 수평상태의 가압부(5)가 하강하여 택트 스위치(S) 내부의 접점을 연결시켜 모드를 전환시키게 된다.
이때, 수직판(1)의 상부에 형성된 인장 스프링(15)은 후방으로의 회동 과정에서 굴곡된 부분이 펴지면서 수직판(1)의 회동을 제한하여 수직판(1)이 과도하게 택트 스위치(S)를 누르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버튼(3)을 누르는 압력을 해제하면, 수직판(1)의 상부에 형성된 인장 스프링(15)의 인력 및 하부에 형성된 탄성편(7)의 복원력에 의해 수직판(1)은 초기의 상태와 같이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노브(20)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탄성편(7)의 탄성을 보강한 인장 스프링(15)의 인력이 작용하여 수직판(1) 및 수직판(1)에 형성된 가압부(7)의 복귀가 원할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노브(20)의 버튼(3)이 프런트 패널(100)의 노브 결합공(105)으로부터 균일하게 돌출됨으로써 브이씨알에 대한 완성도를 높이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브이씨알의 정면에 부착되어 브이씨알의 모드를 전환시키도록 한 브이씨알용 노브(20)의 수직판(1) 상부에 판형의 인장 스프링(15)을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인장 스프링(15)이 수직판(1)의 회동 한계를 설정하여 가압부(5)가 택트 스위치(S)를 과도하게 누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직판(1)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한 탄성편(7)과 함께 인장 스프링(15)이 인력을 발생시켜 수직판(1)이 초기 상태로 원활히 복귀되도록 한다. 따라서 노브(20)의 장기간 사용 후에도 가압부(5)의 자중과 탄성편(7)에 변형에 따른 택트 스위치(S)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브이씨알용 노브(20)가 프런트 패널(100)의 노브 결합공(105)으로부터 균일하게 돌출됨으로써 브이씨알에 대한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프런트 패널(100)의 배면에 결합되어 버튼(3)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수직판(1)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가압부(5)가 회동하여 메인 피씨비(80)의 택트 스위치(S)를 누르는 구조를 갖는 브이씨알용 노브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1)의 상부에는 프런트 패널(100)에 형성된 보스(101)가 삽입되는 관통공(15A)을 선단에 갖는 판형의 인장 스프링(15)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용 노브.
KR2019970027120U 1997-09-30 1997-09-30 브이씨알용 노브 KR199900138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120U KR19990013807U (ko) 1997-09-30 1997-09-30 브이씨알용 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120U KR19990013807U (ko) 1997-09-30 1997-09-30 브이씨알용 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807U true KR19990013807U (ko) 1999-04-26

Family

ID=6967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120U KR19990013807U (ko) 1997-09-30 1997-09-30 브이씨알용 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380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1844B2 (en) Electronic instrument
KR100605257B1 (ko)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및 전자기기
US6126466A (en) Device for connecting an integrated circuit card
KR100652328B1 (ko) 휴대용 전자 장치, 그의 작동 패널 및 휴대용 전자 장치의 작동 방법
KR19990013807U (ko) 브이씨알용 노브
JP2901590B1 (ja) 端子装置
KR930008192Y1 (ko) 연출마이크를 부착한 캠코더
JP3349968B2 (ja) 機器ユニット着脱構造
JP3879028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200151970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카세트 입,출 스위칭장치
KR19990014673U (ko) 브이씨알용 노브
JPS6338507Y2 (ko)
JP4193231B2 (ja) 記録媒体装置の取り出し構造、及びその構造に用いられるカード型接続アダプター
KR100228718B1 (ko) 캠코더의 텔레비젼 튜너 착탈장치
KR20000003756U (ko) 브이씨알용 조작 버튼의 지지구조
CN218182566U (zh) 一种嵌入软件的电子设备
KR20000007191U (ko) 브이씨알용 프런트 패널의 일체형 노브 결합구조
KR100220519B1 (ko) 브이씨알용 노브의 결합구조
JPS6327398Y2 (ko)
JP3079490B2 (ja) 離脱機構付きカード用コネクタ
JP3033268B2 (ja) ディスククランパ取付装置
KR100354300B1 (ko) 보이스 레코더
JP3297864B2 (ja) イジェクト機構付カード
KR20050106725A (ko) 전자기기용 노브 스위치 조립체
KR100246042B1 (ko) 자동차용 오디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