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421U - 안주용기 - Google Patents

안주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421U
KR19990013421U KR2019970026708U KR19970026708U KR19990013421U KR 19990013421 U KR19990013421 U KR 19990013421U KR 2019970026708 U KR2019970026708 U KR 2019970026708U KR 19970026708 U KR19970026708 U KR 19970026708U KR 19990013421 U KR19990013421 U KR 199900134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nack
beer
sealed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노
Original Assignee
윤영노
주식회사 영인터내쇼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노, 주식회사 영인터내쇼날 filed Critical 윤영노
Priority to KR2019970026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3421U/ko
Publication of KR19990013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421U/ko

Links

Landscapes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주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맥주가 수용된 캔용기에 안주가 수용된 안주용기를 결합시켜 술과 안주를 단일상품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안주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인 바,
캔맥주의 캔용기에 안주가 수용된 안주용기를 결착한 것으로, 이 안주용기는 개폐 가능한 봉합편에 의해 하부가 밀봉되고 상부는 밀폐되며 안주가 수용되는 일정공간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하부의 외향단턱과 대략 수직을 이루는 연장부에 내향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를 가지며 제1캔용기 상단단턱과 결합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하는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 상부의 외주연에 환설되어 제2캔용기 하단이 안착되는 단턱으로 된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주용기
본 고안은 안주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맥주가 수용된 캔용기에 안주가 수용된 안주용기를 결합시켜 술과 안주를 단일상품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안주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맥주는, 캔용기에 맥주만을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맥주를 마실 때 필요한 안주는 별도로 준비하여야 되었다.
따라서, 안주를 즉석에서 구입하거나 준비하는 것이 곤란한 장소, 특히 야외등에서 캔맥주를 마시기 위해서는 안주를 별도로 준비하여 휴대해야 되므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맥주캔에 용이하게 결합되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안주를 별도로 준비하지 않고도 어느 장소에서나 맥주를 마시고 안주를 먹을 수 있게 하며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안주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들은, 맥주와 안주를 단일상품으로 구입하여 간편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된 안주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캔맥주의 캔용기에는 안주가 수용된 안주용기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착된다.
이 안주용기는 합성수지류로 성형되며, 개폐 가능한 봉합편에 의해 하부가 밀봉되고 상부는 밀폐되며 안주가 수용되는 일정공간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하부의 외향단턱과 대략 수직을 이루는 연장부에 내향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를 가지며 제1캔용기 상단단턱과 결합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하는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 상부의 외주연에 환설되어 제2캔용기 하단이 안착되는 단턱으로 된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본 고안 제1실시예에 의한 캔용기와 안주용기의 분리사시도,
도 1b는 동 안주용기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c는 동 캔용기와 안주용기의 결합단면도,
도 1d는 동 사용상태 일부발췌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 제2실시예에 의한 안주용기의 사시도,
도 2b는 동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제1,2캔용기
11 : 상단주연부 13 : 저면
20 : 안주용기
21 : 수용부 22 : 결합부
221 : 걸림돌기 23 : 끼움부
24 : 결착편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안주용기가 결합된 맥주캔은, 일반적인 형태의 제1캔용기(10)와, 이 제1캔용기의 상단에 결착되는 안주용기(20)로 구성된다.
도 1a는 본 고안 제1실시예에 의한 안주용기(10)를 보인 것으로서, 개폐 가능한 봉합편(212)에 의해 하부가 밀봉되고 상부는 밀폐되며 안주가 수용되는 일정공간의 수용부(21)와, 상기 수용부 하부의 외향단턱과 대략 수직을 이루는 연장부(222)에 내향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221)를 가지는 결합부(22)와, 상기 수용부 상부의 외주연에 환설되는 끼움부(23)와, 제1캔용기(10)의 상부 외면을 감싸줄 수 있도록 결합부(22)로부터 연장설치되는 결착편(24)으로 구성된다.
수용부(21)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용물을 채워 개방된 주입구(211)를 봉합편(212)으로 밀봉한다.
상기 봉합편(212)의 일측에는 손잡이(213)를 형성하여, 이 손잡이를 잡고 봉합편(212)을 뜯어내면 수용부(21)가 개방되도록 한다.
결합부(22)는 수용부(21)의 하부의 외향단턱과 수직을 이루는 연장부(222)를 가지고 이 연장부에 적정간격으로 내향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221)를 포함하여, 제1캔용기(10)와 결합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한다.
끼움부(23)는 수용부(21)의 상부의 외주연에 환설되어, 제2캔용기(10') 하단이 안착되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안주용기(10)는,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21)를 제1캔용기(10)의 상면(14)에 얹혀지는 상태로 제1캔용기(10)의 상부에 결합하면서, 결합부(22)를 상단주연부(11)의 외면을 감싸주는 상태로 끼워 결착편(24)이 제1캔용기(10)의 상부를 결착시켜 주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결착편(24)은 자체탄성에 의한 복원력의 작용으로 제1캔용기(10)의 상부 외면을 단단히 밀착하게 됨으로써 안주용기(20)는 제1캔용기(10)의 상단단턱(11)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결착되며, 걸림돌기(221)들이 상단단턱(11)의 외면 하단턱(12)에 걸어지기 때문에 결착상태는 더욱 완강하게 된다.
한편, 캔맥주를 용이하게 운반 또는 보관하기 위해 다수의 캔용기를 쌓아두고자 할 때는,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주용기의 끼움부(23)를 제2캔용기(10')의 하단과 결착한다.
즉, 안주용기(2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캔용기(10')의 만곡요입된 저면(13)에 끼움부(23)를 삽입하여 결착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안주용기(20)를 보인 것으로서, 수용부(21)로부터 연장되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며 상단면이 평평하게 된 끼움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 구조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끼움부(23)는 제2캔용기(10')의 만곡 요입된 저면(13)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캔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저면(13)과 걸맞는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부로 갈수록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그 상단면은 평평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끼움부(23)는 캔용기의 만곡 요입된 저면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므로 캔용기의 적층 결합시 보다 안정적이며, 상단면의 볼록한 면만큼 안주가 더 많이 들어가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 안주용기는, 맥주캔과 용이하게 결합되어 술과 안주를 단일상품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안주를 별도로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며, 안주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끼움부에 의해 다수의 캔맥주를 안정적으로 쌓아둘 수 있는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개폐 가능한 봉합편(212)에 의해 하부가 밀봉되고 상부는 밀폐되며 안주가 수용되는 일정공간의 수용부(21)와, 상기 수용부 하부의 외향단턱과 대략 수직을 이루는 연장부에 내향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221)를 가지며 제1캔용기(10) 상단단턱과 결합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하는 결합부(22)와, 상기 수용부 상부의 외주연에 환설되어 제2캔용기(10') 하단이 안착되는 단턱으로 된 끼움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주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2)의 하부에 연장설치되는 결착편(2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주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23)는 평평한 상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주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23)는 상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주용기.
KR2019970026708U 1997-09-26 1997-09-26 안주용기 KR199900134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708U KR19990013421U (ko) 1997-09-26 1997-09-26 안주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708U KR19990013421U (ko) 1997-09-26 1997-09-26 안주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421U true KR19990013421U (ko) 1999-04-15

Family

ID=69679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708U KR19990013421U (ko) 1997-09-26 1997-09-26 안주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342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3345A (en) Stackable receptacle assembly for pourable products
US5048709A (en) Straw-containing cover attachment and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US4811860A (en) Nestable disposable drinking receptacles
US8015780B2 (en) Portable food dispenser
US4948014A (en) Two piece valved fluid dispenser
CN102730302B (zh) 用于食品和封闭系统并具有用于固定测量仪器的装置的包装
KR100249869B1 (ko) 운반용 주머니가 있는 도시락
US20060016819A1 (en) Bottle assembly with removable container assembly
US3977569A (en) Drink dispenser
US3252492A (en) Container and pivoted closure
CA2204549A1 (en) Food package with an enclosed eating utensil
US20010052479A1 (en) Battery package with multiple support compartments
TW200934704A (en) Container and closure thereof
CN108502347A (zh) 食品罐
KR200363704Y1 (ko)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덮개
KR101417382B1 (ko) 용기
US20050118309A1 (en) Snack package adapted for a bottle
KR19990013421U (ko) 안주용기
KR102099946B1 (ko) 테이블 기능을 갖는 포장 박스
US5163578A (en) Sealable transportation and storage container
KR20090005510U (ko) 광구용 분말캡
CN112188983A (zh) 分配系统
CA1323613C (en) Closure device, particularly for packages of food products
KR200295520Y1 (ko) 마개조립체
KR200154732Y1 (ko) 안주용기가 결합된 캔맥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