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020A - 브이시알의 특수 재생시 테이프 자막보기 방법 - Google Patents

브이시알의 특수 재생시 테이프 자막보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020A
KR19990013020A KR1019970036603A KR19970036603A KR19990013020A KR 19990013020 A KR19990013020 A KR 19990013020A KR 1019970036603 A KR1019970036603 A KR 1019970036603A KR 19970036603 A KR19970036603 A KR 19970036603A KR 19990013020 A KR19990013020 A KR 19990013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mined
mode
speed
special playback
determining wh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6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락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36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3020A/ko
Publication of KR19990013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020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브이시알의 고속 특수재생시 테이프의 자막을 보기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비디오 테이프의 특수재생시 특히, 빨리보기 기능 또는 역재생 기능 실행시 2배이상의 속도로 기능실행을 하다 보면 비디오 테이프의 자막이 실리는 경우 사용자가 자막을 알아보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현재 특수재생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특수재생모드를 선택하면 오에스디 메뉴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오에스디 메뉴화면의 자막보기항목을 '온' 으로 선택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온' 으로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계속해서 화이트레벨이 100%로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화이트레벨이 100%로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계속해서 빨리보기모드 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이때 빨리보기 모드라고 판단되면 실행속도를 2배속으로 실행시키는 단계와, 만약 빨리보기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계속해서 역재생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이때 역재생 모드라고 판단되면 실행속도를 -2배속으로 실행시키는 단계와, 한편 상기 단계에서 화이트레벨이 100% 미만으로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특수재생모드를 정상속도로 실행시키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브이시알의 특수재생시 테이프 자막보기방법
본 발명은 브이시알의 고속 특수재생시 테이프의 자막을 보기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브이시알의 재생모드 도중 2배속이상으로 빨리보기 모드 또는 역재생 모드를 실행시킬 때 화면상에 자막이 나올 경우 테이프의 속도를 2배속으로 다운시켜 사용자가 자막을 용이하게 읽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브이시알의 커다란 특징 중의 하나로서, 일시정지 재생(녹화) 기능, 슬로우 재생 기능 및 고속재생 기능, 빨리보기 기능, 역재생 기능 등의 특수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들수 있다.
특수재생이란 테이프를 보내는 속도를 바꾸어 재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재생기능은 테이프 이송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비디오 테이프를 스캔하는 비디오 재생 헤드의 궤적이 의해 형성되는 비디오 트랙 각도는 5o56'7.4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비디오 재생 헤드만을 회전시키게 되면 스틸재생이 되는 것이다.
다음에 테이프를 일정한 규정속도로 주행시키면 비디오 재생헤드가 반주하는 사이에 테이프가 나아가는 정도만큼 헤드의 궤적이 떠올라 온다.
즉, 비디오 트랙 각도가 커져 표준모드의 경우는 5o56'9.9로 된다.
또한, 테이프 이송속도를 2배, 3배로 증가시키면 상기 비디오 트랙 각도가 커지게 되고 그 반대로 ½배, ⅓배로 감소시키면 상기 트랙각도는 줄어들게 된다.
특히, 비디오 테이프를 정지시키고 나서 고속으로 되감기를 실행하게 되면 트랙각도는 한층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브이시알의 특수재생 모드시에 비디오 재생 헤드의 궤적이 여러 형태로 변한다고 하는 것은 기록시 헤드가 테이프의 트랙에서 어긋나는 것을 의미한다.
비디오 헤드가 정규 트랙에서 벗어나게 되면 재생 출력은 직선적으로 감소한다. 동시에 인접 트랙에 침입하는 것이 되므로 그 인접 트랙에서 크로스 토크가 발생하게 되는데, 휘도신호의 크로스 토크는 경사 애지머스 기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거의 무시할 수 있는 레벨이다. 또, 색 신호의 크로스 토크는 PS 또는 PI 방식에 따라 캔슬되어 버리므로 출력으로서 나타나지는 않게 된다.
결국, 헤드가 트랙폭 가까이까지 어긋나더라도 우선 재생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트랙폭을 넘어 어긋나면 다시 동일 애지머스 트랙이 존재하므로 이때도 재생 가능하게 된다.
재생헤드가 트랙폭만큼 더 어긋났을 때 만큼은 유효한 재생출력을 얻을 수 없게 되며, 이때에는 재생화면에 잡음이 발생하고 노이즈바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특수 재생시에는 이 노이즈바가 나타나는 기간이 수직 블랭킹 기간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노이즈가 없는 깨끗한 특수 재생 화면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런, 하나의 필드 중에 수개의 노이즈바가 발생하게 되는 고속화면 탐색 모드에서는 노이즈바를 수직 블랭킹 기간에 숨길 수 없으므로 노이즈 발생을 피할 수 없다.
도 1a∼1h는 일시정지 화면 재생시의 트랙과 헤드의 궤적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헤드의 궤적은 도 1a 또는 도 1b와 같은 위치에서 테이프가 정지하게 되면 2개의 헤드(A, B)가 서로 같은 부문을 트레이스하므로 재생출력을 각각 도 1c 또는 도 1d와 같이 된다.
상 녹화시 경사 애지머스 기록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재생출력은 헤드와 트랙의 애지머스가 일치하고 있는 트랙에서만 얻어지게 되고, 또 트랙에서 헤드가 어긋남에 따라서 출력도 감소된다.
보통 재생출력이 적은 부분에서는 화면상에 노이즈 밴드가 발생하므로 보통은 노이즈 밴드가 화면상하에 감추어지도록 도 1a의 위치가 선택된다.
이 경우의 재생화상은 A2와 B1의 그림이 서로 나타난다. A2와 B1의 그림은 각각 1 필드분(1/60초)이므로 움직임이 없는 빠른 화상은 이중 복사로 된다.
배속재생은 테이프를 2배속, 3배속으로 빨리 보냈을 때에 노이즈 밴드가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 조건으로 재생하게 된다.
도 1e, 도 1g는 2배속의 경우 헤드의 궤적과 재생출력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재생화상은 A1- B2- A3- B4.... 와 같이 2배의 화면 중 한 장씩만 재생하는 것이 2배속이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1f 및 도 1h는 3배속의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재생화상은 A1- B2- A4.... 와 같이 3장의 화면 중 1장씩만 재생하게 된다.
또, 슬로우 재생은 스틸 재생과 표준 재생을 조합하여 재생하게 되며, 슬로우 속도는 스틸과 표준 속도와의 조합 비율을 바꾸는 것으로 ½, ⅓ 배속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디오 테이프의 특수재생은 테이프와 헤드에 무리를 가져오기 때문에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특수재생이 일반재생 모드로 자동 절환되게 함으로써 테이프를 보호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비디오 테이프의 특수재생시 특히, 빨리보기 기능 또는 역재생 기능 실행시 2배이상의 속도로 기능실행을 하다 보면 비디오 테이프의 자막이 실리는 경우 사용자가 자막을 알아보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브이시알의 재생모드에서 2배속이상으로 빨리보기 모드 또는 역재생 모드를 실행시킬 때 화면상에 자막이 나올 경우 테이프의 속도를 2배속으로 다운시켜 사용자가 자막을 용이하게 읽을 수 있도록 한 브이시알의 특수재생시 테이프 자막보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브이시알 시스템이 파워온 되고 초기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현재 특수재생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특수재생모드를 선택하면 오에스디 메뉴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오에스디 메뉴화면의 자막보기항목을 '온' 으로 선택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온' 으로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계속해서 화이트레벨이 100%로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화이트레벨이 100%로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계속해서 빨리보기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이때 빨리보기 모드라고 판단되면 실행속도를 2배속으로 실행시키는 단계와, 만약 빨리보기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계속해서 역재생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이때 역재생 모드라고 판단되면 실행속도를 -2배속으로 실행시키는 단계와, 한편 상기 단계에서 화이트레벨이 100% 미만으로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특수재생모드를 정상속도로 실행시키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1h는 일반적인 특수재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2는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마이크로 컴퓨터 11: 타이머
12: 데크부 13: 키입력부
14: 오에스디부 15: 디스플레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브이시알의 특수재생시 테이프 자막보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실행을 위한 하드웨어 구성도로써 마이크로 컴퓨터(10)에는 키입력부(13)로부터의 원격 리모콘 또는 브이시알 전면패널부의 키잉 신호가 입력되게 연결한다. 데크부(12)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0) 및 타이머(11)의 타이밍 제어에 따라 특수재생 모드를 실행하게 연결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0)에는 키입력부(13)에 의한 특수재생 모드 선택에 따른 메뉴를 디스플레이(티브이 수상기 화면)(15)에 표시하기 위한 오에스디부(14)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을 기초로 하여 브이시알의 특수재생모드시 자막보기 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 2의 흐름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사용자가 브이시알 시스템을 파워온 시키고 그에 따라 시스템이 초기화 된 상태에서 재생모드를 선택하여 테이프를 재생시키는 도중 특수재생모드(예컨데, 빨리보기 모드 또는 역재생 모드)를 실행하고자 특수재생모드키 중 하나를 누르게 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0)는 현재 특수재생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101).
이때, 특수재생모드키로 부터 소정의 입력신호를 인가받은 마이크로 컴퓨터(10)는 특수재생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하고 오에스디부(14)에 제어신호를 보내 자막보기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오에스디 메뉴화면을 출력하게 된다(스텝102).
상기 오에스디 메뉴화면이 아래의 표 1과 같이 티브이 수상기 화면에 출력되었을 때 사용자는 자막보기 항목란을 '온(ON)'으로 선택하면 된다.
** 메뉴 **자막보기 : ON
그에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오에스디 메뉴화면의 자막보기 항목이 '온' 으로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게 된다(스텝103).
이때, 자막보기 항목이 '온' 으로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계속해서 휘도신호의 화이트레벨이 100%로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스텝104).
특히, 본 발명에서는 비디오 테이프의 특수재생모드(빨리보기 모드, 역재생 모드) 실행시 자막이 나올 경우에 자막의 검출신호로 화이트 레벨신호를 이용하고 있다. 즉, 특수재생모드 실행중 화이트 레벨이 100%인 파형이 검출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자막이 실려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스텝104)에서 화이트레벨이 100%인 파형이 검출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0)는 화이트레벨이 100%인 파형이 검출되었다고 판단하고 계속해서 빨리보기 모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스텝105).
또한, 이때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0)에 의해 빨리보기 모드라고 판단되면 빨리보기 모드의 실행속도를 2배속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참고적으로, 상기 빨리보기 모드키는 한 번 누르면 2배속이 되고 두 번 누르면 3배속이 되고 세 번 누르면 5배속이 된다. 이때, 배속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2배속일 경우에는 현재 속도를 유지시켜 빨리보기 모드를 실행하면 되고 3배속 이상일 때에는 2배속으로 실행속도를 다운시켜 실행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0)에 의해 빨리보기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계속해서 역재생모드인지 판단하게 된다(스텝107).
이때, 역재생 모드라고 판단되면 실행속도를 역시 -2배속으로 실행시키게 된다(스텝108).
한편, 상기 단계(스텝104)에서 휘도신호의 화이트레벨이 100%로 검출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즉, 100% 미만으로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특수재생모드를 각각의 속도설정에 따른 정상속도로 실행시키게 된다(스텝109).
즉, 빨리보기 모드키 또는 역재생 모드키를 한 번 누르면 2배속으로 실행되고 두 번 누르면 3배속, 3번 누르면 5배속으로 실행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브이시알의 특수재생시 테이프 자막보기방법에 의하면 브이시알의 재생모드 도중에 2배속이상으로 빨리보기 모드 또는 역재생 모드를 실행시킬 때 화면상에 자막이 나올 경우 테이프의 속도를 2배속으로 다운시켜 사용자가 자막을 용이하게 읽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브이시알 시스템이 파워온 되고 초기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현재 특수재생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스텝101)와, 사용자가 특수재생모드를 선택하면 오에스디 메뉴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스텝102)와, 사용자에 의해 오에스디 메뉴화면의 자막보기 항목이 '온' 으로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스텝103)와, 상기 단계에서 '온' 으로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계속해서 화이트레벨이 100%로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스텝104)와, 상기 단계에서 화이트레벨이 100%로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계속해서 빨리보기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스텝105)와, 이때 빨리보기 모드라고 판단되면 실행속도를 2배속으로 실행시키는 단계(스텝106)와, 만약 빨리보기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계속해서 역재생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스텝107)와, 이때 역재생 모드라고 판단되면 실행속도를 -2배속으로 실행시키는 단계(스텝108)와, 한편 상기 단계에서 화이트레벨이 100% 미만으로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특수재생모드를 정상속도로 실행시키는 단계(스텝109)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시알의 특수재생시 테이프 자막보기방법.
KR1019970036603A 1997-07-31 1997-07-31 브이시알의 특수 재생시 테이프 자막보기 방법 KR19990013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6603A KR19990013020A (ko) 1997-07-31 1997-07-31 브이시알의 특수 재생시 테이프 자막보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6603A KR19990013020A (ko) 1997-07-31 1997-07-31 브이시알의 특수 재생시 테이프 자막보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020A true KR19990013020A (ko) 1999-02-25

Family

ID=66000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6603A KR19990013020A (ko) 1997-07-31 1997-07-31 브이시알의 특수 재생시 테이프 자막보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30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374A (ko) * 1999-06-14 2001-01-2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디지털방송시스템 및 디지털비디오 기록재생장치
KR100654024B1 (ko) * 2005-08-09 2006-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자막의 재생 시간 조절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374A (ko) * 1999-06-14 2001-01-2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디지털방송시스템 및 디지털비디오 기록재생장치
KR100654024B1 (ko) * 2005-08-09 2006-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자막의 재생 시간 조절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65225A (ja) テレビジョン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KR19990013020A (ko) 브이시알의 특수 재생시 테이프 자막보기 방법
US5345271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components from image signals in video cassette recorder
US5887112A (en) Combination apparatus comprising a video-recorder section and a television-receiver section
KR100211254B1 (ko) 특수 재생후 자동복귀 제어방법
KR100198337B1 (ko) 브이시알에서의 특수 재생기능 제어방법
KR970010486B1 (ko) 영상신호 재생장치
KR100220603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스큐 보정 방법
KR100195978B1 (ko) 멀티 비디오 카세트 레코드에서 영상방식에 따른 모드선택 방법
JP3067199B2 (ja) Vtr
JPH0526869Y2 (ko)
KR20000034593A (ko) Tvcr에서의 비밀 번호를 이용한 녹화 및 재생 방법
KR100198598B1 (ko) 영상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209896B1 (ko) 무신호상태에서의 다양한 배경화면을 제공하는 vtr
KR100236114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기준 신호 검출 장치
KR930005537Y1 (ko) 비디오 테이프레코더의 출력제어장치
JP3058315U (ja) 疑似同期信号挿入装置
KR100194356B1 (ko) 브이씨알의 커머셜 스캔 방법
JP3152234B1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0132235Y1 (ko) 멀티vcr의 트릭모드특성 개선장치
JP2783609B2 (ja) 画像信号処理装置
KR19990005766A (ko) Dvcr의 파노라마식 고속 재생 방법
GB2340291A (en) Avoiding jitter in a video output using pseudo-vertical synchronisation signals
JP3311560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の高速再生回路
KR0136702B1 (ko) 브이씨알의 강제 수직동기신호 보호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