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008A - 방습지용 도공액 - Google Patents

방습지용 도공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008A
KR19990013008A KR1019970036591A KR19970036591A KR19990013008A KR 19990013008 A KR19990013008 A KR 19990013008A KR 1019970036591 A KR1019970036591 A KR 1019970036591A KR 19970036591 A KR19970036591 A KR 19970036591A KR 19990013008 A KR19990013008 A KR 19990013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proof paper
paper
wax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6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원
황재연
한상권
Original Assignee
구형우
한솔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형우, 한솔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형우
Priority to KR1019970036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3008A/ko
Publication of KR19990013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008A/ko

Links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습지용 도공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틸렌-아크릴계의 공중합체의 에멀젼, 폴리올레핀계 산화왁스를 함유한 왁스 에멀젼 및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알칼리 분산액이 일정비율로 함유되어 있어 이를 도포시켜 제조한 방습지는 내수성, 히트 실링성 및 마찰력이 향상되어 포장작업과 운반취급이 용이해지고, 종이의 재활용이 가능해지는 방습지용 도공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습지용 도공액
본 발명은 방습지용 도공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틸렌-아크릴계의 공중합체의 에멀젼, 폴리올레핀계 산화왁스를 함유한 왁스 에멀젼 및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알칼리 분산액이 일정비율로 함유되어 있어 이를 도포시켜 제조한 방습지는 내수성, 히트 실링성 및 마찰력이 향상되어 포장작업과 운반취급이 용이해지고, 종이의 재활용이 가능해지는 방습지용 도공액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에 따른 경제발전과 인구증가 등으로 폐기되는 쓰레기의 양은 계속 증가되고 있고 환경오염과 처리비용의 증가로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어서, 자원절약 및 환경보호를 위해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고 이를 재활용하려는 사회적, 국가적인 많은 관심과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예를 들면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한 제품에는 되도록 동일재질을 사용하도록 유도하거나 또는 분리수거의 편의성을 위해 포장용기에 사용된 재질을 표시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들이 동원되고 있다.
종이의 원료인 펄프는 대부분 나무에서 생산되고 있어 많은 나라들이 환경보호와 원가절감을 위해 종이 제조시 고지를 원료로 하여 재활용된 재생펄프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종이의 주성분인 셀룰로오즈 섬유는 수분에 의하여 섬유간 수소결합을 형성하여 매우 심한 변화를 수반하므로 치수가 변화하고, 한쪽 면으로 말리는 컬 현상과 강도가 저하되는 등 여러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종이를 포장지로 사용할 경우에는 종이 단독으로는 습기나 물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 사용이 곤란하므로 대부분 다른 소재, 특히 방습성과 내수성이 강한 고분자 물질들과 함께 복합화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을 용융압출 시켜서 종이에 라미네이팅 시킨 방습지가 대표적이며, 이러한 방습지는 대량생산이 가능하므로 가격과 성능에서 방습지용 소재로는 대단히 우수하다. 그러나 라미네이트 방습지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선별작업 등에서 폴리올레핀 층을 제거해야 하며, 제거되지 않은 것은 고지와 혼합되어 해리공정에 투입된다. 이때, 투입된 폴리에틸렌 필름은 수분의 침투를 방해하여 종이의 해리속도를 늦출 뿐 아니라, 불규칙한 크기의 파편으로 된 후에 스크린 등에 의하여 전부 제거되지 않고 해리액에 부분적으로 남게 되어 초지공정에 혼입되어 종이의 물성을 떨어뜨리는 인자중의 하나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폴리올레핀을 우수한 분리설비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가능하나 설비투자가 높고, 비효율적이어서 산업적인 적용은 곤란하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화학약품에 대한 내구성이 강하므로 화학적인 방법을 사용해도 완전히 제거하기가 어렵다. 또한 재활용되지 않은 라미네이트지를 소각하는 경우에는 대기오염을 유발하고, 매립 시에는 토양에서 분해되지 않아 심각한 토양오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에 따라 고지의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폴리올레핀 라미네이트지의 대안으로서 재활용 방습지에 대한 연구가 제지업계, 방습제 업계, 종이 가공업계 등을 중심으로 방습제, 방습층의 적용방법, 해리공정 개선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어져 왔다.
그 중에서도 폴리올레핀을 대체하여 물에 용해되거나 분산되어 종이의 재활용에 문제를 유발시키지 않는 방습제에 대한 연구개발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습제는 폴리올레핀을 대신할 정도의 방습성, 내수성, 히트실링성 등을 가지지 못하였다. 특히 접히는 부위에서의 방습성이 현저히 떨어지며, 재활용 문제에만 치중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실제 포장작업중이나 포장 후 운반 등의 과정에서 요구되는 마찰력 등 여러 제반 물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폴리올레핀을 대체할 수 있도록 제조된 방습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일본특허공고공보 제91-10759호에는 왁스계 에멀젼과 합성고무와의 혼합액을 코팅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만, 해리성이 낮고 블록킹성이 큰 단점이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평3-279492호에는 아크릴계 에멀젼을 왁스계 에멀젼과 혼합하여 종이에 코팅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 방법은 해리성은 있지만, 일정한 방습효과를 위하여 도막의 두께가 두꺼워야 되며, 히트실링성이 불량한 단점이 있으며, 포장용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접히는 부분의 방습성과 높은 습도에서 방습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왁스성분이 이면에 소량 전이하면 층간에 미끄러지기 쉽기 때문에 이런 포장지를 롤상의 제품과 같은 중량물을 포장하는 경우, 내용물과 포장물간의 마찰력이 작아 이로 인하여 제품을 반입 또는 반출 등의 작업시 포장지의 파손은 물론이고 내용물이 낙하되는 등의 중대한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특허공개공보 소56-18712호에서는 포장지의 한면에는 아크릴계 에멀젼과 왁스 에멀젼으로 이루어진 방습층을 코팅하고, 다른 한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방활층으로 무기물 등을 코팅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권취압을 높이면 방활층에 사용된 무기물에 의하여 방습층이 손상을 받아 방습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막기 위해 권취압을 내리면 종이 사이의 미끄러짐으로 인해서 길게 권취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권취롤의 측면이 불균일하여 후공정에 많은 문제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올레핀과 동등한 방습성을 보유한 방습지용 도공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스틸렌-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에멀젼과 폴리올레핀계 산화왁스를 함유한 왁스 에멀젼 및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알칼리 분산액이 일정비율로 혼합된 방습지용 도공액을 사용하여 종이 등 기본층에 도포하면 재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제반물성이 향상됨을 알게 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에멀젼계 수성 코팅제에서 부족한 것으로 지적된 접히는 부위에서의 방습성을 개선하고, 코팅층의 마찰력을 개선하여 중량물의 포장을 가능하게 하며, 내수성 및 히트실링성(Heat-sealing)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고형분을 기준으로 스틸렌-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에멀젼 50 ∼ 95 중량%, 폴리올레핀계 산화왁스를 포함한 왁스 에멀젼 3 ∼ 20 중량% 및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알칼리 분산액 2 ∼ 30중량%가 함유된 방습지용 도공액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스틸렌-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에멀젼과 함께 방습성의 보강을 위해 분자량이 높은 폴리올레핀계 산화왁스가 첨가된 왁스 에멀젼을 함유시키고, 그리고왁스 사용에 따른 마찰계수의 저하를 개선하기 위하여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알칼리 분산액이 함유된 방습지용 도공액과 이를 종이에 도포하여 제조된 재활용이 가능한 방습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습지용 도공액의 성분 중 스틸렌-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에멀젼은 스틸렌과 함께 아크릴계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유리전이 온도가 25 ∼ 75℃ 범위이고 고형분 함량이 20 ∼ 50%가 되도록 제조한다. 이때, 사용된 스틸렌 성분은 스틸렌 및 스틸렌 유도체이고 아크릴계 성분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메타아크릴산, 아크릴로니트릴 등 아크릴기를 가지는 것 중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혼합사용한다. 상기 공중합체 제조시 단량체의 함량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상기의 유리전이온도로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바, 유리전이온도가 25℃ 미만이면 유연하여 해리시에 전단력에 대한 저항이 커서 해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블록킹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75℃를 초과하면 도공층을 형성하는 고분자가 매우 충격에 약한 성질을 갖기 때문에 해리에는 유리하지만 접히는 곳에서의 방습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방습지용 도공액의 왁스 에멀젼은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에 폴리올레핀계 산화왁스를 전체 왁스 고형분 함량에 대하여 10 ∼ 50 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때, 폴리올레핀계 산화왁스로는 에틸렌,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산화시켜 제조한 산화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왁스 단독을 사용하는 것보다 분자량이 높은 산화왁스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접히는 부분의 방습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폴리올레핀계 산화왁스 함량은 전체 왁스 고형분의 10 중량% 미만이면 방습효과, 특히 접히는 곳의 방습효과 개선에 효과가 적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함량증가에 따른 개선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아 경제적이지 못하며, 또한 히트실링성이 저하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왁스 에멀젼 혼합액은 폴리올레핀계 산화왁스 등의 왁스 혼합물과 계면활성제와 물을 반응기에 넣어 산화왁스의 연화온도보다 약 10℃ 이상 높은 온도의 가압상태에서 가열하면서 15분 이상 혼합한 후에 신속히 냉각하여 에멀젼을 제조한다. 유화제로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양이온성, 음이온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pH에 대하여 안정적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며 최종 유화물내의 고형분 함량은 45% 이하로 제조하여 사용한다.
또 다른 도공액 조성성분으로써 함유되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가 분산된 알칼리 수용액은 상기와 같은 왁스 사용에 따른 마찰계수의 저하를 개선하여 마찰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고, 코팅층에 히트실링성과 내수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는 아크릴산 성분으로서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중에서 선택하여 에틸렌과 공중합하여 제조한다. 이때,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중의 아크릴산 함량이 10 ~ 30 몰%가 되도록 하는 바, 만일 그 함량이 10 몰% 미만이면 물에 대한 내수성은 크지만 물에 대한 용해성이 떨어져 분산액을 제조하기에 곤란하며 방습지의 해리성이 낮아 본 발명에 적합하지 않고, 30 몰%를 초과하면 물에 대한 용해성이 좋아 분산액의 제조가 용이하기는 하지만 방습지의 내수성이 낮고 블록킹성이 높아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의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를 알칼리 용액에 입자가 1 ㎛ 이하가 되도록 분산시켜 분산액으로 사용하며, 고형분 농도가 20 ∼ 40%가 되게 제조한다.
이때 알칼리 용액으로는 가성소다, 암모니아수, 수산화칼륨이나 지방족 모노아민류, 모폴린, 트리소디움 포스페이트, 소디움 메타실리케이트, 보렉스, 디암모니움 포스페이트 중에서 1 종 이상 선택 가능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값이 저렴하여 경제적인 암모니아를 사용한다. 암모니아를 사용할 때의 장점으로는 휘발성을 가지고 있어서 쉽게 증발하고 건조과정에서 분해되어 코팅층에 남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분에 대한 방습층의 내수성이 우수하고, 재활용시에 사용하는 알칼리의 가성소다 해리액에 대하여 쉽게 해리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암모니아수는 농도 28%인 것을 사용하여 분산액의 pH가 9 ∼ 12가 되게 조절하는 바, 만일 분산액의 pH가 9보다 낮으면 용해도가 낮아져 용액제조가 곤란하고, pH가 12보다 높아지게 되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가 석출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조성 성분들을 혼합한 본 발명의 방습지용 도공액은 고형분을 기준으로 스틸렌-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에멀젼 50 ∼ 95 중량%, 폴리올레핀계 산화왁스를 포함한 왁스 에멀젼 3 ∼ 20 중량% 및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알칼리 수용액 2 ∼ 30 중량%로 함유된다. 이때 스틸렌-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에멀젼 사용량이 50 중량% 미만이면 방습층의 해리성을 만족시킬 수 없고, 95 중량%를 초과하면 해리성은 높지만 방습성이 떨어지고 적당한 히트실링성을 기대할 수 없다. 그리고 왁스 에멀젼 및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알칼리 분산액의 함량이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면 마찰계수가 낮거나 히트실링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습지용 도공액이 도포된 방습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습지는 통상의 도공방법에 의해 상기의 방습지용 도공액을 3 ∼ 25 g/㎡ 도포하여 제조하며, 방습지용 도공액이 도포되는 종이는 크라프트지, 라이너지, 아트지, 백상지, 백판지, 레이온지 등 대부분 종이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스틸렌-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에멀젼 제조
물 150중량부, 스틸렌 2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30 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 메타크릴산 16 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4 중량부에 유화제로서 소디움도데실벤젠산술폰산을 사용하고 과황산칼륨을 중합촉매로 하여 유리전이온도가 35℃, 고형분 40%인 스틸렌-아크릴계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2) 왁스 에멀젼 제조
파라핀 왁스 30 중량부, 폴리에틸렌 산화왁스(L-C 303E, 라이온 케미칼사제, 평균분자량 3,000 g/몰) 10 중량부, 에톡시화노닐페놀 10 중량부, 수산화칼륨(농도: 86%) 0.6 중량부,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 0.4 중량부, 증류수 75 중량부를 고압반응기에 넣고 120℃에서 15분간 혼합한 후 신속히 냉각하여 폴리올레핀 산화왁스가 20 중량%가 함유되어 있는 고형분이 40%인 왁스 에멀젼을 얻었다.
(3)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알칼리 분산액 제조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알칼리 분산액은 아크릴산이 20 몰%이 함유되어 있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인 프리마코 5980(제조회사; 다우 케미칼사)을 90℃ 이상 가열한 증류수에 넣고 농도 28% 암모니아수를 가하면서 교반하여 고형분이 40%인 공중합체의 분산액으로 제조하였다. 분산액에는 공중합물이 평균입경 0.5 ㎛ 이하로 분산되게 하고 용액의 pH가 10이 되게 하였다.
상기 (1) ∼ (3)에서 제조된 고형분 40%의 스틸렌-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에멀젼 80 중량%, 폴리에틸렌 산화왁스가 20% 함유된 고형분 40%의 왁스 에멀젼 10 중량% 및 고형분 40%인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알칼리 분산액 10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도공액을 평량 210 g/㎡의 라이너지에 도공한 후 120℃에서 30초간 건조하여 방습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4 및 비교예 1 ∼ 6
다음 표 1의 조성으로 제조된 도공액을 평량 210 g/㎡의 라이너지에 도공한 후 120℃에서 30초간 건조하여 방습지를 제조하였다.
구분 도공액 조성
스틸렌-아크릴계공중합체 에멀젼(중량%) 왁스에멀젼(폴리에틸렌 산화왁스 함량*) (중량%) 에틸렌-아크릴산공중합체알칼리분산액(중량%)
실시예 1 80 10(20) 10
2 60 10(20) 30
3 85 5(30) 10
4 80 15(10) 5
비교예 1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1)
2 80 10(0) 10
3 90 10(20) 0
4 폴리락크 750(2)80 10(20) 10
5 80 10(20) 아크리솔(3)10
6 60 5(20) 35
(주)(1) 저밀도 폴리에틸렌필름이 두께 15㎛로 라미네이트되어 시판되고 있는방습지(한국가공지)(2) 스틸렌-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젼 대신 폴리락크 750 사용(합성고무 라텍스, 일본 미쓰이또우아츠사 제품)(3)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대신 아크리솔 사용(아크릴산 농도 100%, 롬앤하스사 제품)*: 전체 왁스 고형분 함량에 대한 폴리올레핀계 산화왁스의 함량(단위: 중량%)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6에서 제조된 방습지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투습도
KS규격 A-1013의 방습포장재료의 투습시험 방법에 따라 시험편을 40℃ 항온과 상대습도 90%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방습지를 방치한 후, 투과되는 수분의 양으로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접히는 곳의 투습성은 방습지를 십자로 접어 1기압으로 1회씩 누른 후 1기압의 평판에서 펴서 십자의 교차점을 중앙에 오게 하여 투습도를 측정하였다.
마찰계수
KS M 7134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시험편 위에 놓인 무게 1kg의 추가 10±2㎜/분의 속도로 약 50㎜의 거리를 이동할 때 접촉면적(길이×나비=120㎜×60㎜)에서의 최대마찰력으로 나타내었다.
히트실링성
2㎝× 10㎝ 크기의 방습지를 폭이 0.5㎝ 되도록 자르고, 방습지의 수지층을 용융하여 실링할 수 있는 온도에서 약 1 기압으로 시편의 하단에 열융착하였다.
그리고 손으로 서서히 당겨 강도와 떨어지는 상태를 평가하였다.
○: 융착면 사이에서 분리가 일어나지 않음
×: 융착면 사이에서 분리가 일어남
해리성
시험편을 약 1㎠의 크기로 잘라 이를 pH가 10인 가성소다 수용액에서 가정용 믹서로 2분간 해리한 후 10초 간격으로 미해리물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방습지가 완전 해리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블록킹성
가로×세로가 각각 10㎝인 시험편을 코팅면과 비코팅면을 포개어 50℃에서 0.3 kg/㎠의 하중을 가하여 1시간 유지한 후 박리하여 각층의 박리상태를 관찰하여 한면에서 분리되어 다른면으로 전이하는가를 살펴보았다.
○: 전이되지 않음
△: 전이는 되지 않으나 영향이 있음
×: 전이됨
방수성
시험편을 가로×세로가 각각 5㎝×5㎝이고 높이 2.5㎝인 상자형으로 만들어 그 안에 증류수 25g을 담아둔 후 약 24시간 지난 후 물이 스며 나온 정도를 평가하였다.
○: 변화가 없거나 거의 스며 나오지 않는 경우
△: 다소 부분적으로 스며드는 경우
×: 스며 나오는 경우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5 6
도공량 12.9 12.8 13.0 13.1 14.9 13.0 12.9 13.2 12.9 12.9
투습도 52 55 61 66 35 52 55 143 88 45
접힌부분의투습도 68 74 82 81 45 145 105 296 175 62
마찰계수 0.38 0.44 0.41 0.43 0.39 0.27 0.19 0.27 0.29 0.32
히트실링성 ×
해리시간(초) 190 200 170 180 불가 200 300 260 200 280
블록킹성 × ×
방수성 × ×
상기 표 1을 보면 본 발명에서 제조된 방습지는 폴리에틸렌이 라미네이팅 되어 있는 방습지(비교예 1)보다 모든 물성이 우수하고, 산화왁스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2)보다 접히는 부분의 방습도가 약 2 배 정도 좋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알칼리 분산액을 사용한 본 발명은 이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3)보다 마찰계수가 2 배 정도 크고, 히트실링성, 블록킹성 및 방수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해리시간도 단축되어 재활용하기에 적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습지용 도공액을 사용하여 기본층에 도포하는 경우에는 재활용성을 가지면서 코팅층의 마찰력이 크므로, 포장 후의 보관 및 운송 등의 제반 경로에서 문제가 없고, 또한 접히는 부위에서의 방습성이 큰 장점과 함께 내수성 및 히트실링성도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특히, 이렇게 제조된 방습지는 제지산업에 사용되는 각종 방습 포장지를 중심으로 분말세제용 방습포장지, 스낵과자용 포장지, 쇼핑백, 햄버거 포장지 등에 널리 사용할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Claims (7)

  1. 고형분을 기준으로 스틸렌-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에멀젼 50 ∼ 95 중량%, 폴리올레핀계 산화왁스를 함유한 왁스 에멀젼 3 ∼ 20 중량% 및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알칼리 분산액 2 ∼ 30 중량%가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지용 도공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렌-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에멀젼 성분 중 스틸렌-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25 ∼ 75℃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지용 도공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 에멀젼은 전체 왁스 고형분에 대하여 폴리올레핀계 산화왁스가 10 ∼ 50 중량%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지용 도공액.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산화왁스는 에틸렌,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지용 도공액.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알칼리 분산액은 암모니아수를 사용하여 분산액의 pH가 9 ∼ 12가 되게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지용 도공액.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알칼리 분산액은 아크릴산 성분이 전체 고형분 함량에 대하여 10 ∼ 30 몰%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지용 도공액.
  7. 상기 제 1 항의 방습지용 도공액이 도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방습 지.
KR1019970036591A 1997-07-31 1997-07-31 방습지용 도공액 KR19990013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6591A KR19990013008A (ko) 1997-07-31 1997-07-31 방습지용 도공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6591A KR19990013008A (ko) 1997-07-31 1997-07-31 방습지용 도공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008A true KR19990013008A (ko) 1999-02-25

Family

ID=6600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6591A KR19990013008A (ko) 1997-07-31 1997-07-31 방습지용 도공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30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600B1 (ko) * 2002-03-15 2005-07-11 명성산업 주식회사 재생성 방습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713329B1 (ko) * 2000-07-28 2007-05-03 한화석유화학 주식회사 고광택 종이 코팅용 수성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코팅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329B1 (ko) * 2000-07-28 2007-05-03 한화석유화학 주식회사 고광택 종이 코팅용 수성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코팅방법
KR100500600B1 (ko) * 2002-03-15 2005-07-11 명성산업 주식회사 재생성 방습지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1962A (en) Sealable container
EP0118174B1 (en) A multilayer heat sealable packaging film
KR101720858B1 (ko) 친환경 식품 및 산업용 포장지의 제조방법
US5451460A (en) Plastic films with surface anti-fog properties
US5389425A (en) Packaging materials
CN113366169A (zh) 用于纤维素基材的水基涂料
KR20190045526A (ko) 친환경 식품포장용 종이 코팅제
CA2423217A1 (en) Self heat sealable packaging and a method for making same
US20120048188A1 (en) Edge Coating For Tapes
KR19990013008A (ko) 방습지용 도공액
KR20050035084A (ko) 접착제 및 그 용도
WO2021225707A1 (en) Environmentally-friendly heat sealable aqueous barrier coating for cellulosic substrat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0500600B1 (ko) 재생성 방습지 및 그 제조방법
US20090256347A1 (en) Silicone oil-repellent paper product coated with a thermoplastic adhesive
JP2003049397A (ja) 防湿シート
JP3917778B2 (ja) 防湿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3703691B2 (ja) 耐水・防湿用樹脂組成物を用いた耐水・防湿紙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3763173B2 (ja) 防湿積層体
AU2021285297A1 (en) Recyclable plastic label
KR0168974B1 (ko) 재활용성 우수한 방습가공용 도공액 조성물 및 방습지
JP4741058B2 (ja) 耐水・防湿紙用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耐水・防湿紙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1253035A (ja) バリアー性を有する紙容器
JPH07189181A (ja) 再離解が容易な防湿紙
KR0174331B1 (ko) 재활용이 용이한 방습지용 수지조성물
JP3376545B2 (ja) 防湿用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及び防湿性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