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2724U - Phone with volume display - Google Patents

Phone with volume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2724U
KR19990012724U KR2019970025849U KR19970025849U KR19990012724U KR 19990012724 U KR19990012724 U KR 19990012724U KR 2019970025849 U KR2019970025849 U KR 2019970025849U KR 19970025849 U KR19970025849 U KR 19970025849U KR 19990012724 U KR19990012724 U KR 199900127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display
unit
level
volum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84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범용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2019970025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2724U/en
Publication of KR199900127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724U/en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청각 장애인의 골도청각에 의한 청취을 이용하여 전화통화함에 있어 표시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음량 조절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골도수화부가 구비된 난청인용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골도수화부를 통해 출력되는 진동음량의 설정을 위한 음량조절키와, 상기 음량조절키의 입력신호를 근거로 진동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제어부, 상기 음량조절키를 통한 상기 골도수화부의 출력 음량 설정값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음량조절키를 통해 소정 음량레벨이 지정 설정되게 되면 상기 음량제어부를 조정하여 출력 음량을 조절함과 더불어 상기 표시부를 구동시켜 지정 설정된 음량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that allows the user to visually check the volume control through a display unit in a telephone call using hearing by hearing loss of the hearing impaired person. Volume control key for setting the output vibration volume, a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vibration volume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volume control key,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utput volume setting value of the bone conduction unit through the volume control key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volume control unit to adjust the output volume when the predetermined volume level is designated and set through the volume control key, and to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predetermined volume level by driving the display unit. do.

Description

음량표시기능을 갖춘 전화기Phone with volume display

본 고안은 청각 장애인의 골도청각에 의한 청취와 일반 정상 청력인의 기도청각을 이용한 전화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각 장애인이 수신음량을 체감할 수 있도록 수신음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해 주도록 된 음량표시기능을 갖춘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terminal using the bone-induced hearing of the hearing impaired and the airway hearing of a normal normal hearing person. In particular, a volume display function is provided to visually display the received volume so that the hearing impaired can experience the received volume. It is about equipped telephone.

일반 가정을 비롯하여 회사 및 우리의 생활공간 도처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전화단말기는 기도청각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게 되는 정상인을 위한 전화단말기로, 청각 장애자가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Telephone terminals, which are widely used throughout the company and our living spaces, including ordinary homes, are intended for normal people who make calls using prayer hearing, which is difficult for the hearing impaired to use.

한편, 1993년 12월 24일자로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93-29598호에 의하면, 난청인의 경우에는 음성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골도청각에 의한 청취가 가능토록하고, 일반 정상 청력인은 기도청각을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된 골도 진동자를 이용한 골도 전화기가 소개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93-29598, filed December 24, 1993, in the case of hearing impaired people can be heard by converting the audio signal into vibration to listen to bone by hearing, normal normal Hearings have been introduced to the bone conduction phone using the bone conduction vibrator, which allows the user to talk using airway hearing.

또한, 상기한 골도전화기는 전화기의 측면에 부착되어 아날로그식으로 음량레벨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청각장애자는 청각장애정도에 대응하는 레벨의 음량으로 통화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ne conduction phone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phone to adjust the volume level in an analog manner, the hearing impaired person can make a call at a volume level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hearing impairment.

그러나, 청각 장애자는 음량레벨의 조절만으로 현재의 음량설정상태가 어느 정도인지 인식할 수 없으므로, 상대측의 통화자가 일반 통화자의 음량레벨보다 낮은 음량으로 통화하는 경우에 있어서, 청각장애자는 계속하여 음량레벨을 높이게 되는 바, 전화기의 측면에 부착된 음량조절장치를 조작함에 있어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However, the hearing impaired person cannot recognize how much the current volume setting state is by only adjusting the volume level. Therefore, when the other party's caller talks at a lower volume than the general speaker's volume level, the hearing impaired person continues to the volume level. To increase the bar, there is inconvenience in operating the volume control device attached to the side of the phone.

또한, 상기한 경우에 있어서, 청각장애자가 음량을 높게 설정하여 통화한 후 전화기를 오프상태로 전환하게 되면, 이후에 다시 통화하는 경우에 있어 갑자기 높은 음량레벨의 진동이 전해지므로 청각장애자가 놀라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case, when the deaf person sets the volume high and switches the phone off, the deaf person is surprised because a sudden high volume level vibration is transmitted in the case of a subsequent call again. Problems may arise.

또한, 이전에 낮은 음량레벨로 설정하여 통화한 후, 다시 통화하게 되는 경우에, 청각장애자는 전화기의 고장으로 판단하거나, 또는 음량레벨을 다시 조절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a call is set again at a low volume level before the call, the hearing impaired person may determine that the phone is malfunctioning or may need to adjust the volume level again.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청각 장애인의 골도청각을 이용한 통화기능이 구비된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표시부를 통해 수신음량설정상태를 시각적으로 판별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relates to a telephone having a call function using bone conduction hearing of the hearing impaired, and provides a telephone capable of visually discriminating a reception volume setting state through a display unit. Has its purpose.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에 도시된 표시부(11)의 음량표시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volume display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11 shown in FIG.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플로우챠트.3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외관사시도.Figure 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접속단자, 2 : 링신호감지부,1: connection terminal, 2: ring signal detection unit,

3 : 링발생부, 4 : 인터페이스회로,3: ring generator, 4: interface circuit,

5 : 송수화기, 5a : 수화부,5: handset, 5a: handset,

5b : 송화부, 6 : 통화로 접속부,5b: call part, 6: call path connection part,

7 : 네트워크회로, 8 : 음량제어부,7: network circuit, 8: volume control unit,

9 : 증폭부, 10 : 훅검출부,9: amplification unit, 10: hook detection unit,

11 : 표시부, 11A : 표시구동부,11: display portion, 11A: display driving portion,

11B : 발광표시부, 11a : 음량레벨표시부,11B: light emitting display, 11a: volume level display,

11b : 착신램프, 12 : 메모리,11b: incoming lamp, 12: memory,

13 : 제어부, 14 : 키패드,13: control unit, 14: keypad,

14a : 음량조절키, 14b : 온훅버튼,14a: volume control key, 14b: on-hook button,

14c : 재다이얼버튼, 14d : 숫자키,14c: redial button, 14d: numeric keys,

15 : DTMF발생회로, 16 : 타이머,15: DTMF generating circuit, 16: timer,

SW1,SW2 : 스위치, R1∼R7 : 저항,SW1, SW2: switch, R1 to R7: resistor,

A1∼A3 : 비교기, D1∼D3 : 발광다이오드.A1-A3: comparator, D1-D3: light emitting dio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량표시기능을 갖춘 전화기는 골도수화부가 구비된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골도수화부를 통해 출력되는 진동음량의 설정을 위한 음량조절키와, 상기 음량조절키의 입력신호를 근거로 진동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제어부, 상기 음량조절키를 통한 상기 골도수화부의 출력 음량 설정값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음량조절키를 통해 소정 음량레벨이 지정 설정되게 되면 상기 음량제어부를 조정하여 출력 음량을 조절함과 더불어 상기 표시부를 구동시켜 지정 설정된 음량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elephone having a volume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elephone having a bone mineralization unit, the volume control key for setting the volume of the vibration output through the bone mineralization unit and the volume control key A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vibration volume based on an input signal,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utput volume setting value of the bone mineralization unit through the volume control key, and when the predetermined volume level is designated and set through the volume control key, the volume control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the specified volume state by driving the display unit to adjust the output volume by adjusting the output volume.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키패드에 구비된 음량조절기능키를 임의로 조작하면, 제어부는 표시부를 구동제어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음량레벨 설정상태가 표시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된다.That is, in the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user arbitrarily manipulates the volume control function key provided in the keypad, the controller controls driving of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volume level setting stat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is visually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Don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참조번호 1은 외부의 국선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국선접속단자이고, 참조번호 2는 상기 국선접속단자(1)를 통해 송화자의 단국장치로부터 인가되는 링신호를 감지하는 링신호감지부, 3은 상기 링신호감지부(2)에 의한 감지신호를 근거로 수신자측에 전화벨소리를 출력하는 링 발생부이며, 4는 장치 내/외부로 입출력되는 통신신호 전반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회로(4)로서, 이는 교환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정류하기 위한 브릿지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trunk line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an external trunk line, and reference numeral 2 denotes a ring signal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ring signal applied from a station apparatus of a talker through the trunk line connection terminal 1. 3 is a ring generating unit for outputting a ring tone to the receiver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by the ring signal detection unit 2, 4 is an interface for performing the interface function of the overall communication signal input and output to and from the device As circuit 4, it is constructed with a bridge diode for rectifying the signal applied from the exchange.

또한, 참조번호 5는 송수화기로서, 송화부(5a)와 음성신호에 대응되는 진동신호를 근거로 골도진동자를 구비한 수화부(5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6은 이후에 설명할 제어부(12)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온/오프 스위칭되어 전화기와 국선간의 통화로를 개폐하기 위한 통화로 접속부로서, 사용자에 의해 오프 훅전환되게 되면 스위치가 온(ON)상태로 되면서 통화가능상태로 되게 된다.Reference numeral 5 denotes a handset, which is composed of a receiver 5a and a receiver 5b having a bone conduction vibrator based on a vib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6 is a call path connection unit for switching on / off based on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2 to be described later, and for opening and closing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a telephone and a trunk line. It goes into the ON state and becomes available to talk.

또한, 참조번호 7은 상기 인터페이스회로(4)와 통화로접속부(6)를 통해 대국으로부터 인가되는 송신자의 음성신호 및 송수화기(5)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함은 물론, 측음(side tone)에 대한 신호처리 등을 수행하는 네트워크회로이고, 8은 이후에 설명할 제어부(13)로부터의 소정 제어신호를 근거로 출력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제어부, 9는 이 음량제어부(8)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이다.Further, reference numeral 7 amplifies to a predetermined level the voice signal of the send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hrough the interface circuit 4 and the communication line connection unit 6 and the user's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handset 5 as well. Is a network circuit that performs signal processing for side tone, etc., 8 is a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an output volume based on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3 to be described later, and 9 is a volume control unit (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ignal applied from 8).

그리고, 참조번호 10은 사용자가 송수화기(5)를 들거나 놓음에 따라 온/오프되는 훅크스위치(도시되지 않음)의 상태를 검출하는 훅검출부이고, 참조번호 11은 전화기의 현재 동작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표시부인 바, 이 표시부(11)는 도3에 도시된 외관사시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현재의 통화음량이 강/중/약의 3단계로 표시되는 통화음량 표시램프가 구비된 발광표시부(11B)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표시구동부(11A)로 구성된 것이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10 is a hook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state of a hook switch (not shown) that is turned on / off as the user lifts or releases the handset 5, and reference numeral 11 informs the user of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telephone. As shown in the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n in FIG. 3, the display unit 11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display unit having a call volume display lamp in which the current call volume is displayed in three levels of strong, medium and weak. 11B) and a display driver 11A for driving the same.

또한, 참조번호 12는 전화기의 일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13은 상기 링신호감지부(2)등을 통해 검지된 신호를 근거로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참조번호 14는 사용자가 다이얼링을 하거나 특정기능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숫자키 및 기능키가 구비된 키패드인 바, 이 키패드(14)에는 도3의 외관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음량을 상향 또는 하향조절하기 위한 통화음량조절키(14a)와 이 통화음량조절키(14a)에 의해 조절된 음량을 지정설정하기 위한 음량설정완료키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12 is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necessary for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phone, 13 i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ntire apparatus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ring signal detection unit 2, etc., and 14 is a user Is a keypad equipped with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used for dialing or selecting a specific function. The keypad 14 has a call volume for adjusting the call volume up or down as shown in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FIG. 3. A control key 14a and a volume setting completion key for designating and setting the volume controlled by the call volume control key 14a are provided.

참조번호 15는 이 키패드(14)를 통해 입력된 소정의 키입력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DTMF 신호를 출력하는 DTMF발생회로, 16은 제어부(13)의 통제에 따라 소정의 시간데이터를 생성하는 타이머이다.Reference numeral 15 denotes a DTMF generation circuit for outputting a DTMF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 based on a predetermined key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keypad 14, and reference numeral 16 controls the control unit 13. Is a timer for generating predetermined time data.

한편, 도2는 음량표시기능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도로서, 도2에서 도1에 나타낸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volume display function, in whic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part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shown in FIG. 1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2에서 참조번호 14a는 사용자가 볼륨 업키를 눌렀을때 온(ON)상태로 동작되는 스위치(SW1)와, 볼륨 다운키를 눌렀을때 온(ON)상태로 동작되는 스위치(SW2)로 구성된 통화음량조절부이다.In FIG. 2, reference numeral 14a denotes a call volume composed of a switch SW1 operated in an ON state when the user presses the volume up key, and a switch SW2 operated in an ON state when the user presses the volume down key. It is an adjusting part.

한편, 참조번호 11A는 발광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표시구동부로서,네 개의 저항(R1∼R4)과 세 개의 비교기(A1∼A3 )로 구성된다.Reference numeral 11A denotes a display driver f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display, and is composed of four resistors R1 to R4 and three comparators A1 to A3.

여기서, 세 개의 비교기(A1∼A3)는 음량제어부(8)의 출력신호가 각각의 반전단자(-) 입력으로 인가된다. 그리고, 소정의 전원전압(Vcc)과 접지사이에는 다수의 저항(R1∼R4)이 직렬로 접속되면서, 각 저항(R1∼R4)의 접속노드가 비교기(A1∼A3의 비반전단자(+)에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Here, in the three comparators A1 to A3, the output signal of the volume control section 8 is applied to each inverting terminal (-) input. Then, a plurality of resistors R1 to R4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predetermined power supply voltage Vcc and ground, so that the non-inverting terminal (+) of the comparators A1 to A3 is connected. It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따라서, 비교기(A1)는 저항(R1)과 저항(R2∼R4)에 의한 분할전압이 기준전압으로 인가되고, 비교기(A2)는 저항(R1,R2)과 저항(R3,R4), 비교기(A3)는 저항(R1∼R3)과 저항(R4)에 의한 분할전압이 지준전압으로서 인가된다. 즉, 비교기(A3)로부터 비교기(A1)의 순으로 그 기준전압이 높게 설정된다.Accordingly, the comparator A1 is applied with the divided voltage by the resistors R1 and R2 to R4 as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comparator A2 is the resistors R1 and R2 and the resistors R3 and R4 and the comparator ( In A3), divided voltages of the resistors R1 to R3 and the resistor R4 are applied as the reference voltage. That is, the reference voltage is set high in order from the comparator A3 to the comparator A1.

여기서, 표시구동부(11A)를 구동하는 각 비교기(A1∼A3)는 반전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전압레벨이 비반전단자(+)에 입력되는 기준전압 레렐보다 클 경우에 출력전압이 로우레벨로 설정된다.Here, each of the comparators A1 to A3 driving the display driver 11A has a low level when the voltage level applied from the inverting terminal (-)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level input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 Is set to.

또한, 참조번호 11B는 통화음량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표시부로서, 이는 전원전압(Vcc)과 상기 각 비교기(A1∼A3)의 출력단에 저항(R5∼R6) 및 발광다이오드(D1∼D3)가 직렬로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D1∼D3)는 그 발광색으로 음량의 레벨을 나타낼 수 있도록, 발광다이오드(D1)는 빨강색, 발광다이오드(D2)는 노랑색, 발광다이오드(D3)는 초록색으로 설정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11B denotes a light emitting display for displaying the call volume, which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and the resistors R5 to R6 and the light emitting diodes D1 to D3 in series at the output terminals of the comparators A1 to A3. The configuration is connected to.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iodes D1 to D3 are set to red, the light emitting diodes D2 to yellow, and the light emitting diodes D3 to green, so that 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D1 to D3 exhibits a volume level in its emission color. have.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는, 통화음량출력레벨에 따라 강/중/약에 대응되는 발광다이오드(D1∼D3)가 점등되게 되는바, 통화음량이 '강'일 경우에는 강/중/약에 해당되는 발광다이오드(D1∼D3)가 모두 점등되게 되고, 통화음량이 '중'일 경우에는 중/약에 해당되는 발광다이오드(D2,D3)가 점등되게 되며, 통화음량이 '약'일 경우에는 '약'에 해당되는 발광다이오드(D3)만 점등되게 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ight emitting diodes D1 to D3 corresponding to the strong, medium, and weak light are turned on according to the call volume output level. All the light emitting diodes D1 to D3 are turned on, and when the call volume is 'medium', the light emitting diodes D2 and D3 corresponding to the medium / weak light are turned on. Only the light emitting diode D3 corresponding to 'about' is turned on.

한편, 상기 제어부(13)로부터 음량제어부(8)로 인가된 신호는 표시부(11)와 음량증폭부(9)로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바, 음량증폭부(9)는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송수화기(5)의 골도수화부(5b)로 출력하게 된다.Meanwhile, the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13 to the volume control unit 8 outputs a signal to the display unit 11 and the volume amplification unit 9, and the volume amplification unit 9 amplifies the input signal. It outputs to the bone mineralization part 5b of the handset 5.

또한, 상기 송수화기(5)의 송화부(5a)는 네트워크회로(7)와 결합하여, 사용자가 음성으로 송출하는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국선으로 송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ransmitter 5a of the handset 5 is combined with the network circuit 7 to convert a signal transmitted by the user into an electrica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trunk line.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전화기의 동작을 도3에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telephon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on flowchart shown in FIG.

통화중 또는 통상의 대기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키패드(14)에 구비되어 있는 음량조절기능키가 선택 입력되게 되면(ST1), 제어부(13)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량조절기능키가 음량높임키인지 음량낮춤키인지를 판단하게 되는 바, 음량높임키로 확인되게 되면(ST2) 음량제어부(8)를 제어하여 음량레벨을 한 단계 상향설정하게 된다(ST3).During a call or in a normal standby state, when the volume control function key provided on the keypad 14 is selected and input by the user (ST1), the control unit 13 controls the volume control function key selected by the user. If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olume-lowering key is recognized, when the volume-up key is confirmed (ST2), the volume control unit 8 is controlled to set the volume level up one level (ST3).

한편, 상기 ST2단계에서, 입력된 음량조절기능키가 음량낮춤키로 확인되게 되면, 제어부(13)는 음량제어부(8)를 제어하여 음량레벨을 한 단계 하향 설정하게된다(ST4).On the other hand, in step ST2, when the input volume control function key is confirmed as the volume down key, the control unit 13 controls the volume control unit 8 to set the volume level one step down (ST4).

이어, 제어부(13)는 표시부(11)를 구동제어하여 상기 발광표시부(11a)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음량설정상태를 표시하게 되는 바, 이때 그 표시형태는 해당 음량을 상기 골도진동자로 구성된 수화부(5b)의 출력음량으로 환산하였을 때 상호 동일 레벨의 출력세기로서 대응되는 값으로 표시하게 된다.(ST5)Subsequently, the controller 13 drives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1 to display the volume setting state adjusted by the user through the light emitting display unit 11a. In this case, the display form is configured as the bone oscillator. When converted into the output volume of the receiver 5b,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output strengths of the same level. (ST5)

이후, 제어부(13)는 음량설정완료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하여(ST6), 음량설정완료키 입력이 있게 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 완료된 조정값으로 음량레벨을 세트시키고, 상기 발광표시부(11a)를 통해 해당 음향 설정값이 지정 완료된 값으로서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3 checks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the volume setting completion key (ST6), and when there is an input of the volume setting completion key, sets the volume level to an adjustment value set by the user, and the light emitting display unit 11a. Control to display the sound set value as a designated value.

그리고, ST6단계에서 일정시간 이상 음량레벨조절키의 입력이 없으면(ST7), 처음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In step ST6, if there is no input of the volume level adjustment key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ST7), the initial state is returned.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음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해 가변되는 음량의 설정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alize a telephone which enables the volume control by the user and makes it possible to visually check the setting state of the volume which is variable by the user.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상기 도4의 음량레벨조절키(14a)는 그 위치가 반드시 전화기의 상단표면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전화기와 마찬가지로 전화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상기 음량레벨조절키(14a)는 버튼식이 아닌 조절레버 등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volume level adjusting key 14a of FIG. 4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elephone, and can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elephone body as in a conventional telephone, and the volume level adjusting key 14a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ntrol lever or the like that is not a button type.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음량레벨표시부(11a)의 표시단계를 강/중/약의 세단계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대응하여 세 개이상의 비교기와 세 개 이상의 다이오드를 구비함으로써 음량레벨의 표시단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isplay step of the volume level display section 11a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of strong, medium, and weak, but correspondingly, three or more comparators and three or more diodes are provided. You can also set variousl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청각 장애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그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음량설정상태를 발광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djust the volume according to the degree of hearing impairment, and the volume setting state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display unit.

Claims (2)

골도수화부가 구비된 전화기에 있어서,In the telephone equipped with a bone mineralization unit, 상기 골도수화부를 통해 출력되는 진동음량의 설정을 위한 음량조절키와,A volume control key for setting the vibration volume output through the bone marrow receiver, 상기 음량조절키의 입력신호를 근거로 진동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제어부,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vibration volume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volume control key, 상기 음량조절키를 통한 상기 골도수화부의 출력 음량 설정값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utput volume setting value of the bone mineralization unit through the volume control key; 상기 음량조절키를 통해 소정 음량레벨이 지정 설정되게 되면 상기 음량제어부를 조정하여 출력 음량을 조절함과 더불어 상기 표시부를 구동시켜 지정 설정된 음량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표시기능을 갖춘 전화기.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olume control unit to adjust the output volume and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predetermined volume level when the predetermined volume level is designated and set through the volume control key. Telephone with volume displa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표시부를 구동제어하여 음량설정상태를 표시함에 있어서, 난청인이 골도청각에 의해 체감하게 되는 진동음량의 설정상태표시와 이를 동일 레벨의 가청음 음량으로 환산한 레벨의 표시가 대응되게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표시기능을 갖춘 전화기.The control means controls driving of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volume setting state, such that the setting state display of the vibration volume felt by the hearing impaired person and the level of the level converted to the audible sound volume of the same level correspond to each other. Phone with a volume displa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together.
KR2019970025849U 1997-09-12 1997-09-12 Phone with volume display KR1999001272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849U KR19990012724U (en) 1997-09-12 1997-09-12 Phone with volum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849U KR19990012724U (en) 1997-09-12 1997-09-12 Phone with volume displ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724U true KR19990012724U (en) 1999-04-15

Family

ID=69689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849U KR19990012724U (en) 1997-09-12 1997-09-12 Phone with volume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2724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593B1 (en) * 2002-06-26 2004-10-14 주식회사 팬택 Visu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Voice Data In Mobile Tele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593B1 (en) * 2002-06-26 2004-10-14 주식회사 팬택 Visu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Voice Data In Mobile Tele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6459A (en) Hearing assist telephone
US59536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accessing a telephone answering device
US5526405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with a speakerphone operation mode cordless
US654762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mory medium and method
EP1089526A2 (en) Telephone with sound customizable to audiological profile of user
US6608889B2 (en) Telephone having convenience feature data transfer capability
KR19990012724U (en) Phone with volume display
JPS63275248A (en) Telephone set
JPS63119350A (en) Cordless speaking device
JPS6394748A (en) Cordless talking equipment
JP2534209Y2 (en) Hearing aid compatible cordless telephone
KR100207819B1 (en) Telephone for inaudibles
KR200203369Y1 (en) Telephone
KR890004369Y1 (en) Tone and pulse dial transmitting circuit
KR200240704Y1 (en) Auto output device of response message
KR890004366Y1 (en) On-hook dialing and holding sound transmitting telephone
JP3585109B2 (en) High frequency coupling circuit
KR100278520B1 (en) Goldo Handset Combined Handset
KR19990059352A (en) Telephone with Bone Headphones
JPS6292645A (en) Telephone set circuit
KR19980035372A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utomatic continuous redial
KR20020024219A (en) Automatic call method of mobile phone
JPH05259974A (en) Nurse calling device
JPH0294992A (en) Key telephone system
KR19980041213U (en) Ringer volum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light quant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