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2128U -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 - Google Patents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2128U
KR19990012128U KR2019970025081U KR19970025081U KR19990012128U KR 19990012128 U KR19990012128 U KR 19990012128U KR 2019970025081 U KR2019970025081 U KR 2019970025081U KR 19970025081 U KR19970025081 U KR 19970025081U KR 19990012128 U KR19990012128 U KR 199900121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main body
skirt
bed cover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화봉
Original Assignee
임화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화봉 filed Critical 임화봉
Priority to KR2019970025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2128U/ko
Publication of KR199900121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128U/ko

Link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에 관한 것으로, 침대쿠션의 상면과 일치하는 크기를 가지며, 다수의 나무편이나 왕골 등의 재료가 가로 및 세로방향을 따라 서로 잇대어져 배열된 상태에서 끈등으로 엮어지거나 부직포에 접착된 형태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후좌우의 각 변에 별도의 연결부재에 의하여 자유롭게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연결된 스커트부와, 상기 각 스커트부 사이의 경계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침대커버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각 스커트부를 아랫쪽으로 접는 경우에 각 스커트부를 결속시켜주는 결속부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필요에 따라 돗자리를 구성하는 본체부의 각변에 설치된 스커트부를 접은 상태에서 침대쿠션의 커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범위가 확대된다.
또한, 침대쿠션이 상기 접혀진 상태의 돗자리의 내부로 일정 깊이 만큼 수납되기 때문에 사용시 유동되지 않으며, 돗자리 특유의 통풍성에 의하여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MAT USING AS BED-COVER)
본 고안은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돗자리로 사용하다가 침대커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범위를 확장시킨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돗자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돗자리(10)는 정해진 길이와 폭을 갖는 다수의 왕골 또는 대나무 등의 각종 나무편(12)을 가로 및 세로방향을 따라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형태로 잇대어 배열한 상태에서 끈으로 엮어나가거나 또는 나무편(12)등의 재료를 가로 및 세로방향을 따라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형태로 배열한 상태에서 그 이면에 부직포를 접착시킨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가장자리를 별도의 마감재(14)로 감싸고 재봉하여 마감처리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돗자리(10)는 일반적으로 통풍성이 양호하고, 신체부위와 접촉될 때 느껴지는 그 특유의 시원한 느낌때문에 여름철과 같이 온도가 높아지는 계절에 거실이나 방의 바닥면에 깔아 사용하고 있으나, 자유롭게 접거나 펼칠 수 없기 때문에 깔개로서 사용되는 이외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없어 그 사용범위가 매우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주거형태가 입식으로 변화되면서 일반 가정에서의 침대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바, 겨울철에는 침대를 사용하는 데에 따른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여름철과 같이 온도 및 습도가 높아지는 계절에는 침대쿠션상에 덮여진 침대커버와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접촉되는 부분에서의 통풍성이 매우 불량하여 쾌적도가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침대의 사용이 기피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따라서는 상기 침대쿠션의 상면에 일반적인 돗자리(10)를 깔아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 상기 돗자리(10)가 침대쿠션의 상면에 단순히 얹혀진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돗자리가 유동되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통상적인 돗자리의 용도로 사용하면서 필요한 경우에 침대커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돗자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의 펼친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에서 결속부재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부분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에서 결속부재의 2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부분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돗자리가 침대커버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침대 커버 겸용 돗자리 40 : 본체부
50 : 스커트부 60 : 연결부재
70 : 결속부재 72 : 벨크로파스너
74 : 끈 76 : 관통공
80 : 침대쿠션 90 : 침대커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침대쿠션의 상면과 일치하는 크기를 가지며, 다수의 나무편이나 왕골 등의 재료가 가로 및 세로방향을 따라 서로 잇대어져 배열된 상태에서 끈등으로 엮어지거나 부직포에 접착된 형태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후좌우의 각 변에 별도의 연결부재에 의하여 자유롭게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연결된 스커트부와, 상기 각 스커트부 사이의 경계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침대커버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각 스커트부를 아랫쪽으로 접는 경우에 인접하는 스커트부를 서로 결속시켜주는 결속부재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스커트부는 본체부와 동일하게 나무편이나 왕골등의 재료를 엮거나 부직포에 부착시킨 형태로 이루어지되, 보관시 권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나무편이나 왕골을 본체부에서의 나무편이나 왕골 등의 배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시킨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결속부재는 벨크로파스너인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결속부재는 끈이며, 상기 각 스커트부 양단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끈이 꿰어지는 다수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본체부에 대한 스커트부의 접힘 및 펼침동작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연성이 좋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천연섬유재 또는 합성섬유재의 천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의 펼친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30)는 정해진 크기를 갖는 본체부(40)와, 그 본체부(40)의 전후좌우의 각 변에 설치되는 스커트부(50)와, 상기 본체부(40)와 스커트부(5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0) 및 침대커버로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각 스커트부(50)를 서로 결속시키는 결속부재(7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서 상기 본체부(40)는 침대쿠션의 상면과 일치하는 크기를 가지며, 다수의 나무편(42)이나 왕골 등의 재료가 가로 및 세로방향을 따라 서로 잇대어져 배열된 상태에서 끈등으로 엮어지거나 부직포에 접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스커트부(50)는 본체부(40)의 전후좌우의 각 변에 별도의 연결부재(6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자유롭게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60)는 본체부(40)에 대한 스커트부(50)의 접힘 및 펼침동작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빈번한 절첩동작에 의해서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재의 천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70)는 본 고안의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30)를 침대커버로 사용하기 위하여 스커트부(50)를 아랫쪽으로 접는 경우에 인접하는 스커트부(50)의 모서리부를 서로 결속시키면서 각 스커트부(50)의 접혀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스커트부(50)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에서 결속부재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부분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을 구성하는 본체부(50)의 각 변에 연결되는 스커트부(50)중 좌우 양변에 연결된 스커트부의 앞쪽과 뒤쪽 양측면에 결속부재(70)인 벨크로파스너(Velcro Fastner : 72)의 한쪽편이 설치되고, 인접하는 스커트부의 내측면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벨크로파스너(72)의 다른 한쪽편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결속부재(70)가 벨크로파스너(72)인 경우에는 돗자리로서 사용시 표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벨크로파스너(72)의 양쪽편이 상기 스커트부(50)의 내면에서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에서 결속부재의 2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부분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결속부재(70)가 끈(74)인 경우에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본체부(50)의 각 변에 연결되는 스커트부(50)의 각 측면 가장자리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다수의 관통공(76)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76)을 통하여 끈(74)이 꿰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결속부재(70)는 위에서 기술한 벨크로파스너(72)나 끈(74)이외에 슬라이드파스너(Slide Fastner) 등이 적용된다.
한편, 도 3과 도 4에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40)를 구성하는 각 나무편(42)들과 상기 본체부(40)의 각 변에 연결된 스커트부(50)를 구성하는 나무편들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배열하여 돗자리를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 정해진 방향으로 말을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돗자리가 침대커버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을 통상적인 사용형태인 돗자리로서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침대쿠션(80)을 덮어주는 침대커버(90)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본체부(40)의 각 변에 연결된 스커트부(50)를 아랫쪽으로 접은 상태에서 각 스커트부(50)의 양측면에 설치된 결속부재(70)를 상호 결속하여 아랫면이 개방된 일정한 깊이의 상자형태로 만든다.
그런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쿠션(80)의 상부로부터 덮어 씌우면 그 설치가 완료되어 침대커버(90)로서 사용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하다가 다시 돗자리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결속부재(70)에 의한 결속상태를 해제시킨 다음, 각 스커트부(50)를 접혀진 상태로부터 펼치면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30)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돗자리로 사용할 때와 동일하게 펼친 상태에서 본체부(40) 및 스커트부(50)를 구성하는 각 나무편(42)이나 왕골의 배열방향에 맞추어 권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필요에 따라 본 고안을 구성하는 본체부의 각 변에 설치된 스커트부를 접은 상태에서 침대쿠션의 커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돗자리를 침대커버로 사용하는 경우에 침대쿠션이 상기 접혀진 상태의 돗자리의 내부로 일정 깊이 만큼 수납되기 때문에 사용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되지 않으며, 돗자리 특유의 통풍성에 의하여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침대쿠션(80)의 상면과 일치하는 크기를 가지며, 다수의 나무편(42)이나 왕골 등의 재료가 가로 및 세로방향을 따라 서로 잇대어져 배열된 상태에서 끈등으로 엮어지거나 부직포에 접착된 형태의 본체부(40)와;
    상기 본체부(40)의 전후좌우의 각 변에 별도의 연결부재(60)에 의하여 자유롭게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연결된 스커트부(50)와;
    상기 각 스커트부(50) 사이의 경계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침대커버(90)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각 스커트부(50)를 아랫쪽으로 접는 경우에 인접하는 스커트부(50)를 서로 결속시켜주는 결속부재(70)로 이루어진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50)는 본체부(40)와 동일하게 나무편이나 왕골등의 재료를 엮거나 부직포에 부착시킨 형태로 이루어지되, 보관시 권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나무편(42)이나 왕골을 본체부(40)에서의 나무편이나 왕골 등의 배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70)는 벨크로파스너(7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70)는 끈(74)이며, 상기 각 스커트부(50) 양단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끈(74)이 꿰어지는 다수의 관통공(76)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60)는 본체부(40)에 대한 스커트부(50)의 접힘 및 펼침동작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연성이 좋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천연섬유재 또는 합성섬유재의 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
KR2019970025081U 1997-09-03 1997-09-03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 KR199900121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081U KR19990012128U (ko) 1997-09-03 1997-09-03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081U KR19990012128U (ko) 1997-09-03 1997-09-03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128U true KR19990012128U (ko) 1999-04-06

Family

ID=69689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081U KR19990012128U (ko) 1997-09-03 1997-09-03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212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3610A (zh) * 2021-04-27 2021-07-20 鲁力 一种藤席床垫及其制造工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3610A (zh) * 2021-04-27 2021-07-20 鲁力 一种藤席床垫及其制造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4335B2 (en) Cushion covers, cush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4809375A (en) Mattress with removable mattress cover
RU2287312C2 (ru) Покрывало
US5000116A (en) Self-covering pet bed
AU614340B2 (en) Improved sheet bedding construction
US5625912A (en) Mattress coverings
US8701227B2 (en) Mattress with attachment panels for removable attachment to a mattress support
US7174585B1 (en) Ground covering device with integrated support retention areas
EP2211668B1 (en) Comforter cover and comforter
US5855032A (en) Quilt
US20070240262A1 (en) Fitted blanket
US20080115271A1 (en) Top sheet and bottom sheet combination bedclothing
US4384381A (en) Sheet assemblies
JPH0622283Y2 (ja) パツド
KR19990012128U (ko) 침대커버 겸용 돗자리
GB2142233A (en) Quilts
JP3236245U (ja) クッション材及びマットレス
IE913074A1 (en) Articles of bedding and the like
JPS6123559Y2 (ko)
CA2038319C (en) Self-covering pet bed
KR102578000B1 (ko) 매트리스 토퍼의 커버 마감 처리방법 및 매트리스 토퍼
JP2589876Y2 (ja) 室内用敷物
KR200303203Y1 (ko) 침대용 깔개
JPH0511809Y2 (ko)
JP2001321257A (ja) マルチブラン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