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775A - 온실에 이용하는 수평커튼 자동개폐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온실에 이용하는 수평커튼 자동개폐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775A
KR19990011775A KR1019970035008A KR19970035008A KR19990011775A KR 19990011775 A KR19990011775 A KR 19990011775A KR 1019970035008 A KR1019970035008 A KR 1019970035008A KR 19970035008 A KR19970035008 A KR 19970035008A KR 19990011775 A KR19990011775 A KR 19990011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reenhouse
output
curtai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2054B1 (ko
Inventor
전종길
윤진하
최광재
Original Assignee
김동태
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태, 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김동태
Priority to KR1019970035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2054B1/ko
Publication of KR19990011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2009/1484Glaz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온실이나 유리온실내부가 커튼에 의해 생기는 그늘면적을 최소화시켜 작물생육 및 수확량을 향상시키고 농민이나 일반작업자로 하여금 온실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온실에 이용하는 수평커튼 자동개폐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비닐온실 또는 유리온실 내부의 현재 조도 및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와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와, 이 센서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와, 이 증폭부의 아날로그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변환기와, 이 A/D변환기의 디지털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연산하고 제어하기 위한 연산제어부와, 이 연산제어부에 온도 및 조도의 설정값을 입력하고 각종 프로그램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연산제어부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상기 연산제어부의 출력을 작업자가 볼 수 있고 현재 모터속도등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연산제어부의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릴레이 및 모터 회전속도를 나타내어 출력하는 출력부와, 이 출력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예인축과 권취축이 구동하도록 하기 위한 작동부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온실에 이용하는 수평커튼 자동개폐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온실에 이용하는 수평커튼 자동개폐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닐온실이나 유리온실 내부가 커튼에 의해 생기는 그늘 면적을 최소화시켜 작물생육 및 수확량을 향상시키고 농민이나 일반작업자로 하여금 온실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온실에 이용하는 수평커튼 자동개폐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커튼개폐장치중 예인식 커튼장치는 커튼을 접어서 한쪽으로 모으는 방식이므로 커튼자체가 차지하는 용적이 커서 완전히 커튼을 걷어도 상당량의 그늘이 생기게 된다 (문헌 및 조사에 의하면 온실면적의 약 20%). 이 그늘로 인해 작물의 광합성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빛이 차단되므로 그늘아래 부위 작물은 생육이 매우 불량하며, 수확량에 많은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권취식 커튼장치는 권취축 자체가 이동회전하면서 커튼을 감는 구조이어서 축이 휘어지는 문제와 온실내부는 과습, 과온으로 인해 작업자가 작업하기 힘들며 재배경험이 부족한 농민에게는 개폐시기를 적절하게 맞추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대형온실에서는 온도센서만을 이용하여 커튼을 자동개폐시킬 경우 드럼에 예인선이 엉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도 설정온도에 따라 개폐모터가 계속 작동하여 커튼이 찢어지거나 구조물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고 온도센서만을 이용하여 커튼을 관리하는 것은 광합성이 활성하게 일어나는 오전에도 설정온도 이하만되면 커튼이 폐쇄되어 작물생육에 지장을 주게 되는 점과 보온을 해야하는 야간에도 설정온도 이상만 되면 커튼이 개방되어 연료비가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하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비닐온실이나 유리온실 내부가 커튼에 의해 생기는 그늘면적을 최소화시켜 작물생육 및 수확량을 향상시키고 농민이나 일반작업자로 하여금 온실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온실에 이용하는 수평커튼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수평커튼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수평커튼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닐온실 또는 유리온실 내부의 현재 조도 및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와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와, 이 센서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와, 이 증폭부의 아날로그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변환기와, 이 A/D변환기의 디지털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연산하고 제어하기 위한 연산제어부와, 이 연산제어부에 온도 및 조도의 설정값을 입력하고 각종 프로그램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연산제어부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상기 연산제어부의 출력을 작업자가 볼 수 있고 현재 모터속도등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연산제어부의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릴레이 및 모터회전속도로 나타내어 출력하는 출력부와, 이 출력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예인축과 권취축이 구동하도록 하기 위한 작동부로 달성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외형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비닐온실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리온실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온실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온실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 우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온실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 좌측면도,
도 8은 도 2의 (A),(B),(C)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의 현재값과 설정값 비교를 위한 조도, 온도관리 범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조도 및 온도범위에 따른 자동작동 범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평커튼 자동개폐장치, 10 : 센서부, 20 : 증폭부, 30 : A/D변환기, 40 : 연산제어부, 50 : 입력부, 60 : 전원부, 70 : 표시부, 80 : 출력부, 90 : 작동부
다음은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온실에 이용하는 수평커튼 자동개폐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닐온실 또는 유리온실 내부의 현재 조도 및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와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와, 이 센서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와, 이 증폭부의 아날로그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변환기와, 이 A/D변환기의 디지털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연산하고 제어하기 위한 연산제어부와, 이 연산제어부에 온도 및 조도의 설정값을 입력하고 각종 프로그램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연산제어부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상기 연산제어부의 출력을 작업자가 볼 수 있고 현재 모터속도등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연산제어부의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릴레이 및 모터 회전속도를 나타내어 출력하는 출력부와, 이 출력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예인축과 권취축이 구동하도록 하기 위한 작동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해 첨부한 도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기술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비닐온실 또는 유리온실 내부의 현재 조도 및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와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10)와, 이 센서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20)와, 이 증폭부의 아날로그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변환기(30)와, 이 A/D변환기의 디지털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연산하고 제어하기 위한 연산제어부(40)와, 이 연산제어부에 온도 및 조도의 설정값을 입력하고 각종 프로그램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50)와, 상기 연산제어부(40)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60)와, 상기 연산제어부(40)의 출력을 작업자가 볼 수 있고 현재모터속도등이 표시되는 표시부(70)와, 상기 연산제어부(40)의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릴레이 및 모터회전속도로 나타내어 출력하는 출력부(80)와, 이 출력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예인축과 권취축이 구동하도록 하기 위한 작동부(90)가 수평커튼 자동개폐장치(1)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커튼 자동개폐장치(1)는 상기 비닐온실 및 유리온실 내부에 입사광이 입사되는 일정한 부분에 온실내부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2)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3)를 설치하고 이 센서(2)(3)을 통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하고 시설원예 재배농민이 원하는 조도 및 온도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는 컨트롤러(4)는 농민이나 작업자에게 편리하도록 온실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지되, 이 컨트롤러는 조도와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입력키(5)와 조도 및 온도값이 표시되는 표시부(6)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4)의 출력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7)(8)(9)중 권취축(11a)(11b)에 연겨된 권취축 모터(7)(8)는 온실내부의 좌,우상부에 설치되고 예인축(12)에 연결된 예인축모터(9)는 상기 권취축 모터(7)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좌,우측에 있는 권취축(11a)(11b)의 중간에는 축베어링(13)이 볼트(14)에 의해 온실기둥(15)에 고정설치되고 이것은 온실길이 방향으로 약 6m 간격으로 1개씩 설치되어 축전체의 처짐을 받쳐주고 축이 원활이 회전할 수 있도록 Ø34mm 베어링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권취축(11)에는 수평커튼(16)이 감기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예인축(12)은 예인선(17)을 감아주기 위한 나선형홈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받침선(18)은 상기 수평커튼(16)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약 70cm 간격으로 설치되어진다.
또한, 강철와이어(19)는 상기 권취축(11a)(11b)과 평행하도록 상,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온실기둥(15)에 고정설치되고 이 강철와이어에 일정간격으로 지지롤러(21)를 설치하여 상기 예인선(17)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수평커튼(16)이 받침선(18)에 의해 받쳐주고, 상부수평커튼 앞 부분은 약 Ø9.8mm의 스텐레스봉(26)에 감싸 고정되며, 측면커튼(24) 상측은 아주 작은 커튼롤러(25)가 부착되어 있고 이 롤러들은 양쪽 최외각 받침선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있다. 이때 측면커튼(24) 상측 가장 앞쪽 아주 작은 커튼롤러(25)와 상부 수평커튼 앞쪽에 커튼으로 감싸여 고정되어 있는 스텐레스봉(25)이 고정되어 있어 모터(7,8,9)가 회전하면 예인선(17)이 이동하게 되고 이 예인선이 이동하면 상부수평커튼(16)은 권취축(11a)(11b)에 감기게 되며, 측면커튼(24)은 양쪽 끝단 받침선(18)을 따라 한쪽 방향으로 모아지거나 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이하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커튼(16)을 개방했을시에는 상기 권취축모터(8)가 시계방향으로 구동하고 우측의 권취측모터(7)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상기 커튼(16)을 감기게 되고, 동시에 예인축모터(9)는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회전하여 드럼(23)에 감긴 예인선(17)을 풀어주게 된다. 이때 권취축(11a)(11b)는 커튼이 감김에 따라 축의 직경이 굵어지나, 예인축(12)의 드럼(23)은 나선형 홈으로 되어 있어 예인선(17)이 감기어도 포개어지지 않아 상기 드럼(23)의 직경은 일정하게 되어지며, 상기 예인축(12)은 일정하게 회전하고 상기 권취축(11a)(11b)은 커튼이 감김에 따라 권취축의 직경이 변화됨으로 커튼 감기는 속도가 점점 빨라지게 된다. 이러한 예인축(12)의 드럼(23)에 상기 예인선(17)이 감기는 속도와 권취축(11a)(11b)에 커튼이 감기는 속도를 항상 맞추어 주어야 한다.
상기 커튼이 감김에 따라 상기 권취축 모터(7)(8) 회전속도를 상기 예인축 모터(9)의 회전속도와 맞추어주기 위한 커튼길이(L)에 따른 권취회전수(n) 및 권취두께(tn)방정식은 하기와 같다.
즉, 권취파이프(R)에 커튼이 한 번 감기면 커튼길이(L1)는 2πR이 되고, 2회시에는 L2=2πR+2π(R+d)이면 3회시에는 L3=2πR+2π(R+d)+2π(R+2d)가 되고 n회를 감았을 때 커튼길이(Ln)는 다음과 같다.
Ln=2πR+2π(R+d)+2π(R+2d)+2π(R+3d)+.....+2π[R+(n-1)d]=nπ[2R+(n-1)d] 가 된다.
또한, 커튼길이(Ln)을 알 때 권취파이프(R)에 커튼 감김회전수(n)를 구하면 n=[√{(2R-d)2+4dxLn/π}-(2R-d)]/2d 가 되고, 권취두께(tn)는 tn=D+2dxn가 된다.
여기서, Ln은 커튼권취길이, R은 권취파이프반경, d는 커튼두께, D는 권취파이프직경, tn은 커튼권취두께, n은 권취회전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커튼개방시에 따른 방정식을 이용하여 상기 권취축모터(7)(8)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커튼닫힘시에는 개방시의 반대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커튼으로 온실을 폐쇄했을 때 권취축(11a)(11b)에 감기거나 풀리게 되며 상기 예인선(17)이 커튼을 유인하여 왼쪽커튼이 오른쪽 커튼 속으로 완전히 들어가게 되며 왼쪽커튼과 오른쪽커튼의 상하간격은 약 20cm이고, 권취축(11a)(11b) 중간요소마다 축베어링(13)을 삽입하여 상기 권취축(8)이 휘어지지않고 원활히 회전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축베어링(13) 삽입간격이 비닐온실은 4m, 철골온실은 6m이며, 상기 모터(7)(8)의 회전에 따라 양쪽커튼이 동시에 각각 반대편으로 이동하고, 이때 왼쪽커튼은 오른쪽 커튼속으로 완전히 들어가게 되어 2중커튼이 쳐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9에서와 같이 전원을 켜면 초기화 단계(S101)에서 스텝 102로 이동하여 자동스위치인가를 판별하여 No인 경우에는 수동조작(S103) 단계로 이동하고 이 스텝 103에서는 재배농민이 수동으로 커튼을 개폐할 수 있으며, 스텝 104에서는 모터회전속도를 자동조절시켜 스텝 120으로 이동하고 Yes인 경우에는 자동으로 선택되어 시설원예 재배농민이 원하는 온실내부의 조도 및 온도값을 설정가능하게 스텝 105에서 조작하여 스텝 106으로 이동한 다음 광센서(2)와 온소센서(3)에서 온실 내부의 현재조도 및 온도를 감지한 값이 스텝 107로 출력하여 상기 설정된 조도값과 비교판단하여 극한사항(조도의 경우 501ux이하, 70,000ux이상)인 경우에 스텝 109로 출력하고 극한사항이 아닌 경우 스텝 108로 출력하여 상기 설정된 온도값과 비교판단하여 극한사항(온도의 경우 5℃이하, 45℃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109로 출력되어지며 이때 상기와 같이 조도 및 온도값이 극한사항인 경우에 경보를 알리는 알람단계(S109)로 이동하고 커튼이 폐쇄(S110)되어지되, 상기 개폐모터(7)(8)(9)는 회전속도를 커튼풀림회수에 따라 속도를 조절(S111)하면서 커튼이 닫혀지게 된다.
상기 스텝 108에서 상기 설정된 온도값과 온실내부의 현재의 온도가 극한 사항이 아닌 경우에는 조도 및 온도가 어느 범위(하기에서 설명됨)속하는지 여부를 판단(S112)하여 No인 경우에는 스텝 113으로 출력하여 조도 및 온도가 P범위(하기에서 설명됨)내에 있는지 판단하고 No인 경우에 스텝 110에 출력한 다음 스텝 111로 이동되어지며 상기 스텝 112에서 온도 및 조도값이 Q범위에 속하는 Yes인 경우 스텝 114로 출력하여 커튼을 개방하게 되고 모터회전속도를 커튼감김회수에 따라 속도를 조절(S115)하면서 커튼이 개방되되 온도값 우선 순위로 작동(S116)하게 되어 스텝 120으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텝 113에서 조도 및 온도값이 P범위에 속하는 Yes일 경우 스텝 117로 출력하여 커튼을 개방하게 되고 No인 경우에는 커튼을 폐쇄(S110)하도록 모터회전속도저절(S111)을 한 다음 스텝 120으로 출력하며 상기 스텝 117에서 커튼이 개방되도록 모터회전속도를 조절(S118)하여 ON위주작동(S119)을 한 다음 스텝 120으로 출력하며, 여기서 ON위주 작동이라면 BX=XB, BZ=ZB인 경우 B(조도)가 ON이 되고 AY=YA, CY=YC인 경우 Y(온도)가 ON이 된다.
상기 스텝 120에서 모든 작동작업을 종료할 것인가를 판별하여 No인 경우에는 상기 스텝 105으로 출력하고 Yes인 경우에는 스텝 121로 출력하여 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도 10 또는 도 11는 조도와 온도의 범위 및 작동범위를 설명한 것으로 광(조도)는 A범위를 501ux~1,0001ux, B범위를 1,000 ux~60,000 ux, C범위를 60,0001ux ~70,0001ux로 구분하였고, 온도는 x범위를 5~10℃, Y범위를 10~35℃, Z범위를 35~45℃로 구분하였다. 예를 들어 현재조도 및 온도가 701ux, 17℃인데 설정조도 및 온도를 20,0001ux, 22℃로 설정하였다면 조도 701ux는 A 범위에 속하고 온도 17℃는 Y범위에 속하여 조합범위가 AY=YA에 속하지만 작동범위는 P군에 속하여 커튼은 자동으로 열려져야 하나 ON위주의 작동관계에 따라 이때 ON은 Y(온도)가 되며, Y(온도)범위에서 현재 온도값(17℃)이 Y범위의 설정온도값(22℃)보다 작으므로 커튼은 닫혀진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현재 조도값이 B범위에 속하지 않고 A범위에 속하므로 무시하게 된다. 여기서, 현재 조도값은 B범위에 현재 온도값은 Y범위에 있을때만 이 범위내에서 설정하는 설정조도(Ⅰ) 또는 설정온도(Ⅱ)와 비교하여 제어하고, 현재 센서의 신호값이 A, C, X, Z 범위에 속할 때는 그때의 센서 설정값은 무시하게 된다.
잠시후에 온도가 24℃로 상승하였다면 (23℃는 ±1℃의 불감대 영역에 속하므로 작동하지 않음) 설정온도 22℃보다 높으므로 온도에 따라 커튼은 개방되고 조도는 701ux로 A범위에 속하므로 무시하게 된다.
또한, 현재조도가 9,0001ux로 상승하고 현재온도가 25℃라면 조도는 B범위에 속하고 온도는 Y범위에 속하게 되어 Q범위에 속하게 되므로 온도우선순위에 따라 설정온도 22℃보다 높으므로 커튼은 개방하게 된다.
만약, 현재조도가 40,0001ux이고 온도가 37℃라면 BZ=ZB로서 P군에 속하여 ON위주작동에 따라 설정온도는 무시되고 현재조도 400001ux와 설정온도 200001ux를 비교하여 컨트롤러에서는 설정조도값보다 높으므로 커튼을 개방하라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비닐온실이나 유리온실 내부가 커튼에 의해 생기는 그늘 면적을 최소화시켜 작물생육 및 수확량을 향상시키고 농민이나 일반작업자로 하여금 온실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권취축 자체가 이동회전하더라도 축이 휘어지지 않고 커튼이 찢어지거나 구조물이 파손되지 않은 효과를 갖으며 조도 및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커튼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비닐온실 및 유리온실 내부가 커튼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이루어지는 수평커튼을 자동개폐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닐온실 또는 유리온실 내부의 현재 조도 및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와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와, 이 센서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와, 이 증폭부의 아날로그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변환기와, 이 A/D변환기의 디지털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연산하고 제어하기 위한 연산제어부와, 이 연산제어부에 온도 및 조도의 설정값을 입력하고 각종 프로그램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연산제어부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상기 연산제어부의 출력을 작업자가 볼 수 있고 현재 모터속도 등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연산제어부의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릴레이 및 모터 회전속도를 나타내어 출력하는 출력부와, 이 출력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예인축과 권취축이 구동하도록 하기 위한 작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에 이용하는 수평커튼 자동개폐방법.
  2. 비닐온실 및 유리온실 내부가 커튼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이루어지는 수평커튼을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닐온실 또는 유리온실 내부의 현재 조도 및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와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10)와, 이 센서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20)와, 이 증폭부의 아날로그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변환기(30)와, 이 A/D변환기의 디지털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연산하고 제어하기 위한 연산제어부(40)와, 이 연산제어부에 온도 및 조도의 설정값을 입력하고 각종 프로그램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50)와, 상기 연산제어부(40)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60)와, 상기 연산제어부(40)의 출력을 작업자가 볼 수 있고 현재모터속도등이 표시되는 표시부(70)와, 상기 연산제어부(40)의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릴레이 및 모터회전속도로 나타내어 출력하는 출력부(80)와, 이 출력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예인축과 권취축이 구동하도록 하기 위한 작동부(9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에 이용하는 수평커튼 자동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커튼 자동개폐장치(1)는 상기 비닐온실 및 유리온실 내부에 입사광이 입사되는 일정한 부분에 온실내부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2)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3)를 설치하고, 이 센서(2)(3)을 통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하고 시설원예 재배농민이 원하는 조도 및 온도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는 컨트롤러기(4)는 농민이나 작업자에게 편리하도록 온실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지되, 이 컨트롤러기는 조도와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입력키(5)와 조도 및 온도값이 표시되는 표시부(6)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컨트롤러기(4)의 출력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7)(8)(9)중 권취축(11a)(11b)에 연결된 권취축모터(7)(8)는 온실내부의 좌,우상부에 설치되고 예인축(12)에 연결된 예인축모터(9)는 상기 권취축모터(7)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좌,우측에 있는 권취축(11)의 중앙부에는 축베어링(13)이 볼트(14)에 의해 온실기둥(15)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권취축(11)에는 수평커튼(16)이 감기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예인축(12)은 예인선(17)을 감아주기 위한 나선형홈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받침선(18)은 상기 커튼(16)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좌,우권취축(11)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약 70cm )으로 설치되고, 측면커튼(24) 상측 가장 앞쪽 작은 커튼롤러(25)와 상부수평커튼(16) 앞쪽 스텐레스봉(26)이 연결고정되어 모터(7,8,9)가 회전하여 예인선이 이동하면 상부수평커튼(16)은 권취축(11a)(11b)에 감기게 되고 측면커튼(24)은 양쪽 끝단 받침선(18)을 따라 한쪽으로 모아지거나 펴지게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에 이용하는 수평커튼 자동개폐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커튼 자동개페장치(1)의 강철와이어(19)는 상기 좌측 권취축(11a)과 평행하도록 상,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온실기둥(15)에 고정설치되고, 이 강철와이어에 일정 간격으로 지지롤러(21)를 설치하여 상기 예인선(17)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에 이용하는 수평커튼 자동개폐장치.
KR1019970035008A 1997-07-25 1997-07-25 온실에 이용하는 수평커튼 자동개폐방법 및 장치 KR100232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008A KR100232054B1 (ko) 1997-07-25 1997-07-25 온실에 이용하는 수평커튼 자동개폐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008A KR100232054B1 (ko) 1997-07-25 1997-07-25 온실에 이용하는 수평커튼 자동개폐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775A true KR19990011775A (ko) 1999-02-18
KR100232054B1 KR100232054B1 (ko) 1999-12-01

Family

ID=19515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008A KR100232054B1 (ko) 1997-07-25 1997-07-25 온실에 이용하는 수평커튼 자동개폐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20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256B1 (ko) * 2005-03-15 2006-09-20 박은석 비닐 하우스 원격 관리장치
KR101358003B1 (ko) * 2012-12-12 2014-02-06 신한에이텍 주식회사 자동온실의 천창제어방법
KR101425462B1 (ko) * 2012-12-12 2014-08-01 신한에이텍 주식회사 자동온실의 제어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256B1 (ko) * 2005-03-15 2006-09-20 박은석 비닐 하우스 원격 관리장치
KR101358003B1 (ko) * 2012-12-12 2014-02-06 신한에이텍 주식회사 자동온실의 천창제어방법
KR101425462B1 (ko) * 2012-12-12 2014-08-01 신한에이텍 주식회사 자동온실의 제어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2054B1 (ko) 199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383069U (zh) 一种大棚的自动遮阳装置
CN210716718U (zh) 一种智慧农业大棚24小时可视化监控装置
KR100232054B1 (ko) 온실에 이용하는 수평커튼 자동개폐방법 및 장치
KR102127494B1 (ko) 고설재배 장치
JP2001299110A (ja) 温室用保温カーテンの開閉及び昇降装置
CN212753517U (zh) 一种连栋大棚分段式内遮阳结构
CN210275295U (zh) 一种自动收卷的遮阳大棚
CN207783997U (zh) 养殖池用可收卷遮阳棚
CN210168577U (zh) 连栋温室侧墙内保温系统
CN207784012U (zh) 具有机械化捕捞和遮阳装置的养殖池
CN113951011A (zh) 智慧农业5g平台系统
CN114132807A (zh) 一种电源箱收放线控制系统
JPH08149928A (ja) 農業用ハウスの内部温度調節装置
KR100299976B1 (ko)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개폐장치 및 그 방법
US3418752A (en) Removable covering
CN214546062U (zh) 一种温室大棚用侧置悬挂式卷帘机
CN217644308U (zh) 一种可远程控制的农业大棚薄膜覆盖装置
JPH0515260A (ja) ビニールハウス用電動側壁開閉装置
CN108142344A (zh) 一种具有自动化辅助捕捞系统的养殖塘
CN219844278U (zh) 一种温室保温被卷放系统
CN217546908U (zh) 一种棚顶结构变形式无土栽培大棚
KR200238774Y1 (ko) 비닐하우스용 내부 보온덮개 자동 개폐시스템
CN220000196U (zh) 一种花卉种植的环境预警装置
JPH0348359Y2 (ko)
CN213073798U (zh) 一种用于温控的智慧大棚钢索遮阴帘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