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252U -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252U
KR19990011252U KR2019970024605U KR19970024605U KR19990011252U KR 19990011252 U KR19990011252 U KR 19990011252U KR 2019970024605 U KR2019970024605 U KR 2019970024605U KR 19970024605 U KR19970024605 U KR 19970024605U KR 19990011252 U KR19990011252 U KR 199900112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sensing unit
detection device
reservoir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6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열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24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1252U/ko
Publication of KR199900112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252U/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 외상의 톱프레임(20)과 걸이봉(24)의 서포터(25)에 각각 감지부(22, 27)를 설치하여 이들의 접촉에 의해 저수조의 이상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톱프레임(20)의 중공(20a) 측부에 제1감지부(22)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봉(24)이 일정각도로 유동되었을 때 제1감지부(22)와 접촉되도록 서포터(25)의 저면에 제2감지부(27)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저수조의 이상진동을 정확히 감지함은 물론 소음발생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구성이 간단하며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본 고안은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 외상의 톱프레임과 걸이봉의 서포터에 각각 감지부를 설치하여 이들의 접촉에 의해 저수조의 이상진동을 소음없이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조와 탈수조가 각각 분리되어 있는 2조식 세탁기와 세탁과 탈수가 한통에서 가능하도록 되어있는 1조식 세탁기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상기 1조식 세탁기의 경우 세탁조는 세탁기의 외상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의 펄세이터만 회전되어 세탁행정이 이루어지는 반면 1조식 세탁기의 경우에는 세탁조가 탈수조의 기능을 겸해서 수행해야 함으로 이 세탁조의 외부로 다시 저수조가 둘러싸여 있어 탈수시 세탁수를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의 하단 외주에는 탈수시 이 저수조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방진용 걸이봉이 각각 외상의 테두리에 연결되어 상기 저수조를 지지한다. 한편 저수조의 상단 측부에는 이 저수조가 이상진동시 모터의 움직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안전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어 저수조의 언밸런스를 감지한다.
일례로 종래기술의 언밸런스 감지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의 언밸런스 감지장치는 안전스위치(10)의 상부가 상부패널(12)에 설치되고 그 하부의 고무바(10a)가 저수조(14)의 외측 상단에 접촉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저수조(14)는 세탁조(16)의 외부를 감싸는 원통형상으로 하단부에는 외상(18)에 매달려 있는 걸이봉(19)의 하단 방진부(19a)가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기술은 탈수행정시 세탁모터에 의해 세탁조(16)가 고속회전되고 이에따라 동축상에 있는 저수조(14)도 같이 진동하게 된다. 이때 걸이봉(19)에 의해 저수조(14)의 이상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저수조(14)의 상단부가 진동에 의해 안전스위치(10)의 고무바(10a)를 치게된다. 그러다가 이상진동에 의해 고무바(10a)와 부딪히는 정도가 세어지면 안전스위치(10)에서 이상진동을 감지하여 세탁모터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이렇게 하여 저수조(14)가 이상진동에 의해 손상이 생기는 것을 안전스위치(10)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는 안전스위치(10)의 고무바(10a)가 저수조(14)와 부딪히는 정도에 의해 이상진동을 감지하기 때문에 고무바(10a)와 저수조(14)가 서로 부딪히는 동안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이상진동이 아닌 약한 진동시에도 이들의 부딪히는 소음은 계속해서 발생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95-6119에 의한 언밸런스 감지장치를 살펴보면 여기서는 내부에 한쌍의 접속편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전도성 수은이 삽입된 전도형 안전스위치를 저수조의 하부 외측 바닥면에 부착시켰으며 상기 안전스위치의 일단부는 주 제어기관의 제어용 마이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전동기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밸런스 감지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감지장치는 그 구성이 복잡하며 또한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안전스위치를 제거함으로써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그 구성이 간단하고 설치작업 역시 용이하게 되도록 한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기 세탁기의 외상 내측 톱프레임의 중공 측부에 제1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봉이 일정각도로 유동되었을 때 제1감지부와 접촉되도록 서포터의 저면에 제2감지부가 구비된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를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안전스위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세탁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감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a, 3b는 본 고안에 의한 감지장치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전스위치 10a : 고무바
12 : 상부패널 14 : 저수조
16 : 세탁조 18 : 외상
19, 24 : 걸이봉 19a, 29 : 방진부
20 : 톱프레임 20a : 중공
22 : 제1감지부 25 : 서포터
25a : 관통홀 27 : 제2감지부
28 : 고정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3b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언밸런스 감지장치는 톱프레임(20)에 제1감지부(22)가 설치되고 걸이봉(24)의 서포터(25)에 제2감지부(27)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톱프레임(20)은 세탁기의 외상 내측 상단 귀퉁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가 안쪽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상으로 다시 이 오목하게 패인 중앙에는 걸이봉(24)이 상방으로 관통될 수 있게 중공(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공(20a)의 동심축상인 측부에 링 형상의 제1감지부(22)가 표면과 일치되도록 매설되어 있다.
상기 걸이봉(24)은 길다란 원형막대 형상으로 상단이 톱프레임(20)의 중공(20a)을 관통하여 서포터(25)에 지지될 수 있게 고정핀(28)에 의해 고정되고 그 하단은 저수조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방진부(2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서포터(25)는 중앙이 오목하게 패인 반구형상으로 그 중앙에는 걸이봉(24)이 관통되는 관통홀(25a)이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톱프레임(20)의 제1감지부(22)와 접촉되는 링형상의 제2감지부(27)가 표면에 일치되도록 매설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톱프레임(20)의 중공(20a) 측부에 제1감지부(22)를 매설시키고 서포터(25)의 저면에 제2감지부(27)를 매설시킨다. 이때 제1감지부(22)는 마이컴에 연결되고 제2감지부(27)는 구동모터에 연결되도록 한다. 또는 제1감지부(22)가 구동모터에 연결되도록 하고 제2감지부(27)가 마이컴에 연결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그리고 상기 걸이봉(24)의 방진부(29)를 저수조의 하단부에 연결시킨다. 그러면 걸이봉(24)이 정상적으로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감지부(22)와 제2감지부(27)는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탈수행정이 시작되고 저수조의 이상진동시 걸이봉(24)이 저수조를 따라 흔들리면서 서포터(25)의 제2감지부(27)가 측방으로 기울어 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1, 2감지부(22, 27)가 서로 접촉되어 구동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는 종래에 언밸런스 감지장치가 안전스위치를 이용하여 저수조의 이상진동을 감지하였기 때문에 안전스위치의 고무바와 저수조가 부딪히면서 생기는 소음발생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공보에서 예를 들었던 전도성 수은이 삽입된 전도형 안전스위치를 저수조의 하부에 설치하는 언밸런스 감지장치가 그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던 것과는 달리 톱프레임에 제1감지부를 설치하고 서포터에 제2감지부를 설치하여 이들로 하여금 저수조의 이상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감지는 물론 소음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그 구성이 간단하고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세탁기의 외상 상단에 오목하게 패이고 중공(20a)을 갖는 톱프레임(20)이 형성되며 이 톱프레임(20)의 중공(20a)을 통해 관통된 걸이봉(24)의 상단부가 반구형상의 서포터(25)에 의해 지지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톱프레임(20)의 중공(20a) 측부에 제1감지부(22)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봉(24)이 일정각도로 유동되었을 때 제1감지부(22)와 접촉되도록 서포터(25)의 저면에 제2감지부(27)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KR2019970024605U 1997-08-30 1997-08-30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KR199900112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605U KR19990011252U (ko) 1997-08-30 1997-08-30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605U KR19990011252U (ko) 1997-08-30 1997-08-30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252U true KR19990011252U (ko) 1999-03-25

Family

ID=69698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605U KR19990011252U (ko) 1997-08-30 1997-08-30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25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7649A (en) Full-automatic washing machine having a vibration damping assembly
KR970059357A (ko) 바닥면에의 진동 전달을 저감하는 드럼식 건조 세탁기 및 그 동작 방법
KR970062146A (ko) 전자동 세탁기의 탈수 장치 및 제어방법
EP1992728A2 (en) Top-loading washing machine, in particular a laundry washing machine,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CN113056582A (zh) 洗衣机
KR19990011252U (ko)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KR100487401B1 (ko) 세탁기의 언밸런스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102108218B1 (ko) 세탁기
US5893279A (en) Lid-switch with out-of-balance detection
KR101014708B1 (ko) 드럼세탁기의 로터리 놉 어셈블리 구조
KR200212739Y1 (ko)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KR200212216Y1 (ko) 세탁기용 진동 감지장치
KR100617223B1 (ko) 드럼세탁기의 수위겸 진동량 감지장치와 그에 따른 구동부제어방법
KR920006571A (ko) 경사 및 세제유무 감지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3321532B2 (ja) 振動検出装置
JP3611531B2 (ja) 振動検出装置
KR19990010587A (ko) 세탁기의 진동 감지장치
KR200208977Y1 (ko)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KR20010057796A (ko) 드럼세탁기의 진동량 감지장치와 그에 의한 구동부 제어방법
KR19990033946A (ko) 세탁기
KR100535678B1 (ko) 세탁기의 진동감지방법
KR20170041414A (ko) 탑로딩 세탁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KR20010039503A (ko) 세탁기의 이상현상 감지방법
KR0137740B1 (ko) 세탁기 저수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
KR200180640Y1 (ko) 세탁기의걸이봉위치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