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190U -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190U
KR19990011190U KR2019970024534U KR19970024534U KR19990011190U KR 19990011190 U KR19990011190 U KR 19990011190U KR 2019970024534 U KR2019970024534 U KR 2019970024534U KR 19970024534 U KR19970024534 U KR 19970024534U KR 19990011190 U KR19990011190 U KR 199900111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band
brake
washing machine
lower cas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장윤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24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1190U/ko
Publication of KR199900111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190U/ko

Links

Landscapes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절환장치의 브레이크드럼과 브레이크밴드의 간극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브레이크밴드와 근접되는 하부케이스의 적소에 브레이크밴드와 대응되는 감지수단을 설치하여 브레이크드럼과 브레이크밴드의 이격거리를 마이콤으로 감지하므로서, 브레이크밴드의 동작불량을 미리 감지하여 이로 인한 소음 및 파손을 방지한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브레이크밴드(114c)와 근접되는 하부케이스(112)의 적소에 브레이크밴드(114c)와의 이격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131)를 구비한 감지수단(1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
본 고안은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절환장치의 브레이크드럼과 브레이크밴드의 간극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력절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케이스(1)(2)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2)의 하단에는 모터와 밸트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풀리(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풀리(6)는 내부축(3)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내부축(3)의 외주연에 중공상의 외부축(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축(3)은 상단의 감속부재(5)를 통하여 세탁축(3a)과 직접 연결되고 세탁축(3a)의 상단에 펄세이터(12)가 설치된다.
상기한 외부축(4)은 감속부재(5)를 감싸는 브레이크드럼(4a)과 직접 연결되고, 브레이크드럼(4a)의 외측에는 소정의 간극이 유지되게 브레이크밴드(4c)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브레이크드럼(4a)은 탈수축(4b)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탈수축(4b)은 세탁조(11)의 하단과 직접 결합된다.
이처럼 구성된 동력절환장치는 세탁시 모터의 정역 회전으로 풀리(6)가 고속회전 되면 내부축(3)이 함께 정역 회전된다. 이때 감속부재(5)를 통하여 세탁축(3a)이 감속된 상태로 펄세이터(12)를 정역회전시켜 회전수류를 발생시킨다.
또한, 탈수시 모터의 구동으로 풀리(6)가 고속회전 되면 클러치(7)에 의해 내,외부축(3)(4)이 함께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세탁,탈수축(3a)(4b)이 함께 고속회전 된다. 이 과정에서 세탁조(11)가 고속회전하게 되면 빨래감이 원심력에 의해 탈수된다.
이러한 동력절환장치는 세탁조(11)를 감싸는 저수조(10) 저면에 결합되는데, 먼저 동력절환장치의 상부케이스(1)가 나사못(8)을 통하여 저수조(10) 저면의 베이스(9)에 체결 고정된다.
그런데, 종래의 동력절환장치는 브레이크드럼(4a)과 브레이크밴드(4c)의 간극을 알 수 없었기 때문에 브레이크밴드(4c)가 브레이크드럼(4a)과 접촉되었다가 소정의 간극이 유지되지 못할 시에는 이들의 마찰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이고 브레이크밴드(4c)의 내구력을 단축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브레이크밴드와 근접되는 하부케이스의 적소에 브레이크밴드와 대응되는 감지수단을 설치하여 브레이크드럼과 브레이크밴드의 이격거리를 마이콤으로 감지하므로서, 브레이크밴드의 동작불량을 미리 감지하여 이로 인한 소음 및 파손을 방지한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동력절환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동력절환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하부케이스 114a:브레이크드럼
114c:브레이크밴드 130:감지수단
131: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브레이크밴드와 근접되는 하부케이스의 적소에 브레이크밴드와의 이격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동력절환장치의 단면도이다.
상,하부케이스(111)(112)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12)의 하단에는 모터와 밸트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풀리(11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풀리(116)는 내부축(113)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내부축(113)의 외주연에 중공상의 외부축(11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축(113)은 상단의 감속부재(115)를 통하여 세탁축(113a)과 직접 연결되고 세탁축(113a)의 상단에 펄세이터(120)가 설치된다.
상기한 외부축(114)은 감속부재(115)를 감싸는 브레이크드럼(114a)과 직접 연결되고, 브레이크드럼(114a)의 외측에는 소정의 간극이 유지되게 브레이크밴드(114c)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브레이크드럼(114a)은 탈수축(114b)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탈수축(114b)은 세탁조(121)의 하단과 직접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밴드(114c)와 근접된 하부케이스(112)의 적소에 마이콤의 제어를 받아 브레이크드럼(114a)과 브레이크밴드(114c)의 간극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30)이 설치되는데, 상기 감지수단(130)은 하부케이스(112)의 적소에 작은 설치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이에 센서(131)가 삽입설치되며, 상기 센서(131)의 외측으로는 이를 보호하기 위한 브라켓(132)이 나사(133)로서 고정된다.
즉, 탈수행정시 상기 브레이크밴드(114c)가 브레이크드럼(114a)으로부터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브레이크밴드(114c)의 외측면이 감지수단(130)의 센서(131)에 접촉되는데, 이때 마이콤이 센서(131)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분석하게 되며, 만약 브레이크밴드(114c)의 외측면이 감지수단(130)의 센서(131)에 접촉되지 않을 시에는 브레이크밴드(114c)가 브레이크드럼(114a)에 접촉된 상태에서 탈수가 진행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마이콤이 전달된 신호를 분석하여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구성은 그 요지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그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동력전달장치에 감지수단(130)을 설치하고자 하면, 도 2의 확대도면과 같이 하부케이스(112)의 설치공에 센서(131)가 삽입설치되며, 상기 센서(131)의 외측으로는 이를 보호하기 위한 브라켓(132)이 나사(133)로서 고정된다.
이처럼 구성된 동력절환장치는 세탁시 모터의 정역 회전으로 풀리(116)가 고속회전 되면 내부축(113)이 함께 정역 회전된다. 이때 감속부재(115)를 통하여 세탁축(113a)이 감속된 상태로 펄세이터(120)를 정역회전시켜 소정의 궤적을 그리는 회전수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탈수시 모터의 구동으로 풀리(116)가 고속회전 되면 클러치에 의해 내,외부축(113)(114)이 함께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세탁,탈수축(113a)(114b)이 함께 고속회전 된다. 이 과정에서 세탁조(121)가 고속회전하게 되면 빨래감이 원심력에 의해 탈수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밴드(114c)가 브레이크드럼(114a)으로부터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브레이크밴드(114c)의 외측면이 감지수단(130)의 센서(131)에 접촉되는데, 만약 브레이크밴드(114c)의 외측면이 감지수단(130)의 센서(131)에 접촉되지 않을 시에는 브레이크밴드(114c)가 브레이크드럼(114a)에 접촉된 상태에서 탈수가 진행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마이콤이 감지수단(130)으로 부터 전달된 신호를 분석하여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본 고안은 브레이크밴드(114c)와 근접되는 하부케이스(112)의 적소에 브레이크밴드(114c)와 대응되는 감지수단(130)을 설치하여 브레이크드럼(114a)과 브레이크밴드(114c)의 이격거리를 마이콤으로 감지하므로서, 브레이크밴드(114c)의 동작불량을 미리 감지하여 이로 인한 소음 및 파손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하부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단에는 모터와 밸트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풀리가 구비되며, 상기 풀리가 내부축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내부축의 외주연에 중공상의 외부축이 구비되며, 상기 외부축에 감속부재를 감싸는 브레이크드럼과 직접 연결되고, 브레이크드럼의 외측에는 소정의 간극이 유지되게 브레이크밴드가 설치된 동력절환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브레이크밴드(114c)와 근접되는 하부케이스(112)의 적소에 브레이크밴드(114c)와의 이격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131)를 구비한 감지수단(1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
KR2019970024534U 1997-08-30 1997-08-30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 KR199900111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534U KR19990011190U (ko) 1997-08-30 1997-08-30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534U KR19990011190U (ko) 1997-08-30 1997-08-30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190U true KR19990011190U (ko) 1999-03-25

Family

ID=6968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534U KR19990011190U (ko) 1997-08-30 1997-08-30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19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8655B1 (ko) 탈수 겸용 세탁기
KR100226412B1 (ko) 스위치드릴럭턴스모터용 회전자의 위치검출장치
KR19990011190U (ko)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
TWI448599B (zh) 滾筒式洗衣機(一)
KR20010096995A (ko) 드럼세탁기의 구동부
KR100651970B1 (ko)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
EP1942220B1 (en) Sensor device for determining the angular position of a wash drum of a washing machine
KR100294334B1 (ko) 세탁기
KR20040000865A (ko)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KR200148556Y1 (ko) 세탁물의 분리세탁이 가능한 세탁기
KR100254613B1 (ko) 세탁기용 모터의 홀센서 어셈블리
KR19980062070U (ko)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KR19980058973U (ko) 세탁기의 동력절환부재 보호구조
KR100271366B1 (ko) 세탁기용 브레이크장치
KR200161148Y1 (ko)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 고정구조
KR200174803Y1 (ko) 세탁기 클러치의 와셔 스핀 이탈 방지구조
KR930005470Y1 (ko) 볼베어링 일체 로울러클러치를 구비한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장치
KR100213001B1 (ko) 세탁기의 동력 전달장치
JPH0632074Y2 (ja) 洗濯機
KR100987442B1 (ko) 드럼세탁기 로터리 놉 어셈블리의 램프 서포터 구조
KR100295965B1 (ko) 분리세탁이가능한세탁기
KR960001304A (ko)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 장치
KR970002141Y1 (ko) 전자동세탁기의 배수가이드구조
KR200182183Y1 (ko)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동작 장치
KR970059361A (ko)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