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2070U -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2070U
KR19980062070U KR2019970006371U KR19970006371U KR19980062070U KR 19980062070 U KR19980062070 U KR 19980062070U KR 2019970006371 U KR2019970006371 U KR 2019970006371U KR 19970006371 U KR19970006371 U KR 19970006371U KR 19980062070 U KR19980062070 U KR 199800620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safety switch
reservoir
sp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장윤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06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2070U/ko
Publication of KR199800620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070U/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의 안전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탁기의 저수조에 설치되어 세탁조의 편심회전을 감지한 후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세탁기의 안전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저수조 상단에 본체 상판과 대응하여 이의 편심 및 진동을 감지, 차단할 수 있는 안전스위치를 설치하므로서, 탈수행정에서의 저수조 편심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로 인한 저수조의 진동소음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안전스위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저수조 상단에 고정되는 하우징을 형성한 다음, 상기 하우징에 수직으로 안내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안내공 내측에 내장스프링과 외장스프링을 대응되게 설치하고, 상기 내장스프링과 외장스프링 사이에 마이콤과 연결된 센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본 고안은 세탁기의 안전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탁기의 저수조 일측에 설치되어 저수조의 편심회전을 감지한 후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세탁기의 안전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기히설정된 세탁행정 예컨데, 세탁수가 급수되는 급수행정과, 상기 급수행정을 거쳐 급수되어진 세탁수를 통하여 세탁물을 세탁하게 되는 세탁행정과, 상기 세탁행정을 거쳐 세정된 세탁물을 헹구는 헹굼행정과, 상기 헹굼행정을 거쳐 깨끗하게 세탁된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행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일련의 세탁행정을 갖는 통상의 세탁기 구성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함체 형상의 캐비넷(10)과; 상기 캐비넷(10) 내부에 설치되는 저수조(20)와; 상기 저수조(20)내에 세탁물이 담겨지는 소정형상의 세탁조(30)와; 상기 캐비넷(10) 하부에 정역가능한 구동모터(41)와 풀리(43)를 이용한 밸트(미도시)로서 연결되어 세탁조(30)내의 펄세이터(42)를 회전시켜 주는 구동수단(40);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20)의 상부 일측에는 안전스위치(31)가 설치되어져 있는데, 이것은 세탁조(30)가 편심회전 즉, 세탁조(30) 속의 세탁물이 한켠으로 쏠렸거나, 세탁기(1) 자체가 기울진 상태로 회전을 하여 저수조(20)가 심하게 요동칠 때 세탁기(1)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역활을 하게되며, 이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하방으로 저수조(20)와 접촉되는 조작레버(31b)가 연장형성되고, 상방으로는 캐비넷(10) 상단의 고정물(미도시)과 체결되는 브라켓(31c)이 형성된 케이스(31a)내에 조작레버(31b)의 좌.우 작동에 따라 상호 접점, 또는 단절되는 제1전극편(31d)과 제2전극편(31e)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전극편(31d)은 케이스(31a) 정면의 안내공(31f)에 유도되는 작동편(31g)과 연결되고, 제2전극편(31e)은 전장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조작레버(31b)가 탈수시 편심되는 저수조(20)에 의해 밀리게 되면, 케이스(31a)내의 제1전극편(31d)을 상승시켜 그 상부의 제2전극편(31e)과 접촉되게 하므로서, 세탁기(1)의 전원을 차단시켜 세탁조(30)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안전스위치(31)는 편심되는 저수조(20)에 조작레버(31b)가 충격을 받아 외측으로 변형되므로서, 상기 안전스위치(31)가 제기능을 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상기 세탁조(30)의 탈수시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저수조(20)의 진동소음에 대처하지 못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상기 세탁조 상단에 본체 상판과 대응하여 이의 편심 및 진동을 감지, 차단할 수 있는 안전스위치를 설치하므로서, 탈수행정에서의 세탁조 편심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로 인한 세탁조의 진동소음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안전스위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 안전스위치가 설치된 세탁기의 요부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스위치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스위치가 설치된 세탁기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세탁조 150:안전스위치
151:하우징 152:안내공
153:내장스프링 155:외장스프링
157:센서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저수조 상단에 고정되는 하우징을 형성한 다음, 상기 하우징에 수직으로 안내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안내공 내측에 내장스프링과 외장스프링을 대응되게 설치하고, 상기 내장스프링과 외장스프링 사이에 마이콤과 연결된 센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스위치의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스위치가 설치된 세탁기의 요부 단면도이다.
사각함체 형상의 캐비넷(110)과; 상기 캐비넷(110) 내부에 설치되는 저수조(120)와; 상기 저수조(120)내에 세탁물이 담겨지는 소정형상의 세탁조(130)와; 상기 캐비넷(110) 하부에 정역가능한 구동모터(141)와 풀리(143)를 이용한 밸트(미도시)로서 연결되어 세탁조(130)내의 펄세이터(142)를 회전시켜 주는 구동수단(140); 등으로 구성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20)의 편심을 감지하여 세탁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안전스위치(150)를 형성,설치하되, 먼저 상기 저수조(120) 상단의 여러 개소에 설치되는 하우징(151)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하우징(151) 상부에서 하부로 안내공(152)을 수직되게 형성하고, 상기 안내공(152) 내측에 소정길이의 내장스프링(153)을 설치한 다음, 상기 내장스프링(153) 상단에 원판상의 고정편(154)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내장스프링(153) 상에 외장스프링(155)을 설치하는데, 상기 외장스프링(155) 하단에는 원판상의 압축편(156)을 설치하고, 상기 외장스프링(155) 상단은 본체(110)의 상판(111) 저면과 소정의 간극을 유지시킨다.
한편, 상기 내장스프링(153)의 고정편(154)과 외장스프링(155)의 압축편(156) 사이에 마이콤과 연결된 센서수단(157)을 설치한다.
즉, 상기 저수조(120)가 편심되어 그 일부가 상승하게 되면, 그 부분의 외장스프링(155)이 상판(111)과 접촉되어 센서수단(157)을 소정의 압력으로 누르게 되는데, 상기 센서수단(157)이 반복해서 압력을 받을 경우에는 마이콤에서 신호를 분석하여 세탁기의 전원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구성요지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그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저수조(120)의 상단 여러개소에 안전스위치(150)를 고정시켜 이의 외장스프링(155)이 상판(111)과 소정의 간극이 유지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안전스위치(1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세탁기가 탈수행정이 개시되면, 상기 세탁조(130)가 임의의 한방향으로 고속회전하게 되며, 이때 세탁기의 설치가 불량이거나 세탁조(130)내의 세탁물이 한켠으로 쏠려 있을 경우에는 저수조(120)가 편심되면서 안전스위치(50)의 외장스프링(155)이 상판(111)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외장스프링(155)이 상판(111)과 접촉하게 되면, 외장스프링(155)이 하우징(151) 내의 센서수단(157)을 소정의 압력으로 누르게 되며, 상기 센서수단(157)이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해서 압력을 받을 경우에는 마이콤에서 신호를 받아 세탁기의 전원을 차단하므로서 세탁기를 보호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저수조(120) 상단에 본체(110)의 상판(111)과 대응하여 이의 편심 및 진동을 감지, 차단할 수 있는 안전스위치(150)를 설치하므로서, 탈수행정에서의 저수조(120) 편심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로 인한 저수조(120)의 진동소음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사각함체 형상의 캐비넷(110)과; 상기 캐비넷(110) 내부에 설치되는 저수조(120)와; 상기 저수조(120)내에 세탁물이 담겨지는 소정형상의 세탁조(130)와; 상기 캐비넷(110) 하부에 정역가능한 구동모터(141)와 풀리(143)를 이용한 밸트(미도시)로서 연결되어 세탁조(130)내의 펄세이터(142)를 회전시켜 주는 구동수단(140); 등으로 구성된 세탁기에 안전스위치(150)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20) 상단에 고정되는 하우징(151)을 형성한 다음, 상기 하우징(151)에 수직으로 안내공(152)을 형성한 다음, 상기 안내공(152) 내측에 내장스프링(153)과 외장스프링(155)을 대응되게 설치하고, 상기 내장스프링(153)과 외장스프링(155) 사이에 마이콤과 연결된 센서수단(157)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KR2019970006371U 1997-03-31 1997-03-31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KR199800620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371U KR19980062070U (ko) 1997-03-31 1997-03-31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371U KR19980062070U (ko) 1997-03-31 1997-03-31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070U true KR19980062070U (ko) 1998-11-16

Family

ID=6968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371U KR19980062070U (ko) 1997-03-31 1997-03-31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207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775B1 (ko) * 2005-06-17 2009-02-09 이엠젯-하나우어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아아 가전 제품의 회전 부재 불균형 감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775B1 (ko) * 2005-06-17 2009-02-09 이엠젯-하나우어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아아 가전 제품의 회전 부재 불균형 감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0924A (ko) 드럼 세탁기 및 그 세탁방법
KR19980062070U (ko)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KR100487401B1 (ko) 세탁기의 언밸런스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200154294Y1 (ko)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KR100479074B1 (ko) 세탁기
KR0137745B1 (ko) 세탁기 도어용 안전스위치
KR100237702B1 (ko) 드럼세탁기
KR200199509Y1 (ko) 세탁기용 안전 스위치
KR100465698B1 (ko) 세탁기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200171890Y1 (ko) 세탁기용안전스위치
KR200202086Y1 (ko) 세탁기의안전스위치장치
JP2002078998A (ja) 洗濯機の脱水制御方法
KR19980054832U (ko) 세탁기용 안전스위치
KR101203556B1 (ko) 세탁기의 홀 센서용 전선 장착구조
KR19990020485U (ko) 세탁기용 도어 열림감지 장치
KR100652480B1 (ko) 드럼 세탁기의 세탁수 회전방지장치
KR200208977Y1 (ko)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KR100233450B1 (ko) 세탁기
KR20030012412A (ko) 세탁기의 커플링 위치감지 장치
KR19980031815U (ko) 세탁기의 안전스위치구조
KR19990011190U (ko)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
KR20000013799U (ko) 드럼세탁기의 진동감지장치
KR20040022094A (ko) 세탁기
KR19990084875A (ko) 세탁기 및 그의 탈수시 이상동작 감지방법
JP2016158734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