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045U - 공기조화기의 배수호스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배수호스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045U
KR19990011045U KR2019970024383U KR19970024383U KR19990011045U KR 19990011045 U KR19990011045 U KR 19990011045U KR 2019970024383 U KR2019970024383 U KR 2019970024383U KR 19970024383 U KR19970024383 U KR 19970024383U KR 19990011045 U KR19990011045 U KR 199900110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 hose
product
air conditioner
drip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봉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4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1045U/ko
Publication of KR199900110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045U/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호스를 설치자재로 독립시켜 제품설계 공간을 확보함과 더불어 설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배수호스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실내기의 증발기(13)에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된 물을 집수할 수 있도록 증발기(13) 하단에 장착됨과 아울러 일측부에 함몰부(18)가 형성된 물받이(15)와, 상기 함몰부(18)에 배수통로로 형성된 배수구(19)와, 상기 배수구(19)에 연결되어 물받이(15)에 집수된 물을 제품의 외부로 배수하도록 된 배수호스(17)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호스(17)를 제품출하시 별도의 설치자재로 공급하여 제품설치시의 제품의 외부에서 연결부재(23)를 통해 상기 물받이(15)의 배수구(19)에 연결 조립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배수호스 연결구조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배수호스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수호스를 설치자재로 독립시켜 제품설계 공간을 확보함과 더불어 설치 작업이 용이하도록한 공기조화기의 배수호스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 즉, 에어컨(Air-Conditioner)은 가정 또는 산업체의 생산 현장에서 공기조화 즉, 온도 및 습도 조절 등에 사용되는 바, 상기한 공기조화기는 냉방과 방열기능을 일체화하여 창문 등에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와, 실내측과 실외측에 냉각장치와 방열 및 압축장치로 각각 분리시켜 설치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로 대별될 수 있다.
상기한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 점유면적 감소와 소음 감소를 위해 개발된 것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냉방을 위한 증발기와 블로워팬을 포함한 실내기와, 방열 및 압축을 위한 응축기와 압축기를 포함한 실외기로 구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실내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흡입그릴부재(10)과 설치된 전면판넬(12)과, 상기 전면판넬(12)의 후면에 결합된 배면판넬(11)에 의해 외관이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전면판넬(12)의 내측에는 상기 흡입그릴부재(10)의 흡입구(도시안됨)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풍으로 열교환하는 증발기(13)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증발기(13)의 하측에는 상기 증발기(13)에서 실내공기가 열교환하면서 상기 실외공기와의 온도차이로 인해 발생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물받이(15)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물받이(15)의 하측에는 상기 증발기(13)에 의해 열교환 된 공기를 좌우로 조절하여 토출시키는 수직블레이드(16)가 좌우로 회동가능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면판넬(11)의 내측에는 상기 흡입그릴부재(10)를 통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토출되도록 하는 블로워팬(21)이 회전가능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블로워팬(21)의 일측에는 상기 블로워팬(21)을 회전시키는 모터(도시안됨)을 고정함과 동시에 보호하는 모터박스(31)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 일측에는 제품의 동작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여러 회로들로 구성된 PCB와 전류공급을 위한 트랜스 등의 전기기기로 이루어진 전장부(14)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물받이(15)에는 응축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호스(17)가 연결되는 바, 상기 물받이(17)의 일측부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18)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함몰부(18)에는 상기한 증발기(13)에서 생성된 물이 상기 배수호스(17)를 따라 흐르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호스(17)를 연결하도록 하방으로 수직되게 배수구(1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구(19)가 형성된 물받이(15)의 함몰부(18)에는 증발기(13)에서 흘러내린 차가운 응축수로 인해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재(2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먼저,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공조조건을 선택하면, 모터의 구동에 따라 블로워팬(15)이 회전하고, 상기 블로워팬(15)이 회전됨에 따라 실내공기가 흡입그릴부재(10)내에 형성된 다수의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고, 증발기(13)를 통하여 냉풍으로 열교환된 후, 수직블레이드(16)에 의해 풍향이 조절되어 좌우방향으로 토출되면서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3)의 표면에서는 상기 흡입그릴부재(10)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되면서, 상기 실내공기와의 온도차에 의해 응축수가 생성되고, 상기 응축수는 상기 증발기(13)의 하측에 장착된 물받이(15)에 집수되어 배수구(19)에 연결된 배수호스(1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종래에는 상기한 배수호스(17)가 제품출하시 물받이(15)에 연결된 상태로 포장되어 출하됨으로써, 상기 배수호스(17)로 인해 제품에 연결되는 다른 여러 배관의 공간화보가 어려웠고, 상기 배수호스(17)가 제품에 부착되어 출하됨으로 인해 제품의 중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배수호스(17)가 제품에 연결된 상태로 출하됨으로써, 제품설치시에 배수호스(17)가 구부러져 응축수를 배수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고, 특히 배수호스(17)연결시 제품내의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 배수호스(17) 연결부위를 설계함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물받이(15)에 배수호스(17)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인 함몰부(18)가 형성되어 여기에 배수구(19)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함몰부(18)에 이슬맺힘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되는 단열재(20) 부착 작업이 공간의 협소로 매우 어렵게 되어 제품의 조립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제품설계시 공간확보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구 주변에 단열재부착이 용이하도록 되고, 배수호스가 용이하게 연결되면서도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배수호스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실내기의 증발기에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된 물을 집수할 수 있도록 증발기 하단에 장착됨과 아울러 일측부에 함몰부가 형성된 물받이와, 상기 함몰부에 배수통로로 형성된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에 연결되어 물받이에 집수된 물을 제품의 외부로 배수하도록 된 배수호스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호스를 제품출하시 별도의 설치자재로 공급하여 제품설치시 제품의 외부에서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물받이의 배수구에 연결조립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물받이에 배수호스가 연결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물받이에 배수호스가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증발기15 : 물받이
17 : 배수호스18 : 함몰부
19 : 배수구20 : 단열재
22 : 평면부23 : 연결부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 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물받이에 배수호스가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후술하는 종래의 도 1 및 도 2에서 인용 설명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내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변환시키는 증발기(1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증발기(13)의 하단에는 증발기(13)에서 실내공기와 차가운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를 받아 집수하는 물받이(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물받이(15)의 일측부에 상기 증발기(13)에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호스(17)가 연결되는 배수구(19)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물받이(15)의 배수구(19)가 형성되는 부위는 매끈한 평면부(22)로 이루어져, 이 평면부(22)에서 배수구(19)가 외측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평면부(22)에 상기 증발기(13)에서 흘러내린 차가운 응축수로 인해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재(2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19)에서 연결되는 배수호스(17)는 제품출하시에 별도의 설치자재로 공급되어 사용자가 제품을 설치할 때, 제품의 외부에서 연결부재(23)를 통해 상기 물받이(15)의 배수구(19)에 연결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배수구(19)에 배수호스(17)를 외부에서 끼워 연결할 때 용이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배수호스(17)가 구부러져 접히지 않도록 ㄱ자형 엘보우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배수호스 연결구조의 작용 및 효과를 다음에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수호스(17)가 제품출하시에 제품에 조립되어 출하되지 않고, 별도의 설치자재로 독립되어 출하되게 되면, 제품 사용자가 제품을 설치할 때 배수호스(17)를 재품에 조립하게 되는 바, 먼저, 배수호스(17)에 연결부재(23)인 ㄱ자형 엘보우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3)를 제품 외부에서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물받이(15)에서 외측으로 길게 돌출형성된 배수구(19)에 상기 연결부재(23)를 끼우면 간단하게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호스(17) 조립이 끝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13)에서 실내공기가 차가운 공기로 변환될 때 그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는 상기 증발기(13)의 하단에 설치된 물받이(15)로 모이게 되고, 이 모인 응축수는 물받이(15)의 배수구(19)에 연결된 배수호스(1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물받이(15)에 형성되는 배수구(19)가 물받이(15)의 일측부 전면에서 외측에 길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배수호스(17)가 연결부재(23)인 ㄱ자형 엘보우를 통해 끼워져 연결되게 됨으로써, 상기 배수호스(17)의 연결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배수호스(17)가 꺽이지 않아 잔류하는 응축수 하나없이 수월하게 배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품출하시 제품자체에 배수호스(17)를 부착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 중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설계시 공간여유를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물받이(15)의 배수구(19) 형성 부위가 종래 함몰부(18)에서 평명부(20)로 형성됨으로써, 물받이(15)의 응축수를 모을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짐과 아울러 배수구(19) 주변에 단열재(20)를 부착하기가 용이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물받이에 형성되는 배수구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함과 아울러 배수호스를 별도의 독립된 설치자재로 공급하여 제품설치시에 연결부재를 통해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설계시 공간확보를 통해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배수구 주변에 단열재 부착이 용이하게 되고, 제품출하시 제품 중량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제품설치시에 배수호스가 연결부재에 의해 용이하게 연결되면서도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응축수의 원활한 배출을 이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실내기의 증발기에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된 물을 집수할 수 있도록 증발기 하단에 장착됨과 아울러 일측부에 함몰부가 형성된 물받이와, 상기 함몰부에 배수통로로 형성된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에 연결되어 물받이에 집수된 물을 제품의 외부로 배수하도록 된 배수호스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호스를 제품출하시 별도의 설치자재로 공급하여 제품설치시에 제품의 외부에서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물받이의 배수구에 연결 조립되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공기조화기의 배수호스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호스가 외부에서 끼워질 때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물받이의 함몰부가 평면부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평면부에서 배수구가 외측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배수호스 연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배수구와 배수호스 연결시 용이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배수호스가 구부러져 접히지 않도록 ㄱ자형 엘보우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배수호스 연결구조.
KR2019970024383U 1997-08-30 1997-08-30 공기조화기의 배수호스 연결구조 KR199900110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383U KR19990011045U (ko) 1997-08-30 1997-08-30 공기조화기의 배수호스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383U KR19990011045U (ko) 1997-08-30 1997-08-30 공기조화기의 배수호스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045U true KR19990011045U (ko) 1999-03-25

Family

ID=69689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383U KR19990011045U (ko) 1997-08-30 1997-08-30 공기조화기의 배수호스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04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6948A (zh) * 2018-10-26 2019-02-26 江苏海瑞通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节能风管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6948A (zh) * 2018-10-26 2019-02-26 江苏海瑞通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节能风管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488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O2007088962A1 (ja) 空気調和装置
KR19990011045U (ko) 공기조화기의 배수호스 연결구조
WO2008077206A2 (en) Air conditioner wiring seal
KR20150120218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1993017283A1 (fr) Climatiseur monobloc
KR100389426B1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안내구조
KR20050064963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배관 지지구조
KR100579558B1 (ko) 서비스밸브유닛이 장착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3067197B2 (ja) 空気調和機の凝縮水処理装置
KR100345085B1 (ko) 에어콘의 흡입구 프론트 패널
KR200312147Y1 (ko) 룸 에어컨의 구조
CA1230982A (en) Split system air conditioner
EP3059507B1 (en) Outdoor unit
KR100596258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74403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KR200312170Y1 (ko)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 구조
KR100347046B1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안내구조
KR20050057906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01000159B (zh) 空调器的连接管安装结构
KR200379794Y1 (ko) 실내기용 컨트롤박스의 결합구조
JPH04124528A (ja) 空気調和機
KR200161130Y1 (ko) 공기조화기의 전선고정장치
KR2002002551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체결구조
KR20060081732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