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0981U - Car heater - Google Patents
Car he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10981U KR19990010981U KR2019970024316U KR19970024316U KR19990010981U KR 19990010981 U KR19990010981 U KR 19990010981U KR 2019970024316 U KR2019970024316 U KR 2019970024316U KR 19970024316 U KR19970024316 U KR 19970024316U KR 19990010981 U KR19990010981 U KR 1999001098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er
- engine coolant
- vehicle
- engine
- driving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시동 초기에 운전자가 히터를 켜면 엔진 출구의 고온의 냉각수로 히터를 워엄 업 시켜 조기에 공조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운행 조건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히터에 관한 것으로, 차량 운행중의 각종 운행정보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운행정보 검출수단과, 상기 운행정보 검출수단의 신호를 분석하여 히터 측으로 공급되는 엔진 냉각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엔진 본체 측에서 히터로 유입되는 엔진 냉각수를 강제 압입하는 엔진 냉각수 압입수단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시동 초기에 운전자가 히터를 켜면 엔진 출구의 고온의 냉각수를 히터 측으로 강제 압입하여 빠른 시간 내에 히터의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기에 쾌적한 공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운전자에게 운행의 편의성을 제공한다.When the driver turns on the heater at the beginning of the vehicle start, the heater is warmed up by the high temperature coolant at the engine outlet and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s established early to create a comfortable driving condition. Driving informa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information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signal, controll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engine coolant supplied to a heater by analyzing the signal of the driving information detecting means, and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means. The engine coolant pressurizing means pressurizes the engine coolant flowing into the heater from the engine main body side. When the driver turns on the heater at the initial stage of the vehicle start, the high temperature coolant at the engine outlet is forced into the heater side. Pleasant air conditioning early by allowing heat exchange The system can be constructed to provide the driver with convenience of operation.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의 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동 초기에 운전자가 히터를 켜면 엔진 출구의 고온의 냉각수로 히터를 워엄 업(WARM-UP)시켜 조기에 공조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운행 조건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히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er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driver turns on the heater at the beginning of the vehicle, the heater is warmed up by using a high temperature coolant at the engine outl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heater capable of creating driving conditions.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히터는 차실 내의 공기를 따뜻하게 하며, 앞면의 유리가 습기로 인하여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도 겸하게 되어 있다.In general, a heater used in an automobile warms the air in the cabin and also serves as a device for preventing the front glass from becoming cloudy due to moisture.
이러한 히터의 종류는 기관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것과, 기관 이외의 열원을 사용하는 것이 있으며, 그 열원에 따라 온수식, 연소식 및 기타 방식으로 나눈다.These types of heaters use heat generated by the engine and heat sources other than the engine, and are divided into hot water, combustion, and other methods according to the heat source.
이중 온수식 히터는 가장 널리 쓰이는 형식이며, 기관의 냉각수를 히터의 열 교환기로 보내, 여기서 공기를 데운 다음 이 더운 공기를 송풍기로 차실과 디프로스터로 불어내는 방식으로 첨부된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ual hot water heater is the most widely used type, sending the engine's cooling water to the heater's heat exchanger, where it is warmed up and then blown this hot air through the blower into the compartment and the defros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The explanation is as follows.
차량의 운행중 과열된 엔진 본체(1) 내부의 엔진 냉각수는 워터 펌프(2)의 펌핑 작용에 의하여 라디에이터(4)로 순환되어 라디에이터 팬 작동에 따라 흡입된 공기에 의해 냉각되며 또한, 히터(3)로 순환되어 열 교환을 통해 차량의 난방이 되게 한다.The engine coolant inside the engine body 1 that is overheat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is circulated to the radiator 4 by the pumping action of the water pump 2 and is cooled by the air sucked in accordance with the radiator fan operation. To heat the vehicle through heat exchange.
상기에서 히터(3)는 엔진 본체(1)의 물 재킷으로부터 들어온 온수가 히터 속의 직경이 작은 파이프를 통과하게끔 만들어져 있고, 각 파이프 사이에는 방열핀을 부착하여 방열 효과를 높인 것으로, 고온의 엔진 냉각수가 히터(3)를 통과할 때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The heater 3 is made so that hot water from the water jacket of the engine main body 1 passes through a pipe having a small diameter in the heater, and a heat dissipation fin is attached between the pipes to increase the heat dissipation effect. Heat exchange is effected when passing through the heater 3.
이때 운전자가 차량의 히터 스위치를 켜면 블로워 모터의 동작에 따라 유입된 공기가 히터를 통과하면서 열 교환을 통해 고온의 공기로 되어 차량 내부를 난방 하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when the driver turns on the heater switch of the vehicle, the air introduc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lower motor passes through the heater to become hot air through heat exchange to heat the inside of the vehicle.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히터로 가는 고온의 엔진 냉각수 파이프가 직경이 작은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어 차량의 시동시에는 많은 양의 엔진 냉각수가 히터 측으로 가지 못하고 라디에이터 및 워터 펌프 측으로 역류하게 되어 원활한 열 교환이 이루어지지 못하며 차량의 시동후 충분한 시간이 지나야만 히터의 열 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차량 시동 초기에는 운전자가 히터 스위치를 켜도 차량의 난방이 되지 않아 쾌적한 운행 조건을 조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igh temperature engine coolant pipe to the heater is formed of a small diameter pipe, a large amount of engine coolant does not go to the heater side at the start of the vehicle and flows back to the radiator and the water pump side so that the heat is smooth. It is not possible to exchange and the heat exchange of the heater is performed smoothly only after sufficient time after the vehicle is started.In the early stage of the vehicle starting, even if the driver turns on the heater, the vehicle is not heated so that it is not possible to create a comfortable driving condition. there was.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의 시동 초기에 운전자가 히터를 켜면 엔진 출구의 고온의 냉각수로 히터를 워엄 업(WARM-UP)시켜 조기에 공조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운행 조건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its purpose is to establish an air conditioning system early by warming up the heater with high temperature coolant at the engine outlet when the driver turns on the heater at the beginning of the vehicle start-up.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create comfortable driving conditio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량 운행중의 각종 운행정보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운행정보 검출수단과;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ving informa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variety of driving information while driving the vehicle and outputs a predetermined signal accordingly;
상기 운행정보 검출수단의 신호를 분석하여 히터 측으로 공급되는 엔진 냉각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engine coolant supplied to the heater by analyzing the signal of the driving information detecting means;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엔진 본체 측에서 히터로 유입되는 엔진 냉각수를 강제 압입하는 엔진 냉각수 압입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he engine coolant pressurizing means for operat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means for forcibly pressurizing the engine coolant flowing into the heater from the engine main body side.
도 1 은 본 고안인 자동차 히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utomobile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도 1 에 나타난 제어부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동작 순서도이고,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controller shown in FIG. 1.
도 3 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히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eater of a general vehicl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엔진 본체 2 : 워터 펌프1: engine body 2: water pump
3 : 히터 4 : 라디에이터3: heater 4: radiator
10 : 운행정보 검출부 20 : 제어부10: operation information detection unit 20: control unit
30 : 압입 펌프30: indentation pump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자동차 히터의 일 실시예는 운행정보 검출부(10)와, 제어부(20), 압입 펌프(30)로 이루어진다.As can be seen in Figure 1 one embodiment of the automobile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driv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10, the control unit 20, the indentation pump (30).
운행정보 검출부(10)는 운전자의 차량 시동을 위한 스위칭 접점 선택에 따라 온, 오프 되어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이그니션 스위치(11)와, 차량 운행중 히터(3)를 켜기 위한 운전자의 스위칭 접점 선택에 따라 온, 오프 되어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히터 스위치(12)와, 차량 운행중 엔진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수온 센서(13)와, 차량 운행중 차실내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차실내 온도 검출부(14)로 이루어지며, 차량 운행중의 각종 운행정보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한다.The driv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10 is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driver's selection of a switching contact for starting the vehicle, and outputs a predetermined signal according to the driver's switching contact, and the driver's switching contact for turning on the heater 3 while driving the vehicle. A heater switch 12 that is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a selection and outputs a predetermined signal, a water temperature sensor 13 that detects an engine coolant temperatur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d outputs a predetermined signal accordingly, and The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detector 14 detects a temperature and outputs a predetermined signal, and detects various driving information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d outputs a predetermined signal accordingly.
제어부(20)는 상기 운행정보 검출부(10)의 신호를 분석하여 히터(3)측으로 공급되는 엔진 냉각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e controller 20 analyzes the signal of the driving information detector 10 and outpu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engine coolant supplied to the heater 3.
압입 펌프(30)는 엔진 본체(1)와 히터(3) 사이의 엔진 냉각수 파이프에 설치되며, 내부에 체크 밸브가 설치되어 엔진 냉각수의 흐름이 엔진 본체(1)측에서 히터(3)측으로만 흐르도록 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엔진 본체(1)측에서 히터(3)로 유입되는 엔진 냉각수를 강제 압입한다.The press-fit pump 30 is installed in the engine coolant pipe between the engine body 1 and the heater 3, and a check valve is installed therein so that the flow of the engine coolant flows only from the engine body 1 side to the heater 3 side. It is made to flow, and it operates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said control part 20, and forcibly injects the engine coolant which flows into the heater 3 from the engine main body 1 sid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자동차 히터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그 동작과정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operation proces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car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기 위하여 시동 스위치(11)를 온 하면(S10)(S20) 워터 펌프(2)의 펌핑력에 의해 엔진 본체(1)의 엔진 냉각수는 라디에이터(4) 및 히터(3)로 순환된다.When the driver turns on the start switch 11 to drive the vehicle (S10) (S20), the engine coolant of the engine main body 1 is transferred to the radiator 4 and the heater 3 by the pumping force of the water pump 2. Circulated.
이때 제어부(20)는 시동후 초기에 히터를 켜기 위한 운전자의 히터 스위치(12) 접점 선택이 있는지를 검출한다(S30).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0 detects whether there is a selection of a contact of the heater switch 12 of the driver to turn on the heater initially after startup (S30).
상기 단계(S30)에서 히터 스위치(12)가 온 되면 블로워 모터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히터(3)의 방열핀을 지나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져 차량의 난방이 이루어진다.When the heater switch 12 is turned on in the step S30, the air sucked through the blower motor passes through the heat radiating fins of the heater 3 to exchange heat, thereby heating the vehicle.
이때 제어부(20)는 수온 센서(13)와 차실내 온도 검출부(14)의 신호를 분석하여 엔진 냉각수 온도와 차실내 온도를 검출하여(S40) 검출된 엔진 냉각수 온도가 설정되어 있는 수온 기준값보다 큰지를 비교 판단한다(S50).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0 analyzes the signals of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13 and the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detector 14 to detect the engine coolant temperature and the vehicle temperature (S40), and whether the detected engine coolant temperature is greater than the set water temperature reference value. Compare and determine (S50).
상기에서 수온 기준값은 시동 초기 엔진 냉각수 온도가 어느 정도 상승될 때까지는 히터(3)측으로 엔진 냉각수를 강제 압입하는 것을 금지하여 엔진이 안정된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해 설정한 값이다.In the above, the water temperature reference value is a value set so that the engine is stably operated by prohibiting the forced injection of the engine coolant to the heater 3 side until the initial engine coolant temperature rises to a certain degree.
상기 단계(S50)에서 검출된 엔진 냉각수 온도가 설정된 수온 기준값보다 크면 제어부(20)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압입 모터(30)를 구동시킨다(S60).If the engine coolant temperature detected in step S50 is greater than the set water temperature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20 outpu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drive the indentation motor 30 (S60).
그러면 엔진 본체(1)내의 엔진 냉각수가 히터(3)측으로 강제 압입되어 많은 량의 냉각수가 히터 코어를 지나게 되어 빠른 시간에 히터(3)가 가열된다.Then, the engine coolant in the engine main body 1 is forcibly pressed into the heater 3 side, and a large amount of coolant passes through the heater core, and the heater 3 is heated in a short time.
이때 엔진 냉각수의 흐름은 엔진 본체(1)측에서 히터(3)측으로만 흐른다.At this time, the flow of the engine coolant flows only from the engine main body 1 side to the heater 3 side.
이것은 압입 모터(30)의 내부에 체크 밸브가 설치되어 있어 엔진 냉각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a check valve is provided inside the press-fit motor 30 to prevent the engine coolant from flowing back.
상기에서 제어부(20)는 검출되는 차실내 온도와 설정된 실내 온도 기준값을 비교하여(S70) 차실내 온도가 기준값 이상이 될 때까지 압입 펌프(30)의 구동에 의해 엔진 냉각수를 히터(3)측으로 강제 압입하여 조기에 공조 시스템을 구축한다.The controller 20 compares the detected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with a set indoor temperature reference value (S70) and drives the engine coolant to the heater 3 by driving the press-fit pump 30 until the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become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Forced indentation to establish an early air conditioning system.
상기 단계(S70)에서 검출되는 차실내 온도가 설정된 실내 온도 기준값보다 커지면 제어부(20)는 소정의 제어 신호로 압입 펌프(3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S80) 엔진 냉각수가 히터(3) 측으로 강제 압입되는 것을 금지한다.When the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detected in the step S70 is greater than the set room temperatur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20 stops driving the indentation pump 30 with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S80) and the engine coolant is forced to the heater 3 side. Prohibit indentation.
그러면 엔진 냉각수는 종래와 같이 워터 펌프(2)의 펌핑력에 의해 자연 순환된다.The engine coolant is then naturally circulated by the pumping force of the water pump 2 as in the prior art.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시동 초기에 운전자가 히터를 켜면 엔진 출구의 고온의 냉각수를 히터 측으로 강제 압입하여 빠른 시간 내에 히터의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기에 쾌적한 공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운전자에게 운행의 편의성을 제공한다.In this way, when the driver turns on the heater at the beginning of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forcibly presses the high temperature coolant at the engine outlet to the heater side, so that the heat exchange of the heater can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Provides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24316U KR19990010981U (en) | 1997-08-30 | 1997-08-30 | Car he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24316U KR19990010981U (en) | 1997-08-30 | 1997-08-30 | Car hea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0981U true KR19990010981U (en) | 1999-03-25 |
Family
ID=6967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24316U KR19990010981U (en) | 1997-08-30 | 1997-08-30 | Car hea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10981U (en) |
-
1997
- 1997-08-30 KR KR2019970024316U patent/KR19990010981U/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231640A1 (en) | Waste heat utilizing system | |
JP3508058B2 (en) | Vehicle heating system | |
JP2000108645A (en) | Heating system for water-cooled engine vehicle | |
KR19990010981U (en) | Car heater | |
JP2010096042A (en) | Engine cooling device | |
JP2006341660A (en) | Vehicular heating device | |
KR19990020969U (en) | Rapid heating of automobile | |
KR100633132B1 (en) | Regenerative sub heater device including ptc element, regenerative system including sub heater device and there of control method | |
KR100314461B1 (en) | Heating system for automobile | |
JP2009184641A (en) | Heating device for vehicle | |
KR100405708B1 (en) | Heating system of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 same | |
JPS6167617A (en) | Car heating device | |
KR100382419B1 (en) | Heating system for vehicle | |
KR100391363B1 (en) | Heater core structure | |
KR970061569A (en) | How to quickly heat a car | |
KR100395017B1 (en) | Sub heating system | |
JP3061665B2 (en) | Combustion heating system for vehicles | |
JPH082240A (en) | Heating system for vehicle | |
KR19980027275U (en) | Automotive auxiliary heating | |
JPS58191620A (en) | Room heater for automobile | |
KR20040061109A (en) | Air-conditioner for car | |
KR19980077949A (en) | Automotive rapid heating device | |
JPH08156576A (en) | Heating system for automobile | |
KR20040103597A (en) | Subsidiary-heating system for car | |
KR970000655A (en) | Heater cut-off device when engine warms up c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