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0315U - 언로더의 와이어 텐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언로더의 와이어 텐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0315U
KR19990010315U KR2019970023674U KR19970023674U KR19990010315U KR 19990010315 U KR19990010315 U KR 19990010315U KR 2019970023674 U KR2019970023674 U KR 2019970023674U KR 19970023674 U KR19970023674 U KR 19970023674U KR 19990010315 U KR19990010315 U KR 199900103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unloader
weight
fixed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70023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0315U/ko
Publication of KR199900103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315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언로더의 와이어 텐션조절장치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철 및 항만 등에 설치되어 제철산업 원료의 하역 및 제품선적 등에 사용되는 언로더의 기계실와이어 드럼에서의 와이어의 처짐으로 인해 와이어가 탈선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한 언로더의 와이어 텐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언로더의 프레임에 각각의 베이스를 등간격으로 고정하고, 이 베이스에는 전방에 스토퍼가 형성된 다수의 쉬이브 이동레일을 설치하며, 상기 쉬이브 이동레일의 상부에 설치된 쉬이브와 쉬이브 고정바를 이동시키는 차륜을 차륜축과 차륜 고정커버 및 볼트로 결합 설치한것과, 상기 쉬이브를 당기는 웨이트를 보호하고, 유동방지 역할을 하는 웨이트 케이스를 텐션 와이어로 연결하되, 상기 텐션 와이어는 좌, 우 웨이트 회전축 베어링에 고정된 롤러축에 설치된 롤러와 연결 구성한것과, 상기 언로더의 프레임에 용접된 롤러축 고정용 지지 브라켓트의 하측에는 웨이트 지지 브라켓트을 설치하여 상기 웨이트 케이스의 측면에 연결하여 고정시킨것과, 상기 언로더의 프레임에 고정된 베이스의 상,하부 소정의 장소에는 와이어 부상방지용 롤러를 각각의 롤러 지지베어링으로 고정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언로더의 와이어 텐션 조절장치
본 고안은 언로더의 와이어 텐션조절장치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철 및 항만 등에 설치되어 제철산업 원료의 하역 및 제품선적 등에 사용되는 언로더의 기계실와이어 드럼에서의 와이어의 처짐으로 인해 와이어가 탈선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한 언로더의 와이어 텐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언로더란 기중기의 일종으로 비포장 선적품인 광석의 하역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통 컨베이어와 짝지어져 있으며, 항만등에는 인입형 기중기식(L.L.C TYPE)과 다리형 기중기식(BTC TYPE)을 쓰고 있다.
한편, 하역 및 선적작업중 여러요인에 의해 와이어의 처짐이 발생되면 다리형기중기식(B.T.C TYPE)언로더는 기계실 드럼과 바겟트사이에 거리가 먼 관계로 와이어를 연결해 주는 메인트롤리와 보스트롤리가있어 와이어의 처짐이 발생되도 중간의 레인 및 보조 트롤리가 당겨주고 받쳐주는 균형역활을 하므로 아무런 문제가 발생되지 않았다.
하지만, 인입형 기중기식(L.L.C TYPE)언로더는 바겟트(1)에서 루핑부를 거쳐 곧바로 기계실 와이어 드럼(10)에 감기는 방식이어서 작업과정중 와이어(2)가 바켓트(1)의 하중을 받지 않으면 와이어(2)가 루핑부 뒷부분에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그러므로 이힘이 기계실드럼(10)까지 전달되며 루핑부 및 드럼(10)에 와이어(2)를 잡아 줄수 있는 장치가 없어 도 2에 도시된바와같이 와이어(2)가 드럼(10)의 하부에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이로인해 도 3에표시된 바와같이 와이어(2)가 드럼(10)에서 탈선되어 수불이 원할히 이루어지지 않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전실과 기계실은 상당한 거리가 있고 밀폐되어 있어 매번 확인이 불가능한 관계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와이어(2)가 드럼(10)으로부터 탈선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할 경우 와이어의 손상, 드럼축의 마모, 등으로 인한 설비의 복구시간의 지연 및 안전사고들의 위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고안의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언로더의 기계실 상부 소정의 장소에 와이어 텐선 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작업도중 발생할 수 있는 와이어의 처짐과 이로인해 와이어가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며, 설비를 보호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원활한 조업을 할수있도록 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은 언로더의 프레임에 각각의 베이스를 등간격으로 고정하고, 이 베이스에는 전방에 스토퍼가 형성된 다수의 쉬이브 이동레일을 설치하며, 상기 쉬이브 이동레일의 상부에 설치된 쉬이브와 쉬이브 고정바를 이동시키는 차륜을 차륜축과 차륜 고정커버 및 볼트로 결합 설치한것과, 상기 쉬이브를 당기는 웨이트를 보호하고, 유동방지 역할을 하는 웨이트 케이스를 텐션 와이어로 연결하되, 상기 텐션 와이어는 좌, 우 웨이트 회전축 베어링에 고정된 롤러축에 설치된 롤러와 연결 구성한것과, 상기 언로더의 프레임에 용접된 롤러축 고정용 지지 브라켓트의 하측에는 웨이트 지지 브라켓트을 설치하여 상기 웨이트 케이스의 측면에 연결하여 고정시킨것과, 상기 언로더의 프레임에 고정된 베이스의 상,하부 소정의 장소에는 와이어 부상방지용 롤러를 각각의 롤러 지지베어링으로 고정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도 1은 언더의 전체 설비 개략도
도 2는 와이어가 드럼에서 풀린 상태의 발췌 사시도
도 3은 와이어 권취시 와이어가 드럼에서의 탈선된 상태를 나타낸 발췌도
도 4는 본고안의 와이어 텐션 조절장치가 언로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
도5는 본고안의 와이어 텐션조절장치 구성을 표시한 사시도
도6은 본고안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7은 본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A: 본체 3: 고정용지지 브라켓트
4, 4': 와이어 부상방지용 롤러 5, 5', 6 ,6': 롤러 지지베어링
20: 베이스 21: 스토퍼
22: 쉬이브 이동레일 30: 쉬이브
31: 쉬이브 고정바 21: 차륜
33: 차륜축 34: 차륜 고정커버
35: 볼트 40: 웨이트
41: 웨이트 케이스 42: 텐션 와이어
43, 43' : 좌, 우 웨이트 회전축 베어링 44: 롤러축
45: 롤러 46: 웨이트지지 브라켓트
이하, 본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4는 본고안의 와이어 텐션 조절장치가 언로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고, 도 5는 본고안의 와이어 텐션 조절장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고안의 일부를 발췌 분해 사시도로써, 언로더(A)의 상부에 설치된 프레임(P)에 각각의 베이스(20)를 고정하고, 이 베이스(20)의 선단에는 차륜 이탈방지용 스토퍼(21)가 형성된 쉬이브 이동레일(22)를 설치하며, 상기 쉬이브 이동레일 (22)의 상부에 설치된 쉬이브(30)와 쉬이브 고정바(31)를 이동시키는 차륜(32)을 차륜축(33)과 차륜 고정커버(34) 및 볼트(35)로 결합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쉬이브(30)를 당기는 웨이트(40)를 보호하고, 유동방지 역할을 하는 웨이트케이스(41)를 텐션 와이어(42)로 연결하되, 상기 텐션 와이어는 좌, 우 웨이트 회전축 베어링(43),(43')에 고정된 롤러축(44)에 설치된 롤러(45)와 연결 구성하였다.
상기 언로더(A)의 프레임(P)에 용접된 롤러축(44) 고정용지지 프레임(P)에는 웨이트 지지 브라겟(46)을 설치하여 상기 웨이트 케이스(41)의 측면에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언로더(A)의 프레임(P)에 고정된 베이스(20)의 상,하부 소정의 장소에는 상기 쉬이브(30)와, 연결된 와이어(2)가 전체적으로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와이어 부상방지용 롤러(4)(4')를 각각의 롤러 지지베어링(5),(5'),(6),(6')으로 고정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도 7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와이어 텐션 조절장치는 하역작업을 하기 위해 바겟트(1)를 선적품인 광석위에 놓았을 때 와이어(2)가 순간적으로 하중을 받지 않으면 와이어(2)가 뒤쪽으로 밀려 기계실 드럼(10)하부로 처져 처진 그 만큼의 와이어(2)가 뒷부분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2)를 감고있던 쉬이브(30)가 웨이트(40)의 당김력에 의해 쉬이브 고정바(31)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와이어(2)를 팽팽하게 유지시켜준다.
그리고 상기 쉬이브 고정바(31)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된 차륜 (32)는 쉬이브 이동레일(22)상에 안착되어 있어 상기 쉬이브 고정바(31)의 원할한 전후진을 도와준다.
또한 본고안의 웨이트(40)는 웨이트 케이스(41)내에서만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있어 안정성을 유지할수 있으며 만약 텐션 와이어(42)가 절손되어 웨이트(40)가 추락을 한다해도 이 웨이트(40)는 웨이트 케이스(41)내의 저부에 안착되게 된다.
한편, 쉬이브 고정바(31)의 최대이동거리는 쉬이브고정바(31)의 후방에 설치된 차륜(320이 쉬이브 이동레일(22)의 선단부에 설치된 스톱퍼(21)에서부터 쉬이브 이동레일(22)의 후방에 쉬이브 이동레일(22)과 연결설치된 베이스(20)까지이다.
또한, 상기 와이어 부상방지 롤러(4),(4')를 베이스(20)의 상,하부 소정의 장소에 각각의 롤러 지지베어링(5),(5'),(6),(6')으로 고정시켜 구성함으로써 와이어(2)가 전체적으로 부상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같은 본고안은 와이어가 드럼을 벗어나 드럼축에 감기는 탈선현상이 발생되면 와이어의 절단은 물론 드럼축의 마모로 인한 드럼교환과 같은 대형설비사고를 방지함으로써, 장비의 휴지시간방지을 방지할수 있고, 이로인해 주변기기 및 장치의 수명을 연장하며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수 있는데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언로더(A)의 프레임(P)에 각각의 베이스(20)를 등간격으로 고정하고, 이베이스(20)에는 전방에 스토퍼(21)가 형성된 다수의 쉬이브 이동레일(22)를 설치하며, 상기 쉬이브 이동레일(22)의 상부에 설치된 쉬이브(30)와 쉬이브 고정바(31)를 이동시키는 차륜(32)을 차륜축(33)과 차륜 고정커버(34) 및 볼트(35)로 결합 설치한것과, 상기 쉬이브(30)를 당기는 웨이트(40)를 보호하고, 유동방지 역할을 하는 웨이트 케이스(41)를 텐션 와이어(42)로 연결하되, 상기 텐션 와이어(42)는 좌, 우 웨이트 회전축 베어링(43),(43')에 고정된 롤러축(44)에 설치된 롤러(45)와 연결 구성한것과, 상기 언로더(A)의 프레임(P)에 용접된 롤러축(44) 고정용 지지 브라켓트(3)의 하측에는 웨이트 지지 브라켓트(46)을 설치하여 상기 웨이트 케이스(41)의 측면에 연결하여 고정시킨것과, 상기 언로더(A)의 프레임(P)에 고정된 베이스(20)의 상,하부 소정의 장소에는 와이어 부상방지용 롤러(4)(4')를 각각의 롤러 지지베어링(5),(5'),(6),(6')으로 고정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언로더의 와이어 텐션 조절장치.
KR2019970023674U 1997-08-29 1997-08-29 언로더의 와이어 텐션 조절장치 KR199900103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674U KR19990010315U (ko) 1997-08-29 1997-08-29 언로더의 와이어 텐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674U KR19990010315U (ko) 1997-08-29 1997-08-29 언로더의 와이어 텐션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315U true KR19990010315U (ko) 1999-03-15

Family

ID=69688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674U KR19990010315U (ko) 1997-08-29 1997-08-29 언로더의 와이어 텐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031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40062B1 (en) Horizontal lifeline traversing device
US3598440A (en) Rotatable container-hoisting apparatus
KR101340870B1 (ko) 케이블드럼 이송보조장치
EP0879785A2 (en) Container crane
EP1741662B1 (en) Trench duct for a crane cable
KR19990010315U (ko) 언로더의 와이어 텐션 조절장치
US4732267A (en) Transport intallation
US2116226A (en) Monocable aerial tramway system
KR101510262B1 (ko) 운송장치
CN212475844U (zh) 一种煤矿井下起吊设备
JP7407650B2 (ja) 運搬装置及び運搬方法
US3111227A (en) Stacker crane
KR101604611B1 (ko) 사용후연료 이송장치
US4616725A (en) Suspension system for operator's compartment
KR200215373Y1 (ko) 크레인의 이송장치_
JPH084307A (ja) 水平搬送用索道システム
JPH0226972Y2 (ko)
EP0638047B1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moving the main girder and trolley of a crane
JP6677353B1 (ja) エスカレーターの機器の運搬装置
JP3304817B2 (ja) 乗客コンベア用運搬装置
JP2847209B2 (ja) 斜行クレーン
US2022147A (en) Material handling mechanism
KR920005923Y1 (ko) 화물용 곤도라의 전복방지용 가이드 이송장치
KR20010047743A (ko) 언로더의 피트커버 탈선감지장치
EP0652846A1 (en) HOIST C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