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944U - 다심 광섬유 접속용 열수축슬리브 및 보강판 - Google Patents

다심 광섬유 접속용 열수축슬리브 및 보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944U
KR19990008944U KR2019970022111U KR19970022111U KR19990008944U KR 19990008944 U KR19990008944 U KR 19990008944U KR 2019970022111 U KR2019970022111 U KR 2019970022111U KR 19970022111 U KR19970022111 U KR 19970022111U KR 19990008944 U KR19990008944 U KR 199900089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hrink
shrink sleeve
optical fiber
reinforcing plat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태수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2019970022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8944U/ko
Publication of KR199900089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944U/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섬유 상호간의 접속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거리구간에서 광섬유를 접속하는 열수축슬리브 및 보강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광섬유의 융착접속과정에서 열수축슬리브 내부에 외부관체 내에 들어 있는 광섬유 접속부의 접속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고 광섬유를 안전하게 보호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열수축슬리브의 내부 보강판(40)의 구성은, 융착접속방법으로 광섬유(30)를 상호 접속시키는 열수축슬리브 내부에서 상기 광섬유(30)를 지지하는 보강판(40)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40)의 내부에 빈 공동부(41)를 형성하여 상기 보강판(40)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열수축슬리브의 내부관체(20)와 외부관체(10)에 길이차를 두어 열수축슬리브의 유동시 상기 관체 내부의 광섬유 연결점(31)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심 광섬유 접속용 열수축슬리브 및 보강판
본 고안은 광섬유 상호간의 접속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거리구간에서 광섬유를 접속하는 열수축슬리브 및 보강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 망에서는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매개체로 광케이블을 사용한다. 그런데 상기 광케이블 망이 장거리구간에 걸쳐 설치되는 경우나 다양한 접속을 위해 광케이블 사이를 분기해야 하는 경우에는 광케이블의 길이가 한정된 관계로 접속구간을 필요로 하게된다.
이 경우 각 광케이블을 연결할 때 광케이블 내부에 존재하는 광심선 간의 접속을 요구하게 되는데, 광섬유 상호간의 접속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는 융착접속법이 있다. 이 융착접속법은 광섬유 한 심선간의 연결에 사용되는 단심용 열수축슬리브와 리본광섬유 즉 2심에서 12심까지의 다심 광섬유간의 접속에 사용되는 다심용 열수축슬리브가 사용된다.
융착접속방법은 일단 광섬유심선의 피복을 광섬유 피복제거기로 제거한 다음 피복이 제거된 두 개의 광섬유를 융착접속기에서 순간적인 열을 가하여 광섬유를 접속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피복이 탈피된 상태로 접속된 광심선을 그냥 노상에 방치할 경우 이물질이 묻거나 접속된 부분이 파손되어 원하는 광신호의 전송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접속된 부위를 열수축슬리브를 사용하여 감싸주게 된다.
상기한 열수축슬리브는 열을 가하였을 경우 수축 작용을 하는 물질을 사용하며 광섬유를 융착접속기에 의해 접속한 후 융착부분을 열수축슬리브에 집어넣고 열을 가하여 광섬유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광케이블을 상호간에 연결할 경우 광접속함체를 사용하여 연결하는데 이때 열수축슬리브는 광접속함체 내의 트레이라는 보관기구에 장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열수축슬리브는 광전송망, 광통신 네트웍, 해저케이블, CATV, 가입자망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광측정시스템 등에 이용 가치가 있다.
광섬유를 접속하는 방법은 먼저, 한쪽의 광섬유에 긴 원통모양의 열수축슬리브를 집어넣고 두 개의 광섬유를 융착 접속한다. 그리고 접속되는 광섬유의 중앙에 형성된 탈피부분에 열수축슬리브의 중앙표시선을 맞춘 다음 열을 가하여 슬리브를 수축시키게 된다.
그리고, 광섬유의 접속부는 광섬유자체가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유리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단부가 맞닿은 상태로 연결해야 함으로 접속부에 약간의 유동이 생겨도 안되고 빛이 유출되는 틈새가 생겨도 광섬유가 제대로 접속된 것이 아니다. 또한 접속부의 보강제에 의한 중량 때문에 접속부에 무리가 생기게 됨으로 보강부의 중량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종래의 다심용 광섬유 접속부의 보강방법으로는 광섬유의 표피재질과 같은 합성수지제 관체 내의 동일 재질의 광섬유 지지용 내관을 끼워 넣고 다시 내관 저면에는 보강부의 보강과 굴절 틈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 또는 세라믹재질의 보강제판을 끼워 넣은 다음 상기 슬리브를 적당한 열을 가하여 외부관체와 내부관체가 융합된 속에 보강제판이 매설된 상태로 접속부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속부에는 보강제판이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보강하는 역할은 양호하게 할 수 있게 되나 보강제판 자체가 차지하는 중량 때문에 접속부에 무리가 생겨서 접속상태가 양호하지 못하고 또한 융착접속과정에서 열수축슬리브가 유동 시에는 광섬유가 파단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광섬유의 융착접속과정에서 열수축슬리브 내부에 외부관체내에 들어 있는 광섬유 접속부의 접속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고 광섬유를 안전하게 보호하는데 있다.
도 1은 광섬유를 융착접속 하기 전의 열수축슬리브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열수축슬리브에 8심 리본 광섬유가 접속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a은 본 고안에 따라 열수축슬리브에 8심 리본 광섬유가 접속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에 따라 열수축슬리브에 8심 리본 광섬유가 접속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 단면도이다.
도 4는 열수축슬리브에 8심 리본 광섬유가 삽입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외부관체 20:내부관체
30:리본 광섬유 31:연결점
40:보강판 41:공동부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열수축슬리브 내부 보강판의 구성은, 융착접속방법으로 광섬유(30)를 상호 접속시키는 열수축슬리브 내부에서 상기 광섬유(30)를 지지하는 보강판(40)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40)의 내부에 빈 공동부(41)를 형성하여 상기 보강판(40)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열수축슬리브의 내부관체와 외부관체에 길이차를 두어 열수축슬리브의 유동시 상기 관체 내부의 광섬유 연결점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광섬유를 융착접속 하기 전의 열수축슬리브 내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열수축슬리브에 8심 리본 광섬유가 접속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먼저, 원통형으로 구성된 외부관체(10) 내에 상기 외부관체와 동일 재질의 내부관체(20)를 삽입하고 상기 내부관체(20)의 저면에 보강판(40)을 끼워 넣게 된다.
이때 상기 외부관체(10)와 내부관체(20)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부관체(20)의 양측에서 리본 광섬유를 삽지하여 그 단부가 접속되도록 한 다음 열로 융착 시키게 된다.
상기 보강판(40)은 내부관체(20)를 받칠 수 있도록 상부가 평평한 반원통형으로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40)은 내부가 빈 공동부(41)를 가지게 되며 상기 보강판(40)의 외장의 재질은 금속이나 세라믹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관체(2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라 열수축슬리브에 8심 리본 광섬유가 접속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 단면도이고 도 4는 열수축슬리브에 8심 리본 광섬유가 삽입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3a에서는 외부관체(1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3b에서는 내부관체(2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부관체(10)와 내부관체(20)에 길이차를 두어 광섬유의 접속부 연결점(31)을 보강하게 된다.
즉, 외부관체(10)의 길이보다 내부관체(20)의 길이를 길게 할 때에는 접속부 연결점(31)에서 열에 의해 내부와 외부관체(10)의 튜브가 녹을 때 내부관체(20)의 수축튜브가 연결점(31)의 광섬유끝단을 감싸주어 유동에 의한 광섬유 끝단의 충격을 최소화하게 된다.
그리고, 내부관체(20)의 길이보다 외부관체(10)의 길이를 길게 할 때에는 접속부 연결점(31)에서 열에 의한 내부와 외부관체의 수축시 내부관체의 수축부위보다 외부관체의 수축부위가 길게되어 광섬유를 2단방식으로 보호하여 열수축슬리브의 유동시 광섬유 연결점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열수축슬리브 내부 보강판(40)의 효과는, 외부관체(10)내에 들어 있는 내부관체(20)의 저면을 받쳐주는 금속계 또는 세라믹류계의 보강판(40)으로 중앙부위가 비어있는 관체를 사용하거나 또한 외부관체(10)의 길이와 내부관체(20)의 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중량 때문에 생기는 광섬유 접속부의 문제점과 광섬유 연결점(31)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었다.

Claims (2)

  1. 융착접속방법으로 광섬유(30)를 상호 접속시키는 열수축슬리브 내부에서 상기 광섬유(30)를 지지하는 보강판(40)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40)의 내부에 빈 공동부(41)를 형성하여 상기 보강판(40)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광섬유 접속용 열수축슬리브 및 보강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슬리브의 내부관체(20)와 외부관체(10)에 길이차를 두어 열수축슬리브의 유동시 상기 관체 내부의 광섬유 연결점(31)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슬리브 및 보강판.
KR2019970022111U 1997-08-13 1997-08-13 다심 광섬유 접속용 열수축슬리브 및 보강판 KR199900089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111U KR19990008944U (ko) 1997-08-13 1997-08-13 다심 광섬유 접속용 열수축슬리브 및 보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111U KR19990008944U (ko) 1997-08-13 1997-08-13 다심 광섬유 접속용 열수축슬리브 및 보강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944U true KR19990008944U (ko) 1999-03-05

Family

ID=69688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111U KR19990008944U (ko) 1997-08-13 1997-08-13 다심 광섬유 접속용 열수축슬리브 및 보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894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998B1 (ko) * 2004-10-27 2007-06-04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광섬유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998B1 (ko) * 2004-10-27 2007-06-04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광섬유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90405C (en) Fibre optic cable connector
CN100510818C (zh) 具有容纳光纤余长的部件的包覆成型多端口光学连接终端
CN112888978B (zh) 具有用于多路熔接的带化接口的光纤扇出组件及其制造方法
JP4733115B2 (ja) 複合成形中間分岐点を有する配線ケーブル組立体
JP2008501152A (ja) 複合成形分岐点を有するあらかじめコネクタ接続加工された光ファイバ配線ケーブル
US7630610B2 (en) Loop back plug with protective dust cap
CA1271622A (en) Method for joining plastic cores with spaced surface grooves and joints so-obtained
KR20120101405A (ko)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부재와 보강 방법
CA1311349C (en) Method of splicing fibers
US11874500B2 (en) Fusion spliced fiber optic cable assemblies and breakout kits
US11808983B2 (en) Multi-fiber splice protector with compact splice-on furcation housing
US20090034916A1 (en) Fiber optic cable with in-line fiber optic splice
KR19990008944U (ko) 다심 광섬유 접속용 열수축슬리브 및 보강판
KR19990071921A (ko) 섬유 광학 커플러 제조방법
EP0155821A2 (en) Multiport optical fibre couplers
KR100405106B1 (ko) 광섬유 접속 보호용 열수축 슬리브
US4793674A (en) Fiber optic coupler using frit
AU2016211698B2 (en) Hybrid connection system using factory connectorized pigtail
KR100350483B1 (ko) 팬아웃 블럭
RU201115U1 (ru) Кабельная оптическая сборка
KR100441661B1 (ko) 팬아웃코드
KR102088745B1 (ko) 내구성이 보강된 광섬유 접속장치 및 그를 이용한 광섬유 접속방법
CN210803799U (zh) 尾护套及其装置
US20230086950A1 (en) Splice-on optical connectors for multicore fibers
KR20010064960A (ko) 광섬유 심선의 접속부위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