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370U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370U
KR19990008370U KR2019970021339U KR19970021339U KR19990008370U KR 19990008370 U KR19990008370 U KR 19990008370U KR 2019970021339 U KR2019970021339 U KR 2019970021339U KR 19970021339 U KR19970021339 U KR 19970021339U KR 19990008370 U KR19990008370 U KR 199900083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air
dust collecting
collecting bag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1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8370U/ko
Publication of KR199900083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370U/ko

Links

Landscapes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기를 정화하는 탈취수단이 마련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내부 집진봉투를 지나면서, 집진봉투에 누적된 먼지와 이물질의 부패에 의해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어 배출되도록,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수단이 마련되었다. 따라서 청소기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탈취수단에 의해 정화되어 항상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기를 정화하는 탈취수단이 마련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팬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먼지 등을 흡입함으로써 청소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진공청소기 본체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에는 외부 공기와 함께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2)가 마련되고, 이 흡입구(2)에는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봉투(3)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집진봉투(3) 후방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4)과 이 팬(4)을 구동시키는 모터(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의 일측에는 집진봉투(3)와 팬(4)을 지난 공기가 다시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팬(4)이 구동되면, 흡입구(2)를 통하여 외부공기와 함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집진봉투(3)로 유입된다. 이 때, 먼지와 이물질은 집진봉투(3)에 집진되고, 공기는 집진봉투(3)를 통과하게 된다. 집진봉투(3)를 지난 공기는 팬(4)과 배출구(6)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청소가 수행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집진봉투(3) 내에 누적된 먼지와 이물질이 시간이 지나면서 부패됨에 따라 악취가 발생되게 되고, 이 악취는 청소기가 가동되면 배출구(6)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어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청소기의 내부에 공기를 정화하는 탈취수단를 마련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가 정제되어 배출이 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진공청소기 본체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외관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 본체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탈취수단의 구조를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본체 21: 집진실 22: 구동실
23: 구획판 24: 팬 25: 모터
26: 흡입구 27: 집진봉투 28: 배출구
29: 탈취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봉투, 상기 집진봉투 내부로 공기와 함께 이물질이 흡입되어 공기는 배출하고 이물질은 집진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봉투에 집진된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탈취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2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유동되는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연결파이프(11)와 연결호스(12)가 구비된다. 연결파이프(11)의 일단에는 손잡이부(13)가 마련되고, 이 손잡이부(13)의 일측에는 진공청소기의 기능을 조작하는 조작부(14)가 마련된다.
그리고 연결파이프(11)의 타단에는 본체(20)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체(16)가 결합되는데, 흡입체(16)와 연결파이프(11) 사이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연장관(15)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실(21)과 모터(25), 팬(24), 기타 부품 등으로 구성된 구동실(22)이 구획판(23)에 의해 구획되게 마련된다. 집진실(21)의 일측에는 외부 공기와 함께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26)가 마련되고, 이 흡입구(26)에는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봉투(27)가 고정된다.
상기 구획판(23)에는 집진실(21)의 공기가 구동실(22)로 유입되로록 유로(23a)가 형성되고, 구동실(22)에는 유로(23a)에 인접되게 팬(24)과 이 팬(24)을 구동시키는 모터(25)가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실(22)의 일측, 즉 본체(20)의 후방에는 구동실(22)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28)가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구동실(22)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배출구(28)를 통해 배출되기 전에 정화되어 배출되도록, 배출구(28)와 입접되게 탈취수단(29)이 마련된다. 이 탈취수단(29)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조성물(29a)이 냄새 성분을 흡착하는 활성탄으로 마련되고, 이 내부 조성물(29a)을 감싸 지지하면서 탈취수단(29)의 외형을 유지하도록 외측이 망체(29b)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내부 조성물(29a)과 망체(29b)는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능이 원활하게 수행 될 수 있도록 공기의 유통이 용이한 구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상기 조작부(14)를 조작하면 팬(24)이 구동되고, 이 팬(24)의 구동에 의해 청소면의 먼지와 이물질이 흡입구(26)를 통하여 외부공기와 함께 집진봉투(27)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먼지와 이물질은 집진봉투(27)에 집진되고, 공기는 집진봉투(27)를 통과하게 된다. 집진봉투(27)를 지난 공기는 유로(23a)와 팬(24)을 거쳐 구동실(22)로 유입되고, 구동실(22)로 유입된 공기는 본 고안에 따른 탈취수단(29)을 지나 배출구(28)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청소가 수행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집진실(21)에 누적된 먼지와 이물질의 부패에 의해 오염된 공기는 탈취수단(29)을 통과하면서 정화되게 되고, 이로써 배출구(28)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내부 집진봉투를 지나면서, 집진봉투에 누적된 먼지와 이물질의 부패에 의해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어 배출되도록,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수단이 마련되었다. 따라서 청소기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탈취수단에 의해 정화되어 항상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Claims (2)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봉투, 상기 집진봉투 내부로 공기와 함께 이물질이 흡입되어 공기는 배출하고 이물질은 집진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봉투에 집진된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탈취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수단은 내부 조성물이 냄새 성분을 흡착하는 활성탄으로 마련되고, 상기 내부 조성물을 감싸 지지하면서 상기 탈취수단의 외형을 유지하도록 외측이 망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KR2019970021339U 1997-08-01 1997-08-01 진공 청소기 KR199900083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339U KR19990008370U (ko) 1997-08-01 1997-08-01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339U KR19990008370U (ko) 1997-08-01 1997-08-01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370U true KR19990008370U (ko) 1999-03-05

Family

ID=69697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339U KR19990008370U (ko) 1997-08-01 1997-08-01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837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761B1 (ko) * 2020-01-09 2020-10-14 박동관 공기여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761B1 (ko) * 2020-01-09 2020-10-14 박동관 공기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7195B (zh) 具有吸塵器及基座之系統、吸塵器、基座及清空吸塵器之集塵室之方法
GB2389036A (en) A cyclone-type vacuum cleaner comprising an ultraviolet light
JPH11137486A (ja) 低騒音真空掃除機
US7676884B2 (en)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bag compartment including a bag cage
KR19990008370U (ko) 진공 청소기
KR100730944B1 (ko) 진공 청소기의 배기 유로구조
EP1267695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appliances
KR200150471Y1 (ko) 진공청소기
KR100219378B1 (ko) 공기 청정기를 갖는 청소기
GB2292883A (en) Odour absorbing system for a vacuum cleaner
JP2009226132A (ja) 電気掃除機
JPH08257336A (ja) 空気清浄装置
KR860000974Y1 (ko) 산업용 진공흡수식 청소기
KR0148951B1 (ko) 진공청소기의 가요성 네크구조
KR19990019515A (ko) 진공청소기
KR0148991B1 (ko) 긴 흡음배기관을 갖는 흡음방
KR100500797B1 (ko) 진공청소기
KR200195687Y1 (ko) 진공청소기의흡입공기배출장치
JPH05146380A (ja) 電気掃除機の排気浄化システム
KR100201269B1 (ko)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
KR970002799Y1 (ko) 진공청소기
KR200323286Y1 (ko) 진공청소기
KR0136309B1 (ko) 진공청소기의 열풍순환 구조
KR19990025064U (ko) 진공청소기용 필터
KR20000044055A (ko) 공기분사장치를 지니는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