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269B1 -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 - Google Patents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269B1
KR100201269B1 KR1019960004669A KR19960004669A KR100201269B1 KR 100201269 B1 KR100201269 B1 KR 100201269B1 KR 1019960004669 A KR1019960004669 A KR 1019960004669A KR 19960004669 A KR19960004669 A KR 19960004669A KR 100201269 B1 KR100201269 B1 KR 100201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leaner
test method
dust collecting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4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185A (ko
Inventor
고선용
송정곤
조성로
Original Assignee
최진호
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19960004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1269B1/ko
Publication of KR970061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의 집진성능을 테스트하는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구동모터의 흡입력에 의해서 먼지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청소기의 집진성능을 테스트하는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되는 먼지에 색소를 첨가하여서 소비자가 시각적으로 청소기의 집진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에 관한 것으로 청소기로 흡입되는 먼지에 소비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수 수 있는 색소가 첨가되므로서 청소기의 집진성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
제1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청소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일반적인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바퀴부재
12 : 집진수단 13 : 구동모터
14 : 집진팩 15 : 상부케이스
16 : 배출구 19 : 흡입구체
20 : 먼지
본 발명은 청소기의 집진성능을 테스트하는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소비자가 청소기의 집진성능을 어느곳에서나 용이하게 테스트 할 수 있는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먼지를 흡입하여서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기는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청소기의 일예로써는 일본국에서 1987년 12월 4일자로 공고된 일본국 특허출원공고 소62-58249호가 있다.
일본국의 특허출원공고 소62-58249호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 팬모터 (5')를 내장하고, 배기측에는 대경부(6a')와 소경부(6b')로 이루어진 다공성의 통기통(6')을 연설한 청소기 본체(1')와 상기 팬모터(5')의 흡인측에 위치되어서 청소기본체(1')로 연결됨과 동시에 흡기구(11')가 형성된 더스트게이트(8')와, 상기 흡입구(11')와 팬모터(5')의 사이에 개재된 흡기측필터(13')와, 상기 통기통(6')의 소경부(6b')에 감합되며 우레탄홈과 같은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배기측프리필터(14')와, 상기 배기측프리필터(14')의 외측에 위치되어서 상기 통기통(6')의 대경부(6a')에 감합된 원통형상의 배기측고성능필터(15')와, 상기 배기측고성능필터(15')의 외측에 설치된 다공성의 보호통(1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청소기는, 상기 괜모터(5')의 흡입력에 의해서 먼지 및 이물질이 함유된 공기가 상기 흡기구(11')로 흡입되고, 상기 흡기구(11')로 흡입된 먼지 및 이물질이 함유된 공기는 상기 흡기측필터(13')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먼지 및 이물질은 상기 흡기측필터(13')에 의해서 필터링되고, 미세한 먼지는 상기 흡입기필터(13')를 통과하게 된다.
또, 상기 흡기측필터(13')를 통과한 미세한 먼지가 함유된 공기는 상기 팬모터(5')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통기통(6')과 상기 배기측프리필터(14') 그리고 상기 배기측고성능필터(15')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흡기측필터(13')를 통과한 미세한 먼지는 상기 통기통(6')과 상기 배기측프리필터(14') 그리고 상기 배기측고성능필터(15')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되어 실내로는 청정화된 공기가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청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키는 청소기는 소비자가 그 성능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써 소비자에게 제품의 신뢰성을 착인시킬 수 없었다.
즉, 종래에는 미세한 먼지를 청소기에서 집진하는 것온 소비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써 청소기의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기의 집진성능을 소비자가 어느 장소에서나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서 제품의 성능을 누구나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은, 구동모터의 흡입혁에 의해서 먼지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청소기의 집진성능을 테스트하는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흡일력에 의해서 흡입되는 먼지에 색소를 첨가하여서 소비자가 시각적으로 청소기의 집진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에 의하면, 청소기로 흡입되는 먼지에 소비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색소가 첨가되므로서 청소기의 집진성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일반적인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2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색소가 첨가되어서 누구나가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먼지이고, (10)은 청소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로써 이동이 자유롭도록 바퀴부재(11)가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10)에는 먼지 및 이물질을 집진시키는 집진팩(14)이 교환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전원을 인가받아서 실내의 먼지 및 이물질등을 홉입할 수 있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3)가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10)의 구동모터(13)의 후부에는 실내로 청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집진팩(14)을 통과한 미세한 먼지를 집진시키는 집진수단(12)이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집진수단(12)은 고전압을 발생하여서 미세한 먼지를 이온화시켜 이온화된 먼지를 집진하여 실내로 청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또,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본체(10)와 결합되어서 청소기의 외관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집진수단(12)에 의해 청정화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도록 배출구(16)가 형성된 상부케이스(15)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집진팩(14)으로 이물질 및 먼지등이 합유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이물질 및 먼지가 함유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호스(17)가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호스(17)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손잡이(21)가 돌설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연장관(18)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장관(18)에는 상기 본체(10)에 배설된 상기 구동모터(13)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 및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구체(19)가 장착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소비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색소가 첨가된 먼지(20)를 실내의 바닥에 분산시킨다.
또, 색소가 첨가된 상기 먼지(20)를 분산시킨 후 상기 구동모터(13)로 전원을 인가시켜서 상기 구동모터(13)에서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3)에서 흡입력이 발생되면 바닥에 분산된 색소가 첨가된 상기 먼지(20)가 상기 흡입구체(19)로 흡입되게 된다.
또, 상기 흡입구체(19)로 흡입된 색소가 첨가된 먼지는 상기 연장된(18) 및 상기 호스(17)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집진팩(14)으로 흡입 되게 된다.
또한, 상기 집진팩(14)으로 흡입된 색소가 첨가된 상기 먼지(20)는 상기 구동모터(13)의 흡입력에 의해서 필터링된다.
이때, 상기 집진팩(14)에서 필터링되는 먼지는 입자가 10Mm이상이고, 10Mm이하의 색소가 첨가된 상기 먼지(20)는 상기 집진팩(14)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10)에 배설된 상기 집진수단(12)으로 배출되게 된다.
또, 상기 집진수단(12)으로 배출된 10㎛이하의 색소가 첨가된 상기 먼지(20)는 이온화되어서 상기 집진수단(12)에 집진되게 된다.
즉, 상기 집진수단(12)에서는 입자가 10Mm이하인 상기 먼지(20)를 집진하게 되어서 청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상부케이스(15)로 배출되는 공기는 먼지가 완전하게 제거되게 된다.
즉, 색소가 첨가된 상기 먼지(20)가 상기 집진팩(14) 및 상기 집진수단(12)에서 완전하게 집진되므로서 상기 배출구(16)로는 청정화된 공기가 배출된다.
이때, 상기 집진팩(14) 및 상기 집진수단(12)에서 색소가 첨가된 상기 먼지(20)가 완전하게 집진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배출구(16)를 통해서 색소가 첨가된 상기 먼지(20)가 배출되므로서 소비자는 청소기의 집진성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에 의하면, 청소기로 흡입되는 먼지에 소비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색소가 첨가되므로서 청소기의 집진성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구동모터의 흡입력에 의해서 먼지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청소기의 집진성능을 테스트하는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되는 먼지에 색소를 첨가하여서 소비자가 시각적으로 청소기의 집진성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에서 색소가 첨가된 상기 먼지가 완전하게 집진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청소기의 배출구를 통해서 색소가 첨가된 상기 먼지가 배출되므로서 소비자는 청소기의 집진성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
KR1019960004669A 1996-02-26 1996-02-26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 KR100201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4669A KR100201269B1 (ko) 1996-02-26 1996-02-26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4669A KR100201269B1 (ko) 1996-02-26 1996-02-26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185A KR970061185A (ko) 1997-09-12
KR100201269B1 true KR100201269B1 (ko) 1999-06-15

Family

ID=1945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4669A KR100201269B1 (ko) 1996-02-26 1996-02-26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12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1149A (zh) * 2018-03-26 2018-07-10 四川出入境检验检疫局检验检疫技术中心 家用扫地清洁机器人杀菌效果的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185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20720B2 (en) Cyclone-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US7591885B2 (en) Wet type air cleaner
TR200001934T2 (tr) Bir elektirikli süpürge.
US7513939B2 (en) Wet type air cleaner
US44694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ir entering the cab of a vehicle
RU2367331C2 (ru) Пылесос
CA2450335A1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100201269B1 (ko) 청소기의 집진성능 테스트방법
JPH03267108A (ja) 空気清浄器
KR100382468B1 (ko) 진공청소기의 침구전용 흡입구체
SE0303221D0 (sv) Vacuum cleaner filtration system
KR20070021763A (ko) 무배기 로봇청소기
JPS61191329A (ja) ろ過用のフイルタを不要にしたアツプライト型真空掃除機
KR200466747Y1 (ko) 진공청소기
JPH05161857A (ja) 空気清浄器
KR970005214A (ko) 진공청소기용 2차집진장치 및 그 방법
EP0860138A1 (en) Vacuum cleaner with an aromatic member
KR20040050217A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0203855B1 (ko) 진공청소기용 모터의 배기구조
KR200195040Y1 (ko) 사이클론 집진기를 갖춘 진공청소기의 소형화 구조
KR100500797B1 (ko) 진공청소기
KR100556501B1 (ko) 진공청소기
KR200195687Y1 (ko) 진공청소기의흡입공기배출장치
KR200144975Y1 (ko) 진공청소기용 필터의 설치구조
KR19990025064U (ko) 진공청소기용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