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289U - 저수 탱크용 플로오팅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저수 탱크용 플로오팅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289U
KR19990008289U KR2019980023706U KR19980023706U KR19990008289U KR 19990008289 U KR19990008289 U KR 19990008289U KR 2019980023706 U KR2019980023706 U KR 2019980023706U KR 19980023706 U KR19980023706 U KR 19980023706U KR 19990008289 U KR19990008289 U KR 199900082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valve device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화
Original Assignee
허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경화 filed Critical 허경화
Priority to KR2019980023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8289U/ko
Publication of KR199900082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289U/ko

Links

Landscapes

  • Float Valv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물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급수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플로오팅밸브장치에 관한 것임.
(2)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풀로오팅밸브는 외관이 단정하지 못하고 흔들림에 의한 고장발생이잦아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었음.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케이스(10)의 내부에 부구(20)과 개폐부(30)를 모두 구성하여 부구(20)의 작용에 의해 개폐부(30)가 물을 개폐토록 하고 상부에는 수직유지부(50)를 구성하여 밸브장치가 수직을 유지토록 구성하였음.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외관이 단정하면서 밸브개폐 및 부구(20)의 승·하강 작용이 매우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음.

Description

저수 탱크용 플로오팅밸브장치
본 고안은 향상 일정량의 물을 탱크 내부에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플로오팅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구조 및 형상이 매우 간결하면서 개폐작용이 정확하고 수명을 길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플로오팅밸브장치를 제공코저하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플로오팅밸브는 물탱크와 같은 용기 내부에 항상 일정한 량의 물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물의 보관량이 적어져 수위가 낮아지면 자동으로 물이 유입되고 다시 수위가 적정수준까지 상승하면 물이 차단되도록 작용하는데, 통상 상수도용 물탱크, 보일러용 보충수통, 수세식화장실용물통, 태양열에의한 온수탱크 등에 사용된다.
이러한 통상의 플로오팅밸브의 구성 및 작용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몸체가자 형으로 구성되고 개폐밸브가 내부에 설치되며 개폐밸브에 작용간을 길게 형성한 후 작용간의 끝에 물에 뜨는 부구를 설치하여 된 구성으로서, 물이 부족하여 적정수준 이하가 되면 부구도 따라서 하강하므로 작용간이 아래로 젖혀지면서 개폐밸브가 개방되어 물이 유입되는 것이고 수위가 상승하여 부구가 작용간을 위로 젖히면 개폐밸브가 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플로오팅밸브는 부구가 측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외관이 단정하지 못할 뿐아니라 운반과정에서 흔들림에 의한 파손 또는 고장의 우려가 많고 사용도중 찌꺼기가 부구나 작용간 또는 개폐밸브에 걸려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많은 문제점을 발견할 수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플로오팅밸브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개폐밸브와 부구가 모두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구성하고 부구의 승강작용과 밸브의 개폐작용이 매우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저수탱크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상부캡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요부분해 사시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밸브장치 (2) 공급관 (10) 원형케이스
(10a) 상부케이스 (10b) 하부케이스 (11) 나사구멍
(12) 가이드돌부 (13) 배출관부 (20) 부구
(21) 걸이구멍 (22) 요입부 (23) 요부
(30) 개폐부 (31) 몸체 (32) 통공
(33) 개폐볼 (34) 캡 (35) 지지부
(36) 작동축 (37) 삽입요부 (38) 연결부
(39) 삽입돌부 (40) 작동간 (41) 연결구멍
(42) 걸이봉 (50) 수직유지부 (51) 관체
(52) 고무링 (53) 연결관체 (100) 물탱크
본 고안의 밸브장치(1)는 상부케이스(10a)와 하부케이스(10b)로 구성된 원형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하는데, 상부케이스(10a)에 개폐부(30)가 설치되고 하부케이스(10b)에는 부구(20)가 설치되어 작동간(40)으로 부구(20)와 개폐부(30)가 연결되며, 상부의 개폐부(30) 상단에는 수직유지부(50)가 구성된다.
상부케이스(10a)는 상면일측에 나사구멍(11)을 형성하여 개폐부(30)를 설치토록하고 내측면에는형으로 된 4개의 가이드돌부(12)를 구성하여 아래로 돌출되게 하였으며, 하부케이스(10b)와 나사 결힙시키도록 구성하였다.
하부케이스(10b)는 상부케이스(10a)와 나사결합되며 하부에는 배출관부(13)를 형성하였다.
부구(2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구성하되 상면 중앙에형 걸이구멍(21)을 형성하였고 그 옆에는 부구(20)가 상승시 개폐부(30)에 걸리지 않게하는 요입부(22)를 형성하였으며, 측면에는형으로 된 요부(23)를 8개 형성하되 저면까지 연결형성되도록 하여, 일부는 물통로가 되게 하고 일부는 상기 가이드돌부(12)가 삽입되게 하였다.
개폐부(30)의 몸체(31)는 상부케이스(10a)의 나사구멍(11)에 나사결합 되도록 구성하였고 하부에는 통공(32)이 관통형성된 개폐볼(33)을 삽입 설치한 후 캡(34)을 나사결합시켜 조립하였으며, 개폐볼(33)이 형성된 위치의 몸체(31) 측면에는 지지부(35)를 돌출시킨 후 그 내부에 작동축(36)을 삽입하여 개폐볼(33)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였는데, 개폐볼(33)의 측면에 삽입요부(37)를 형성한 후 여기에 삽입되도록 작동축(36)의 선단에 삽입돌부(39)를 구성하고 끝단에는 삽입돌부(39)와 45°각도로 연결부(38)를 형성하였다.
상기 작동축(36)과 부구(20)의 걸이구멍(21)을 연결하는 작동간(40)은 일측단에 작동축(36)의 연결부(39a)와 일치하는 연결구멍(41)을 형성하고 타측단에는 걸이구멍(21)에 삽입될 수 있는 걸이봉(42)을 형성하였다.
개폐부(30)의 몸체 상단에는 수직유지부(50)를 결합하여 물탱크(100)내로 인입되는 공급관(2)과 연결하는데,형으로 된 관체(51) 선단에형 고무링(52)과 연결관체(53)를 결합시켜 공급관(2)과 결합된 연결관체(53)가 관체(51)와 따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된 부호 3은 급수관, 4는 주름관, 5는 급수관고정대, 6은 커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물탱크(100)내에 물이 없어서 부구(20)가 하부케이스(10b)의 바닥에 닿게 되면 작동간(40)에 의해 개폐볼(33)의 통공(32)이 수직상태가 되므로 공급관(2)과 관체(51)와 몸체(31)를 통해 물이 유입된다. 유입된 물은 부구(20)의 위에 떨어진 후 부구(20)의 측면에 형성된형 요부(23)를 따라서 흘러내린 후 하부케이스(10b)의 배출관부(13)를 따라 물탱크(100)내부로 유입된다.
물탱크(100)내에 물이 유입되어 케이스(10) 내부의 부구(20)가 상승하면 걸이구멍(21)에 걸린 작동간(40)이 젖혀지면서 개폐볼(33)을 회전시키므로 통공(32)이 점차 차단되게 되어 물의 유입량이 줄어들며 완전히 상승하면 물의 유입이 차단되는 것이다.
부구(20)의 승하강시에는 가이드돌부(12)가 요부(23)에 삽입되면서 가이드된다.
상부의 수직유지부(50)는 케이스(10)가 항상 수직을 유지하여 작동이 원활히 계속 되도록 하려는 것인데, 관체(51)와 연결관체(53)이 고무링(52)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관체(51)와 연결관체(13)가 각각 별도로 회전가능케 되므로 케이스(10)의 무게에 의해 케이스(10)가 자동으로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밸브장치(1)는 전체구성이 케이스(1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이므로,
첫째 외관이 매우 단정하여 소비자의 호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이고,
둘째 운반시 흔들거림이 없어서 고장이 발생할 확률이 낮으며,
셋째 부구(20)가 수직승강 작용을 하므로 작용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그에따라 확실한 개폐작동도 얻을 수 있어서 매우 긴 수명을 기대할 수 있는 등, 전혀 새로운 형태의 플로오팅밸브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플로오팅밸브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케이스(10a)와 하부케이스(10b)로 구성된 원형케이스(10)의 내부에 부구(20)와 개폐부(30)를 구성하되, 상부케이스(10a)의 상부에 관체(51)를 설치하여 물탱크(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급관(2)을 연결토록 하고 그 하부의 하부케이스(10b) 내부에 물의 유입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30)를 설치하며, 개폐부(30)의 내부에는 통공(32)이 있는 개폐볼(33)을 삽입한후 작동축(36)과 작동간(40)을 이용하여 부구(20)와 연결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탱크용 플로오팅밸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부구(20)의 측면에는 저면까지 연결된형 요부를 다수개 형성하고 상부케이스(10a)의 내면에는형으로 된 가이드돌부(12)를 4개 형성하여 가이드돌부(12)가 요부(23)에 삽입되게 하면서 나머지 요부(23)는 통로 역할을 하며, 하부케이스(10b)의 바닥면에 배출관(13)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탱크용 플로오팅밸브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부(30)와 연결되는 관체(51)의 선단에는형 고무링(52)과 연결관체(53)를 결합하여 연결관체(51)에 공급관(2)이 결합된후 관체(51)와 별개로 회전가능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 탱크용 플로오팅밸브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부(30)의 몸체(31) 내부에 개폐볼(33)을 삽입한후 캡(34)으로 고정시키고 개폐볼(33)이 삽입된 위치의 몸체(31) 측면에 지지부(35)를 형성하며, 개폐볼(33)의 측면에 삽입요부(37)를 형성한후 작동축(36)의 선단에 삽입돌부(39)를 형성하여 삽입요부(37)에 삽입되게 하고 작동축(36)의 끝단에는 삽입돌부(39)와 45° 각도로 틀어진 연결부(38)를 형성하여 작동간(40)을 결합토록 하며, 작동간(40)의 일측 끝에는 걸이봉(42)을 형성하여 부구(20)의 걸이구멍(21)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 탱크용 플로오팅밸브장치.
KR2019980023706U 1998-11-27 1998-11-27 저수 탱크용 플로오팅밸브장치 KR199900082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706U KR19990008289U (ko) 1998-11-27 1998-11-27 저수 탱크용 플로오팅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706U KR19990008289U (ko) 1998-11-27 1998-11-27 저수 탱크용 플로오팅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289U true KR19990008289U (ko) 1999-02-25

Family

ID=69504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706U KR19990008289U (ko) 1998-11-27 1998-11-27 저수 탱크용 플로오팅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828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9436A1 (en) * 2013-01-14 2014-07-17 Woon Je Joe Ball float tra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9436A1 (en) * 2013-01-14 2014-07-17 Woon Je Joe Ball float tra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8963U (ja) 貯水フロートの給水構造
KR19990008289U (ko) 저수 탱크용 플로오팅밸브장치
KR20060106023A (ko) 변기세정장치
CN201706055U (zh) 一种自动控水阀及使用有该自动控水阀的水箱
KR20140019134A (ko) 절수가능한 투명변기
CN101177952A (zh) 大小便分别排放的节水座便器
US20070006369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cleaning material to a toilet
US20120227172A1 (en) Water saver toilet control valves and methods
CN210049336U (zh) 低水箱马桶及其冲水系统
CN2236738Y (zh) 浮阀式鸡用自动饮水器
CN211285927U (zh) 一种同层排水阳台地漏
CN218911687U (zh) 一种可拆卸排水预埋装置
KR0154541B1 (ko) 자동 급수 밸브
CN220816726U (zh) 高位显示自闭阀
CN217325673U (zh) 一种防止冲小球易卡球的马桶
CN210947002U (zh) 一种带有杀菌功能的水箱
KR870001785Y1 (ko) 물탱크용 급수 볼탑
CN209100749U (zh) 液位控制器及其液位控制系统
KR100384388B1 (ko) 절수형 양변기
KR890006564Y1 (ko) 고저수위 제어용 정수위 밸브
KR200181198Y1 (ko) 부력을 이용한 밸브
KR200243367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KR200176999Y1 (ko) 절수형 양변기
RU312U1 (ru) Санузел
US20040034910A1 (en) Leak proof toilet tank siphon flush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