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117U - 편심회전체 - Google Patents

편심회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117U
KR19990008117U KR2019980022700U KR19980022700U KR19990008117U KR 19990008117 U KR19990008117 U KR 19990008117U KR 2019980022700 U KR2019980022700 U KR 2019980022700U KR 19980022700 U KR19980022700 U KR 19980022700U KR 19990008117 U KR19990008117 U KR 199900081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case
circumferential surface
eccentric rotating
perf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5626Y1 (ko
Inventor
신길선
Original Assignee
신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길선 filed Critical 신길선
Priority to KR2019980022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626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1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1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626Y1/ko

Link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편심회전체에 관한 것으로서, 외력 또는 자동차의 주행관성에 의하여 좌우로 편심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색다른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고, 내부에 방향제 또는 향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환경을 양호하게 만들 수 있는 편심회전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편심회전체는, 상부가 개구되고 그 무게중심과 대응하는 내주면 위치에는 하부중량축(22)이 위로 돌출설치되며 상기 무게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상기 하부중량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삽입공(23)이 관통형성된 하부케이스(2) 및 하부가 개구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무게중심과 대응하는 내주면의 위치에 상기 하부중량축과 대응하여 상부중량축(32)이 아래로 돌출설치되는 상부케이스(3)를 가진 회전체(1)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삽입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지지되는 지지축(51) 및 상기 지지축의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판(52)을 가진 스테이(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체(1)의 외주면은 축구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2)의 상단부 내주면 일측에 방향제 또는 향수를 수용할 수 있는 포켓(24)이 더 설치되고, 상기 상부케이스(3)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상기 방향제 또는 향수가 기화되어 확산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기공(33)이 더 관통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편심회전체
본 고안은 예컨대 자동차 내부에 설치하여 장식할 수 있는 편심회전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력 또는 자동차의 주행관성에 의하여 좌우로 편심회전할 수 있고 또한 내부에 방향제 또는 향수가 수납될 수 있는 편심회전체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자동차 내부를 색다르게 장식하기 위하여 인형이나 노리개 등 다양한 종류의 물품들이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고 있지만 이러한 종류의 장식품들은 대부분 정지된 상태에 놓여 있기 때문에 탑승자 등으로 하여금 별다른 호기심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자동차 내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방향제들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 또한 정지된 상태에 놓여 있기 때문에 자동차의 내부를 장식한다는 의미는 가지고 있지 않고, 더욱이 방향제를 보충할 수 없고 교체해야만 하므로 많은 비용이 든다.
한편, 자동차의 외부를 장식하기 위하여 차체나 윈도우 글래스에 다양한 종류의 스티커 등을 부착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들 또한 시선을 끌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력 또는 자동차의 주행관성에 의하여 좌우로 편심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색다른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편심회전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방향제 또는 향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환경을 양호하게 만들 수 있는 편심회전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편심회전체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편심회전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편심회전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편심회전체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체, 2 : 하부케이스,
3 : 상부케이스, 5 : 스테이,
22 : 하부중량축, 23 : 삽입공,
24 : 포켓, 32 : 상부중량축,
33 : 통기공, 51 : 지지축,
52 : 지지판, 53 : 지지베어링,
54 : 양면접착테이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편심회전체는, 상부가 개구되고 그 무게중심과 대응하는 내주면 위치에는 하부중량축이 위로 돌출설치되며 상기 무게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상기 하부중량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삽입공이 관통형성된 하부케이스 및 하부가 개구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무게중심과 대응하는 내주면의 위치에 상기 하부중량축과 대응하여 상부중량축이 아래로 돌출설치되는 상부케이스를 가진 회전체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삽입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지지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의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판을 가진 스테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편심회전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판은 흡착판으로 이루어지거나 지지판의 저면에 양면접착테이프가 더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하부케이스의 상단부 내주면 일측에 방향제 또는 향수를 수용할 수 있는 포켓이 더 설치되고, 상부케이스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다수의 통기공이 더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편심회전체를 예컨대 자동차의 계기판 상면 일측에 지지판을 부착함으로써 자동차 내부에 설치하여 자동차를 주행하면 지지축과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의 무게중심과 대응하여 설치된 하부중량축 및 상부중량축의 연결선상을 벗어나 이들과 나란한 위치에 지지축이 위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관성에 따라 상기 하부중량축 및 상부중량축의 무게에 의하여 회전체가 지지축을 중심으로 편심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케이스의 포켓에 방향제나 향수가 수납된 경우에는 방향제나 향수가 기화하여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통기공들을 통하여 실내로 확산됨으로써 실내의 환경을 양호하게 만들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은 회전체로서, 스테이(5)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체(1)는 하부케이스(2)와 상부케이스(3)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2)는 상부가 개구되어 아래로 요입된 형태를 하고 있다. 그리고, 하부케이스(2)의 상단 외주면에는 상부케이스(3)와의 착탈가능한 결합을 위하여 수나사부(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케이스(2)의 무게중심과 대응하는 하부케이스(2)의 내주면 위치에는 하부중량축(22)이 위로 돌출설치되어 있고, 하부케이스(2)의 무게중심을 벗어난 위치, 즉 하부중량축(22)과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중량축(22)과 나란한 방향으로 삽입공(23)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케이스(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2)와 대응하여 하부가 개구되어 위로 요입된 형태를 하고 있다. 하부케이스(2)와 착탈가능한 결합을 위하여 하부케이스(2)의 수나사부(21)와 대응하여 상부케이스(3)의 하단 내주면에는 암나사부(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케이스(3)의 무게중심과 대응하는 상부케이스(3)의 내주면 위치에는 상부중량축(32)이 아래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하부케이스(2) 및 상부케이스(3)를 가지는 회전체(1)는 사용목적, 광고목적, 홍보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축구공과 같이 구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축구공 모양이 형성되면 축구에 대한 홍보를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하부케이스(2)와 상부케이스(3)가 속이 빈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면 회전체(1)가 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축구공과 같은 형태를 만들 수 있다.
한편, 스테이(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2)의 삽입공(23)에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축(51)과, 상기 지지축(51)의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판(52)을 가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지축(51)에 대하여 회전체(1)가 원활하게 편심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케이스(2)의 삽입공(23)에 지지베어링(53)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이 지지베어링(53)의 내경에 지지축(51)의 상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지지축(51)에 대하여 회전체(1)가 편심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편심회전체를 소정의 장소, 예컨대 자동차의 계기판 상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판(52)은 흡착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지지판(52)의 저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접착테이프(54)가 더 부착됨으로써 지지판(52)이 소정의 장소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란 본 고안에 따른 편심회전체가 소정의 장소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실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하부케이스(2)의 상단부 내주면 일측에 방향제 또는 향수를 수용할 수 있는 포켓(24)이 더 설치되고, 상부케이스(3)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다수의 통기공(33)이 더 관통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편심회전체의 원활한 편심회전을 위하여 포켓(24)의 설치위치는 하부중량축(22)을 기준으로 삽입공(23)의 위치와 반대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편심회전체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편심회전체를 소정의 장소, 예컨대 자동차의 계기판 상면 일측에 고정설치한다. 이 경우 지지판(52)이 흡착판으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에는 지지판(52)을 아래로 누르기만 하면 흡착판이 계기판 상면에 고정되므로 편심회전체를 간단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다. 지지판(52)의 저면에 양면접착테이프(54)가 부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양면접착테이프(54)의 박리지를 벗겨 지지판(52)을 원하는 위치에 부착하면 되므로 편심회전체를 간단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컨대 자동차 실내에 본 고안에 따른 편심회전체가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자동차를 주행하면 자동차의 주행관성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체(1)가 좌우로 편심회전하게 된다. 즉, 지지축(51)과 하부케이스(2) 및 상부케이스(3)의 무게중심과 대응하여 설치된 하부중량축(22) 및 상부중량축(32)의 연결선상을 벗어나 이들과 나란한 위치에 지지축(51)이 위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관성에 따라 상기 하부중량축(22) 및 상부중량축(32)의 무게에 의하여 회전체(1)가 지지축(51)을 중심으로 편심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하부케이스(2)에 포켓(24)이 설치되고 이 포켓(24)에 방향제 또는 향수가 수용된 경우에는 이 포켓(24)과 방향제 또는 향수의 무게가 지지축(51)에 대하여 더 편심되어 가중되므로 회전체(1)의 편심회전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케이스(2)의 포켓(24)에 수납된 방향제나 향수가 기화하여 상부케이스(3)에 형성된 통기공(33)들을 통하여 실내로 확산됨으로써 실내의 환경이 양호하게 조성된다. 수용된 방향제나 향수를 다 사용하고 난 후에는 상부케이스(3)를 열고 방향제나 향수를 보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편심회전체에 의하면, 외력이나 예컨대 자동차의 주행관성에 따라 스테이(5)에 지지된 회전체(1)가 좌우로 편심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색다른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동적인 움직임에 의하여 장식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동적인 장식효과와 함께 내부에 수용되는 방향제나 향수에 의하여 실내 환경을 더욱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향제나 향수를 보충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실외에도 고정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사용범위가 넓다.
또한, 회전체(1)의 형태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한다.

Claims (5)

  1. 상부가 개구되고 그 무게중심과 대응하는 내주면 위치에는 하부중량축(22)이 위로 돌출설치되며 상기 무게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상기 하부중량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삽입공(23)이 관통형성된 하부케이스(2) 및 하부가 개구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무게중심과 대응하는 내주면의 위치에 상기 하부중량축과 대응하여 상부중량축(32)이 아래로 돌출설치되는 상부케이스(3)를 가진 회전체(1)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삽입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지지되는 지지축(51) 및 상기 지지축의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판(52)을 가진 스테이(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회전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52)은 흡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회전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52)의 저면에 양면접착테이프(54)가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회전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의 외주면은 축구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회전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2)의 상단부 내주면 일측에 방향제 또는 향수를 수용할 수 있는 포켓(24)이 더 설치되고, 상기 상부케이스(3)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상기 방향제 또는 향수가 기화되어 확산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기공(33)이 더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회전체.
KR2019980022700U 1998-11-20 1998-11-20 편심회전체 KR200215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700U KR200215626Y1 (ko) 1998-11-20 1998-11-20 편심회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700U KR200215626Y1 (ko) 1998-11-20 1998-11-20 편심회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117U true KR19990008117U (ko) 1999-02-25
KR200215626Y1 KR200215626Y1 (ko) 2001-09-25

Family

ID=69508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700U KR200215626Y1 (ko) 1998-11-20 1998-11-20 편심회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62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173A (ko) * 2019-10-07 2021-04-15 서민철 애완동물용 놀이 볼 어셈블리
KR102337126B1 (ko) * 2021-09-27 2021-12-09 주식회사 에이로마플라붐 다기능 디퓨저 장치
KR102607910B1 (ko) * 2023-04-10 2023-11-29 이기도 차량용 방향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173A (ko) * 2019-10-07 2021-04-15 서민철 애완동물용 놀이 볼 어셈블리
KR102337126B1 (ko) * 2021-09-27 2021-12-09 주식회사 에이로마플라붐 다기능 디퓨저 장치
KR102607910B1 (ko) * 2023-04-10 2023-11-29 이기도 차량용 방향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626Y1 (ko) 200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2660A (en) Miniature fan for air freshener
US4817311A (en) Decorative ball device
KR200215626Y1 (ko) 편심회전체
KR20050092683A (ko) 절첩식 간판
US7658507B1 (en) Image producing candle apparatus
JP4440423B2 (ja) 風車装置および弾球遊技機
CN212708854U (zh) 一种旋转风口香薰
CN219706628U (zh) 一种车载风口香薰
CN210591314U (zh) 香薰装置
JP3076535U (ja) 風の動きで多様に閃光する座体
CN218463570U (zh) 一种双圆磁吸旋转手机支架
JP4627599B2 (ja) 弾球遊技機の風車
JPH10229592A (ja) スピーカシステム及びその振動板
CN211519195U (zh) 车载香薰装置
CN210363302U (zh) 一种应用于汽车内的空气净化器
CN112297782A (zh) 一种双环动态香薰座
CN217763821U (zh) 一种带旋转升降功能的香薰机
CN219838416U (zh) 一种车载香薰杯
CN212685183U (zh) 香薰装置及车载太阳能香薰座
KR200212762Y1 (ko) 내부 회전부를 갖는 스탠드
USD418914S (en) Combined downrod, blade irons, motor housing and light fixture unit for a ceiling fan
KR200209932Y1 (ko) 차량용 방향구
JP3026077U (ja) 小型仏壇
JP2002284265A (ja) 芳香剤インテリア
KR200280594Y1 (ko) 장식용 회전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