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851U - 곡물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851U
KR19990007851U KR2019980020810U KR19980020810U KR19990007851U KR 19990007851 U KR19990007851 U KR 19990007851U KR 2019980020810 U KR2019980020810 U KR 2019980020810U KR 19980020810 U KR19980020810 U KR 19980020810U KR 19990007851 U KR19990007851 U KR 199900078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s
suction
outside
grain
dischar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8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25032Y1 (ko
Inventor
권오상
Original Assignee
권오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상 filed Critical 권오상
Priority to KR2019980020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03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8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8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0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032Y1/ko

Link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부를 구성하고, 상기 흡입부의 측에 상부로 연통되어 흡입력에 의해 외부로부터 흡입된 곡물을 받아 선택적으로 배출 가능하게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성하며,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곡물과 분리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를 구성한 본체와,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산재한 곡물을 흡입하는 흡입체가 구성되어 산재한 곡물을 흡입하여 곡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분리한 후 곡물은 배출이 가능하도록 저장하고, 이물질을 여과하여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서 곡물의 가공, 운반, 건조 등의 과정에서 주위에 산재한 곡물의 처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먼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곡물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 흡입장치
본 고안은 곡물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곡물을 가공하는 가공라인이나 보관창고, 건조장에서 곡물을 가공, 운반, 건조할 때 기계의 틈이나 바닥에 곡물이 떨어저 쌓이게 되고, 이 곡물을 방치되면 주변 환경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이나 작업이 완료된 후 주변에 산재해 있는 곡물을 빗자루 등으로 쓸어 모은 후 별도의 분리기에 넣고 작동시켜 이물질과 곡물을 분리하고 분리된 곡물은 정상곡물에 포함시킨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산재한 곡물의 처리 과정은 많은 시간과 인원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작업이 번거로웁고 곡물을 모으고 분리할 때 많은 먼지가 비산되어 주변을 먼지로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건강에 해를 끼치는 등 작업 환경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산재한 곡물을 흡입하여 이물질과 곡물을 분리한 후 곡물은 배출이 가능하도록 저장하고, 이물질을 여과하여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하는 곡물흡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흡입장치는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부와; 상기 흡입부의 측에 상부로 연통되어 흡입력에 의해 외부로부터 흡입된 곡물을 받아 선택적으로 배출 가능하게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곡물과 분리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와;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산재한 곡물을 흡입하는 흡입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본체와 흡입체의 연결 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흡입체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20: 송풍부
21: 송풍케이스 22: 팬모터
23: 배출통로 30: 저장부
31: 저장조 32: 배출구
33: 흡입구 34: 개폐부재
35: 투시창 40: 여과부
41: 여과휠터 42: 손잡이
50: 흡입체 51: 플렉시블관
52: 흡입관 53: 흡입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부(20)가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송풍부(20)의 일측에 상부로 연통되어 흡입력에 의해 외부로부터 흡입된 곡물을 받아 선택적으로 배출 가능하게 저장하는 저장부(30)가 구성되며, 상기 저장부(30)의 상부에 곡물과 분리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40)로 구성된 본체(10)를 구성하고, 상기 저장부(30)의 상부에 연결되어 산재한 곡물을 흡입하는 흡입체(50)를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10)는, 하부로 개방된 송풍케이스(21)의 내부에 하향으로 송풍력이 작용하도록 팬모터(22)가 장착되고, 송풍케이스(21)의 상부로 배출통로(23)가 연결된 송풍부(2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송풍부(20)의 일측에 배출통로(23)와 연통되고 하부가 개구된 상광하협형으로 저장조(31)가 구성되어 상기 배출통로(23)와 연통되는 배출구(32)의 하부 소정위치에 외부와 통하는 유입구(33)가 통공되고, 개구된 바닥에 곡물 개폐부재(34)가 슬라이드식으로 삽탈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저장조(31)의 전방 소정위치에는 저장조(31)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35)이 구비된 저장부(3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배출통로(23)와 연통된 배출구(32)의 내측에서 타측으로 횡설되도록 한 쌍의 원통형 여과휠터(41)가 구비되며, 이 여과휠터(41)의 양측 중앙에 회전축(411)(412)이 연장되고, 일측 회전축(411)이 배출통로(23)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축설되어 그 단부에 여과휠터(41)를 자유로이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42)가 부착되며, 타측 회전축(412)이 타측벽에 축설된 여과부(4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송풍케이스(21)의 하부 소정 위치에 흡입체(50)의 부품을 끼워 보관하는 홀더(11)를 다수 구성하고, 송풍부(20)와 저장부(30)의 둘레에 손잡이(12)를 구성하며, 하부의 전`후방에 본체(10)를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도록 로울러(13)를 구성한다.
상기 흡입체(50)는, 본체(10)에 형성된 유입구(33)에 연결된 플렉시블관(51)으로 연결되는 흡입관(52)을 구비하고, 이 흡입관(52)의 하단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흡입부재(53)를 구성한다.
이 흡입부재(53)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52)의 하단에 연결되는 연결관(531)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이 연결관(531)에 입구를 넓게 확장하고 확장된 하부가 개구된 흡입안내관(532)이 형성된다.
또 다른 흡입부재(54)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52)의 하단에 연결되는 원통형 연결관(541)이 구비되고, 이 연결관(541)의 외곽에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 흡입안내관(542)이 일체로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과정과 그에 따르는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원이 인가되어 송풍부(20)의 팬모터(22)가 구동되면 송풍력이 하향으로 발생하여 저장조(31)의 공기는 배출구(32)를 통해 배출통로(23)와 송풍케이스(21)를 경유하여 하부로 배출된다. 이때 저장부(30)의 개폐부재(34)는 폐쇄되어 저장조(31)에는 흡입력이 발생하게 됨으로서 유입구(33)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이와 같이 본체(10)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유입구(33)에 흡입체(50)를 연결하여 곡물이 산재한 위치에 흡입부재(53)의 흡입안내관(532) 입구를 접근시키게 되면 본체(10)의 저장조(31) 내부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이 흡입체(50)의 입구측으로 전달됨으로서 산재한 곡물은 흡입부재(53)→흡입관(52)→플렉시블관(51)을 경유하여 저장조(31) 측으로 유입되어 비중이 작은 이물질과 먼지는 배출구(32)측으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비산하여 여과휠터(41)에 이물질이 여과되고 여과된 공기는 배출구(32)→배출통로(23)→송풍케이스(21)를 경유하여 팬(221)의 하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비중이 큰 곡물은 하부로 떨어저 저장조(31)에 저장된다. 한편 운전중에 간헐적으로 손잡이(42)를 회전시켜 여과휠터(41)를 소정 각도씩 회전시킴으로서 여과 기능이 원할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이물질이 분리되어 저장조(31)에 담긴 곡물의 저장량을 투시창(35)을 통해 확인한 후 포대와 같은 용기를 저장조(31) 하부에 일치시키고 개폐부재(34)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출구가 개방되어 저장조(31) 내에 담긴 곡물은 하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곡물을 흡입하여 이물질과 분리된 곡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곡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완료되면 여과휠터(41)의 회전축(411)에 연결된 손잡이(42)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여과휠터(41)에 낀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부를 구성하고, 상기 흡입부의 측에 상부로 연통되어 흡입력에 의해 외부로부터 흡입된 곡물을 받아 선택적으로 배출 가능하게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성하며,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곡물과 분리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를 구성한 본체와, 저장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산재한 곡물을 흡입하는 흡입체가 구성되어 산재한 곡물을 흡입하여 이물질과 곡물을 분리한 후 곡물은 배출이 가능하도록 저장하고, 이물질을 여과하여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서 곡물의 가공, 운반, 건조 등의 과정에서 주위에 산재한 곡물의 처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처리시 먼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1)

  1. 곡물 흡입장치에 있어서,
    하부로 개방된 송풍케이스(21)의 내부에 하향으로 송풍력이 작용하도록 팬모터(22)가 장착되고 송풍케이스(21)의 상부로 배출통로(23)가 연결된 송풍부(20)를 구성하고, 상기 송풍부(20)의 일측에 배출통로(23)와 연통되고 하부가 개구된 저장조(31)가 구성되어 상기 배출통로(23)와 연통되는 배출구(32)의 하부 소정위치에 외부와 통하는 유입구(33)가 통공되고 개구된 바닥에 개폐부재(34)가 슬라이드식으로 삽탈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저장조(31)의 전방 소정위치에 투시창(35)이 구비된 저장부(30)를 구성하며, 상기 배출통로(23)와 연통된 배출구(32)의 내측에 한 쌍의 여과휠터(41)가 횡설되고 이 여과휠터(41)의 일측에 배출통로(23)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손잡이(42)가 부착된 여과부(40)를 구성한 본체(10)와;
    상기 유입구(33)에 연결되는 플렉시블관(51)과, 이 플렉시블관(51)에 연결되는 흡입관(52)이 구비되고, 이 흡입관(52)의 하단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흡입부재(53)가 구비된 흡입체(50)를 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흡입장치.
KR2019980020810U 1998-10-29 1998-10-29 곡물 흡입장치 KR2002250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810U KR200225032Y1 (ko) 1998-10-29 1998-10-29 곡물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810U KR200225032Y1 (ko) 1998-10-29 1998-10-29 곡물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851U true KR19990007851U (ko) 1999-02-25
KR200225032Y1 KR200225032Y1 (ko) 2001-06-01

Family

ID=69511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810U KR200225032Y1 (ko) 1998-10-29 1998-10-29 곡물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0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161A (ko) * 2000-08-04 2000-12-05 엄재풍 곡물 포집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161A (ko) * 2000-08-04 2000-12-05 엄재풍 곡물 포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032Y1 (ko) 200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1556B2 (en) Cyclonic tool
KR102665316B1 (ko) 먼지통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EP1825798B1 (en)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or of the same
CN1946515B (zh) 用于手持式工具机的尘屑收集容器
WO2016065151A1 (en) Handheld vacuum cleaner
EP2543303B1 (en) Vacuum cleaner with recirculated cooling air
US20080229539A1 (en) Upright vacuum cleaner using return current of discharging air
US9155434B2 (en) Device for connecting vacuum cleaner bag
JP6054626B2 (ja) 電気掃除機
KR101213369B1 (ko) 환류식 청소기
TWI554237B (zh) vacuum cleaner
CN210124714U (zh) 清洁设备和清洁设备总成
US9237835B2 (en) Collecting apparatus of sucked materials for vacuum cleaner appliances
CN1331436C (zh) 电动吸尘器
KR19990007851U (ko) 곡물 흡입장치
JP5024869B2 (ja) 粉体吸引回収車
JP6360543B2 (ja) 電気掃除機
JP2006101904A (ja) 電気掃除機
US20190357744A1 (en) Cylinder Vacuum Cleaner
JP4202905B2 (ja) 電気掃除機
JP7381266B2 (ja) 電気掃除機
JP6972509B2 (ja) パルスジェット式集塵装置
KR101851586B1 (ko) 진공 청소기용 이물질 집진장치
KR100593093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니트
JP3740710B2 (ja) 蓄水機能付き吸込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