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795U - 장식조각이 삽착된 단위편으로 조립된 돗자리 - Google Patents

장식조각이 삽착된 단위편으로 조립된 돗자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795U
KR19990007795U KR2019970031639U KR19970031639U KR19990007795U KR 19990007795 U KR19990007795 U KR 19990007795U KR 2019970031639 U KR2019970031639 U KR 2019970031639U KR 19970031639 U KR19970031639 U KR 19970031639U KR 19990007795 U KR19990007795 U KR 199900077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decorative
unit
pieces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화
Original Assignee
이승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화 filed Critical 이승화
Publication of KR199900077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795U/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조각이 삽착된 단위편으로 조립된 돗자리에 관한 것으로, 시트(14)에 부착되는 단위편(11)으로 조립된 돗자리(10)에 있어서, 상기 단위편(11)에 상면이 좁고 저면이 넓게 경사면을 갖는 안착홈(12)을 형성하고, 상기 단위편(11)과 다른색의 재질인 장식조각(13)을 상기 안착홈(12)에 형합 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안착홈(12)에 장식조각(13)이 삽착된 단위편(11)과 그렇지 않은 단위편(11)을 조화있게 배열하면서 돗자리(10)를 조립하여, 조립된 돗자리(10)의 장식무늬가 착색제에 의하지 않고 원재료의 색상을 이용하였으므로, 착색제가 벗겨지는 문제가 없고 외관이 미려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식조각이 삽착된 단위편으로 조립된 돗자리
본 고안은 단위편에 경사면을 갖는 안착홈을 형성하고 단위편과 색상이 다르고 다른 재질인 장식조각을 삽착한 후에 상기 단위편으로 돗자리를 조립하므로서 착색제가 벗겨지는 염려가 없고 미관이 수려한 장식조각이 삽착된 단위편으로 조립된 돗자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돗자리(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d)의 상면에 다수개의 단위편(b)을 모자이크식으로 부착하여 된 것이다. 그리고, 돗자리(a)에 일정한 장식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단위편(b)의 외부를 착색제(c)로 착색하고, 이와 같이 착색된 단위편(b)과 착색되지 않은 단위편(b)을 조화있게 배열하여 장식무늬가 나타나도록 조립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착색된 단위편(b)을 사용하여 만든 돗자리(a)의 경우,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착색제(c)가 단위편(b)에서 벗겨지게 되어 미관상 안좋은 문제점이 있었고, 무더운 하절기에는 착색제가 벗겨져 옷 등에 묻어 얼룩이 지거나 인체에 묻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돗자리의 조립시 사용되는 단위편에 색상이 다르고 다른 재질인 장식조각을 삽착하여, 조립된 돗자리의 무늬가 착색제에 의하지 않고 원재료의 색상을 이용하여 장식되었으므로, 착색제가 벗겨지는 문제가 없고 미관이 수려한 장식조각이 삽착된 단위편으로 조립된 돗자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단위편을 조립하여 만든 돗 자리를 나타내는 도면 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 단위편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 돗자리의 일부 횡단면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 단위편을 조립하여 만든 돗자리를 나타내는 도면 이고,
도 6은 본 고안 장식조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6a는 사각형이며, 도 6b는 십자형이고, 도 6c는 원형이며, 도 6d는 마름모형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돗자리 11 : 단위편
12 : 안착홈 13 : 장식조각
14 : 시트
이하, 본 고안 장식조각이 삽착된 단위편으로 조립된 돗자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내지 5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시트(14)에 부착되는 단위편(11)으로 조립된 돗자리(10)에 있어서, 상기 단위편(11)에 상면이 좁고 저면이 넓게 경사면을 갖는 안착홈(12)을 형성하고, 상기 단위편(11)과 다른색의 재질인 장식조각(13)을 상기 안착홈(12)에 형합 시킨 것이다.
도 3은 단위편(11)에서 장식조각(13)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단위편(11)은 참나무, 향나무 및 대나무 등의 재질로서 직육면체 형상이고 상면에 상면이 좁고 저면이 넓게 경사면을 갖는 안착홈(12)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장식조각(13)은 참나무, 향나무 및 대나무 등의 재질로서 상기 단위편(11)과는 다른 색상의 다른 재질이고, 상기 안착홈(12)과 대향되는 형상이며, 상기 안착홈(12)에 삽입되어 부착되는 것이다.
도 4는 돗자리(10)의 일부분을 단면한 것으로, 장식조각(13)이 안착홈(12)에 삽입되어 부착된 단위편(11)을 시트(14)위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부착시킨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트(14)는 방수, 방충, 방풍, 역할을 하고 쿠션재로써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5는 장식조각(13)이 삽착된 단위편(11)과 그렇지 않은 단위편(11)을 조화있게 조립하여 만든 돗자리(10)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장식조각(13)이 삽착된 단위편(11)의 배열을 달리하면 여러형태의 장식무늬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도 6은 단위편(11)의 안착홈(12)에 삽착되는 장식조각(13)의 여려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사각형, 십자형, 원형 및 마름모형 등 여러형태로 장식조각(13)을 제작하여 단위편(11)에 삽착할 수 있으므로써, 이와같은 단위편(11)으로 돗자리(10)를 조립시에 다양한 장식무늬를 만들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돗자리(1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단위편(11)에 상면이 좁고 하면이 넓게 경사면을 갖도록 안착홈(12)을 천공 시키고 이에 대응되는 장식조각(13)을 조각한 후에, 상기 장식조각(13)을 안착홈(12)의 저면으로 부터 삽입 시켜 밀착되게 한다. 이때, 장식조각(13)은 접착제 등의 부착수단을 이용해 안착홈(12)에 압착시킴으로서 안착홈(12)으로 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장식조각(13)이 단위편(11)에 삽착되면, 단위편(11)의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하고 깨끗하게 표면처리한다. 그런후에, 이와 같은 장식조각(13)이 삽착된 단위편(11)과 그렇지 않은 단위편(11)을 조화있게 배열하면서 시트(14)위에 부착시키면 다향한 장식무늬를 갖는 돗자리(10)가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안착홈(12)에 장식조각(13)이 삽착된 단위편(11)과 그렇지 않은 단위편(11)을 조화있게 배열하면서 돗자리(10)를 조립하여, 조립된 돗자리(10)의 장식무늬가 착색제에 의하지 않고 원재료의 색상을 이용하였으므로, 착색제가 벗겨지는 문제가 없고 미관이 수려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시트(14)에 부착되는 단위편(11)으로 조립된 돗자리(10)에 있어서,
    상기 단위편(11)에 상면이 좁고 저면이 넓게 경사면을 갖는 안착홈(12)을 형성하고, 상기 단위편(11)과 다른색의 재질인 장식조각(13)을 상기 안착홈(12)에 형합 시킨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조각이 삽착된 단위편으로 조립된 돗자리.
KR2019970031639U 1997-07-25 1997-11-11 장식조각이 삽착된 단위편으로 조립된 돗자리 KR19990007795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70019660 1997-07-25
KR97-19660 1997-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795U true KR19990007795U (ko) 1999-02-25

Family

ID=6970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639U KR19990007795U (ko) 1997-07-25 1997-11-11 장식조각이 삽착된 단위편으로 조립된 돗자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779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687A (ko) * 1999-10-19 2001-05-15 최재범 다용도 나무 자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687A (ko) * 1999-10-19 2001-05-15 최재범 다용도 나무 자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6311B2 (ja) 装飾要素および装飾要素を備えるプラスチック部品
KR19990007795U (ko) 장식조각이 삽착된 단위편으로 조립된 돗자리
CN213188976U (zh) 一种具有防止镜面边缘氧化发黑的镜子
USD444416S1 (en) Decorative bow
KR200430184Y1 (ko) 인조 대리석 부분 장식 판재
JP4458392B2 (ja) 装飾パネル板
KR100970203B1 (ko) 가변 장식부재가 구비된 조명등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940006835Y1 (ko) 장식용구
KR910006713Y1 (ko) 꽃 병
USD484435S1 (en) Decorative cylinder
KR200192796Y1 (ko) 주방용 싱크대 도어
KR200260341Y1 (ko) 합성수지 장식물
CN208365341U (zh) 一种新型的led吸顶灯
KR200393451Y1 (ko) 체인형 보석을 갖는 벽시계
KR20110095683A (ko) 가구용 판넬
KR200232192Y1 (ko) 동판을 이용한 장식물 조립구조
KR19980014519U (ko) 전등갓
CN2398789Y (zh) 一种可更换面板装饰物的电视机
JP3043752U (ja) 鎧兜の化粧板
KR200346794Y1 (ko) 이중 프레임 구조의 장식용 액자
KR200176152Y1 (ko) 가구용 문짝
KR200352207Y1 (ko) 장식물 결합구조
KR200202602Y1 (ko) 비누
KR890008987Y1 (ko) 장식구가 설치된 쇼파
KR200177864Y1 (ko) 아이스버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