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679A -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679A
KR19990007679A KR1019980044058A KR19980044058A KR19990007679A KR 19990007679 A KR19990007679 A KR 19990007679A KR 1019980044058 A KR1019980044058 A KR 1019980044058A KR 19980044058 A KR19980044058 A KR 19980044058A KR 19990007679 A KR19990007679 A KR 19990007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washing water
flow rate
water supply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김정호
주식회사 정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호, 주식회사 정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김정호
Priority to KR1019980044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7679A/ko
Publication of KR1999000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679A/ko

Links

Landscapes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공급파이프를 따라 흐르는 하수, 정수, 화학수 및 냉각수 등의 유체의 유량 또는 유체압력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공급파이프에 설치된 측정관의 감지센서가 이물질에 의해 센싱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감지센서를 세척하는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에는 공급파이프가 접속되어 유체가 저장탱크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공급파이프의 일측에는 측정관이 장착되며, 상기 측정관에는 유량 및 유압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된 센서하우징이 착설된다.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는 세척수공급로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수공급로의 상단부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세척수공급부가 접속되며, 하단부에는 분사노즐이 착설되어 감지센서에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개폐동작을 함으로써 세척수가 세척수공급로 및 분사노즐을 통해 감지센서에 분사되므로 감지센서에 달라붙어 있는 이물질은 세척수에 의해 제거된다.

Description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
본 발명은 전자식으로 유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파이프를 따라 흐르는 하수, 정수, 폐수, 화학수 및 냉각수 등의 유체의 유량 또는 유체압력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공급파이프에 설치된 측정관의 감지센서가 이물질에 의해 센싱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감지센서를 세척하는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유량계를 유체가 흐르는 측정관에 설치하고, 측정관은 유체가 흐르는 공급파이프에 설치함으로써 공급파이프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유량 및 유체압력을 측정관의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게 된다. 상기 측정관의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유체의 유량 및 유체압력등의 정보신호는 유량계에 인가되어 측정자가 유체의 유량 및 압력을 알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측정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에 슬러리 및 고형물이 함유되어 있거나 또는 측정관을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는 측정관의 감지센서에 이물질 등이 달라붙어 감지센서의 센싱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측정관에 설치된 유량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유량 측정장치의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체가 흐르는 공급파이프(도시 안됨)의 일측에는 측정관(10)이 설치되고, 상기 측정관(10)의 몸체 중심에는 유량계(12)와 일체로 형성된 센서하우징(14)이 착설된다. 상기 센서하우징(14)의 하부 끝단은 측정관(10)의 몸체 중심을 관통하여 측정관(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착설된다. 상기 센서하우징(14)의 상단부에는 유량계(12)가 설치되어 있고, 센서하우징(14)의 하부 끝단에는 측정관(10)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하우징(14)은 내부가 공간인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량계(12)의 마이컴(18)과 감지센서(16)를 연결하는 와이어(도시 안됨)는 센서하우징(14)의 내부에 삽설된다. 상기 센서하우징(14)의 하단의 끝면과 옆면은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하우징(14)의 하부 끝면에 감지센서(16)가 하부로 돌출되도록 착설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감지센서(16)는 센서하우징(14)의 끝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감지센서(16)의 주위에는 이물질이 달라붙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16)의 주위에 이물질이 많이 달라붙게 되면 이물질에 의해 감지센서(16)와 센서하우징(14)이 서로 쇼트되어 감지센서(16)가 정상적으로 센싱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파이프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량 또는 유체압력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공급파이프에 설치된 측정관의 감지센서가 이물질에 의해 센싱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감지센서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측정관에 설치된 유량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유량 측정장치의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를 이용하여 감지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내설된 초음파발생기를 이용하여 감지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초음파발생기를 이용하여 감지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측정관 50 : 센서하우징
52 : 세척수공급로 54 : 분사노즐
56 : 절곡홈 58 : 삽입부
60 : 감지센서 70 : 유량계
72 : 마이컴 74 : 메모리부
80 : 세척수공급부 100 : 요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의 유량 및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가 착설되며, 측정관의 몸체에 장착되는 센서하우징; 센서하우징의 상부에 착설되는 유량계로 이루어지는 유량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관에 장착되는 센서하우징에는 감지센서의 표면 및 주위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수단; 상기 세척수단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수단; 그리고 상기 세척수단 및 세척수공급수단에 의해 감지센서를 일정한 주기로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단 및 세척수공급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세척수공급로의 하부 끝단은 감지센서의 근접부에 위치하며, 세척수공급로의 하부끝단에는 분사노즐이 착설되고, 세척수공굽로의 상측에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세척수공급부가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에는 마이컴이 접속되어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신호는 마이컴에 인가되고, 상기 마이컴에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접속되어 마이컴으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가 개폐동작을 함으로써 세척수공급로를 통해 분사노즐에 세척수가 인가되어 분사노즐이 세척수를 분사하여 감지센서를 세척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수, 정수, 화학액체, 냉각수 및 폐수 등의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에는 공급파이프가 접속되어 유체가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공급파이프의 일측에는 유량 및 유압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된 센서하우징이 착설되는 측정관이 장착된다.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는 세척수공급로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수공급로의 상단부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세척수공급부가 접속되며, 하단부에는 분사노즐이 착설되어 감지센서에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개폐동작을 함으로써 세척수가 세척수공급로 및 분사노즐을 통해 감지센서에 분사되므로 감지센서에 달라붙어 있는 이물질은 세척수에 의해 제거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를 이용하여 감지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내설된 초음파발생기를 이용하여 감지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초음파발생기를 이용하여 감지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화학액체, 냉각수 및 폐수 등의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도시 안됨)의 일측에는 유체의 유량 또는 유압을 측정하는 측정관(40)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측정관(40)에는 유체의 유량 및 유압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0)와 상기 감지센서(60)가 착설되는 센서하우징(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하우징(50)의 상단부에는 감지센서(60)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연산하여 표시하는 유량계(70)가 설치되며, 상기 센서하우징(50)은 내부가 공간으로 된 파이프(pipe)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센서하우징(50)의 하부 끝단은 브이(V)형상으로 끝이 뾰족하며, 끝단의 빗면에는 감지센서(60)가 돌출되는 일정 크기의 절곡홈(56)이 구비된다. 상기 센서하우징(50)의 내부에는 감지센서(60)가 내설되고, 상기 감지센서(60)의 하단 끝은 센서하우징(50)의 절곡홈(56)에 돌출된다. 상기 센서하우징(50)의 내부 중심에는 세척수공급로(52)가 내설되고, 상기 세척수공급로(52)의 하부 끝단은 각각의 감지센서(60)에 근접하도록 분로가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공급로(52)의 분로 끝단에는 분사노즐(54)이 장착된다. 상기 세척수공급로(52)의 상단부에는 솔레노이드밸브(82)가 장착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2)를 통해 세척수공급부(80)가 접속된다. 상기 세척수공급부(80)는 솔레노이드밸브(82)를 통해 세척수공급로(52)에 접속되며, 세척수공급부(80)는 측정관(40)의 근접부에 설치된다. 상기 감지센서(60) 및 솔레노이드밸브(82)는 유량계(70)에 구비되는 마이컴(72)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감지센서(60)는 마이컴(72)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을 하여 유체의 유량 및 유압등을 감지하게 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2)는 마이컴(72)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개폐동작을 하여 세척수공급부(80)로부터 세척수가 세척수공급로(52)에 인가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비된 본 발명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감지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설명하면, 하수, 정수, 화학액체, 냉각수 및 폐수 등의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의 일측에 접속된 측정관(40)에 장착되어 유체의 유압 및 유량 등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0)를 자동으로 세척하기 위하여 마이컴(72)에는 일정한 주기로 솔레노이드밸브(82)를 오픈 및 잠금절환시키는 기능을 구비시킨다. 따라서, 상기 마이컴(72)은 설정된 시간이 되면 솔레노이드밸브(82)에 오픈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2)가 마이컴(72)으로부터 인가된 오픈신호에 의해 오픈되면 세척수공급부(80)로부터 세척수가 세척수공급로(52)에 인가된다. 상기 세척수공급로(52)에 인가된 세척수는 분사노즐(54)을 통해 감지센서(60)에 분사되므로 감지센서(60)의 표면 및 주변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분사노즐(54)로부터 강하게 인가되는 세척수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 마이컴(72)은 일정한 시간동안 솔레노이드밸브(82)를 오픈시킨 후 잠금절환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82)에 인가함으로써 솔레노이드밸브(82)를 잠그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2)가 잠금절환되면 세척수공급부(80)로부터 세척수공급로(52)에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분사노즐(54)을 통해 세척수가 감지센서(60)에 인가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마이컴(72)은 솔레노이드밸브(82)를 오픈시켜 감지센서(60)를 세척할 경우에는 솔레노이드밸브(82)를 오픈시키기 전에 감지센서(60)로부터 인가된 유량 및 유압에 관한 데이터신호를 메모리부(74)에 메모리시킨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2)를 오픈시켜 감지센서(60)를 세척하는 동안에는 마이컴(72)은 메모리부(74)에 저장되어 있는 유량 및 유압에 관 한 데이터를 읽어들여 공급파이프 및 측정관(40)을 통해 흐르는 유량 및 유압을 계속하여 유량계(70)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세척수공급로(52)에 접속되는 세척수공급부(80)를 대신하여 에어컴퓨레셔(도시 안됨)를 접속시키게 되면 세척수공급로(52)를 통하여 에어(air)가 공급된다. 즉, 상기 에어컴퓨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는 세척수공급로(52)를 통해 분사노즐(54)에 인가되고, 상기 분사노즐(54)에 인가된 에어는 감지센서(60)에 분사되어 감지센서(60)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의 일측에 접속되어 유체의 유량 또는 유압을 측정하는 측정관(40)의 감지센서(60)에는 유체에 함유된 이물질이 표면 및 주위에 달라붙는다. 따라서, 상기 측정관(40)에 착설된 감지센서(60)의 표면 및 주위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하여 센서하우징(50)의 상단부에는 감지센서(60)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연산하여 표시하는 유량계(70)가 설치되며, 상기 센서하우징(50)은 내부가 공간으로 된 파이프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센서하우징(50)의 하부 끝단은 브이(V)형상으로 끝이 뾰족하며, 끝단의 빗면에는 감지센서(60)가 돌출되는 일정 크기의 절곡홈(56)이 구비된다. 상기 센서하우징(50)의 내부에는 감지센서(60)가 내설되고, 상기 감지센서(60)의 하단 끝은 센서하우징(50)의 절곡홈(56)에 돌출된다. 상기 센서하우징(50)의 하부에 설치된 감지센서(60)의 상측에는 초음파발생기(90)가 내설된다. 상기 초음파발생기(90)는 감지센서(60)에 근접하도록 센서하우징(50)의 내부에 내설되며, 상기 초음파발생기(90) 및 감지센서(60)는 각각 유량계(70)에 구비되는 마이컴(72)에 접속되고, 상기 감지센서(60)는 마이컴(72)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을 하여 유체의 유량 및 유압등을 감지하게 되며, 상기 초음파발생기(90)는 마이컴(72)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을 하여 초음파가 감지센서(60)에 인가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내부 초음파발생기를 이용하여 감지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설명하면,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의 유량 및 유압을 측정하는 측정관(40)의 감지센서(60)에는 유체에 함유된 이물질이 달라붙는다. 따라서, 측정관(40)을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측정관(40)의 감지센서(60)를 세척해주어야 정확한 유량 및 유압을 감지하게 되므로 유량계(70)에 구비되는 마이컴(72)은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센서하우징(50)의 내부에 내설된 초음파발생기(90)에 동작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초음파발생기(90)는 마이컴(72)으로부터 동작신호가 인가되면 즉시 초음파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초음파발생기(90)가 초음파를 발생하게 되면 초음파에 의해 센서하우징(50)의 하단부에 진동이 발생하여 감지센서(60)에 인가된다. 상기 감지센서(60)가 진동에 의해 미세하게 흔들리면 감지센서(60)의 표면 및 주위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떨어져 나가게 되므로 감지센서(60)는 원활하게 센싱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72)은 초음파발생기(90)를 동작시켜 감지센서(60)의 표면 및 주위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경우에는 초음파발생기(90)를 동작시키기 전에 감지센서(60)로부터 인가된 유량 및 유압에 관한 데이터신호를 메모리부(74)에 메모리시킨다. 상기 초음파발생기(90)를 동작시켜 감지센서(60)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안에는 마이컴(72)은 메모리부(74)에 저장되어 있는 유량 및 유압에 관 한 데이터를 읽어들여 공급파이프 및 측정관(40)을 통해 흐르는 유량 및 유압을 계속하여 유량계(70)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에는 측정관(40)이 접속되고, 상기 측정관(40)에는 공급파이프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유압 및 유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지센서(60)의 표면 및 주위에는 유체에 함유된 이물질이 달라붙어 감지센서(60)가 원활한 센싱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측정관(40)에 착설된 감지센서(60)의 표면 및 주위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센서하우징(50)의 끝단 하부에는 초음파발생기(90)가 장착된다. 즉, 상기 센서하우징(50)은 내부가 공간으로 된 파이프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센서하우징(50)의 하부 끝단은 브이(V)형상으로 끝이 뾰족하며, 끝단의 빗면에는 감지센서(60)가 돌출되는 일정 크기의 절곡홈(56)이 구비된다. 상기 센서하우징(50)의 내부에는 감지센서(60)가 내설되고, 상기 감지센서(60)의 하단 끝은 센서하우징(50)의 절곡홈(56)에 돌출된다. 상기 센서하우징(50)의 끝단과 일정한 거리에는 초음파발생기(90)가 장착된다. 상기 초음파발생기(90)는 감지센서(60)에 근접하도록 센서하우징(50)의 끝단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초음파발생기(90) 및 감지센서(60)는 각각 유량계(70)에 구비되는 마이컴(72)에 접속되고, 상기 감지센서(60)는 마이컴(72)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을 하여 유체의 유량 및 유압등을 감지하게 되며, 상기 초음파발생기(90)는 마이컴(72)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을 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초음파가 감지센서(60)의 표면 및 주위에 인가되도록 한다.
미설명부호 92는 초음파발생기 하우징이다.
이와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외부 초음파발생기를 이용하여 감지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설명하면,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의 유량 및 유압을 측정하는 측정관(40)의 감지센서(60)에는 유체에 함유된 이물질이 달라붙는다. 따라서, 측정관(40)을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측정관(40)의 감지센서(60)를 세척해주어야 정확한 유량 및 유압을 감지하게 되므로 유량계(70)에 구비되는 마이컴(72)은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센서하우징(50)의 하부에 설치된 초음파발생기(90)에 동작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초음파발생기(90)는 마이컴(72)으로부터 동작신호가 인가되면 즉시 초음파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초음파발생기(90)가 초음파를 발생하게 되면 초음파가 감지센서(60) 및 센서하우징(50)의 하단부에 인가되고, 상기 감지센서(60) 및 센서하우징(50)은 초음파발생기(90)로부터 인가되는 초음파에 의해 진동을 하여 감지센서(60) 및 센서하우징(50)의 끝단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60)가 초음파에 의해 미세하게 흔들리면 감지센서(60)의 표면 및 주위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떨어져 나가게 되므로 감지센서(60)는 원활하게 센싱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화학액체, 냉각수 및 폐수 등의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의 일측에 접속된 측정관(40)에는 유체의 유량 및 유압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0)와 상기 감지센서(60)가 착설되는 센서하우징(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하우징(50)의 상단부에는 감지센서(60)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연산하여 표시하는 유량계(70)가 설치되며, 유량계(70)의 내부에는 마이컴(72)이 구비된다. 상기 센서하우징(50)은 측정관(40)의 내부로 삽입되며, 센서하우징(50)의 하단부는 측정관(40)의 중심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측정관(40)의 내부에 삽입된 센서하우징(50)은 측정관(40)의 중심부까지 위치하게 되므로 길이가 길게 된다. 상기 센서하우징(50)중에서 측정관(40)의 내부에 삽입된 부위에 해당하는 삽입부(58)에는 다수개의 감지센서(60)가 착설된다. 상기 삽입부(58)에는 감지센서(60)가 외부로 많이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유체의 유압 및 유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각각 요홈(10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각 요홈(100)에 돌출된 감지센서(60)에도 이물질이 고착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각 감지센서(60)의 근접부에는 세척수공급로(52)를 통해 세척수공급부(80)에 연결되는 분사노즐(54)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각 감지센서(60)에서 감지되는 유체의 유량 및 유압에 관한 감지신호는 각각 마이컴(72)에 인가된다.
이와같이 구비된 본 발명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감지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설명하면, 하수, 정수, 화학액체, 냉각수 및 폐수 등의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의 일측에 접속된 측정관(40)에 장착되어 내설되는 삽입부(58)에는 하단부 및 측면에 다수개의 감지센서(60)가 착설되므로 측정관(40)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유압 및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부(58)의 측면에 착설되는 감지센서(60)와 삽입부(58)의 하단부에 착설되는 감지센서(60)는 측정관(40)의 중심부로부터 가변까지 각각의 위치에 착설되므로 각각의 위치에서 유체의 유량 및 유압을 감지하여 마이컴(72)에 인가하므로 정확한 유체의 유압 및 유량을 측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58)의 측면 및 하단부에 각각 착설된 감지센서(60)의 근접부에는 세척수공급부(80)로부터 세척수공급로(52)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54)이 각각 설치되므로 각 감지센서(60)에 이물질이 고착되어도 감지센서(60)에 세척수를 분사시켜 감지센서(60)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에는 공급파이프가 접속되어 유체가 저장탱크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공급파이프의 일측에는 측정관이 장착되며, 상기 측정관에는 유량 및 유압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된 센서하우징이 착설된다.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는 세척수공급로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수공급로의 상단부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세척수공급부가 접속되며, 하단부에는 분사노즐이 착설되어 감지센서에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개폐동작을 함으로써 세척수가 세척수공급로 및 분사노즐을 통해 감지센서에 분사되므로 감지센서에 달라붙어 있는 이물질은 세척수에 의해 제거된다.

Claims (10)

  1. 화학액체, 냉각수 및 폐수 등의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 상기 공급파이프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유압 및 유량을 측정하는 감지센서(60), 상기 감지센서(60)가 하부에 착설되는 센서하우징(50), 상기 센서하우징(50)이 몸체 중심에 장착되는 측정관(40)으로 구성되는 유량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관(40)에 장착되는 센서하우징(50)에는 감지센서(60)의 표면 및 주위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수단; 상기 세척수단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80); 그리고 상기 세척수단 및 세척수공급부에 의해 감지센서를 일정한 주기로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단 및 세척수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은 센서하우징(50)의 내부에 구비되며, 측정관(40)의 근접부에 설치된 세척수공급부(8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공급로(52); 그리고 상기 세척수공급로(52)의 끝단에 착설되며, 감지센서(60)에 근접하도록 위치하는 분사노즐(54)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50)의 끝단은 브이(V)형상을 하고, 감지센서(60)가 돌출되는 부위에는 일정 크기의 절곡홈(5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세척수공급로(52)와 세척수공급부(80)의 사이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세척수공급부(80)로부터 세척수공급로(52)측으로 공급되도록 개폐동작을 하는 솔레노이드밸브(82); 그리고 솔레노이드밸브(82)에 접속되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일정한 시간동안 솔레노이드밸브(82)를 오픈시킴으로써 세척수가 세척수공급부(80)로부터 세척수공급로(52)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마이컴(7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은 센서하우징(50)의 하부에 설치된 감지센서(60)의 상측에 초음파발생기(90)가 내설되고, 상기 초음파발생기(90) 및 감지센서(60)는 각각 유량계(70)에 구비되는 마이컴(72)에 접속되며, 상기 초음파발생기(90)는 마이컴(72)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을 하여 초음파가 감지센서(60)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초음파에 의해 센서하우징(50) 및 감지센서(60)에 진동이 인가되어 감지센서(60)의 표면 및 주위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은 센서하우징(50)의 끝단과 일정한 거리에는 초음파발생기(90)가 장착되고, 상기 센서하우징(50)의 끝단 하부에 장착되는 초음파발생기(90)는 감지센서(60)에 근접하며, 상기 초음파발생기(90)는 마이컴(72)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을 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초음파가 감지센서(60)의 표면 및 주위에 인가되어 감지센서(60)의 표면 및 주위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72)은 초음파발생기(90)를 동작시켜 감지센서(60)의 표면 및 주위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경우에는 초음파발생기(90)를 동작시키기 전에 감지센서(60)로부터 인가된 유량 및 유압에 관한 데이터신호를 메모리부(74)에 메모리시킨 후 초음파발생기(90)를 동작시켜 감지센서(60)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안에는 메모리부(74)에 저장되어 있는 유량 및 유압에 관 한 데이터를 읽어들여 공급파이프 및 측정관(40)을 통해 흐르는 유량 및 유압을 계속하여 유량계(70)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공급부(80)를 대신하여 에어컴퓨레셔를 접속시켜 세척수공급로(52)를 통하여 에어가 분사노즐(54)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에어가 감지센서(60)에 분사되어 에어에 의해 감지센서(60)에 붙어 있는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관(40)에 삽입되는 센서하우징(50)의 삽입부(58)에는 측면에 감지센서(60) 및 세척수를 감지센서(60)에 분사시키는 분사노즐(54)이 착설되며, 상기 삽입부(58)의 측면에 착설되는 감지센서(60)로부터 감지되는 감지신호는 마이컴(72)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50)의 삽입부(58)의 측면에는 감지센서(60)가 착설되도록 요홈(1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
KR1019980044058A 1998-10-21 1998-10-21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 KR19990007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058A KR19990007679A (ko) 1998-10-21 1998-10-21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058A KR19990007679A (ko) 1998-10-21 1998-10-21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679A true KR19990007679A (ko) 1999-01-25

Family

ID=6589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058A KR19990007679A (ko) 1998-10-21 1998-10-21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767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830B1 (ko) * 2000-03-29 2005-03-30 주식회사 포스코 유속 측정시스템의 이물질 제거방법
KR100862777B1 (ko) * 2002-09-10 2008-10-13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풍구 냉각수 유량계 세척장치
KR20140104466A (ko) * 2012-01-19 2014-08-28 날코 컴퍼니 파울링 감소 기기 및 방법
KR101435149B1 (ko) * 2012-09-27 2014-09-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수질 감지센서
KR200482755Y1 (ko) * 2016-06-14 2017-03-03 (주)두일테크 열선식 유속계 퍼징 장치
KR20170030268A (ko) 2015-09-09 2017-03-17 웨스글로벌 주식회사 내장형 세척장치를 구비한 거리 측정용 초음파 센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830B1 (ko) * 2000-03-29 2005-03-30 주식회사 포스코 유속 측정시스템의 이물질 제거방법
KR100862777B1 (ko) * 2002-09-10 2008-10-13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풍구 냉각수 유량계 세척장치
KR20140104466A (ko) * 2012-01-19 2014-08-28 날코 컴퍼니 파울링 감소 기기 및 방법
KR101435149B1 (ko) * 2012-09-27 2014-09-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수질 감지센서
KR20170030268A (ko) 2015-09-09 2017-03-17 웨스글로벌 주식회사 내장형 세척장치를 구비한 거리 측정용 초음파 센서
KR200482755Y1 (ko) * 2016-06-14 2017-03-03 (주)두일테크 열선식 유속계 퍼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19227C (en) Dispenser
US5511408A (en) Automatic calibrating apparatus for laboratory ion concentration meter
EP1592524B1 (en)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existence of obstructions in the passageways of a medical instrument
KR19990007679A (ko)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유량 측정장치
JPH1114528A (ja) タンクに入った液体のレベルおよび密度を測定する設備および方法
KR920701775A (ko) 컨덴서의 전열, 즉 효율을 감시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775943A (zh) 储罐液位测量装置及测量方法
US39620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properties of liquids
KR19990007544A (ko)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 슬러리 농도 측정장치
US20180008117A1 (en) Geschirrspueler mit sensoreinheit zur bestimmung einer drehbewegung eines sprueharms
US8297131B2 (en) Apparatus for the measurement of liquid flow rates
KR100919404B1 (ko) 세탁기의 급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8233023A (ja) 液体容器の排水量測定装置
US6189547B1 (en) Ultrasonic washing apparatus
US4680965A (en) Process for continuous density measurement
CN2653459Y (zh) 带有冲洗机构的液位计
CN106793934A (zh) 内窥镜清洗消毒机
KR102647289B1 (ko) 다측점 수중 센싱 및 경보 시스템
JP2005233640A (ja) 超音波式空中センサによる測距方法
US20070193604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fluid flow in a passageway of a medical device using pressure measurement
KR0133414Y1 (ko) 용광로 집진수의 페하 측정장치
CN1600941A (zh) 装有水质检测装置的洗衣机及其洗衣方法
JP3604102B2 (ja) ヘッドベッセル
KR100484842B1 (ko) 세탁수의 경도측정이 가능한 세탁기 및 세탁방법
CN107581999A (zh) 具有用于确定喷臂的转动运动的传感器单元的洗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