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686U -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686U
KR19990006686U KR2019970020171U KR19970020171U KR19990006686U KR 19990006686 U KR19990006686 U KR 19990006686U KR 2019970020171 U KR2019970020171 U KR 2019970020171U KR 19970020171 U KR19970020171 U KR 19970020171U KR 19990006686 U KR19990006686 U KR 199900066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rum
assembly
holder
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욱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20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6686U/ko
Publication of KR199900066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686U/ko

Links

Landscapes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를 개시한다.
종래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는, 축의 상부에 홀더가 압입되면서 그 충격에 의해 축의 틀어짐이 발생되며, 축의 틀어짐으로 발생되는 충격이 로워 드럼으로 대부분 전달되면서 축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 변형, 즉 기울어져 제품의 조립 불량이 발생되므로, 제품의 수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축의 하부 끝은 소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로워 드럼의 축구멍에 압입되고, 로워 드럼의 하면에 축을 클램프에 의해 클램핑할 수 있도록 클램핑 여유공간이 대략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축의 상부 끝에 홀더를 압입시킬 때 축의 하부 끝은 스토퍼에 의해 받쳐진다.
따라서, 로워 드럼의 클램핑 여유공간을 이용하여 축을 클램핑시킴과 아울러 스토퍼에 의해 받쳐주는 단순한 구성 및 구조에 의해 홀더의 압입시 축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므로, 조립 불량이 방지되어 제품의 수율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
본 고안은 헤드 드럼 조립체(head drum assembly)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한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나 캠코더(camcorder) 등과 같은 테이프 레코더는, 헤드 드럼 조립체의 회전에 의해 주행계의 일정한 주행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카세트(cassette)의 테이프에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이를 재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에 대한 하나의 예를 도 1a 및 1b에 나타내어 설명하면, 헤드 드럼 조립체는 어퍼 드럼(upper drum: 10)과 로워 드럼(lower drum: 11)이 축(12)의 상.하부에 각각 장착된다. 이때, 어퍼 드럼(10)은 상.하부 베어링(bearing: 13)(14)의 지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12)에 장착되고, 로워 드럼(11)은 축(12)에 압입(壓入)되어 장착된다.
또한, 어퍼 드럼(10)과 로워 드럼(11) 사이의 공간에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로우터 및 스테이터 트랜스포머(rotor and stator transformer: 15)(16)가 서로 일정한 공극(air gap)이 유지되도록 각각 개재된다. 그리고, 어퍼 드럼(10)의 하면에 두 개이상의 비디오 헤드(video head: 17)가 각각 조립되고, 어퍼 드럼(10)의 상부에 드럼 모터(drum motor: 20)가 설치된다.
한편, 드럼 모터(20)는 축(12)의 상부에 홀더(holder: 21)가 압입에 의해 장착되며, 드럼 모터(20)의 홀더(21)에 회로기판(22)이 장착된다. 회로기판(22)의 하면에 스테이터(stator: 23)가 설치되고, 이 스테이터(23)의 코일(coil: 24)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磁界)로 인하여 축(12)을 중심으로 어퍼 드럼(10)을 회전시키는 로우터(rotor: 25)가 마그네트(magnet: 26)를 갖도록 어퍼 드럼(10)의 상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드럼 모터(20)의 구동에 따라 어퍼 드럼(10)이 축(1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비디오 헤드(17)의 작용에 의해 비디오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는, 로워 드럼(11)의 중앙에 축(12)을 압입에 의해 조립시킨 상태에서, 이 축(12)의 상부에서 어퍼 드럼(10)과 드럼 모터(20)의 홀더(21)를 조립시켜야 하므로, 축(12)의 변형이 발생되어 제품의 조립 불량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었다. 요컨대, 축(12)의 상부에 홀더(21)가 압입되면서 그 충격에 의해 축(12)의 틀어짐이 발생되며, 이 축(12)의 틀어짐으로 발생되는 충격이 로워 드럼(11)으로 대부분 전달되면서 축(12)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 변형, 즉 기울어져 제품의 조립 불량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율(收率)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축(12)의 변형은 축(12)의 상부에 도시하지 않은 예압 보스 등을 나사에 의해 체결시킬 경우에, 나사의 체결력에 의해 심각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 및 구조에 의해 축의 변형이 방지되어 제품의 수율이 향상되도록 한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어퍼 드럼(upper drum) 31; 로워 드럼(lower drum)
32; 축 37; 비디오 헤드(video head)
40; 드럼 모터(drun motor) 41; 홀더(holder)
43; 스테이터(stator) 45; 로우터(rotor)
50; (로워 드럼의) 클램핑 여유공간 55; 클램프(clamp)
56; 스토퍼(stopper) 57; 프레스(pres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비디오 헤드가 조립되는 어퍼 드럼과 로워 드럼이 축의 상.하부에 각각 끼워져 장착되고, 비디오 헤드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로우터 및 스테이터 트랜스포머가 개재되며, 축의 상부에 드럼 모터의 홀더가 압입에 의해 장착되는 헤드 드럼 조립체에 있어서, 축의 하부 끝은 소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로워 드럼의 축구멍에 압입되고, 로워 드럼의 하면에 축을 클램프에 의해 클램핑할 수 있도록 클램핑 여유공간이 대략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축의 상부 끝에 홀더를 압입시킬 때 축의 하부 끝은 스토퍼에 의해 받쳐지는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드럼 조립체는 어퍼 드럼(30)과 로워 드럼(31)이 축(32)의 상.하부에 각각 장착된다. 어퍼 드럼(30)은 상.하부 베어링(33)(34)의 지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32)에 장착되고, 로워 드럼(31)의 축구멍(31a)은 축(32)에 압입되어 장착된다. 이때, 축(32)의 하부 끝은 로워 드럼(31)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길이(L)로 돌출되도록 축구멍(31a)에 압입된다.
여기에서, 상.하부 베어링(33)(34)은 오일리스 베어링(oilless bearin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리스 베어링은 소결 금속(燒結 金屬)의 다공질(多孔質)에 오일(oil)을 침투(浸透)시킨 것이므로, 오일리스 베어링을 사용할 때 오일이 베어링면에 유막을 형성하여 축(12)의 회전을 원활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어퍼 드럼(30)과 로워 드럼(31) 사이의 공간에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로우터 및 스테이터 트랜스포머(35)(36)가 서로 일정한 공극이 유지되도록 각각 개재된다. 그리고, 어퍼 드럼(30)의 하면에 비디오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을 수행하는 두 개이상의 비디오 헤드(37)가 각각 조립되고, 어퍼 드럼(30)의 상부에 어퍼 드럼(30)을 회전시키기 위한 드럼 모터(40)가 설치된다.
한편, 드럼 모터(40)는 축(32)의 상부에 홀더(41)가 압입에 의해 장착되며, 드럼 모터(40)의 홀더(41)에 회로기판(42)이 장착된다. 회로기판(42)의 하면에 스테이터(43)가 설치되고, 이 스테이터(43)의 코일(44)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로 인하여 축(42)을 중심으로 어퍼 드럼(30)을 회전시키는 로우터(45)가 마그네트(46)를 갖도록 어퍼 드럼(30)의 상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드럼 모터(40)의 구동에 따라 어퍼 드럼(30)이 축(3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비디오 헤드(37)의 작용에 의해 비디오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수행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로워 드럼(31)의 하면에 축(32)을 클램핑(clamping)할 수 있도록 클램핑 여유공간(50)이 형성된다. 클램핑 여유공간(50)은 축구멍(31a)을 중심으로 그 외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대략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클램프 여유공간(50)을 이용하여 축(32)이 클램프(clamp: 55)에 의해 클램핑된다. 한편, 축(32)의 상부 끝에 홀더(41)를 압입시킬 때에는 축(32)의 하부 끝은 스토퍼(stopper: 56)에 의해 받쳐짐과 아울러 프레스(press: 57)가 홀더(41)에 압입력을 부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에 대한 조립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워 드럼(31)의 축구멍(31a)에 축(32)의 하부 끝이 소정 길이(L)로 돌출되게 압입시킨 상태에서, 이 축(32)의 상부에서 어퍼 드럼(30)을 상.하부 베어링(33)(34)의 지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시킨다.
이때, 로워 드럼(31)의 클램핑 여유공간(50)을 이용하여 로워 드럼(31)의 하부로 돌출된 축(32)의 외주면을 클램프(55)에 의해 클램핑시키고, 축(32)의 하부 끝은 스토퍼(56)에 의해 받쳐준다.
그리고, 축(32)의 상부에 홀더(41)를 프레스(57)의 가압력에 의해 압입시키게 되면, 축(32)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면서 홀더(41)가 정확하게 압입되어 장착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축(32)이 클램프(55)에 의해 클램핑됨과 아울러 스토퍼(56)에 의해 받쳐진 상태에서, 축(32)의 상부에서 프레스(57)의 가동에 의해 홀더(41)에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시키게 되면, 축(32)의 상부에 홀더(41)가 압입되어 장착된다. 이때, 축(32)은 프레스(57)의 가압력에 의한 충격을 부여받게 되는데, 이러한 충격은 축(32)이 클램프(55)와 스토퍼(56)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로워 드럼(31)에 전달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축(31)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결과적으로는 제품의 조립 불량이 방지되어 제품의 수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특히, 축(32)의 상부에 도시하지 않은 예압 보스 등을 나사에 의해 체결시킬 경우에도 축(32)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그리고, 홀더(41)의 압입시 축(32)을 지지시켜 조립시키는 클램프(55), 스토퍼(56) 및 프레스(57)는 자동 압입기의 구성 요소들로서, 홀더(41)의 압입은 자동 압입기에 의해 수행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에 의하면, 로워 드럼의 클램핑 여유공간을 이용하여 축을 클램핑시킴과 아울러 스토퍼에 의해 받쳐주는 단순한 구성 및 구조에 의해 홀더의 압입시 축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므로, 조립 불량이 방지되어 제품의 수율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1)

  1. 비디오 헤드가 조립되는 어퍼 드럼과 로워 드럼이 축의 상.하부에 각각 끼워져 장착되고, 상기 비디오 헤드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로우터 및 스테이터 트랜스포머가 개재되며, 상기 축의 상부에 드럼 모터의 홀더가 압입에 의해 장착되는 헤드 드럼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축(32)의 하부 끝은 소정 길이(L)로 돌출되도록 상기 로워 드럼(31)의 축구멍(31a)에 압입되고,
    상기 로워 드럼(31)의 하면에 상기 축(32)을 클램프(55)에 의해 클램핑할 수 있도록 클램핑 여유공간(50)이 대략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축(32)의 상부 끝에 상기 홀더(41)를 압입시킬 때 상기 축(32)의 하부 끝은 스토퍼(56)에 의해 받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
KR2019970020171U 1997-07-29 1997-07-29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 KR1999000668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171U KR19990006686U (ko) 1997-07-29 1997-07-29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171U KR19990006686U (ko) 1997-07-29 1997-07-29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686U true KR19990006686U (ko) 1999-02-25

Family

ID=6968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171U KR19990006686U (ko) 1997-07-29 1997-07-29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668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9625A (en) Rotary head drum device
KR100220319B1 (ko) 회전드럼유닛을 지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9990006686U (ko) 헤드 드럼 조립체의 축 조립구조
US7355820B2 (en) Head drum assembly for tape recorde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5883751A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preventing axial vibration of rotary head cylinder
KR10024851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 드럼 조립체
KR970004628B1 (ko) 헤드드럼장치
KR100359937B1 (ko) 헤드드럼 조립체
JP2559464B2 (ja) 回転ヘッド装置
KR100229390B1 (ko) 헤드 드럼 조립체의 그라운드 장치
KR100189934B1 (ko) 헤드드럼
KR200187924Y1 (ko) 헤드드럼 장치
JPS6021965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フライホイ−ル支持装置
KR100376391B1 (ko) 회전 헤드 드럼 장치
KR950002650B1 (ko) 캠코더의 회전헤드드럼
KR200160878Y1 (ko) 헤드드럼조립체
KR950005651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드럼장치
KR100229391B1 (ko) 헤드드럼 조립체
KR19990008537U (ko) 헤드 드럼 조립체의 드럼 모터 설치구조
KR940005712Y1 (ko) 헤드드럼 조립체의 상, 하부 베어링 지지구조
KR0135853B1 (ko) 회전 자기헤드 드럼 구조체
KR19980059026A (ko)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드럼 조립체
KR19990023238U (ko) 헤드 드럼의 베어링 조립구조
KR19990006688U (ko) 헤드 드럼 조립체의 드럼 모터 조립구조
JPS6227531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回転ヘツド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