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379U - 세탁기의 외조 진동 감쇠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외조 진동 감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379U
KR19990006379U KR2019970019837U KR19970019837U KR19990006379U KR 19990006379 U KR19990006379 U KR 19990006379U KR 2019970019837 U KR2019970019837 U KR 2019970019837U KR 19970019837 U KR19970019837 U KR 19970019837U KR 19990006379 U KR19990006379 U KR 199900063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main body
damping device
vibration damping
buff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19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6379U/ko
Publication of KR199900063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379U/ko

Links

Landscapes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의 외조 진동 감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기의 동작시 내조의 회전에 따른 외조의 진동을 보다 완벽하게 감쇠시켜 상기 외조의 흔들림이 줄어들도록 함에 따라 소음이 증가되지 않도록 함과 함께 외조가 본체에 접촉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일단이 본체(1)의 내측 각 코너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외조(2)의 외측둘레면 하단에 탄력을 받은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외조의 종방향 유동을 중점적으로 흡수하는 복수개의 완충바(13)와, 일단이 상기 본체(1)의 내측 각 코너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외조(2)의 외측 둘레면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외조의 횡방향 유동을 중점적으로 흡수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외조 진동 감쇠장치
본 고안은 세탁기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동작시 내조의 회전에 따른 외조의 진동력을 감쇠시켜 주도록 한 세탁기의 외조 진동 감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본체(1) 내에 외조(2)가 지지되어 있고, 상기 외조(2) 내에는 내조(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조의 내측 바닥면에는 펄세이터(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외조(2)의 외측 바닥면 중심부에는 모터(5)의 구동력을 벨트(6)를 통해 전달받아 내조(3) 및 펄세이터(4)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주도록 클러치(7)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의 상부 일측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세탁에 필요한 물을 공급시켜 주도록 급수밸브(8)가 설치된 급수구(9)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외조(2)의 하부에는 세탁 및 헹굼에 사용되었던 물을 본체(1) 외부로 배수시켜 주도록 배수밸브(10)가 설치된 배수호스(11)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도어(12)를 개방한 상태에서 내조(3) 내로 세탁물을 집어넣고 상기 도어(12)를 닫은 다음 콘트롤판넬 상에 구비된 세탁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일정시간 내에 세탁, 헹굼, 탈수가 자동으로 이루어 진다.
즉, 세탁모드를 선택하면 급수구(9)에 설치된 급수밸브(8)가 열리므로 상기 급수구(9)를 통해 세탁에 사용될 물이 급수되고 이 급수되는 물은 곧바로 내조(3) 내로 들어가 일정높이 만큼 채워지는데, 상기 세탁에 사용될 물이 내조(3)에 일정 높이만큼 채워지고 나면 급수밸브(8)가 닫히면서 더 이상의 급수는 중단됨과 동시에 외조(2)의 외측 바닥면 일측에 고정된 모터(5)가 정,역방향으로 연속반복 구동한다.
이와같이 하여 모터(5)가 정,역방향으로 구동하면 이 구동력은 벨트(6)를 통해 상기 외조(2)의 외측 바닥면 중심부에 부착된 클러치(7)로 전달되는데, 이때 클러치가 콘트롤러의 세탁신호를 받아 작동하여 모터(5)의 구동력을 일정시간 동안 감속된 상태로 펄세이터(4)에만 전달해 줌에 따라 상기 펄세이터만이 회전하면서 내조(3) 내의 세탁물을 회전시켜 줌과 함께 수류를 일으켜 주므로 세탁물이 펄세이터의 회전력, 세탁조와의 마찰력, 세제의 분해력 등에 의해 세탁된다.
상기한 작용에 의해 세탁행정이 끝나면 배수호스(11)에 설치된 배수밸브(10)가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열리므로 세탁에 사용되었던 물이 상기 배수호스(11)를 통해 본체(1) 외부로 배수된다.
또한 헹굼시에는 상기에서 설명된 세탁시와 동일한 작용에 의해 헹굼작용을 행하므로 구체적인 작용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탈수시에 대해서만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같다.
탈수시에는 헹굼시 사용되었던 헹굼수를 배수시킨 상태에서 클러치(7)가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벨트(6)를 통해 전달받은 모터(5)의 구동력을 일방향으로 하여 내조(3)와 펄세이터(4)로 감속없이 그대로 전달하므로 상기 내조(3)와 펄세이터(4)가 동시에 고속으로 회전하고 이에따라 내조(3) 내의 세탁물이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면서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이 빠져나오는데, 이때에는 배수밸브(10)가 열리므로 세탁물에서 빠져나온 수분이 배수호스(11)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고 이에따라 탈수가 완료되면서 세탁기의 모든 작용이 끝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은 세탁기에 있어서, 외조(2)는 내조(3)의 회전에 따른 진동력이 감쇠되도록 진동 감쇠장치에 의해 본체(1)에 지지되어 있는데, 이는 내조(3)의 회전에 따른 외조(2)의 진동이 감쇠되지 않을 경우 상기 외조가 필요이상으로 흔들리게 되어 소음이 증가됨은 물론 본체(1)에 접촉되어 파손되는 일이 발생되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하여 주고자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외조 진동 감쇠장치의 종래 구조는 본체(1)의 각 코너부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지지편(1a)에 완충바(13)의 일단이 연결됨과 함께 외조(2)의 외측둘레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외조지지편(2a)에는 상기 완충바(13)의 다른 일단이 탄력을 받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세탁시 내조(3)가 회전할 때 세탁물의 과도한 쏠림으로 인해 상기 내조(5)의 회전이 불안정하면 할수록 외조(2)의 진동요인은 더욱 심화되는데, 이때에는 완충바(13)의 일단이 본체(1)의 상단 각 코너부에 형성된 본체연결편(1a)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완충바(13)의 다른 일단이 외조(2)의 하단 외측둘레면에 형성된 외조연결편(2a)에 탄력을 받은 상태로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외조(2)의 진동은 각 완충바(13)에 흡수되면서 상쇠되고 이에따라 상기 내조(3)의 회전에 따른 외조(3)의 진동이 감쇠되어 실제로 상기 외조가 심하게 흔들리지 않는다.
그러나 종래 이와같은 외조 진동감쇠장치는 각 완충바만이 외조를 종방향으로 지지하여 주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완충바는 외조의 종방향 진동만을 중점적으로 흡수하게 됨을 감안할 때 상기 외조의 횡방향 진동은 각 완충바가 흡수하는데는 한계에 있고 이에따라 상기 내조의 회전에 따른 외조의 진동이 완벽하게 감쇠되지 못하여 세탁소음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조의 회전시 세탁물이 한쪽으로 과다하게 쏠릴경우 세탁기를 생산하는 각 업체들의 추세가 전체적인 크기는 줄이면서 용량은 증대하고 있는 실정임을 감안할 때 본체와 외조 사이의 간격(b)이 최소화되어 결국 외조가 본체에 부딪히는 일이 빈번하고 이로인해 상기 외조는 물론 그외의 부속구조물이 파손되는 일이 자주 발생되던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기의 동작시 내조의 회전에 따른 외조의 진동을 보다 완벽하게 감쇠시켜 상기 외조의 흔들림이 줄어들도록 함에 따라 소음이 증가되지 않도록 함과 함께 외조가 본체에 접촉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일단이 본체의 내측 각 코너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외조의 외측둘레면 하단에 탄력을 받은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외조의 종방향 유동을 중점적으로 흡수하는 복수개의 완충바와, 일단이 상기 본체의 내측 각 코너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외조의 외측 둘레면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외조의 횡방향 유동을 중점적으로 흡수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로 구성하여서 된 본고안 세탁기의 외조 진동 감쇠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외조 진동 감쇠장치를 갖는 세탁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외조 진동 감쇠장치를 갖는 세탁기를 나타낸 요부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외조 진동 감쇠장치를 갖는 세탁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외조 진동 감쇠장치를 갖는 세탁기를 나타낸 요부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외조 진동 감쇠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외조
13. 완충바 14. 보조완충바
14a. 스프링 14b. 연결고리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 외조 진동 감쇠장치를 갖는 세탁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외조 진동 감쇠장치를 갖는 세탁기를 나타낸 요부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외조 진동 감쇠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본체(1)의 각 코너부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연결편(1a)에 완충바(13)의 일단이 연결됨과 함께 외조(2)의 외측둘레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외조연결편(2a)에는 상기 완충바(13)의 다른 일단이 탄력을 받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중앙부에 스프링(14a)을 갖는 보조완충바(14)을 구비하여 상기 보조완충바의 일단을 본체(1)의 각 코너부 상단에 형성된 본체지지편(1a)에 연결하고, 외조(2)의 외측둘레면 상단부에는 각 외조연결편(2a) 사이로 위치되게 보조 외조연결편(2b)을 형성하며, 상기 보조완충바(14)의 다른 일단을 상기 보조 외조연결편(2b)에 연결한다.
상기에서 보조완충바(14)의 일단 및 다른 일단에 연결고리(14b)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고리를 이용해 보조완충바(14)의 일단을 본체지지편(1a)에 걸어서 연결함과 함께 다른 일단을 보조 외조연결편(2b)에 걸어서 연결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세탁시 내조(3)가 회전할 때 세탁물의 과도한 쏠림으로 인해 상기 내조(5)의 회전이 불안정하면 할수록 외조(2)의 진동요인은 더욱 심화되는데, 이때에는 완충바(13)의 일단이 본체(1)의 상단 각 코너부에 형성된 본체연결편(1a)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완충바(13)의 다른 일단이 외조(2)의 하단 외측둘레면에 형성된 외조연결편(2a)에 탄력을 받은 상태로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외조(2)의 종방향 진동은 각 완충바(13)에 흡수되면서 상쇠됨과 함께 중앙부에 스프링(14a)을 갖는 보조완충바(14)의 일단이 본체(1)의 상단 각 코너부에 형성된 본체연결편(1a)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보조완충바(14)의 다른 일단이 외조(2)의 외측둘레면 상단부에 형성되어 각 외조연결편(2a) 사이로 위치된 보조 외조연결편(2b)에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외조(2)의 횡방향 진동은 각 보조완충바(14)에 흡수되면서 상쇠되고 이에따라 상기 내조(3)의 회전에 따른 외조(2)의 진동이 감쇠되어 실제로 상기 외조가 심하게 흔들리지 않는다.
상기에서 보조완충바(14)의 일단 및 다른 일단에는 연결고리(14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고리를 이용해 보조완충바(14)의 일단을 본체지지편(1a)에 걸어서 연결하면 되고 다른 일단을 보조 외조연결편(1b)에 걸어서 연결하면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세탁시 내조의 회전에 따른 외조의 종방향 진동은 물론 횡방향 진동도 완벽하게 흡수하여 상쇠시켜 주므로 세탁물의 쏠림이 한쪽으로 심하게 일어나더라도 소음이 증가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상기 외조가 본체에 접촉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외조 및 그외의 부속구조물이 파손되는 일도 발생되지 않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일단이 본체의 내측 각 코너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외조의 외측둘레면 하단에 탄력을 받은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외조의 종방향 유동을 중점적으로 흡수하는 복수개의 완충바와, 일단이 상기 본체의 내측 각 코너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외조의 외측 둘레면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외조의 횡방향 유동을 중점적으로 흡수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외조 진동 감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가운데 부분에 스프링이 일체화된 보조완충바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외조 진동 감쇠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탄성부재인 보조완충바의 다른 일단이 외조의 외측둘레면 상단중 각 완충바가 연결된 지점의 중앙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외조 진동 감쇠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보조완충바의 일단 및 다른 일단에 연결고리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고리를 이용해 보조완충바의 일단을 본체의 내측 상단 각 코너부에 연결하고 상기 보조완충바의 다른 일단을 외조의 상단 외측둘레면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외조 진동 감쇠장치.
KR2019970019837U 1997-07-25 1997-07-25 세탁기의 외조 진동 감쇠장치 KR199900063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837U KR19990006379U (ko) 1997-07-25 1997-07-25 세탁기의 외조 진동 감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837U KR19990006379U (ko) 1997-07-25 1997-07-25 세탁기의 외조 진동 감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379U true KR19990006379U (ko) 1999-02-25

Family

ID=6967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837U KR19990006379U (ko) 1997-07-25 1997-07-25 세탁기의 외조 진동 감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637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5824B2 (ja) ドラム洗濯機の振動減衰装置
JP3784184B2 (ja) 二重の緩衝構造を有する洗濯機
KR19990006379U (ko) 세탁기의 외조 진동 감쇠장치
KR200233841Y1 (ko) 세탁기의완충장치
KR100423981B1 (ko) 세탁기
KR0179120B1 (ko) 세탁기의 오토 발란스 장치
KR100332770B1 (ko) 세탁기
KR0121253Y1 (ko) 복합세탁기의 진동 감쇄장치
KR200142469Y1 (ko) 세탁기
KR100556493B1 (ko) 세탁기용 댐퍼의 어퍼피봇과 서스펜션 바 사이의 마찰소음 방지장치
KR0151274B1 (ko) 세탁기의 오토 발란스 장치
KR100189133B1 (ko) 세탁기
KR200291279Y1 (ko) 세탁기의감쇠장치
KR100229661B1 (ko) 세탁기의 소음 방지장치
KR100802474B1 (ko) 세탁기
JPH04325196A (ja) 洗濯機
KR200173958Y1 (ko) 세탁기의 소음방지장치(noise prevention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KR0154449B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0128749Y1 (ko) 자동세탁기의 진동방지장치
KR0134860Y1 (ko) 세탁기의 진동 감쇠장치
JP2649104B2 (ja) 洗濯機
KR101139251B1 (ko) 드럼세탁기
KR0138907Y1 (ko) 자동세탁기의 진동감소장치
KR19990002720U (ko) 세탁기
JP3385676B2 (ja) 全自動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