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283U - Steroid Bond Structure of Engine Hood - Google Patents

Steroid Bond Structure of Engine H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283U
KR19990006283U KR2019970019729U KR19970019729U KR19990006283U KR 19990006283 U KR19990006283 U KR 19990006283U KR 2019970019729 U KR2019970019729 U KR 2019970019729U KR 19970019729 U KR19970019729 U KR 19970019729U KR 19990006283 U KR19990006283 U KR 199900062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frame
engine hood
stay rod
upper front
w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72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윤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9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6283U/en
Publication of KR199900062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283U/en

Links

Landscapes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이나 작업자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스테이로드가 상부전면프레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 도중 엔진후드의 낙하로 인하여 작업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엔진후드의 스테이로드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체결공(30)이 형성된 상부전면프레임(32)과, 양측에 상기 상부전면프레임의 양측벽에 밀착고정되는 제1 날개편(34) 및 제2 날개편(36)이 돌출구성하고, 이 제1 날개편(34)과 제2 날개편(36)의 사이에 상부전면프레임(32)이 삽입고정되는 체결홈(42)이 형성되며,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결합공(38)이 형성된 그로밋(40)과, 일측에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한쌍의 걸림편(52)이 돌출구성되고, 타측이 상기 엔진후드(48)의 고정홈(50)에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되는 스테이로드(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design prevents the worker rod from being injured due to the fall of the engine hood during operation by preventing the stay ro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upper front frame due to external shock or contact with the operator. Regarding the structure, the upper front frame 32, the fastening hole 30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first wing piece 34 and the second wing piece 36 fixed to both side walls of the upper front frame on both sides The protrusion is formed, and a fastening groove 42 is formed between the first wing piece 34 and the second wing piece 36 to fix the upper front frame 32 therein. A grommet 40 having a 38 formed thereon, and a pair of engaging pieces 52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 from one side to the other from the bottom, protrude, and the other side is selective to the fixing groove 50 of the engine hood 48. Stay rod inserted in position (54) Including that made be characterized.

Description

엔진후드의 스테이로드 결합구조Stay rod coupling structure of engine hood

본 고안은 엔진후드의 스테이로드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이나 작업자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스테이로드가 상부전면프레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 도중 엔진후드의 낙하로 인하여 작업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엔진후드 스테이로드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y rod coupling structure of the engine hood, and more specifically, to prevent the stay ro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front frame due to the impact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r contact with the operator due to the fall of the engine hood during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hood stay rod coupling structure that can prevent an operator from being injured.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크게 나누어 차체(Body)와 섀시(Chassis)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 사람의 탑승공간인 승객룸과, 엔진이 설치된 엔진룸 및 짐을 보관하여 운반하는 트렁크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엔진룸을 덮고 있는 엔진후드는 프레스 가공한 강판의 내측에 프레임으로 강성을 높인 내측 패널을 스폿 용접한 구조를 지니며, 필요에 따라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엔진후드를 여는 방법에는 엔진후드 뒤쪽에 힌지를 장착하여 앞에서 들어올리는 형식과, 반대로 엔진후드 앞쪽에 힌지를 장착하여 위에서 열도록 된 형식이 있다. 엔진후드의 하단에 한쌍의 댐핑러버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댐핑러버는 엔진후드가 엔진룸에 체결되었을 때에 발생되는 충격 및 충격소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Generally, a car is divided into a body and a chassis, and the car is a part of the car, which stores a passenger room, an engine room with an engine, and luggage. It can be divided into a trunk room for carrying. The engine hood covering the engine room has a structure in which a spot welded inner panel of high rigidity is frame-welded inside the pressed steel sheet,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as necessary. The engine hood can be opened by mounting a hinge on the rear of the engine hood and lifting it from the front, and on the contrary, by opening a hinge on the front of the engine hood. A pair of damping rubbers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engine hood, and the damping rubber absorbs shock and noise generated when the engine hood is fastened to the engine room.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엔진후드의 스테이로드가 상부전면프레임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다른 엔진후드의 스테이로드가 회동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상단 일측에 체결공(2)이 형성된 상부전면프레임(4)이 구비되고, 이 상부전면프레임(4)은 하부전면프레임(미도시) 및 센터지지패널(미도시)과 연결된다. 일측이 차체패널(6)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엔진후드(8)가 구비되고, 이 엔진후드(8)의 하단 일측에는 고정홈(10)이 형성된다. 하단에 상부전면프레임(4)에 형성된 체결공(2)에 삽입고정되는 훅크(12)가 돌출구성되고, 상단에 결합공(14)이 형성된 연결구(16)가 구비된다. 일측이 연결구(16)의 결합공(14)에 삽입고정되고, 타측이 선택적으로 엔진후드(8)의 고정홈(10)에 삽입고정되는 스테이로드(18)가 구비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ay rod of the engine ho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mounted on the upper front frame,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tay rod of the engine hood is rotat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and 2, an upper front frame 4 having fastening holes 2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is provided, and the upper front frame 4 has a lower front frame (not shown) and a center support panel (not shown). It is connected with city). One side is provided with an engine hood 8 rotatably fixed to the vehicle body panel 6, and a fixing groove 1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engine hood 8. Hook 12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 formed in the upper front frame (4) at the lower end is configured to protrude, the connector 16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14) at the top. One side is fixed to the coupling hole 14 of the connector 16,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stay rod 18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0 of the engine hood (8).

운전자 및 작업자가 엔진후드(8)를 열어 엔진룸부위를 점검하고자 할 때에는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된 조작버튼을 눌러서 엔진후드(8)를 고정하고 있던 걸림부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엔진후드(8)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엔진후드(8)가 상부로 이동되면, 스테이로드(18)의 타측을 탄지한 상태에서 스테이로드(18)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스테이로드(18)의 타측을 탄지한 상태에서 스테이로드(18)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스테이로드(18)의 일측이 연결구(16)의 결합공(14)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스테이로드(18)의 일측이 연결구(16)의 결합공(14)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면, 스테이로드(18)의 타측을 엔진후드(8)의 고정홈(10)에 삽입하여 엔진후드(8)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한다.When the driver and the operator want to inspect the engine room by opening the engine hood (8), the operator presses the operation button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releases the catch that fixed the engine hood (8). Move to the top. When the engine hood 8 is moved upward, the stay rod 18 is moved upward while the other side of the stay rod 18 is supported. When the stay rod 18 is moved upward while the other side of the stay rod 18 is held intact, one side of the stay rod 18 rotates around the coupling hole 14 of the connector 16. When one side of the stay rod 18 is rotated about the coupling hole 14 of the connector 16, the other side of the stay rod 18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0 of the engine hood 8 so that the engine hood ( 8)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구와 스테이로드의 결합으로 인하여 스테이로드를 선회동시켜 엔진후드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연결구 및 스테이로드를 일정기간 사용하거나 외부의 충격이 연결구로 전달될 경우 연결구 및 스테이로드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비포장도로를 주행하거나 외부로부터 충격이 전달되면, 충격에너지는 범퍼 및 전면프레임을 통하여 연결구로 전달되며 전달되는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범퍼 및 전면프레임에 고정된 연결구의 훅크에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심한 경우 훅크의 파손으로 인하여 연결구가 상부 전면프레임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stay ro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was possible to fix the engine hoo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y pivoting the stay rod.However, when the connector and the stay rod are used for a period of time or an external shock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or,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unction of the stay load is lost. That is, when driving on an unpaved road or when an impact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e impact energy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or through the bumper and the front frame, and a crack occurs in the hook of the connector fixed to the bumper and the front frame by the transmitted impact energy. Occasionall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nnector is separated from the upper front frame due to breakage of the hook in severe cases.

또한, 스테이로드를 일정기간 사용하게 되면, 스테이로드의 마찰에 의하여 연결구의 결합공 내경이 커지게 되어 스테이로드가 연결구의 결합공에서 이탈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즉, 스테이로드와 연결구의 마찰에 의하여 스테이로드가 연결구의 결합공에 헐거운 상태로 결합되어 있음으로 엔진후드를 소정의 위치에 견고히 고정할 수 없음은 물론 엔진후드를 고정한 상태에서 다른 작업자와 동시에 작업을 하는 도중 다른 작업자가 스테이로드를 건드릴 경우, 엔진후드의 자체 하중에 의해 아래로 하강을 하게 된다. 따라서 엔진부위를 점검하기 위하여 허리를 숙이고 작업을 하던 작업자의 신체를 다치게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stay rod is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ing hole of the connector is increased by friction of the stay rod, and the stay rod is often separated from the coupling hole of the connector. That is, because the stay rod is loose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connector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stay rod and the connector, the engine hood cannot be firmly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engine hood is fixed at the same time. If another worker touches the stay rod during the drill, it will be lowered down by its own load on the engine hood.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of injuring the body of the worker who leaned back to check the engine parts.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이나 작업자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스테이로드가 상부 전면프레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도중 엔진후드의 낙하로 인하여 작업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엔진후드의 스테이로드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event the stay ro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front frame due to the impact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r the worker's contact, so that the engine hood falls during the operation. It is to provide a stay rod coupling structure of the engine hood that can prevent workers from being injur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엔진후드의 스테이로드가 상부전면프레임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ay rod of the engine ho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mounted on the upper front frame;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엔진후드의 스테이로드가 회동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ay rod of the engine ho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rotated

도 3은 본 고안에 다른 엔진후드의 스테이로드가 상부전면프레임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ay rod of the engin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upper front frame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후드의 스테이로드가 회동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ay rod of the engin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후드의 스테이로드가 상부전면프레임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단면도Figure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ay rod of the engin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upper front frame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후드의 확개용살대가 상부전면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pansion rod of the engin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upper front fram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30:체결공32:상부전면프레임30: Fastener 32: Upper front frame

34:제1 날개편36:제2 날개편34: first wing section 36: second wing section

38:결합공40:그로밋38: mating hole 40: grommet

42:체결홈44:인서트 팁42: Tightening groove 44: Insert tip

46:차체패널48:엔진후드46: body panel 48: engine hood

50:고정홈52:걸림편50: fixed groove 52: jam

54:스테이로드54: Stay rod

이러한 본 고안은 목적은, 일측에 체결공이 형성된 상부전면프레임과, 양측에 상기 상부전면프레임의 양측벽에 밀착고정되는 제1 날개편 및 제2 날개편이 돌출구성되고, 이 제1 날개편과 제2 날개편의 사이에 상부전면프레임이 삽입고정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결합공 형성된 그로밋과, 일측에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한쌍의 걸림편이 돌출구성되고, 타측이 상기 엔진후드의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되는 스테이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후드의 스테이로드 결합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ront frame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on one side, and the first wing piece and the second wing piece which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 walls of the upper front frame on both sides, the first wing piece and the first A fastening groove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upper front frame is formed between the two wing pieces, a grommet formed in a coupling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side, and a pair of engaging pieces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It can be achieved by the stay rod coupling structure of the engine ho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ay rod that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fixed groove of the engine hood.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후드 스테이로드 구조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ngine hood stay rod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후드의 스테이로드가 상부전면프레임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후드의 스테이로드가 회동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후드의 스테이로드가 상부전면프레임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후드의 스테이로드가 상부전면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설명하면, 일측에 체결공(30)이 형성된 상부전면프레임(32)이 구비되고, 이 상부전면프레임(32)은 하부전면프레임(미도시) 및 센터지지패널(미도시)과 연결된다. 양측에 제1 날개편(34) 및 제2 날개편(36)이 돌출구성되고, 수직방향으로 결합공(38)이 형성된 그로밋(Grommet)(40)이 구비된다. 그로밋(40)의 제1날개편(34)과 제2 날개편(36)의 사이에 상부전면프레임(32)이 삽입고정되는 체결홈(38)이 형성되고, 이 그로밋(40)의 내측에는 신축성을 갖는 인서트 팁(44)이 구비된다. 일측이 차체패널(46)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엔진후드(48)가 구비되고, 이 엔진후드(48)의 하단 일측에는 고정홈(50)이 형성된다. 일측에 한쌍의 걸림편(52)이 돌출구성되고, 타측이 선택적으로 엔진후드(48)의 고정홈(50)에 삽입고정되는 스테이로드(54)가 구비된다. 스테이로드(54)의 일측에 돌출구성된 걸림편(52)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ay rod of the engin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the upper front frame,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ay rod of the engin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nd FIG.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ay rod of the engin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upper front frame,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ay rod of the engin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the upper front frame. 3 to 6, an upper front frame 32 having a fastening hole 30 formed on one side is provided, and the upper front frame 32 includes a lower front frame (not shown) and a center support panel (not shown). ). The first wing piece 34 and the second wing piece 36 are protruded on both sides, and a grommet 40 having a coupling hole 38 in a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A fastening groove 38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lade piece 34 and the second wing piece 36 of the grommet 40 to fix the upper front frame 32 therein, and is formed inside the grommet 40. An elastic insert tip 44 is provided. An engine hood 48 is rotatably fix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panel 46, and a fixing groove 5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engine hood 48. A pair of engaging pieces 52 protrude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stay rod 54 that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50 of the engine hood 48. The engaging piece 52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stay rod 54 is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테이로드가 상부전면프레임에 고정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The state of the stay ro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fixed to the upper front frame will be described.

상부전면프레임(32)의 체결공(30)에 그로밋(40)을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로밋(40)을 상부전면프레임(32)의 체결공(30)으로 삽입한다. 그로밋(40)을 상부전면프레임(32)의 체결공(30)으로 삽입함에 따라 상부전면프레임(32)이 일측이 그로밋(40)의 체결홈(42)에 삽입고정되며, 이때 그로밋(40)의 제1 날개편(34)과 제2 날개편(36)은 상부전면프레임(32)의 양측벽에 밀착고정된다. 상부전면프레임(32)의 체결공(30)에 그로밋(40)이 고정되면, 스테이로드(54)의 일측을 그로밋(40)의 결합공(38)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스테이로드(54)를 그로밋(40)의 결합공(38)으로 삽입한다. 스테이로드(54)를 그로밋(40)의 결합공(38)으로 삽입함에 따라 스테이로드(54)의 일측이 그로밋(40)의 결합공(38)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스테이로드(54)의 일측에 돌출구성된 걸림편(52)이 그로밋(40)의 일측에 밀착고정된다.The grommet 4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30 of the upper front frame 32 in a state in which the grommet 40 is correspondingly positioned in the fastening hole 30 of the upper front frame 32. As the grommet 4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30 of the upper front frame 32, one side of the upper front frame 32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astening groove 42 of the grommet 40, and at this time, the grommet 40 The first wing piece 34 and the second wing piece 36 are securely fixed to both side walls of the upper front frame 32. When the grommet 40 is fixed to the fastening hole 30 of the upper front frame 32, the stay rod 54 is positioned with one side of the stay rod 54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38 of the grommet 40. )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38 of the grommet 40. As the stay rod 54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38 of the grommet 40, one side of the stay rod 54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engaging hole 38 of the grommet 40. At this time, the engaging piece 52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stay rod 54 is fixed to one side of the grommet 40.

상부전면프레임(32)에 고정된 그로밋(40)의 결합공(38)에 스테이로드(54)의 일측이 삽입고정되어 있음으로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하여 스테이로드(54)가 상부전면프레임(3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즉,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은 범퍼 및 전면프레임을 거쳐 그로밋(40)으로 전달되는데, 그로밋(40)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 스테이로드(54)가 상부전면프레임(3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또 충격을 흡수함으로 스테이로드(54)의 일측에 돌출구성된 한쌍의 걸림편(32)이 그로밋(40)의 일측에 밀착고정되어 있음으로 다른 작업자의 접촉에 의하여 스테이로드(54)가 상부전면프레임(3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로밋(40)의 내측에 개재된 인서트 팁(44)이 그로밋(40)의 형상을 유지하여 줌으로 일정기간 스테이로드(54)를 사용하여 그로밋(40)과 스테이로드(54)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Since one side of the stay rod 54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oupling hole 38 of the grommet 40 fixed to the upper front frame 32, the stay rod 54 is moved to the upper front frame by an impact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In 32). That is,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is transmitted to the grommet 40 via the bumper and the front frame, and the stay rod 54 is not separated from the upper front frame 32 by absorbing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grommet 40. In addition, the pair of locking pieces 32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stay rod 54 by absorbing the shock is fixed to one side of the grommet 40, so that the stay rod 54 is in contact with another operator by the upper front frame. There is no deviation from (32). The insert tip 44 interposed inside the grommet 40 maintains the shape of the grommet 40 so that the grommet 40 and the stay rod 54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tay rod 54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Keep it.

본 고안에 따른 엔진후드의 스테이로드 결합구조는 양측에 제1 날개편 및 제2 날개편이 돌출구성되고, 이 제1 날개편가 제2 날개편의 사이에 상부전면프레임이 삽입고정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그로밋과, 일측에 한쌍의 걸림편이 돌출구성되고, 타측이 선택적으로 엔진후드의 고정홈에 삽입고정되는 스테이로드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이나 다른 작업자의 접촉에 의하여 스테이로드가 상부 전면프레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The stay rod coupling structure of the engin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wing piece and a second wing piece protruding on both sides, and the first wing piece is formed with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the upper front frame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second wing pieces. , A grommet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air of engaging pieces protruding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selectively provided with a stay rod which is fixed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of the engine hood, by the impact or external worker's contact. It is to have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stay rod is separated from the upper front frame.

Claims (2)

엔진후드의 스테이로드를 상부전면프레임에 결합함에 있어서,In coupling the stay rod of the engine hood to the upper front frame, 일측에 체결공(30)이 형성된 상부전면프레임(32)과,The upper front frame 32 and the fastening hole 30 is formed on one side, 양측에 상기 상부전면프레임의 양측벽에 밀착고정되는 제1 날개편(34) 및 제2 날개편(36)이 돌출구성되고, 이 제1 날개편(34)과 제2 날개편(36)의 사이에 상부전면프레임(32)이 삽입고정되는 체결홈(42)이 형성되며,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결합공(38)이 형성된 그로밋(40)과,The first wing piece 34 and the second wing piece 36 protruding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front frame and fixed to both side walls, and the first wing piece 34 and the second wing piece 36 A fastening groove 42 in which the upper front frame 32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therebetween, and a grommet 40 in which a coupling hole 38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일측에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한쌍의 걸림편(52)이 돌출구성되고, 타측이 상기 엔진후드(48)의 고정홈(50)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스테이로드(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후드의 스테이로드 결합구조.On one side, a pair of engaging pieces 52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are protruded,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stay rod 54 that is selectively inserted and fixed in the fixing groove 50 of the engine hood 48. Stay rod coupling structure of the engine hood,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40)의 내측에 인서트 팁(44)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후드의 스테로이드 결합구조.The steroid coupling structure of an engine ho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sert tip (44) is interposed inside the grommet (40).
KR2019970019729U 1997-07-25 1997-07-25 Steroid Bond Structure of Engine Hood KR1999000628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729U KR19990006283U (en) 1997-07-25 1997-07-25 Steroid Bond Structure of Engine H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729U KR19990006283U (en) 1997-07-25 1997-07-25 Steroid Bond Structure of Engine H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283U true KR19990006283U (en) 1999-02-18

Family

ID=69687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729U KR19990006283U (en) 1997-07-25 1997-07-25 Steroid Bond Structure of Engine H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6283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3612B2 (en) Door guard bar mounting structure
KR20010066475A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rear pillar of automobile
KR19990006283U (en) Steroid Bond Structure of Engine Hood
KR200142632Y1 (en) Door impact absorbing structure
KR200145032Y1 (en) Door striker with shock absorber
KR100195042B1 (en) Door hinge
KR200147676Y1 (en) Door striker for a car
KR19980068125U (en) Shock Absorber Door Striker
KR200156078Y1 (en) Joint structure of shock absorbing rubber in car fender
KR100193663B1 (en) Car door anti-vibration device
KR200143865Y1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door striker combination-part in a car
KR100207036B1 (en) Side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door for a car
KR100210142B1 (en) Mounting structure of door impact beam for a car
KR0126165Y1 (en) A structure for absorbing side impact of a car
KR19980047866U (en) Opening and closing buffer device of car door
KR19990034956A (en) Rubber assembly for absorbing door shocks in automobiles
KR100195043B1 (en) Door check protector of car
KR100245494B1 (en) Reinforcing device of side roof rail
KR100190508B1 (en) Door impact bar
KR19980033265U (en) Impact bar fastening structure of car door
JP2002052971A (en) Assist grip
KR19980039636U (en) Car hood hinge
KR19980047981U (en) Front pillar coupling structure of vehicle
KR19990025393U (en) Car Door Checker
KR19980048106U (en) Inner front pillar fixing structure of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