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458U - Fuel tank ignition prevention device of car. - Google Patents

Fuel tank ignition prevention device of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458U
KR19990004458U KR2019970017604U KR19970017604U KR19990004458U KR 19990004458 U KR19990004458 U KR 19990004458U KR 2019970017604 U KR2019970017604 U KR 2019970017604U KR 19970017604 U KR19970017604 U KR 19970017604U KR 19990004458 U KR19990004458 U KR 199900044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tank
vehicle
rela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60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세춘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70017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4458U/en
Publication of KR199900044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458U/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탱크 발화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충돌 사고와 동시에 자동적으로 연료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료 탱크 발화 방지장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연료를 기화기 측으로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연료 공급/차단 밸브와, 차량의 전후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충돌센서와. 상기 충돌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래치 회로와, 상기 릴레이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배터리로부터 상기 연료 공급/차단 밸브로의 전압경로를 차단시키는 릴레이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tank ignition prevention device for an automobile, and to provide a fuel device for an automobile that can automatically cut off fuel supply at the same time as a vehicle crash accident. The fuel tank ignition prevention device includes a fuel tank for storing fuel, a fuel supply / blocking valve connected to the fuel tank and supplying or blocking the fuel to the carburetor side, and installed before and after the vehicle and detecting a pressure change of the vehicle. And a collision sensor for outputting a signal accordingly. And a latch circui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llision sensor and generating a relay driving signal, and a relay for blocking a voltage path from a battery to the fuel supply / shut valve in response to the relay driving signal.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탱크 발화 방지장치.Fuel tank ignition prevention device of car.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탱크 발화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LPG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의 충돌 사고시에 자동으로 연료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탱크 발화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tank ignition prevention device of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el tank ignition prevention apparatus of a vehicle that can automatically cut off the fuel supply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f a vehicle using LPG fuel.

통상적으로, 자동차 사고의 대부분은 차량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데, 차량의 경미한 충돌시에도 종종 연료탱크의 발화가 일어나 충돌에 의해 받을 수 있는 피해를 훨씬 넘어서는 차량의 파손 또는 인명피해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인화성 및 폭발성이 강한 LPG 연료를 사용하는 택시의 경우 더욱 심각한 대형사고를 유발시키게 된다.Typically, most of the car accidents are caused by collisions of vehicles, and even minor collisions often cause fuel tanks to ignite, resulting in car damage or injury that far exceeds the damage that can be caused by a collision. . In particular, taxis using highly flammable and explosive LPG fuel will cause more serious accidents.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택시의 운전석에 연료 차단스위치를 설치한 후,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차량 충돌시에) 상기 연료 차단스위치를 스위칭하여 LPG 연료를 차단시켰다. 또한 택시의 연료탱크에 과류방지 밸브를 설치하여 차량의 사고시 LPG 연료가 흐르는 배관의 압력이 현저히 변화되거나 혹은 배관이 파손되었을 때 자동으로 연료탱크를 잠궈 LPG 연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리고 엔진 시동이 꺼지면 오일 압력스위치가 작동해 제어모둘에서 자동으로 LPG 연료를 차단시켰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ly, after installing a fuel cutoff switch in a driver's seat of a taxi, the driver cuts the LPG fuel by switching the fuel cutoff switch as needed (when the vehicle crashes). In addition, an overflow valve was installed in the fuel tank of the cab to prevent the LPG fuel from leaking by automatically locking the fuel tank when the pressure of the pipe through which LPG fuel flows was changed significantly or the pipe was damaged in the event of a vehicle accident. When the engine was turned off, the oil pressure switch was activated to automatically shut off LPG fuel at both controls.

그러나, 상기 연료 차단스위치는 차량의 충돌과 동시에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의식상태가 불명료하게 되면 무용지물이 되어 연료탱크에 발화가 일으나게 된다. 또한 택시의 충돌 사고시에 상기 과류방지 밸브가 작동할 정도의 파손이 아니거나 또는 배관에 이상이 없으면서 오일 압력스위치의 제어모듈에 이상이 생긴 경우는 엔진 내부에서 반응하지 못한 LPG 연료가 그대로 분출되어진다. 따라서 계속적으로 LPG 연료가 분출되고, 이에 따라 주변의 작은 화기에도 대형 폭발 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fuel cutoff switch becomes useless when the driver's or passenger's consciousness is unclear at the same time as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the fuel tank is ignited. In addition, if the overflow valve is not damaged enough to operate the overflow valve or there is a problem in the control module of the oil pressure switch without any abnormality in the cab, LPG fuel that has not reacted inside the engine is ejected as it is. . Therefore, LPG fuel is continuously ejected,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a large explosion in the surrounding small firearms.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충돌 사고와 동시에 자동적으로 연료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탱크 발화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el tank ignition prevent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automatically cut off fuel supply at the same time as a vehicle crash.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충돌시에 연료탱크의 발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that can prevent the fuel tank from firing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 연료탱크 발화 방지장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연료를 기화기 측으로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연료 공급/차단 밸브와, 차량의 전후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충돌센서와. 상기 충돌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래치 회로와, 상기 릴레이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배터리로부터 상기 연료 공급/차단 밸브로의 전압경로를 차단시키는 릴레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utomotive fuel tank ignition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el tank for storing fuel, a fuel supply / blocking valve connected to the fuel tank and supplying or blocking the fuel to a vaporizer side, and And a collision sensor installed before and after and detecting a change in pressure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a signal accordingly. And a latch circui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llision sensor and generating a relay driving signal, and a relay for blocking a voltage path from a battery to the fuel supply / shutoff valve in response to the relay driving signal.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충돌센서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자동차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vehicle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llis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탱크 발화 방지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Figure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uel tank ignition prevention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충돌센서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자동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탱크 발화 방지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vehicle show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 collis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uel tank ignition prevention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탱크 발화 방지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충돌은 전후의 차량과의 충돌이 대부분을 차지함으로 차량의 충돌을 용이하게 감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충돌센서 30은 자동차 100의 노즈(nose)와 테일(tail), 특히 앞범퍼의 위와 뒷범퍼의 앞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충돌센서 30은 래치 회로 2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자동차 100의 압력변화를 전기 신호 또는 스위치의 개폐에 따른 신호 형태로 래치 회로 28에 인가된다.In the fuel tank ignition prevention apparatu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to easily detect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since the collision with the vehicle before and after occupies most of the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collision sensor 30 is installed on the nose and tail of the vehicle 100, in particular above and behind the front bumper. In this case, the collision sensor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atch circuit 28 to apply the pressure change of the vehicle 100 to the latch circuit 28 in the form of an electric signal or a signal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switch.

그리고, 상기 래치 회로 28은 배터리 40으로부터 전원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충돌센서 30의 신호에 응답하여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 회로 28은 이그니션 스위치 32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배터리 40의 전압을 연료 공급/차단 밸브 14로 공급한다. 릴레이 20은 상기 배터리 4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연료 공급/차단 밸브 14로 공급하며, 상기 래치 회로 28로부터 입력되는 릴레이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 40으로부터 연료 공급/차단 밸브 14로의 전압 경로를 차단한다. 이때 상기 릴레이 20은 코일 24와 릴레이 스위치 2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코일 24는 상기 래치 회로 28로부터 입력되는 릴레이 구동신호에 의해 소정의 전자력을 발생한다. 상기 릴레이 스위치 22는 상기 코일 24에서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해 스위칭되면서 상기 배터리 40의 전원전압을 차단시킨다.The latch circuit 28 receives a power supply voltage from the battery 40 and generates a relay driving signal in response to the signal of the collision sensor 30. The latch circuit 28 supplies the voltage of the battery 40 to the fuel supply / shutoff valve 14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ignition switch 32. The relay 20 supplies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battery 40 to the fuel supply / blocking valve 14 and blocks the voltage path from the battery 40 to the fuel supply / blocking valve 14 in response to the relay driving signal input from the latch circuit 28. . In this case, the relay 20 includes a coil 24 and a relay switch 22. That is, the coil 24 generates a predetermined electromagnetic force by the relay driving signal input from the latch circuit 28. The relay switch 22 cuts off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battery 40 while being switch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coil 24.

그리고, 상기 연료 공급/차단 밸브 14는 운전자가 충돌시에 수동으로 선택하는 연료 차단스위치 26의 스위칭 동작과 충돌시에 자동으로 작동하는 릴레이 20에 의해 기화기 12 쪽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차단시킨다. 과류 방지밸브 16은 연료탱크 18에 설치되며, 연료가 흐르는 배관 및 각 연결부의 파손으로 인해 연료(LPG 연료)기 유츌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fuel supply / shutoff valve 14 shuts off the fuel supplied to the carburetor 12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fuel cutoff switch 26 which the driver manually selects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nd the relay 20 which operates automatically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n overflow valve 16 is installed in the fuel tank 18 and prevents fuel (LPG fuel) from flowing out due to breakage of the piping and the connection of the fuel.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의 연료탱크 발화 방지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2의 회로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An operation process of the fuel tank ignition prevention device of the vehic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ircuit diagram of FIG. 2.

자동차 100의 로즈 또는 테일에서 자동차의 압력변화가 발생하면, 상기 충돌센서 30은 하이신호를 발생한다. 래치 회로 28은 상기 충돌센서 30으로부터 입력되는 하이 신호를 입력받아 하이 레벨의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충돌센서 30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래치 회로 28은 로우상태가 되어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이후, 상기 릴레이 20에 있는 코일 24는 상기 래치 회로 28로부터 릴레이 구동신호를 공급받아 전자력을 발생한다. 이어서 릴레이 스위치 22는 상기 코일 24에서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해 스위칭된다. 이후 상기 릴레이 20의 구동에 의해 배터리 40으로부터 연료 공급/차단 밸브 14로의 전압 경로는 차단되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연료 공급/차단 밸브 14는 잠기게(close) 된다. 이로써, 기화기 12 쪽으로 공급되는 연료(LPG 연료)는 자동적으로 차단되어져 발화로 인한 대형 폭발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pressure change of the vehicle occurs in the rose or tail of the vehicle 100, the collision sensor 30 generates a high signal. The latch circuit 28 receives the high signal input from the collision sensor 30 and generates a high level relay driving signal. At this time, if the collision sensor 30 is not detected, the latch circuit 28 goes low and does not generate a relay driving signal. Thereafter, the coil 24 of the relay 20 receives the relay driving signal from the latch circuit 28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orce. The relay switch 22 is then switch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coil 24. Thereafter, the voltage path from the battery 40 to the fuel supply / exit valve 14 is shut off by driving the relay 20, so that the fuel supply / exit valve 14 is closed. As a result, the fuel supplied to the carburetor 12 (LPG fuel) is automatically shut off, thereby preventing a large explosion accident due to ignition.

이때, 상기 래치 회로 28은 이그니션 스위치 32가 스위칭 오프되면, 즉 자동차의 전원을 제거한 후 다시 전원을 공급할때는 래치 회로의 출력이 클리어되어 정상적인 주행에 필요하도록 다시 배터리 40로부터 연료 공급/차단 밸브 14로의 전압경로를 연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료 공급/차단 밸브 14는 오픈되어져 연료탱크 18에 저장된 연료는 기화기 12 측으로 공급되어진다.At this time, when the ignition switch 32 is switched off, that is, the power supply of the vehicle is removed after the ignition switch 32 is switched off, the output of the latch circuit is cleared so that the latch circuit 28 returns from the battery 40 to the fuel supply / shutoff valve 14 so as to be required for normal driving. Connect the voltage path. Accordingly, the fuel supply / shutoff valve 14 is opened so that the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18 is supplied to the vaporizer 12 sid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탱크 발화 방지장치는 차량의 충돌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연료탱크에서 기화기 쪽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차단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고시 운전자의 의식불명 상태 또는 제어장치의 이상시에도 연료 공급을 차단시켜 대형 폭발사고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인명피해를 최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uel tank ignition prevention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cut off fuel supplied to the carburetor from the fuel tank at the same time as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unconscious state of the driver or control device in case of an accident In case of abnormality, the fuel supply is cut off to prevent a large explosion and minimize the damage to life.

Claims (3)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연료를 기화기 측으로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연료 공급/차단 밸브를 가지는 자동차의 연료 장치에 있어서,In a fuel device of an automobile having a fuel tank for storing fuel and a fuel supply / shutoff valve connected to the fuel tank and supplying or blocking the fuel to the carburetor side, 차량의 전후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충돌센서와.And a collision sensor installed before and after the vehicle and detecting a pressure change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a signal accordingly. 상기 충돌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래치 회로와,A latch circui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llision sensor and generating a relay driving signal; 상기 릴레이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배터리로부터 상기 연료 공급/차단 밸브로의 전압경로를 차단시키는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 발화 방지장치.And a relay for disconnecting a voltage path from a battery to the fuel supply / shutoff valve in response to the relay drive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회로는 상기 충돌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하이 레벨의 릴레이 구동신호를 상기 릴레이 측으로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 경로를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 발화 방지장치.The fuel tank ignition prevention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latch circuit outputs a high level relay driving signal to the relay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the collision sensor to block a voltage path of the battery.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회로는 이그니션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로우 레벨의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연료 공급/차단 밸브 측으로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 발화 방지장치.The fuel tank ignition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atch circuit generates a low-level relay driving signal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ignition switch to supply the voltage of the battery to the fuel supply / shutoff valve side. Prevention device.
KR2019970017604U 1997-07-03 1997-07-03 Fuel tank ignition prevention device of car. KR1999000445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604U KR19990004458U (en) 1997-07-03 1997-07-03 Fuel tank ignition prevention device of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604U KR19990004458U (en) 1997-07-03 1997-07-03 Fuel tank ignition prevention device of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458U true KR19990004458U (en) 1999-02-05

Family

ID=69687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604U KR19990004458U (en) 1997-07-03 1997-07-03 Fuel tank ignition prevention device of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4458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0274B2 (en) Battery-mounted power system with safety protection disconnection device
EP1923256B1 (en) Motor vehicle capable of preventing malfunction and interrupting high-voltage system when accident occurs
JPH09263193A (en) Source disconnection device for vehicle and source disconnection system for vehicle
KR19990004458U (en) Fuel tank ignition prevention device of car.
KR0179693B1 (en) Automatic shut-down system of a fuel supply of a car
KR19980023219A (en) Vehicle Engine Room Fire Extinguisher
KR100559624B1 (en) System for preventing a fire in engine-room for automobi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0132587Y1 (en) Fuel cut device for automobiles
KR100852739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in vehicles
KR20180114305A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Motor Vehicle
KR200174117Y1 (en) Gas inspecter and safety equipment for lpg gas car
KR0152612B1 (en) Shut-off system from fuel supply as car collision
KR200161436Y1 (en) Automatic gas cut-off device for a vehicle
CN217396373U (en) Vehicle warning device
KR100428327B1 (en) A fuel system for preventing lpg from leaking
KR0164332B1 (en) Fuel supply cut-off and door lock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KR200401919Y1 (en) A system of preventing a fuel tank from fire in vehicle
KR0162072B1 (en) Fuel auto-returning device at a car accident
KR20000007949U (en) Fire prevention device in case of vehicle crash
KR19980056285A (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of car
KR200144405Y1 (en) Passenger protection device of car
KR19980051261U (en) Gas leak warning device of LPG vehicle
JP5078588B2 (en) Vehicle power supply
KR100186699B1 (en) Cutoff of engine oil supply in case of car collision
KR0159158B1 (en) Automatic power source cut-off device in car cra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