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299U - 학습서 편집구조 - Google Patents

학습서 편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299U
KR19990004299U KR2019960035782U KR19960035782U KR19990004299U KR 19990004299 U KR19990004299 U KR 19990004299U KR 2019960035782 U KR2019960035782 U KR 2019960035782U KR 19960035782 U KR19960035782 U KR 19960035782U KR 19990004299 U KR19990004299 U KR 199900042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orean
column
english
memory
ed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7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길
Original Assignee
정성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길 filed Critical 정성길
Priority to KR20199600357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4299U/ko
Publication of KR199900042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299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어, 일본어 등과 같은 외국어를 혼자서도 쉽게 공부할 수 있도록 한 학습서 편집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학습서(참고서적) 경우는 단원의 소재별로 내용을 단순히 나열하는 형태의 단순 나열식으로 편집배열 하였기 때문에 학습자는 학습내용을 단순히 맹목적으로 읽고 암기하는 수준에 불과하여 외국어 학습능률의 향상을 전혀 기대할 수 없었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학습서 편집구조를 탈피하여 일정한 규칙을 정하고 그 정해진 규칙대로 항상 동일하게 학습내용을 일률적으로 편집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능률을 고조시킬 수 있게 한 것인바, 본 고안은 학습서를 이루고 있는 각 지면상의 상측에는 제목란(200)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목란(200)의 상측선(201) 중앙에는 과(課)표시용 아라비아 숫자(203)를 기재하고; 상기 제목란(200)의 하측선(202)중앙으로부터 지면의 하측으로 형성된 분리선(204)의 좌우측에는 국문기재란(300)과 영문기재란(400)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국문기재란(300)의 좌측으로는 정리성번호(1, 2, 3, 4, 5, 6, 7, 8, 9)를 수직상으로 연번 기재하고, 상기 국문기재란(300)의 각 정리성부호의 우측으로는 상기 정리성번호(1, 2, 3, 4, 5, 6, 7, 8, 9)에 각각 해당되는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자음(ㄱ/ㅋ, ㄴ, ㄷ/ㅌ, ㄹ/ㅎ, ㅁ, ㅂ/ㅍ, ㅅ, ㅈ, ㅊ/ㅇ)을 이용해서 정해진 순서에 따라 국문 문장을 편집하도록 하고; 상기 영문 기재란(400)에는 상기 국문 문장에 해당하는 영문을 기재함으로써, 학습자가 상기 정리성번호 및 기억의 동기부여문자를 연관시키면서 학습하게 유도하여 암기가 용이하고 또한 일정한 시간이 지나더라도 암기된 내용을 쉽게 기억해 낼 수 있어 외국어 학습의 능률 향상은 물론 시간에 쫓기는 수혐생이나 직장인등이 누구나 부담없이 쉽게 외국어 공부를 재미있게 경제적으로 할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학습서 편집 구조
본 고안은 학습서 편집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외국어의 회화문장이나 숙어등을 암기하고 쉽고 오래 기억할 수 있으며, 암기된 내용을 쉽게 기억해 낼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편집 배열한 학습서 편집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가지의 외국어 참고서적인 학습서가 많이 출판되었으나 이들의 경우 예를 들자면 회화용 학습서나 숙어 단어집 등을 보면 소단원의 주재를 중심으로 해서 하부로 단순히 대화내용의 진행상황을 중심으로 하거나 알파벳순서 등으로 특정한 배열기준 없이 문장이나 단어를 단순 나열식으로 무분별하게 배열 편집 구성하였고 또한 문자의 배열 행수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편집자의 의도에 따라 짧게는 몇 줄 또는 많게는 여러줄이 되는 상태로 구성되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가 혼자서 참고서적을 중심으로 외국어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외국어를 맹목적으로 암기하는 원시적인 방법으로 공부하듯 단순히 인쇄된 문장이나 숙어단어들을 반복적으로 읽거나 쓰는 방법으로 암기할 수 밖에 없었으므로, 영어문장이나 숙어를 효율적으로 암기할 수 없었고, 비록 암기하였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기억해 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학습자가 나름대로 학습하면서 터득한 암기방법을 적용하여 암기하는 수준에서 각 문장을 암기할 수 있으며, 또한 암기된 내용을 쉽게 기억해 낼 수 있도록 한 학습서 편집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학습서의 편집에 기초가 되는 기억의 동기표를 나타낸 도면,
제 2 도는 기억의 동기표가 포함된 본 고안에 따라 편집된 영어회화 학습서의 지면을 발췌 예시한 도면,
제 3 도는 기억의 동기표가 포함되지 않은 본 고안에 따라 편집된 영어회화 학습서의 지면을 발췌 예시한 도면,
제 4 도는 기억의 동기표가 포함되지 않은 본 고안에 따라 편집된 영어 숙어 학습서의 지면을 발췌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4,5,6,7,8,9 : 정리성번호100 : 기억의 동기표
200 : 제목란203 : 과표시번호
300 : 국문기재란400 : 영문기재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학습서 편집 구조의 특징은 학습서를 이루고 있는 각 지면상의 상측에는 제목란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목란의 상측선 중앙에는 과(課)표시용 번호를 기재하고; 상기 제목란의 하측선 중앙으로부터 지면의 하측으로 형성된 분리선의 좌우측에는 국문기재란과 영문기재란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국문기재란의 좌측으로부터는 정리성번호(1,2,3,4,5,6,7,8,9)를 수직상으로 연번기재하고, 상기 국문기재란의 각 정리성번호의 우측으로는 상기 정리성번호(1,2,3,4,5,6,7,8,9)에 각각 해당되는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자음(ㄱ/ㅋ, ㄴ, ㄷ/ㅌ, ㄹ/ㅎ, ㅁ, ㅂ/ㅍ, ㅅ, ㅈ, ㅊ/ㅇ)을 이용해서 정해진 순서에 따라 국문 문장을 편집하도록 하고; 상기 영문기재란에는 상기 국문 문장에 해당하는 영문을 기재하여서 된 점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영문기재란의 하측에는 정리성번호(1,2,3,4,5,6,7,8,9)와 상기 정리성번호(1,2,3,4,5,6,7,8,9)에 각각 해당되는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자음(ㄱ/ㅋ, ㄴ, ㄷ/ㅌ, ㄹ/ㅎ, ㅁ, ㅂ/ㅍ, ㅅ, ㅈ, ㅊ/ㅇ)으로 된 기억의 동기표를 기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한글 번역 문장 중에서 정리성번호에 기억의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문자가 포함된 문구 부위로는 학습자가 용이하게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편집시 특별히 여러가지 형태로 표시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학습서의 편집에 기초가 되는 기억의 동기표 즉 메모리키(Memory Key)를 나타낸 것으로서, 기억의 동기표(100)에는 아라비아 숫자(1,2,3,4,5,6,7,8,9)로 이루어진 정리성번호가 배열되어 있으며, 각 정리성번호의 하부로는 ㄱ/ㅋ, ㄴ, ㄷ/ㅌ, ㄹ/ㅎ, ㅁ, ㅂ/ㅍ, ㅅ, ㅈ, ㅊ/ㅇ으로 구성된 한글의 첫째 자음이 각각 선택적으로 배열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정리성번호(1,2,3,4,5,6,7,8,9)와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자음(ㄱ/ㅋ, ㄴ, ㄷ/ㅌ, ㄹ/ㅎ, ㅁ, ㅂ/ㅍ, ㅅ, ㅈ, ㅊ/ㅇ)의 구성상태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리성번호 1에는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자음으로서 ㄱ이나 ㅋ을 부여하고, 정리성번호 2에는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자음으로서 ㄴ을 부여하며, 정리성번호 3에는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자음으로서 ㄷ이나 ㅌ을 부여하고, 정리성번호 4에는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자음으로서 ㄹ이나 ㅎ을 부여하며, 정리성번호 5에는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자음으로서 ㅁ을 부여하고, 정리성부호 6에는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자음으로서 ㅂ이나 ㅍ을 부여한다. 그리고, 정리성번호 7에는 기억의 동기수여용 한글 첫자음으로서 ㅅ을 부여하고, 정리성번호 8에는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자음으로서 ㅈ을 부여하며, 끝으로 정리성번호 9에는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자음으로서 ㅊ이나 ㅇ을 각각 부여함을 알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정리성번호를 편의상 일반적으로 순서를 나타내는 아라비아 숫자로 한 것은 학습자가 전혀 부담 없이 자연스럽게 알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또한 정리성번호를 1에서 9까지로만 한정 선택한 것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각 학습서의 지면상에 9개의 문장만을 일률적으로 적용시키겠다는 고안자의 의도에서 선택되어진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정리성 번호(1,2,3,4,5,6,7,8,9)에 고유한 기억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적용된 문자 즉 한글 즉 한글 첫자음은 ㄱ부터 ㅊ까지 순서대로 정리성번호의 1-9번까지 차례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 나머지 자음인 ㅋ,ㅌ,ㅍ,ㅎ,ㅇ인 기억의 동기표(100)와 같이 발음이 유사한 부분인 즉, ㅋ은 ㄱ과 같이 정리성번호 1에 배열하고, ㅌ은 ㄷ과 같이 정리성번호 3에 배열하며, ㅎ은 ㄹ과 같이 정리성번호 4에 배열하고, ㅍ은 ㅂ과 같이 정리성번호 6에 배열하여 중복으로 사용되도록 규정하며, 한글자음 ㅇ은 원래 아라비아 숫자 0과 모양이 같아 사용되는 것이 용이하나 본 고안에서는 정리성번호가 1-9까지만 있기 때문에 편의상 ㅊ과 같이 사용되어 정리성번호 9에 적용시켜 사용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한편, 상기 기억의 동기표(100)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분 배열한 것은 본 고안자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분 작성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에 의한 예비적인 학습서를 제작하여 실험해 본 결과 만족할 만한 최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것으로서 학습자가 회화문장이나 숙어 단어 등을 한번 읽고서도 쉽게 암기하거나 이를 다시 생각해 내는데 큰 효과를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제 1도와 같은 기억의 동기표(100)는 상기한 경험을 토대로 본 고안자가 그 배열방법 및 구분을 정한 것으로서 이는 고안자의 외도 하에 얼마든지 다르게 변경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자는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한 기억의 동기표(100)를 만들어 학습서 편집에 일률적으로 적용한 규칙으로서 학습자는 반듯이 본 고안의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학습서를 참고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이 표를 완전히 숙지하고 있어야 함은 기본이라 할 것이다.
그런 다음에서 본 고안의 기억의 동기표(100)를 적용하여 학습서가 어떠한 방식으로 편집구성 되어 있는지를 첨부된 제 2도 내지 제 4도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 2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국어 중 일례로 영어회화에 대한 학습서의 학습내용 편집배열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인 바, 학습서를 이루고 있는 각 지면상의 상측에는 상하측선(201),(202)으로 구획된 제목란(200)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목란(200)의 상측선(201)중아에는 과(課)표시용 아라비아 숫자(203)를 기재하고; 상기 제목란(200)의 하측선(202)중앙으로부터 지면의 하측으로 형성된 분리선(204)의 좌우측에는 국문기재란(300)과 영문기재란(400)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국문기재란(300)의 좌측으로부터는 제 1도에 도시된 각각의 정리성번호(1,2,3,4,5,6,7,8,9)를 수직상으로 연번 기재하고, 상기 국문기재란(300)의 각 정리성번호의 우측으로는 상기 정리성번호(1,2,3,4,5,6,7,8,9)에 각각 해당되는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자음(ㄱ/ㅋ, ㄴ, ㄷ/ㅌ, ㄹ/ㅎ, ㅁ, ㅂ/ㅍ, ㅅ, ㅈ, ㅊ/ㅇ)을 이용해서 정해진 순서에 따라 국문 문장을 편집하도록 하고; 상기 영문기재란(400)에는 상기 국문 문장에 해당하는 영문을 기재하였다. 여기에서, 지면의 상단으로는 통상의 학습서와 마찬가지로 각 단원의 제목란(200)이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큰 비중이 없는 것임을 밝혀둔다.
그러나 제목란(200)의 하단부로 편집 배열된 회화문장을 살펴보면, 즉, 아라비아 숫자의 정리성번호가 기억의 동기표(100)에 정해진 순서대로 1에서 9까지 각 행의 앞쪽에 표시되어 있어 각 행의 순서임을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것으로 여기에서 주목할 사항은 각 문장의 수를 9개까지 만으로 한정시키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순서대로 배열된 각 정리성번호의 우측에는 영어회화를 국역한 국어문장이 각각 기술되어 있는 것이며, 한글로 번역된 번역문 내용 중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기억의 동기표(100)를 통해 이에 약족한 각가의 정리성 번호에 적용된 고유한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자음이 포함된 문구가 특별히 소정의 방법으로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정리성번호 1의 영어회화문장은 I'm pretty sick about it! 이며, 그에 대한 한국어 번역내용은 나는 아주 그것이 귀찮아 죽겠어!라고 되는 것이며, 이때 한국어 번역 내용 중 정리성번호 1에 기억의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한글 단어 즉 귀찮아의 첫 번째 자음인 ㄱ이 포함된 글 귀를 특별히 표시하여 줌으로써 학습자는 단순히 영어문장에 다른 한국어 번역내용을 읽고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이 특별히 표시한 문구 중 ㄱ자음이 정리성번호 1과 연결되어진 기억의 동기부여 단어임을 생각하면서 전체문장을 상호 관련지어 암기하도록 유도해줌으로서 특별히 지적된 문구에 보다 많은 비중을 두어 전체적인 내용을 암기하게 되어 암기효과가 월등할 뿐 아니라 시간이 지난 후 암기된 내용이 쉽게 생각나지 않을 경우 정리성번호에 부여된 각각의 기억의 동기부여문자를 갖는 문구를 쉽게 연상할 수 있어 그 문장을 용이하게 기억해 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여기에서 학습자가 본 고안에 따른 학습서의 독특한 편집 특징을 알고 넘어가야 할 사항은 다름이 아니라 즉, 본원고안에 따른 기억의 동기부여문자가 한글자음만을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나 상기 자음만을 단순히 적용할 경우에는 이 자음이 우리에게 큰 의미를 갖지 못하기 때문에 이 한글자음을 이용해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낱말로 이미지화시키고 이를 문구화시켜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 문구화된 내용 중 정리성부호에 따른 기억의 동기부여문자는 일률적으로 표시된 문구중 첫자 부위에 쓰여진 자음을 갖는 문자만이 항상 고유한 기억의 동기부여문자와 동일하게 규칙적으로 정해진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동기부여문자에 따른 문구의 선택이나 표시는 편집자가 별도로 학습상황을 고려하여 특별히 편집시 표시해두기 때문에 그에 따른 학습자의 혼란은 전혀 있을 수 없으며, 상기한 학습서의 독특한 편집특징을 사전에 알고 기억의 동기표(100)를 적용 반복해서 읽고 암기한다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예문 중 다른 문장도 이와 같은 원리로 편집되어 있는 지를 좀더 살펴보면, 즉 8번째의 영어회화문장은 I'm bored to death로 되고 그에 따른 한국어 번역문은 지루해 죽겠어요가 될 것이다.
이때 번역 문장 중 지루해라는 문구에 특별히 표시가 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그중에서도 지글자의 ㅈ 자음이 표시된 맨 첫번째글자 첫머리에 위치해 있음을 알 수 있어 상기한 ㅈ 자음이 정리성번호 8의 고유한 기억의 동기부여문자임을 감안할 때 이 문장 역시 기억의 동기표(100) 순서에 입각하여 일률적으로 편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예문에서와 같이 각 영어회화문장의 한국어 번역문 내용 중 특별히 지시된 문구중 자음이 각각의 정리성번호와 관련된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번째 자음을 갖는 문자가 항항 일치하도록 편집 배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며, 기억의 동기표(100)를 기준으로 해서 항상 9개 문장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어서 각 지면의 단원별로 회화내용이 완전히 다르다 하더라도 상기와 같이 편집된 학습서를 동일한 암기방법을 적용하여 학습하면 되는 것이어서 학습자는 아무런 부담 없이 외국어를 공부할 수 있어 본 고안에 따른 소기의 목적을 누구나 쉽게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 3도에는 기억의 동기표(100)가 없는 학습서 편집구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실시예는 학습자가 기억의 동기표(100)를 완전히 숙지한 상태에서 정리성번호(1,2,3,4,5,6,7,8,9)와 이에 각각 해당되는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자음(ㄱ/ㅋ, ㄴ, ㄷ/ㅌ, ㄹ/ㅎ, ㅁ, ㅂ/ㅍ, ㅅ, ㅈ, ㅊ/ㅇ)으로서, 문장을 암기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여기에서 기억의 동기표(100)는 학습서의 머리말부분에만 기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비록 기억의 동기표(100)가 제 3도에서와 같이 포함되지 않았더라도 학습자는 이를 충분히 숙지하고 나면 문장 등을 용이하게 암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억의 동기표(100)를 각각의 학습지면에 제 2도에서와 같이 일일이 인쇄하지 않음으로써, 인쇄 및 편집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4도에는 영어숙어를 암기하도록 한 학습서(숙어집)의 편집 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국문기재란(300)과 영문기재란(400)이 서로 바뀐 것을 제외하고는 제 3도에 도시한 학습지의 편집구조와 동일하고, 숙어의 암기 방법은 기억의 동기표(100)를 동일하게 이용하면 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정리성 번호 1의 숙어단어에 있어 영어숙더 단어문구는 Carry on이 되고 그 뜻은 계속하다가 된다. 따라서 이때 정리성번호1에 대한 기억의 동기표(100)상에 약속한 고유한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자음이 ㄱ이고 이는 상기 계속하다의 계자에 ㄱ자음이 잇음을 발견할 수 있는바, 기억의 동기표를 이용 편집배열 되어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정리성번호(9)의 경우에 있어서도 원문은 Call off 이고 그 뜻은 취소하다인바, 이 역시 정리성번호 9에 대한고유한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 자음 ㅊ이나 ㅇ자음 중 ㅊ이 취소하다문구의 첫 번째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숙어단어의 학습서 경우도 본 예문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억의 동기표(100)를 기준으로 해서 각 숙어단어의 배열이 용어회화 학습서의 편집 예와 마찬가지로 규칙적이면서도 일률적으로 편집 구성되어 있음을 확실히 알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는 전술한 영어회화의 학습과 마찬가지로 기억의 동기표에 따른 일정한 규칙을 적용 각 정리성번호와 연관된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자음이 순서대로 배열되어진 문구를 순서대로 암기함으로써 숙어단어의 암기 및 재생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어 학습의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학습서의 학습내용을 편집함에 있어 기존의 무분별한 편집방법에서 탈피하여 편집의 방법을 기억의 동기표라는 매개체를 이용 체계적이면서 일률적으로 적용시켜 편집하여 줌으로써 학습자가 일정하게 정해진 규칙하에서 동일하게 내용을 암기하고 읽음으로서 학습의 능률을 최단시간에 스스로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암기된 내용을 추후라도 보다 편리하게 연상해 낼 수 있어 시간이 모자라는 수험생이나 직장인등이 외국어 공부를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경제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획기적인 고안인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학습서의 내용을 편의상 영어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일본어, 기타 다른 언어들 및 암기가 요구되는 모든 학습내용 또한 얼마든지 본 고안을 적용시켜 편집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회화나 숙어단어 이외의 기타 문법이나 각개의 단어들로 얼마든지 적용시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인 것이다.

Claims (2)

  1. 학습서를 이루고 있는 각 지면상의 상측에는 제목란(200)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목란(200)의 상측선(201) 중앙에는 과(課)표시용 아라비아 숫자(203)를 기재하고;
    상기 제목란(200)의 하측선(202) 중앙으로부터 지면의 하측으로 형성된 분리선(204)의 좌우측에는 국문기재란(300)과 영문기재란(400)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국문기재란(300)의 좌측으로는 정리성번호(1,2,3,4,5,6,7,8,9)를 수직상으로 연번기재하고, 상기 국문기재란(300)의 각 정리성번호의 우측으로는 상기 정리성번호(1,2,3,4,5,6,7,8,9)에 각각 해당되는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자음(ㄱ/ㅋ, ㄴ, ㄷ/ㅌ, ㄹ/ㅎ, ㅁ, ㅂ/ㅍ, ㅅ, ㅈ, ㅊ/ㅇ)을 이용해서 정해진 순서에 따라 국문 문장을 편집하도록 하고;
    상기 영문기재란(400)에는 상기 국문 문장에 해당하는 영문을 기재하여서 된 학습서 편집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문기재란(400)의 하측에는 정리성번호(1,2,3,4,5,6,7,8,9)와 상기 정리성번호(1,2,3,4,5,6,7,8,9)에 각각 해당되는 기억의 동기부여용 한글 첫자음(ㄱ/ㅋ, ㄴ, ㄷ/ㅌ, ㄹ/ㅎ, ㅁ, ㅂ/ㅍ, ㅅ, ㅈ, ㅊ/ㅇ)으로 된 하기와 같은 동기표(100)를 기재하여서 된 학습서 편집 구조.
KR2019960035782U 1996-10-28 1996-10-28 학습서 편집구조 KR199900042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782U KR19990004299U (ko) 1996-10-28 1996-10-28 학습서 편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782U KR19990004299U (ko) 1996-10-28 1996-10-28 학습서 편집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373A Division KR950027658A (ko) 1994-03-29 1994-03-29 학습서 편집 배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299U true KR19990004299U (ko) 1999-02-05

Family

ID=5400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782U KR19990004299U (ko) 1996-10-28 1996-10-28 학습서 편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429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2515A1 (en) * 2004-08-24 2006-03-02 Kim, Soo-Jung The abacus for math and english
KR100796564B1 (ko) * 2006-08-14 2008-01-21 정성길 한글 자음 키워드를 이용한 외국어 문장 학습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2515A1 (en) * 2004-08-24 2006-03-02 Kim, Soo-Jung The abacus for math and english
KR100796564B1 (ko) * 2006-08-14 2008-01-21 정성길 한글 자음 키워드를 이용한 외국어 문장 학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4036A (en) Method and device for learning a language
US5057020A (en) Reading enabler
Schmitt et al. The lexical advantages of narrow reading for second language learners
US4030211A (en) Instructional system for teaching and testing word pronunciation and spelling
US6966777B2 (en) Tool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reading
KR102100811B1 (ko)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US4696492A (en) Soundwriting--A phonetic script with keyboard
US5934708A (en) Dictionary of an alphabetic foreign language
Olszowy-Schlanger The Knowledge and Practice of Hebrew Grammar Among Christian Scholars in Pre-expulsion England: The Evidence of" bilingual" Hebrew-Latin Manuscripts
JP2007524128A (ja) アルファベット発音をコード化するシステム
Farquharson Ideas for Teaching Arab Students in a Multicultural Setting.
Conidi Arabic types in Europe and the Middle East, 1514-1924: challenges in the adaptation of the Arabic script from written to printed form
Englebretson An overview of IPA Braille: An updated tactile representation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US5529496A (en) Method and device for teaching reading of a foreign language based on chinese characters
KR19990004299U (ko) 학습서 편집구조
Cook Written language and foreign language teaching
JP3005360U (ja) 語学学習テキストブック
Carliner Elements of editorial style for computer-delivered information
Severing Merging the orthographies of Papiamento and Papiamentu from a Curaçao perspective
JP3090563U (ja) 外国語学習用テキスト
JPH08192589A (ja) 習字練習帳
JP3055471U (ja) ローマ字ドリルノート
Spear-Swerling Spelling an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PH06138809A (ja) 英単語暗記用カード
WO1986003321A1 (en) Method and device for learning a langu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