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977A - 차량 흡기매니폴드의 와류형성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흡기매니폴드의 와류형성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977A
KR19990003977A KR1019970027972A KR19970027972A KR19990003977A KR 19990003977 A KR19990003977 A KR 19990003977A KR 1019970027972 A KR1019970027972 A KR 1019970027972A KR 19970027972 A KR19970027972 A KR 19970027972A KR 19990003977 A KR19990003977 A KR 19990003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manifold
passage
mixer
vortex
vortex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7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희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27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3977A/ko
Publication of KR19990003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977A/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흡기매니폴드의 와류형성 구조에 관한 것으로, 흡기매니폴드(1)의 내부를 유동하는 혼합기가 유동로(c)의 측면에 형성된 와류형성통로(2)를 유동하는 혼합기와 서로 간섭되어 배기부(B)로 와류를 형성하며 유출되므로 공연비보단 엷은 연비하에서도 희박연소가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연비가 향상되고 배출물질이 저하되어진다.

Description

차량 흡기매니폴드의 와류형성 구조
본 발명은 차량 흡기매니폴드의 와류형성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 실린더 내의 희박한 공연비 상태에서도 연소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와류를 형성시키도록 된 차량 흡기매니폴드의 와류형성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이론공연비보다 엷은 혼합기를 연소시켜 배기가스의 정화 및 저연비를 이루기 위하여 희박연소를 실현시키려 노력하는 바, 흡기계통의 기구나 연소실의 형상을 연구하여 적합한 와류를 연료분사시기가 가장 적합한 층상흡기, 강력점화 등에 따라 확실한 착화를 실시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개발된 것으로, 흡기매니폴드 내부로 흡기의 유동을 방해하는 밸브 및, 일정형상으로 성형되어 와류형성통로가 구비되어 흡기매니폴드를 유동하는 공기가 와류를 형성하며 엔진으로 진행하도록 된 차량 인테이크매니폴드의 와류형성 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와류형성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 흡기매니폴드, 2 : 와류형성통로,
3 : 조절밸브, 4 -스로틀밸브,
A : 흡기부, B -배기부,
C : 유동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혼합기를 각 실린더로 안내하는 통로인 흡기매니폴드의 유동로 측면에 형성되어 혼합기가 유동되며 와류를 형성시키는 와류형성통로와, 이 와류형성통로로 혼합기를 유동시키도록 흡기매니폴드의 유동로 상에 구비되는 조절밸브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밸브로 흡기매니폴드의 유동로를 폐쇄하는 정도에 따라 유동로를 유동하는 혼합기의 와류형성통로로의 유입이 변화하게 되고, 이에따라 흡기매니폴드의 배기부로 각각 와류형성된 혼합기가 배출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기매니폴드(1)의 와류형성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혼합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흡기부(A)와 유출되는 배기부(B) 및 혼합기가 유동되는 통로인 유동로(c)가 구비되는 관형상의 흡기매니폴드(1)가 구성되는 한편, 유동로(c)의 측벽에 부착되어 유동로(c)와 연통되며 혼합기가 유동되는 와류형성통로(2)와, 이 와류형성통로(2)의 하부 유동로(c)에 구비되어 개/폐되며 혼합기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3) 및, 상기 흡기부(A)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혼합기의 양을 컨트롤하는 스로틀밸브(4)로 구성된다.
따라서, 유입구로 유입되는 혼합기는 유동로(c) 및 와류형성통로(2)를 경유하고, 배기부(B) 상에서 간섭되며 엔진의 실린더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와류형성통로(2)를 유동하는 혼합기는 통로의 형상에 의해 유동로(c)로 배출될시 와류를 형성하도록 된다.
또한, 상기 와류형성통로(2)의 하단 유동로(c)상에 구비되는 조절밸브(3)의 개/폐정도에 따라, 상기 와류형성통로(2)로 유동되는 혼합기의 양이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로(c)를 유동하는 혼합기는 상기 와류형성통로(2) 및 유동로(c)를 유동하며 서로 간섭되어 와류를 형성하고, 이 형성된 와류는 배기부(B)로 진행되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형성된 와류에 의해 이론공연비보다 엷은 혼합기에서도 희박연소가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저연비 및 배기가스가 정화되어진다.
한편, 상기 와류형성통로(2)의 형상 및 조절밸브(3)의 개/폐정도는 제작자가 원하는 와류의 형상에 따라 각기 변화시키도록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흡기매니폴드(1)의 내부를 유동하는 혼합기가 유동로(c)의 측면에 형성된 와류형성통로(2)를 유동하는 혼합기가 서로 간섭작용하여 와류가 형성되므로 공연비보단 엷은 연비하에서도 희박연소가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연비가 향상되고 배출물질이 저하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혼합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흡기부(A)와 유출되는 배기부(B) 및 혼합기가 유동되는 통로인 유동로(c)가 구비되는 차량의 흡기매니폴드(1)구조에 있어서, 상기 유동로(c)의 측벽에 부착되어 유동로(c)와 연통되며 혼합기가 유동되는 와류형성통로(2)와, 이 와류형성통로(2)의 하부 유동로(c)에 구비되어 개/폐되며 혼합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조절밸브(3)로 구성된 차량 흡기매니폴드(1)의 와류형성 구조.
KR1019970027972A 1997-06-27 1997-06-27 차량 흡기매니폴드의 와류형성 구조 KR19990003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972A KR19990003977A (ko) 1997-06-27 1997-06-27 차량 흡기매니폴드의 와류형성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972A KR19990003977A (ko) 1997-06-27 1997-06-27 차량 흡기매니폴드의 와류형성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977A true KR19990003977A (ko) 1999-01-15

Family

ID=65987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7972A KR19990003977A (ko) 1997-06-27 1997-06-27 차량 흡기매니폴드의 와류형성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39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6701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take system having auxiliary passage bypassing main throttle to produce swirl in intake port
US7455044B2 (en) Intake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0661431B1 (en) Method for supplying air and injecting fuel into a combustion chamb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particular a two-cycle engin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6200836A (ja) 火花点火内燃機関
JPH0821342A (ja) 燃料噴射式エンジン
EP1130235B1 (en) Control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0769610B1 (en) A fuel injection system for a lean burn engine
US4271802A (en) Secondary intake gas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450803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9990003977A (ko) 차량 흡기매니폴드의 와류형성 구조
CA1208088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315623A (ja) 吸気3弁エンジン
JPH084537A (ja) 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JP4048814B2 (ja) 火花点火式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H1122470A (ja) リーンバーン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EP1167718B1 (en) Control device and device for generating swirls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252359B1 (ko) 엔진의 전운전 영역에 걸쳐 효율성을 향상시킨 흡기포트장치
KR19980033430A (ko) 엔진 흡기 시스템
JPS6125915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KR100222848B1 (ko) 내연기관의 흡기 스월 발생구조
KR930008391B1 (ko) 성층 연소형 내연엔진
JPS595767B2 (ja) 内燃機関
JPH03141823A (ja) アルコール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焼制御装置
US4178889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821089B2 (ja) 自動車用噴流制御燃焼エンジ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