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961U - 낚시대 받침구 - Google Patents

낚시대 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961U
KR19990003961U KR2019980019348U KR19980019348U KR19990003961U KR 19990003961 U KR19990003961 U KR 19990003961U KR 2019980019348 U KR2019980019348 U KR 2019980019348U KR 19980019348 U KR19980019348 U KR 19980019348U KR 19990003961 U KR19990003961 U KR 199900039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rod
support
fixing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남
Original Assignee
김무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남 filed Critical 김무남
Priority to KR2019980019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3961U/ko
Publication of KR199900039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961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이 편리하고 크기가 작은 낚시대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삽입간(2), 방향조절구(3), 작동간(4)으로 구성되는 공지된 좌우 및 상하 방향조절이 용이한 받침구에 있어서, 작동간(4)의 종단에 180°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도중에 소정 곡률로 만곡형성된 지지편(32)이 회동 가능토록 장착된 지지간(34)과, 양측단부 사이의 치수가 낚시대의 지름보다 다소 큰 치수를 갖는 대략 반원형의 고정패널(36)과, 상기 고정 패널(36)의 전방측 측부와 작동간(4)의 후방측 측부 소정 개소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38)와, 상기 고정부재(38)에 교차되도록 고정패널(36)의 후방측 측부와 작동간(4)의 고정부재(38) 결합부 전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다른 복수개의 고정 부재(40)로 구성되어, 지지간(34)과 고정부재(38)를 모두 폈을 때 낚시대의 도중은 지지편(32)의 위에 위치되고 낚시대의 후부는 고정패널(36)의 아래에 위치되며, 지지간(34)과 고정부재(38) 모두를 작동간(4)으로 접었을 때 낚시대의 도중은 고정패널(36)의 위에 위치되고 낚시대의 후부는 지지편(32)의 아래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낚시대 받침구에 의하여, 릴낚시대 및 대낚시대 모두가 하나의 낚시대 받침구로 고정될 수 있으며 절첩 가능하여 운반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낚시대 받침구
본 고안은 낚시대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릴낚시대 및 대낚시대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운반이 편리하도록 하는 낚시대 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낚시대 받침구는 릴낚시용과 대낚시용으로 구분되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각 낚시대에 따라서 다른 받침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낚시를 할 때에는 많은 짐을 운반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낚시대에 따라 각각 다른 낚시대 받침구를 장만하여야 하므로 비용 또한 과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대낚시용 받침대는 앞받침대와 뒷받침대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낚시도중 낚시대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앞받침대를 뽑아서 다른 장소에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릴낚시대용 받침대에 대낚시대를 사용할 경우 대낚시대의 후부가 소정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어서 낚시도중 낚시대를 들고자 할 경우 낚시대의 후부가 걸려서 빨리 낚시대를 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95-23757호의 다목적 낚시대 받침구를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살펴본다.
도 1은 종래의 다목적 낚시대 받침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릴낚시를 할 경우의 실시 예를 나타내고, 도 3은 대낚시를 할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다목적 낚시대 받침구는 삽입간(2), 방향조절구(3), 작동간(4), 지지간(5)으로 구성되는 공지된 받침구에 있어서, 삽입간(2)과 삽입간(2)측 단부에 치형이 수직인 기어(14)가 형성된 방향조절구(3)를 축볼트(13)로 유설하고 방향조절구(3)의 기어(14)와 치합되는 축기어(16)가 형성된 손잡이(15)를 삽입간(2)에 축설하며, 작동간(4)에 형성된 수평의 치형을 갖는 일방치차(19)와 상기 일방치차(19)에 치합되어 일방치차(19)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톱퍼(18)를 방향조절구(3)의 상향면에 돌출 형성된 돌편(17)에 유설하며, 작동간(4)에 상, 하로 만곡된 거치편(24)(25) 그리고 구멍(22)이 천공된 받침편(23)을 고정하고 지지간(5)을 유설하여 요홈(29)과 걸림턱 및 고리(28)를 형성하며 요홈(29)에는 걸림봉(30)을 삽탈 자재토록 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낚시대 받침구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릴낚시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간(5)을 접어서 작동간(4)과 동일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 후, 릴낚시대를 고리(28)의 상부와 거치편(25)의 상부 및 다른 거치편(24)의 하부 사이로 삽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때 낚시대의 종단이 받침편(23)에 걸려서 낚시대가 후방으로 위치이동 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낚시대 받침구를 사용하여 대낚시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간(5)을 펴서 작동간(4)과 소정 각도를 갖도록 한 후, 작동간(4)의 거치편(25)의 상부 및 다른 거치편(24)의 하부 사이로 낚시대 앞받침대를 삽입시킨 후, 상기 앞받침대의 걸이부와 지지간(5)의 고리(28)에 대낚시대를 올려놓고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대낚시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대낚시대 앞받침대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는 낚시대 받침구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대낚시대의 앞받침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대낚시대의 무게 중심이 받침대의 전방에 위치되므로 낚시대의 후부가 들리게 되나 낚시대는 걸이상부에 놓여있는 것이므로 이를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앞받침대를 사용하여 낚시대의 무게를 분할하여야 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지간(5)의 길이를 길게 할 경우 낚시대 받침구의 치수가 상당히 커져서 운반 및 휴대가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다목적 낚시대 받침구에 의해서는 릴낚시대 및 대낚시대를 사용할 경우, 받침대에 놓인 낚시대를 들 때 낚시대의 후부가 낚시대 받침구의 거치편(24)에 걸려서 낚시대를 빠르고 정확하게 들어올리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릴낚시대 및 대낚시대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운반이 편리하도록 하는 낚시대 받침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내지 도 3은 종래의 낚시대 받침구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받침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받침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받침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삽입간 3 : 방향조절구
4 : 작동간 32 : 지지편
34 : 지지간 36 : 고정패널
38, 40 : 고정부재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 예에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은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자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받침구를 모두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낚시대 받침구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받침구는 삽입간(2), 방향조절구(3), 작동간(4)으로 구성되는 공지된 좌우 및 상하 방향조절이 용이한 받침구에 있어서, 작동간(4)의 종단에 180°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도중에 소정 곡률로 만곡형성된 지지편(32)이 회동 가능토록 장착된 지지간(34)과, 양측단부 사이의 치수가 낚시대의 지름보다 다소 큰 치수를 갖는 대략 반원형의 고정패널(36)과, 상기 고정 패널(36)의 전방측 측부와 작동간(4)의 후방측 측부 소정 개소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38)와, 상기 고정부재(38)에 교차되도록 고정패널(36)의 후방측 측부와 작동간(4)의 고정부재(38) 결합부 전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다른 복수개의 고정 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받침구의 실시 예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우선, 사용자가 상기 낚시대 받침구를 사용하여 대낚시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패널(36)을 당겨서 상기 고정부재(38)(40)가 작동간(4)과 소정각도를 갖도록 하고, 지지간(34)을 작동간(4)에 대하여 180°가 되도록 펼친 후, 대낚시대(50)의 도중은 상기 지지편(32) 위에 놓여지도록 하고 대낚시대(50)의 후부는 고정패널(36)의 아래에 위치되도록한다. 이때, 상기 낚시대(50)의 무게중심은 낚시대(50)의 길이에 의하여 지지편(32)보다 전방에 위치하므로 낚시대(50)의 전방부는 내려가고 후방부는 올라가려고 하나 상기 고정패널(36)이 낚시대(50)의 후방을 상부에서 지지하여 주므로 낚시대(50)는 낚시대 받침구상에 위치 고정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낚시대(50)를 들 경우에는 도면상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패널(36)도 고정부재(38)와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낚시대(50)를 드는데 불편함이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낚시대 받침구를 사용하여 릴낚시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간(34)을 작동간(4)측으로 절첩한 후 고정패널(36)을 밀어서 고정부재(38)(40)가 작동간(4)과 평행하게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8)(40)의 회동에 따라 고정 패널(36)도 고정부재(38)와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부를 향하게 되므로, 릴 낚시대(60)를 그 도중은 상기 고정패널(36) 위에 위치되도록 하고 그 후부는 지지편(32)의 아래에 위치되도록 하여, 릴낚시대(60)를 낚시대 받침구상에 위치고정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낚시대(60)의 무게중심은 낚시대(60)의 길이에 의하여 고정패널(36)보다 전방에 위치하므로 낚시대(60)의 전방부는 내려가고 후방부는 올라가려고 하나 상기 지지편(32)이 낚시대(60)의 후방을 상부에서 지지하여 주므로 낚시대(60)는 낚시대 받침구상에 위치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받침구에 의하면, 대낚시 및 릴낚시 모두를 하나의 낚시대 받침구로 고정할 수 있고, 절첩이 가능하므로 운반이 용이하게 되고, 들낚시를 할경우에도 낚시대 받침구가 낚시대와 함께 회전되어 낚시대를 드는데 방해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삽입간(2), 방향조절구(3), 작동간(4)으로 구성되는 공지된 좌우 및 상하 방향조절이 용이한 받침구에 있어서;
    작동간(4)의 종단에 180°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도중에 소정 곡률로 만곡형성된 지지편(32)이 회동 가능토록 장착된 지지간(34)과, 양측단부 사이의 치수가 낚시대의 지름보다 다소 큰 치수를 갖는 대략 반원형의 고정패널(36)과, 상기 고정 패널(36)의 전방측 측부와 작동간(4)의 후방측 측부 소정 개소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38)와, 상기 고정부재(38)에 교차되도록 고정패널(36)의 후방측 측부와 작동간(4)의 고정부재(38) 결합부 전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다른 복수개의 고정 부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지지간(34)과 고정부재(38)를 모두 폈을 때 낚시대의 도중은 지지편(32)의 위에 위치되고 낚시대의 후부는 고정패널(36)의 아래에 위치되며, 지지간(34)과 고정부재(38) 모두를 작동간(4)으로 접었을 때 낚시대의 도중은 고정패널(36)의 위에 위치되고 낚시대의 후부는 지지편(32)의 아래에 위치되는 낚시대 받침구.
KR2019980019348U 1998-10-07 1998-10-07 낚시대 받침구 KR199900039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348U KR19990003961U (ko) 1998-10-07 1998-10-07 낚시대 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348U KR19990003961U (ko) 1998-10-07 1998-10-07 낚시대 받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961U true KR19990003961U (ko) 1999-01-25

Family

ID=6951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348U KR19990003961U (ko) 1998-10-07 1998-10-07 낚시대 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396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041Y1 (ko) * 2011-04-26 2013-02-07 김무남 낚시대 받침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041Y1 (ko) * 2011-04-26 2013-02-07 김무남 낚시대 받침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0227A (en) Bicycle stand
KR19990003961U (ko) 낚시대 받침구
CN216305339U (zh) 电梯井操作平台支撑结构
JP2002300835A (ja) たも網載置具
JP2002345384A (ja) 釣竿保持具付き釣用箱
CN219812957U (zh) 一种鱼竿固定底座
KR0131319Y1 (ko) 다관절을 구비한 독서대
JPH0411447Y2 (ko)
KR200307727Y1 (ko) 각도 조절장치가 구비된 낚싯대 받침
JP2855268B2 (ja) 竿支持装置
FR2690844A1 (fr) Dispositif de levage de personne.
KR0131318Y1 (ko) 독서대
JP4575585B2 (ja) キーボードテーブル
JP2002019617A (ja) 日除け付き乳母車
JPS5927162Y2 (ja) 折畳式テ−ブル
JP2007032138A (ja) 側溝用蓋上げ器具、側溝用蓋上げ搬送器具、側溝用蓋揺動器具、汚泥収納袋搬送器具。
JPH087904Y2 (ja) 遊戯機械
JP2000279073A (ja) 釣糸リール用アタッチメント
JP3817250B2 (ja) 釣竿保持装置
KR200355941Y1 (ko) 낚싯대 거치구
KR200166874Y1 (ko) 낚시대용 받침대
JPH0415087Y2 (ko)
JPH0356219Y2 (ko)
KR200167816Y1 (ko) 이층 침대
KR200249454Y1 (ko) 절첩식 낚시대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